KR20100019501A -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 Google Patents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501A
KR20100019501A KR1020097025799A KR20097025799A KR20100019501A KR 20100019501 A KR20100019501 A KR 20100019501A KR 1020097025799 A KR1020097025799 A KR 1020097025799A KR 20097025799 A KR20097025799 A KR 20097025799A KR 20100019501 A KR20100019501 A KR 20100019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es
parallel
voltage
circuit
capaci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잘알 할라크
하랄트 케른스톡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외스터라이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외스터라이히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외스터라이히
Publication of KR2010001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8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Fire Alarm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U)에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C1...C(n))을 갖는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관한 것으로, 분압기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C1...C(n))에 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전압(U)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C1...C(n)) 사이에 분할하고, 상기 보호 다이오드(Di)의 임계 전압이 상기 보호 다이오드에 병렬로 배열되는 상기 커패시터(Ci)의 허용 가능 전압보다 더 낮고, 보호 회로가 또한 상기 직렬 저항들(RS1...RS (n))에 병렬로 배열되는 방식으로, 보호 다이오드(Di)가 각각의 커패시터(Ci)에 병렬로 직렬 저항(RSi)과 직렬로 배열된다.

Description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CIRCUIT ARRANGEMENT COMPRISING AT LEAST TWO CAPACITORS THAT ARE CONNECTED IN SERIES}
본 발명은 전압에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관한 것으로, 분압기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에 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분압기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 사이에서 전압을 분할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인가될 전압이 개별 커패시터의 허용 가능 전압보다 더 클 경우에 커패시터들이 직렬로 연결된다. 전해 커패시터(ELKO)가 예컨대 대략 500V 정격 전압까지의 사이즈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500V 초과 전압들을 이용하는 전해 커패시터들 내의 전기 에너지의 저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둘 이상의 전해 커패시터들이 직렬로 연결되어야 한다.
예컨대 인버터들을 위해 다수의 입력 커패시터들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상기 입력 커패시터들은 전기 에너지를 교류 전원들로부터 전력 네트워크로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태양광 발전기들에 의해, 인버터의 입력부에 특히 고전압들이 발생하고, 이러한 이유로 다수의 전해 커패시터들의 직렬 회로가 일반적으 로 입력-측 에너지 버퍼링을 위해 제공된다.
다수의 커패시터들 사이에 공평하게 존재하는 입력 전압을 분할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분압기가 상기 커패시터들에 병렬로 배열된다. 가장 단순한 예시에서, 분압기는 고-임피던스 저항들로 구성되고, 저항은 각각의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된다.
다수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하는 이러한 직렬 회로들은, 결함 발생시 개별 커패시터들에 대한 바람직한 전압 제한이 실패하고, 그 동안에 커패시터가 회로들을 단락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커패시터의 단락은 필연적으로 입력 전압이 나머지 단락되지 않은 커패시터들 사이에서 분할되도록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공지된 방식으로 커패시터 회로를 초과-크기 설정함으로써 해결된다. 그러므로, 예컨대 개별 커패시터들의 고장 또는 단락을 보상하기 위해 부가의 커패시터들이 배열된다. 이는, 컴포넌트 비용들과 커패시터의 고장을 지시하는 부가 회로를 제공할 필요를 증가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커패시터들을 보호하기 위한 다른 알려진 조치는 각각의 개별 커패시터의 전류 경로 내 퓨즈들의 배열이다. 단락 회로의 발생시, 끊긴 퓨즈는 전류 흐름을 인터럽트하고 나머지 커패시터들은 더 이상 충전되지 않는다. 동작을 다시 시작하기 이전에, 퓨즈는 교체되어야 하고 상기 단락 회로의 원인이 제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입부에서 전술된 타입의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대하여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향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전압에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을 갖는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의해 달성되고, 분압기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에 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분압기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 사이에서 전압을 분할하고, 직렬 저항과 직렬인 보호 다이오드가 또한 상기 보호 다이오드의 임계 전압이 상기 보호 다이오드에 병렬로 배열된 커패시터의 허용 가능 전압 미만이 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커패시터에 병렬로 배열되고, 보호 회로가 상기 직렬 저항들에 병렬로 배열된다.
이러한 어레인지먼트는 간단한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되어야 한다. 상기 직렬 저항들에 병렬로 배열되는 특정하게 제공된 보호 다이오드는 커패시터들 중 하나에서의 부분 전압이 커패시터에 병렬로 배열된 보호 다이오드의 임계 전압을 초과하고 따라서 대응하는 직렬 저항에 전압이 존재하게 되자마자 커패시터들을 보호한다. 이를 위해, 보호 회로는 예컨대 커패시터들을 절연시키기(isolate) 위한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는 가장 단순한 예에서 커패시터 회로의 입력부에서의 스위칭 엘리먼트로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호 회로는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는 요구된다면 나머지 커패시터들에 연결된다.
보호 회로가 전송 부분 및 수신기 부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플링 엘리먼트는 직렬 저항에 존재하는 전압이 알람 회로의 활성화를 트리거링하는 방식으로 직렬 저항들을 상기 알람 회로에 커플링시킨다. 그러면, 상기 알람 회로는 커패시터 회로보다 더 낮은 전압을 사용하고, 커패시터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의 제어 회로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의 전송 부분 및 수신기 부분 사이의 전기적 절연은 또한 상기 장치의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간단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알람 회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을 절연시키기 위한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설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의 수신기 부분과 직렬로 보조 전압에 연결된다. 커패시터 단락 발생시, 전압이 인가되는 직렬 저항의 알람 회로로의 커플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의 수신기 부분을 통해 보조 전압이 절연 설비에 인가되도록 유발한다. 보조 전압은 그러면 예컨대 절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스위칭 엘리먼트를 위한 제어 전압으로서 사용된다.
커패시터 회로 및 알람 회로 사이에 다수의 커플링 엘리먼트들을 갖는 어레인지먼트의 경우에, 커플링 엘리먼트들의 수신기 부분들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병렬 회로는 절연 설비와 직렬로 보조 전압에 연결된다. 그러면 각각의 커플링 엘리먼트의 신호 전송은 알람 회로가 활성화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한 유용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이 전압에 직렬로 연결되고, 저항이 각각의 커패시터에 병렬로 배열되고, 보호 다이오드 및 직렬 저항으로 만들어지는 직렬 회로가 각각의 저항에 병렬로 연결되고 커플링 엘리먼트의 전송 부분이 또한 각각의 직렬 저항에 병렬로 배열된다. 이러한 회로에 의해, 회로의 보호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고도 임의의 개수의 커패시터들을 직렬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커패시터들을 위해, 제1 직렬 저항과 직렬인 제1 저항이 제1 커패시터에 병렬로 배열되고 제2 직렬 저항과 직렬인 제2 저항이 제2 커패시터에 병렬로 배열되고, 제1 보호 다이오드가 상기 제1 저항에 병렬로 배열되고 제2 보호 다이오드가 상기 제2 저항에 병렬로 배열되고, 커플링 엘리먼트의 전송 부분이 상기 직렬 저항들로부터 형성된 직렬 회로에 병렬로 배열되는 회로가 유용하다. 따라서, 단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만이 필요하고, 상기 커플링 엘리먼트는 직렬 저항들 모두를 알람 회로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의 전송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제너 다이오드가 각각의 직렬 저항에 병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너 다이오드들의 브레이크다운 전압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의 허용 가능 전압 아래이다.
또한, 프리-저항(pre-resistance)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의 전송 부분의 업스트림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저항은 활성화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의 전송 부분을 통과하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 다이오드들은 유용하게도 억제 다이오드들(suppressor diodies)로서 구현된다. 이들은 정의된 브레이크다운 전압을 각자의 임계 전압으로서 갖고 매우 높은 방전 전력과 고속 응답 동작을 갖는다.
광학 커플러로서의 구성이 커플링 엘리먼트들에 대하여 유용하다. 광학 커플러들은 증명된 구조적 엘리먼트들이고, 발광 다이오드로서 구성된 전송 부분 및 포토트랜지스터로서 구성된 수신기 부분 사이에 전기적 절연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개략적인 도면들을 나타내는 동반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방식으로 하기에 기술된다.
도 1은 직렬로 배열된 다수의 커패시터들을 갖는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나타낸다.
도 2는 직렬로 배열된 두 개의 커패시터들과 두 개의 커플링 엘리먼트들을 갖는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나타낸다.
도 3은 직렬로 배열된 두 개의 커패시터들과 한 개의 커플링 엘리먼트들을 갖는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나타낸다.
도 4는 단락된 제1 커패시터를 이용한 전류 흐름을 갖는 도 3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나타낸다.
도 5는 단락된 제2 커패시터를 이용한 전류 흐름을 갖는 도 3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나타낸다.
도 1은 직렬로 배열된 다수의 커패시터들(C1...C(n))을 갖는 본 발명의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어지는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인덱스 i=1 내지 n이 각각의 커패시터 Ci에 할당된다. 여기서, 커패시터들(C1...C(n))의 개수(n)는 존재하는 전압(U), 커패시터들(C1...C(n))의 정격 전압들 그리고 개별 커패시터들(C1...C(n)) 사이의 전압 분할의 함수이다.
전압 분할은 분압기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가장 간단한 예시에서, 분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저항들(R1...R(n))로 형성되고, 저항(Ri)이 각각의 커패시터(Ci)에 병렬로 연결된다. 전압(U)은 개별 커패시터들(Ci) 사이의 저항 값들에 따라 분할된다. 저항 값들이 동일한 곳에는, 동일한 부분 전압(U/n)이 각각의 커패시터(Ci)에 존재한다.
보호 다이오드(Di) 및 직렬 저항(RSi)으로 구성된 직렬 회로가 각각의 저항(Ri)에 병렬로 연결된다. 여기서, 각각의 보호 다이오드(Di)는 임계 전압을 갖고, 상기 임계 전압은 병렬로 배열된 커패시터(Ci)의 허용 가능 전압 아래이다. 여기서, 보호 다이오드들(D1...D(n))은 바람직하게 억제 다이오드들로서 구성된다.
무-결함 동작 동안에, 커패시터들(C1...C(n))에 존재하는 부분 전압에 대하여 하기의 사항이 적용된다:
UC1 = UC2 = UC(n-1) = UC(n) = Umax/n
보호 다이오드들(D1...D(n))에서의 전압들에 대하여 하기의 사항이 적용된다:
UD1 = UD2 = UD(n-1) = UD(n) = UC(n)
무-결함 동작 동안에, 직렬 저항들(RS1...RS (n))에는 전압이 존재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보호 다이오드들(D1...D(n))에 존재하는 전압들(UD1...UD(n))이 각자의 임 계 전압보다 더 낮기 때문이다. 보호 회로는 직렬 저항들(RS1...RS (n))에 병렬로 배열된다.
도 1에 도시된 보호 회로는 광학 커플러들로서 바람직하게 구성되는 n개의 커플링 엘리먼트들(OC1...OCn)을 포함한다. 커플링 엘리먼트(OCi)의 전송 부분(예컨대, 발광 다이오드)이 여기서 각각의 직렬 저항(RSi)에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전송 부분들을 과전압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제너 다이오드(DS1)가 또한 각각의 직렬 저항(RSi)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너 다이오드(DS1)는 전송 부분에 존재하는 전압이 허용 가능한 최대 값에 도달하자마자 전도된다. 전송 부분들은 프리-저항들(RV1...RVn)에 의해 과전류들로부터 보호된다.
커플링 엘리먼트들(OC1...OCn)(예컨대, 포토트랜지스터들)의 수신기 부분들은 병렬 방식으로 보조 전압(US) 그리고 커패시터들(C1...C(n))을 초기에 존재하는 전압(U)으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한 설비(ALARM)에 연결된다.
결함시, 커패시터(Ci)가 단락 회로를 가질 때, 초기에 존재하는 전압(U)은 나머지 단락되지 않은 커패시터들(C1...C(i-1),C(i+1)...C(n)) 사이에서 분할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상기 커패시터들(C1...C(i-1),C(i+1)...C(n))에 병렬로 배열된 보호 다이오드들(D1...D(i-1),D(i+1)...D(n))의 임계 전압이 초과된다. 보호 다이오드 들(D1...D(i-1),D(i+1)...D(n))은 전도되고, 직렬 저항들(RS1...RS (i-1),RS (i+1)...RS (n))에서, 전압이 형성되고, 이는 커패시터들(C1...C(n))을 절연시키기 위해 커플링 엘리먼트들(OC1...OC(i-1),OC(i+1)...OC(n))을 통해 알람 회로의 활성화를 일으킨다.
도 2는 직렬로 연결된 단 두 개의 커패시터들(C1,C2)을 갖는 동일한 실시예의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나타낸다. 결함시, 즉 커패시터(C1 또는 C2)가 회로들을 단락시키면, 초기에 존재하는 전체 전압(U)은 단락되지 않은 커패시터(C2 또는 C1)에 존재한다. 여기서 보호 회로의 동작 모드는 도 1을 참조하여 기술된 모드에 대응한다.
단 두 개의 커패시터들(C1,C2)이 직렬로 연결되면, 상이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또한 적절하다. 이러한 대안적인 회로 어레인지먼트가 도 3에 도시된다. 이러한 어레인지먼트에서, 직렬 저항들(RS1,RS2)은 초기에 존재하는 전압(U)을 두 커패시터들(C1,C2) 사이에서 분할하기 위한 분압기의 엘리먼트들이다. 상기 분압기는 제1 저항(R1) 및 제1 직렬 저항(RS1)으로 구성되는 제1 직렬 회로, 그리고 제2 저항(R2) 및 제2 직렬 저항(RS2)으로 구성되는 제2 직렬 회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직렬 회로는 제1 커패시터(C1)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직렬 회로는 제2 커패시터(C2)에 병렬로 연결된다.
저항들(R1,R2,RS1,RS2)에 대하여 하기의 사항이 적용된다:
(R1+RS1) = (R2+RS2)
그러면, 전압(U)은 두 개의 커패시터들(C1,C2) 사이에 공평하게 분할된다. 보호 회로 내에서 과전압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시 제너 다이오드(DS1,DS2)가 각각의 직렬 저항(RS1,RS2)에 병렬로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제너 다이오드들(DS1,DS2)은 프리-저항(RV)을 갖는 커플링 엘리먼트(OC)가 병렬로 연결되는 직렬 회로를 형성한다.
커패시터(C1,C2)가 회로들을 단락시킬 때 전류 흐름들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제1 커패시터(1)의 단락 회로는 전압(U)의 양극으로부터 제1 커패시터(C1)를 통과하는 전류 흐름을 야기하고, 그 결과로 전체 전압(U)이 제2 커패시터(C2)에 존재한다. 따라서, 전체 전압(U)은 또한 제2 저항(R2) 및 제2 직렬 저항(RS2)으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에 존재한다. 상기 직렬 회로는 전압(U)을 제2 보호 다이오드(D2) 그리고 제2 제너 다이오드(DS2) 또는 상기 제2 제너 다이오드(DS2)에 병렬로 배열된 보호 회로(DS1,RV,OC)의 엘리먼트들 사이에 분할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제2 보호 다이오드(D2)의 임계 전압이 초과되고, 그 결과로 상기 제2 보호 다이오드(D2)가 전도성이 된다. 그러므로, 전류는 전도성 제2 보호 다 이오드(D2)를 통해 초기에 존재하는 전압(U)의 음극으로 흐른다. 제2 직렬 저항(RS2)에 존재하는 전압은 보호 회로를 통한, 즉 제1 제너 다이오드(DS1), 프리-저항(RV) 그리고 커플링 엘리먼트(OC)의 전송 부분을 통한 전류 흐름을 일으킨다. 이러한 전류 흐름은 여기서 제2 직렬 저항(RS2)에 병렬로 연결된 제2 제너 다이오드(DS2)에 의해 결정된다.
전류가 보호 회로를 통해 흐르자마자, 알람 회로가 커플링 엘리먼트(OC)에 의해 활성화되고, 커패시터들(C1,C2)은 그들을 초기에 존재하는 전압(U)으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해 설비(ALARM)에 의해 분리된다. 이는, 설비(ALARM)가 커플링 엘리먼트(OC)의 수신기 부분을 통해 보조 전압(US)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5는 제2 커패시터(C2)가 단락될 때 전류 흐름을 나타낸다. 이 예시에서, 전체 전압(U)은 제1 커패시터(C1)에 존재하여, 제1 보호 다이오드(D1)의 브레이크다운이 일어나게 된다. 전류가 다시 한번 보호 회로를 통해 흐르고, 커패시터들의 절연을 야기함으로써, 상기 커패시터들을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한다.
일단 커패시터(C1 또는 C2)의 단락 회로를 유발하는 결함이 제거되면, 회로는 동작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Claims (10)

  1. 전압(U)에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C1...C(n))을 갖는 회로 어레인지먼트로서,
    분압기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C1...C(n))에 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전압(U)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C1...C(n)) 사이에서 분할하고,
    직렬 저항(RSi)과 직렬인 보호 다이오드(Di)가 각각의 커패시터(Ci)에 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보호 다이오드(Di)의 임계 전압이 상기 보호 다이오드에 병렬로 배열되는 상기 커패시터(Ci)의 허용 가능 전압보다 더 낮고,
    보호 회로가 또한 상기 직렬 저항들(RS1...RS (n))에 병렬로 배열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회로는 전송 부분 및 수신기 부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OC 또는 OC1...OC(n))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OC 또는 OC1...OC(n))는 상기 직렬 저항들(RS1...RS (n))을 알람 회로에 커플링시키고, 직 렬 저항(RSi)에 존재하는 전압이 상기 알람 회로의 활성화를 트리거링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회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C1...C(n))을 절연(isolate)시키기 위한 설비(ALARM)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OC 또는 OC1...OC(n))의 수신기 부분과 직렬인 상기 절연 설비(ALARM)는 보조 전압(US)에 연결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다수의 커플링 엘리먼트들(OC1...OC(n))이 제공되고, 상기 커플링 엘리먼트들(OC1...OC(n))의 수신기 부분들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절연 설비(ALARM)와 직렬인 상기 병렬 회로는 상기 보조 전압(US)에 연결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C1...C(n))은 상기 전압(U)에 직렬로 연결되 고, 저항(Ri)이 각각의 커패시터(Ci)에 병렬로 배열되고, 보호 다이오드(Di)와 직렬 저항(RSi)으로 구성되는 직렬 회로가 각각의 저항(Ri)에 병렬로 연결되고, 커플링 엘리먼트(OC1...OC(n))의 전송 부분이 또한 각각의 직렬 저항(RSi)에 병렬로 배열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커패시터(C1)가 제2 커패시터(C2)와 직렬로 상기 전압(U)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커패시터(C1)에 병렬로, 제1 저항(R1)이 제1 직렬 저항(RS1)과 직렬로 배열되고, 제2 커패시터(C2)에 병렬로, 제2 저항(R2)이 제2 직렬 저항(RS2)과 직렬로 배열되고, 제1 보호 다이오드(D1)가 상기 제1 저항(R1)에 병렬로 배열되고, 제2 보호 다이오드(D2)가 상기 제2 저항(R2)에 병렬로 배열되고, 커플링 엘리먼트(OC)의 전송 부분이 상기 직렬 저항들(RS1,RS2)로 형성된 직렬 회로에 병렬로 배열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OC 또는 OC1...OC(n))의 상기 전송 부분 을 보호하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DSi)가 각각의 직렬 저항(RSi)에 병렬로 배열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리-저항(pre-resistance)(RV 또는 RV1...RV (n))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OC 또는 OC1...OC(n))의 상기 전송 부분의 업스트림에 연결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다이오드들(D1...Dn)은 억제 다이오드들(suppressor diodes)로서 구성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엘리먼트(OC 또는 OC1...OC(n))는 광학 커플러로서 구성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KR1020097025799A 2007-05-10 2008-04-15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KR201000195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717/2007 2007-05-10
AT7172007A AT504439B8 (de) 2007-05-10 2007-05-10 Schaltungsanordnung mit wenigstens zwei in serie geschalteten kondensator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501A true KR20100019501A (ko) 2010-02-18

Family

ID=3936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799A KR20100019501A (ko) 2007-05-10 2008-04-15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05214B2 (ko)
EP (1) EP2145368B1 (ko)
KR (1) KR20100019501A (ko)
CN (1) CN101682187B (ko)
AT (2) AT504439B8 (ko)
DE (1) DE502008002950D1 (ko)
RU (1) RU2455741C2 (ko)
WO (1) WO200813869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2303A (ko) * 2011-12-13 2014-08-21 오스람 게엠베하 Ac 전압으로 led 체인을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3424B2 (en) * 2009-09-11 2012-08-28 Sma Solar Technology Ag Topology surveying a series of capacitors
US8975899B2 (en) 2009-09-11 2015-03-10 Sma Solar Technology Ag Inverter device comprising a topology surveying a series of capacitors
US9030853B2 (en) * 2010-06-25 2015-05-12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Power conversion equipment having a capacitor failure detecting circuit
FR2965309B1 (fr) * 2010-09-29 2012-08-3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gestion de l'arret et du redemarrage automatique d'un moteur thermique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JP5500192B2 (ja) * 2012-03-16 2014-05-21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回路
DE102012111278B4 (de) * 2012-11-22 2021-11-2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chaltungsanordnung mit einem Überlastschutz für galvanische Trenneinheiten
RU2543506C2 (ru) * 2013-03-11 2015-03-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оронежское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Рикон" (ОАО ВСКБ "Рикон")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ическое суперконденсаторное
JP5913171B2 (ja) * 2013-03-19 2016-04-27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コンデンサバンクの充電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充電装置と、コンデンサバンクの放電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放電装置
DE102015203269A1 (de) * 2015-02-24 2016-08-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peichersystem zum Speichern elektrischer Energie
JP6694006B2 (ja) * 2018-05-31 2020-05-1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Dcリンクコンデンサの短絡判定部を有するモータ駆動装置
EP3605813A1 (de) 2018-07-30 2020-02-05 Fronius International GmbH Wechselrichter mit zwischenkreisschutz
RU202279U1 (ru) * 2020-11-03 2021-02-09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леконд" Устройство активной балансировки с расширенным диапазоном напряжения срабатывания ключей шунтирующих цепей на МОП транзисторах для суперконденсаторного накопите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58711A (en) * 1981-02-13 1983-12-13 Philip Chadwick Alarm and control system for high voltage capacitor bank
US4568871A (en) 1984-01-26 1986-02-04 Borg-Warner Balancing system for limiting voltage imbalance across series-connected capacitors
US4975796A (en) * 1988-10-13 1990-12-04 Aerovox Incorporated Reverse discharge diode capacitor
JP2716339B2 (ja) * 1993-04-14 1998-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H09224368A (ja) 1996-02-19 1997-08-26 Fujitsu Denso Ltd コンデンサ保護回路を備えた電源装置
JP2002208850A (ja) * 2000-11-13 2002-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スイッチ装置
KR100451553B1 (ko) * 2002-06-21 200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회로
CA2510207A1 (en) * 2004-06-21 2005-12-21 Inventio Ag Circuit arrangement for limitation of over-voltages in energy storage modules
RU2275726C1 (ru) * 2004-08-23 2006-04-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акетно-космическая корпорация "Энергия" имени С.П. Королева"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с защитой радиоэлектронных приборов от импульсных перенапряжени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2303A (ko) * 2011-12-13 2014-08-21 오스람 게엠베하 Ac 전압으로 led 체인을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2187A (zh) 2010-03-24
WO2008138699A3 (de) 2009-02-12
ATE503292T1 (de) 2011-04-15
AT504439A4 (de) 2008-05-15
AT504439B1 (de) 2008-05-15
AT504439B8 (de) 2008-09-15
RU2009145728A (ru) 2011-06-20
US20100085667A1 (en) 2010-04-08
EP2145368B1 (de) 2011-03-23
EP2145368A2 (de) 2010-01-20
RU2455741C2 (ru) 2012-07-10
WO2008138699A2 (de) 2008-11-20
US8705214B2 (en) 2014-04-22
CN101682187B (zh) 2013-04-10
DE502008002950D1 (de)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9501A (ko)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US8570692B2 (en) Overvoltage protection for inverters that comprise an EMC filter at their input end
US9692226B2 (en) Circuit interruption device
TWI527376B (zh) 用於閘極驅動器的光耦合器電路
JP2014512789A (ja) 三相系統内の三相負荷の短絡保護用の電気装置
CN111630744B (zh) 消弧装置和多级消弧设备
JP2007129871A (ja) 避雷器の切離し制御装置
KR102422865B1 (ko) 본질 안전 전기 출력 전력 및 방폭형 조명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
US11201462B2 (en) Fault-tolerant solid state power controller
US6633092B2 (en) Protection of a dynamic voltage restorer
CN110620370B (zh) 用于直流侧电容器的安全设计
CN112636315A (zh) 一种强电磁脉冲防护装置劣化的在线监测方法
KR20170076266A (ko) 전원 장치용 서지 보호회로
CN110729712A (zh) 一种保护组合装置
KR100191621B1 (ko) 서지전압 차단회로
US8837095B2 (en) DC electrical power system
CN116544901A (zh) 浪涌防护电路、浪涌防护系统及全模浪涌防护系统
CN116093913A (zh) 一种电涌保护装置
US7397643B2 (en) Protection circuit
CN112769168A (zh) 为电器供应经提高的功率的本质安全的能量传输单元
WO2004030175A1 (en) Voltage protection
CN112688286A (zh) 供电防护电路、电子设备和电子组件
KR20140073893A (ko) 소형기기 전원용 서지보호기
KR20110033895A (ko) 저압 전원용 피뢰기
KR20170064299A (ko) 전력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