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959A -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959A
KR20100018959A KR1020080077731A KR20080077731A KR20100018959A KR 20100018959 A KR20100018959 A KR 20100018959A KR 1020080077731 A KR1020080077731 A KR 1020080077731A KR 20080077731 A KR20080077731 A KR 20080077731A KR 20100018959 A KR20100018959 A KR 20100018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voltage
power factor
discharge lamp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782B1 (ko
Inventor
맹충용
김성철
이종규
Original Assignee
일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78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8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용 보조 전원과 구동용 주 전원을 분리함으로써 무전극 방전 램프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고, 정류부의 출력을 제어용 보조 전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저감하고, 회로 구성을 단순화하며, 역률을 개선할 수 있는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파를 제거하는 EMI 필터부; 상기 LC 필터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부; 상기 정류부가 직류 신호를 출력할 때, 포함되어 인입되는 피크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왜곡된 전압 신호와 고조파 성분이 포함된 전류 신호의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역률 보상부; 상기 역률 보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직류 전압을 소정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역률 보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직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여 상기 역률 보상부 내 제어용 집적회로와 상기 인버터 내 제어용 집적회로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용 보조 전원부를 포함한다.
무전극, 방전, 램프, 보조, 전원

Description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FOR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USING SUPPORT POWER SUPPLY FOR CONTROLLING}
본 발명은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효율이 낮은 백열 램프를 개선하여 고효율 램프를 개발하려는 많은 노력이 진행 중이다. 백열 램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효율이 높은 램프로서 가스 방전 램프가 있다.
가정이나 외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스 방전 램프는 두 단자 사이에 채워진 수은과 같은 가스 입자를 고에너지로 여기시키고, 여기된 가스 입자가 형광 물질에서 방전할 때 빛이 발생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스 방전 램프의 경우에, 방전관 내부에 단자가 삽입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짧은 수명은 가스 방전 램프에 채워지는 가스, 예를 들어, 수은과 같은 중금속에 의한 심각한 환경 오염을 야기시킨다.
이에 반하여 무전극 방전 램프는 소모 전력을 상당히 줄이고, 수명을 획기적 으로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버려지는 중금속 가스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무전극 방전 램프는 친환경적인 광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무전극 방전 램프의 원리는 1907년 P. C. Hewitt에 의하여 제안되었으며, 1990년대에 들어서 램프관련 선진 기업들에서는 여러 형태의 무전극 방전 램프들이 상품화되고 있다.
제조사 출시연도 상품명 동작주파수 효율
MATSUSHITA 1991 Everlight 13.56MHz 37.0 lm/W
PHILIPS 1991 QL 2.65MHz 65.0 lm/W
GE 1994 Genura 2.65MHz 48.0lm/W
OSRAM 1994 Endura 0.25MHz 75.0 lm/W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무전극 형광 램프들은 비교적 높은 주파수에서 동작하므로 전자기파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고, 구동 회로의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버터 출력단과 램프 사이에 고주파 발진 제어회로를 부가함으로써 무전극 방전 램프의 광 효율을 높이면서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기술이 공개특허공보 2007-120688호(무전극 형광 램프 구동을 위한 고주파 발생기)에 제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공개특허공보 2007-120688호)에 개시된 조명 시스템 블럭도로서, EMI 필터(111), 정류기(112), PFC 회로(113), DC/AC 인버터(114) 및 발진제어회로(115)를 포함한다.
도 2는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의 사시도로서, 방전관 내부에 필라멘트나 발광판 등이 없이 무전극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는 광원이다. 무전극 방전 램프는, 페라이트 코어에 감긴 코일을 통하여 고주파의 교류 전압을 인가받는다. 고주파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무전극 방전 램프의 페라이트 코어에 감긴 코일의 동작에 따라 방전관 내부에는 유도 전계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유도전계에 의하여 방전관 내부에 주입된 봉입 가스, 예컨대, 수은과 같은 불활성 가스가 여기되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전자들이 다른 입자들을 다시 여기시키면서 고 에너지 입자들에 의한 자외선이 만들어진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2007-120688호에 개시된 무전극 형광 램프 구동을 위한 고주파 발생기는, PFC회로(113)와 DC/AC 인버터(114)의 제어신호용 전원으로 DC/AC인버터(114)의 출력을 감압하여 사용한다. 즉, 구동용 전원 라인의 마지막 단으로부터 분기하여 제어신호용 전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램프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발진주파수가 저하되거나 상승함으로써 발생되는 노이즈 혹은 리플은 제어신호용 전원에 피드백되고, 제어신호용 전원전압이 일정하지 못하고 변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다시 PFC회로나 DC/AC 인버터의 제어에 영향을 주게 되어 출력단에 에러가 발생시키거나 램프의 깜박임 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351436호에 개시된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는 제어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보조 전원 회로(13)를 상용 전원의 입력단으로부터 트랜스포머(T3)를 사용하여 정류한다. 그러나, 트랜스포머(T3)를 이용한 보조 전원의 경우, 트랜스포머에서의 발열로 인해 에너지 손실이 막대하고, 정류부를 추가로 필요로 하며, 역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제어용 보조 전원과 구동용 주 전원을 분리함으로써 무전극 방전 램프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류부의 출력을 제어용 보조 전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저감하고, 회로 구성을 단순화하며, 역률을 개선할 수 있는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파를 제거하는 EMI 필터부; 상기 LC 필터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부; 상기 정류부가 직류 신호를 출력할 때, 포함되어 인입되는 피크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왜곡된 전압 신호와 고조파 성분이 포함된 전류 신호의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역률 보상부; 상기 역률 보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직류 전압을 소정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역률 보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직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여 상기 역률 보상부 내 제어용 집적회로와 상기 인버터 내 제어용 집적회로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용 보조 전원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용 보조 전원부는, 상기 제2 직류 전압을 상기 역률 보상부 내 제어용 집적회로와 상기 인버터 내 제어용 집적회로에 병렬로 그리고 동시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용 보조 전원과 구동용 주 전원을 분리함으로써 무전극 방전 램프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용 보조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안정적인 전원에 의해 역률 보상부와 인버터부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각 부 스위칭 소자의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버터부의 출력단에서의 에러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램프의 깜박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 전원으로 트랜스포머(T3)를 사용하지 않고, 직류 신호를 직접 감압하기 때문에, 트랜스포머에서의 발열로 인해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제고되고, 정류회로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아 회로를 좀 더 작게 구현할 수 있으며, 역률 저하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는 EMI 필터부(210), 정류부(220), 역률 보상부(PFC: Power Factor Correction, 230), 인버터부(240), 제어용 보조 전원부(250), 및 램프(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필터부(210)는 상용전원인 교류(AC: Alternating Current) 신호 내에 포함된 전자파를 제거한다. 여기서, MOV(Metal Oxide Varister)는 금속성 바리스터 소자로서, 써지 전압이 들어오면 순간적으로 단락시켜서 접지로 고전압을 흘러 보내 입력단에 인입되는 써지 전압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류부(220)는 LC 필터부(21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한다. 정류부(220)는, 예컨대, 브리지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상부(230)는 정류부(220)가 직류 신호를 출력할 때, 포함되어 인입되는 피크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왜곡된 전압 신호와 고조파 성분이 포함된 전류 신호의 역률(power factor)을 보상함으로써 무효전력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버터부(240)는 직류 신호를 대략 250kHz 정도의 AC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용 보조 전원부(250)는 노드1(N1)으로부터 입력되는 DC 300볼트(V)를 14 내지 16볼트(V)로 감압하여 노드2(N2)에 출력하고, 노드2에 인가된 직류전압은 역률 보상부(230) 내 집적회로(IC1)의 전원전압으로 사용됨과 아울러 인버터부(240) 내 집적회로(IC2)의 전원전압으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역률 보상부(230)와 인버터부(240)의 스위칭 소자에서 발열이 감소하며, 노이즈 및 리플 발생이 억제되며, 램프가 깜박이는 현상이 제거된다. 또한, 무전극 방전 램프를 장시간 사용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인버터부(240)의 발진 주파수가 245kH 정도로, 즉 5kHz 인 2% 정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정격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대략 발진 주파수의 1% 범위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용 보조 전원부(250)로부터 역률 보상부(230) 내 IC와 인버터 부(240) 내 IC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무전극 방전 램프의 예열 피드백의 응답속도가 개선되어 점등 시간이 빨라진다.
또한, 제어용 보조 전원부(250)로부터 역률 보상부(230) 내 IC와 인버터부(240) 내 IC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인버터부(240)의 스위칭 소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개시된 조명 시스템 블럭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의 사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210: LC 필터부 220: 정류부
230: 역률 보상부 240: 인버터부
250: 제어용 보조 전원부 120: 무전극 방전 램프

Claims (4)

  1. 무전극 방전 램프에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상용 교류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파를 제거하는 EMI 필터부;
    상기 EMI 필터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부;
    상기 정류부가 직류 신호를 출력할 때, 포함되어 인입되는 피크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왜곡된 전압 신호와 고조파 성분이 포함된 전류 신호의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역률 보상부;
    상기 역률 보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직류 전압을 소정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역률 보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직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여 상기 역률 보상부 내 제어용 집적회로와 상기 인버터 내 제어용 집적회로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용 보조 전원부
    를 포함하는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보조 전원부는,
    상기 제2 직류 전압을 상기 역률 보상부 내 제어용 집적회로와 상기 인버터 내 제어용 집적회로에 병렬로 그리고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가 출력하는 교류 전압은 정격 발진 주파수의 대략 1% 범위 내에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격 발진 주파수는 250 킬로 헤르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
KR1020080077731A 2008-08-08 2008-08-08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002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731A KR101002782B1 (ko) 2008-08-08 2008-08-08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731A KR101002782B1 (ko) 2008-08-08 2008-08-08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959A true KR20100018959A (ko) 2010-02-18
KR101002782B1 KR101002782B1 (ko) 2010-12-21

Family

ID=4208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731A KR101002782B1 (ko) 2008-08-08 2008-08-08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7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2286A (zh) * 2016-08-30 2016-11-09 成都英格瑞德电气有限公司 基于emc滤波软启动的恒流调光器
CN106332418A (zh) * 2016-08-30 2017-01-11 成都英格瑞德电气有限公司 基于pfc整流储能的正弦波调光器模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692Y1 (ko) 1999-09-17 2000-04-15 주식회사인라이트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KR100629219B1 (ko) 2005-06-15 2006-09-27 주식회사 케이비텍 무전극 안정기 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2286A (zh) * 2016-08-30 2016-11-09 成都英格瑞德电气有限公司 基于emc滤波软启动的恒流调光器
CN106332418A (zh) * 2016-08-30 2017-01-11 成都英格瑞德电气有限公司 基于pfc整流储能的正弦波调光器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782B1 (ko)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6743A1 (en) Magnetic feedback ballast circuit for fluorescent lamp
JP2007280951A (ja) 蛍光灯駆動回路及びその駆動方法
US20130076255A1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KR101002782B1 (ko) 제어용 보조 전원을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
US20050179403A1 (en) Electronic ballas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575665B1 (ko) 마이크로웨이브 조명장치
KR100995249B1 (ko) 보호 회로를 구비한 무전극 방전 램프용 전원 공급 장치
KR200426134Y1 (ko) 무전극 형광램프
WO2014051898A1 (en) End of life protection for voltage fed ballast
KR101276547B1 (ko) 무전극 형광 램프 구동을 위한 고주파 발생기
KR200426136Y1 (ko) 자기 유도를 이용한 무전극 형광 램프
TWI418248B (zh) 無極燈高頻發生器之延遲啟動電路及使用其之高頻發生器
JP2006529050A (ja) 直列冷陰極起動の光調整可能なガス放電灯照明システム
KR100575821B1 (ko) 무전극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장치
JP2006252907A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照明器具
KR100629219B1 (ko) 무전극 안정기 회로
KR200426135Y1 (ko) 고주파를 이용한 무전극 램프
KR200431007Y1 (ko) 고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무전극 형광램프
KR100562019B1 (ko) 무전극 램프 구동 장치
Chang et al. Development of lighting source with CCFL in T8-tube
CN113242624B (zh) 一种金卤灯的激活控制电路及金卤灯电子镇流器
KR100431077B1 (ko) 고압방전 램프용 구동회로
US8138682B2 (en) Symmetrical RF power supply for inductively coupled electrodeless lamps
JP2007265897A (ja) 放電管用インバータ回路
KR200335876Y1 (ko) 무전극 램프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