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845A -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845A
KR20100018845A KR1020080077543A KR20080077543A KR20100018845A KR 20100018845 A KR20100018845 A KR 20100018845A KR 1020080077543 A KR1020080077543 A KR 1020080077543A KR 20080077543 A KR20080077543 A KR 20080077543A KR 20100018845 A KR20100018845 A KR 20100018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rum
fragrance
clothes dryer
fragranc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2029B1 (ko
Inventor
배상훈
최철진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029B1/ko
Priority to DE112009001894.7T priority patent/DE112009001894B4/de
Priority to US12/997,964 priority patent/US9708751B2/en
Priority to CN2009801222266A priority patent/CN102066643B/zh
Priority to PCT/KR2009/004425 priority patent/WO2010016748A2/ko
Publication of KR20100018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이루는 본체; 본체의 상부를 이루는 탑플레이트;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드럼을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와 리어 서포터; 및 탑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드럼 내부로 향을 공급하는 향 공급모듈;을 포함하는 의류건조기로서, 상기 향 공급모듈은, 발향액을 저장하는 챔버; 상기 챔버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챔버에 연결된 펌프; 및 상기 펌프와 튜브로 연결되고 상기 드럼 내부로 향을 분사하는 노즐;로 이루어져서, 상기 챔버에 저장된 액상의 발향액을 상기 건조기 드럼 내부로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고, 또한 탑플레이트에 설치된 향 공급모듈에 저장된 발향액이 모두 소모된 경우 이를 보충하는 것이 용이하다.
건조기, 향 공급모듈, 커버부, 챔버, 노즐, 펌프

Description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CLOTHES DRYER HAVING FRAGRANCE SUPPLYING MODULE}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 건조기의 드럼 내부로 향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라 함은 세탁이 완료되어 탈수 과정이 종료된 상태의 세탁물을 건조기의 드럼 내부로 투입하고,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건조기의 구성을 보면, 건조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건조기 내부의 드럼과,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드럼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는 송풍팬과,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저항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고온의 전기저항열을 이용하거나 혹은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건조기는 드럼을 빠져 나가는 공기는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수분을 가지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가 된다. 이때 이 고온 다습한 공기를 처리하 는 방식에 따라서 건조기를 분류할 수 있는데, 고온 다습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하면서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여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식 건조기와, 드럼을 통과하고 나오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켜 버리는 배기식 건조기로 나뉘어진다.
그런데, 세탁기에서 세탁이 완료된 후 세탁물을 건조기 내부로 투입하여 건조하는 경우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 과정은 이루어지지만, 건조된 의류에서 세탁수나 세제의 냄새가 나거나 혹은 세탁하기 전 의류에 묻었던 냄새 등이 완전히 가시지 않고 건조 완료 후에도 남아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냄새을 제거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상쾌한 기분이 들도록 하기 위해서 드럼 내부로 향기를 공급하였다.
그러나, 드럼으로 공급하는 향기원이 모두 소모되어 보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보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향기원이 액체 상태인 경우 이를 드럼으로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는 간편한 수단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물에서 나는 냄새를 제거하고 건조물에 향기가 증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건조가 진행되는 동안 건조기 드럼 내부로 향을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기 드럼 내부로 향을 분사할 수 있는 수단인 향 공급모듈이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필요시 향의 재공급 혹은 교체가 용이한 향 공급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이루는 탑플레이트;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와 리어 서포터; 및 상기 탑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드럼 내부로 향을 공급하는 향 공급모듈;을 포함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향 공급모듈에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여 필요시 탑플레이트에 설치된 향 공급모듈로 향을 용이하게 보충하거나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향 공급모듈은 발향액을 저장하는 챔버; 상기 챔버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챔버에 연결된 펌프; 및 상기 펌프와 튜브로 연결되고 상기 드럼 내부로 향을 분사하는 노즐;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의류건조기 드럼 내부로 액체상태의 발향액을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탑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에 장착는 커버체 결부;와 상기 커버체결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챔버를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챔버는, 저장된 발향액을 수용하는 용기 형상이며 그 상면에는 발향액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입구는 원통 형상이며 아래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는 상기 챔버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챔버와 상기 펌프는 호스로 연결되어 있어서 챔버에 수용된 발향액이 펌프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챔버의 아래쪽에는 발향액을 배수하기 위한 발향액 배수호스가 장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챔버 내부에는 저장된 발향액의 용량을 측정하는 수위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의 출구는 드럼의 내부를 향하도록 하여 프론트 서포터 혹은 리어 서포터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상기 구성에 의해서 건조가 진행되는 동안 향을 건조기 내부 드럼으로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향 공급모듈에 발향액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향 공급을 위한 수단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필요시 향 공급모듈에 발향액을 보충하거나 교환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 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는 외관을 이루는 전면 커버(11)와, 후면 커버(12) 및 탑플레이트(13)를 포함하고 또한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15)을 포함된다. 건조기(10)는 상기 전면 커버(11)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드럼(15)의 전면 개구부를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28)와, 상기 전면 커버(11)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15)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24)와, 상기 전면 커버(11)의 상측부에 구비되며, 건조 조건을 입력하는 각종 버튼들이 구비된 컨트롤 패널(14)이 포함된다.
또한, 의류건조기는 상기 드럼(15) 내부의 공기가 건조기(10) 내부에서 순환하도록 하는 건조팬(19)과, 상기 건조팬(19)에 의하여 건조 드럼(15)을 통과한 순환 공기가 다시 드럼(15) 내부로 유입되도록 순환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건조 덕트(17)와, 상기 건조 덕트(17)의 내부에 장착되어 드럼(15)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여 주는 히터(18)와, 상기 건조 드럼(15)의 외부 일측에 장착되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1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럼(15)의 하측에는, 순환 공기(A)의 유로와 상기 순환 공기와 열교환하기 위한 외부 공기(B)의 유로가 형성된 베이스(23)와, 상기 베이스(23)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드럼(15)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20)와, 상기 구동 모터(20)에 의하여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드럼(15)에 전달하는 벨트(16)와, 상기 구동 모터(20)의 모터축(21)에 연결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는 냉각팬(22)과, 상기 베이스(23)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와 순환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하는 응 축기(26)가 더 포함된다.
도 3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에 장착되는 스팀발생기(100)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상기 스팀 발생기(100)는, 상온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110)와,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스팀발생기 본체(150), 상기 스팀발생기 본체(150)에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기 본체(150)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배출 호스(120) 및 배출 호스(120)의 끝단에 연결된 스팀 노즐(121)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급수 호스(110)를 통해서 스팀발생기 본체(150)로 공급된 물은 히터에 의해서 가열된 후, 배출 호스(120)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된 스팀은 상기 스팀 노즐(121)을 통해서 건조기 드럼(15) 내부로 분사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향 공급모듈이 장착된 의류건조기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의류건조기를 다른 각도에서 본 모습이며, 도 6는 도 4의 의류건조기에 장착되는 향 공급모듈에서 발향액이 주입되어 저장되는 챔버와 이를 개폐하는 커버부만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서는 편의상 건조기 구성을 단순화하여 탑플레이트(13), 드럼(15), 프론트 서포터(28) 및 본 발명의 향 공급모듈만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향 공급모듈은 탑플레이트(13)의 일측에 장착되어서 상기 드럼 내부로 향을 공급한다. 상기 향 공급모듈의 구성을 보면, 발향액을 저장하는 챔버; 상기 챔버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챔버에 연결된 펌프; 및 상기 펌프와 튜브로 연결되고 상기 드럼 내부로 향을 분사하는 노즐;로 이루어진다.
상기 탑플레이트(13)에는 상기 향 공급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 상기 향 공급모듈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커버부(200, 210)는 향 공급모듈의 챔버(220)를 개폐하는 커버(200)와 상기 커버가 체결되는 커버체결부(210)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체결부(210)는 상기 탑플레이트(13)에 형성된 관통홀에 나사 혹은 후크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장착된다. 상기 커버부의 커버(200)는 힌지에 의해서 커버체결부(210)의 일측에 체결되고 커버체결부의 타측에는 상기 커버(200)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향 공급모듈로 발향액을 공급할 때에는 상기 커버(200)를 열고 발향액을 공급하고 공급이 끝난 후에는 상기 커버를 닫아서 챔버에 저장된 발향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와 상기 챔버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서 향의 유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챔버(220)는 상면에 발향액이 투입되는 투입구(221)를 가진 용기 형상이다. 상기 투입구(221)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는데, 아래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부(222)를 가지고 있고, 최하단부에는 동일한 지름을 가지고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23)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향이 주입될 때 보다 안전하게 챔버를 흘러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펌프(230)는 상기 챔버(220)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챔버와 상기 펌프는 호스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챔버에 수용된 발향액는 호스를 통해서 펌프로 유입되고, 펌프에 의해서 압축되어서 노즐(260)로 전달되고 상기 노즐에서 드럼 내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의 출구는 드럼의 내부를 향하도록 하여 프론트 서포터 혹은 리어 서포터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챔버(220)의 아래쪽에는 발향액을 배수하기 위한 발향액 배수호스(240)가 장착될 수 있다. 향 챔버(220)에 저장된 발향액을 교환하고 싶은 경우 혹은 챔버를 청소하기 위해서 저장된 발향액을 완전히 비우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발향액 배수호스(240)를 이용하여 저장된 발향액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배수호스(240)의 끝단을 평소에는 폐쇄되어 있다가 발향액을 배수할 경우에만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발향액 배수호스(240)는 상기 챔버의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끝단은 의류건조기의 하부 구성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챔버 내부에는 저장된 발향액의 용량을 측정하는 수위센서(224)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위센서(224)는 전극센서일 수도 있고 혹은 마그네틱과 마그네틱에서 나오는 자극을 감지하는 리드스위치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서, 챔버(220)에 발향액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단은 건조기 전면의 콘트롤 판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건조기(10)에서 향 분사 건조 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도어(24)를 열고 세탁물을 상기 드럼(15)에 투입한 후, 상기 컨트롤 패널(14)에 장착된 입력부를 통하여 향 건조 코스를 입력한다. 건조 과정이 시작되면, 상기 구동 모터(20)가 작동하게 되고, 모터축(2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드럼(15)의 외주면과 모터축(21)에 감겨진 벨트가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15)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모터(20)에 연결된 상기 냉각팬(22) 및 건조팬(19)이 함께 구동되고, 또한 상기 건조 덕트(17) 내부에 장착된 히터(18)가 드럼(15)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상기 스팀 발생기(100)에서 발생한 스팀은 상기 스팀 노즐(121)을 통해서 상기 드럼(15)의 내부로 분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과정에서는 이러한 스팀이 분사되는 과정과 함께 건조기의 드럼 내부로 향이 분사된다. 본 발명의 향 공급모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커버체결부(210)를 통해서 주입된 액체상태의 발향액은 챔버(220)에 보관되어 있다가 필요시 펌프(230)에 의해서 압축되어 노즐(260)을 통해서 미스트의 형태로 드럼 내부로 분사된다. 향이 분사되어야 하는 시점은 필요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콘트롤 판넬을 조작하여 향이 분사되게 할 수도 있고, 또는 건조기에는 미리 프로그램되어 존재하는 다양한 건조 코스 중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 코스에 따라 향이 분사될 시점이 마이콤에 의해서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건조기가 복수 회의 건조 과정을 거친 후, 향 공급모듈에 저장된 향이 모두 소모되어 보충이 필요한 경우, 상기 챔버(220) 내부에서 저장된 발향액의 용량을 측정하는 전극센서 혹은 마그네틱센서로 된 수위센서가 부족을 감지하여 이를 마이콤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건조기의 탑플레이트(13)에 장착된 상기 향 커버부의 커버(200)를 열고 상기 챔버(220)의 투입 구(221)로 액체상태로 된 발향액을 주입함으로써 간편하게 발향액을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보인 의류건조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의류건조기에 장착되는 스팀발생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향 공급모듈이 장착된 의류건조기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의류건조기를 다른 각도에서 본 모습이며,
도 6은 도 4의 향 공급모듈의 커버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Claims (9)

  1.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이루는 탑플레이트;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와 리어 서포터; 및
    상기 탑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드럼 내부로 향을 공급하는 향 공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 공급모듈은,
    발향액을 저장하는 챔버;
    상기 챔버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챔버에 연결된 펌프; 및
    상기 펌프와 튜브로 연결되고 상기 드럼 내부로 향을 분사하는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탑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에 장착는 커버체결부;와 상기 커버체결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챔버를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저장된 발향액을 수용하는 용기 형상이며 그 상면에는 발향액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원통 형상이며 아래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챔버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챔버와 상기 펌프는 호스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아래쪽에는 발향액을 배수하기 위한 발향액 배수호스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출구는 드럼의 내부를 향하도록 하여 프론트 서포터 혹은 리어 서포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부에는 저장된 발향액의 용량을 측정하는 수위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080077543A 2008-08-07 2008-08-07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1072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543A KR101072029B1 (ko) 2008-08-07 2008-08-07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DE112009001894.7T DE112009001894B4 (de) 2008-08-07 2009-08-07 Wäschetrockner mit einem in einer Deckplatte bereitgestellten Duftstoffzuführmodul
US12/997,964 US9708751B2 (en) 2008-08-07 2009-08-07 Clothes dryer provided with scent-supply module in a top plate
CN2009801222266A CN102066643B (zh) 2008-08-07 2009-08-07 在顶板中设置有芳香剂供应模块的干衣机
PCT/KR2009/004425 WO2010016748A2 (ko) 2008-08-07 2009-08-07 탑플레이트에 향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543A KR101072029B1 (ko) 2008-08-07 2008-08-07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845A true KR20100018845A (ko) 2010-02-18
KR101072029B1 KR101072029B1 (ko) 2011-10-10

Family

ID=4208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543A KR101072029B1 (ko) 2008-08-07 2008-08-07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0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78B1 (ko) * 2005-04-04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향분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029B1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942B1 (ko) 진동자를 이용한 향 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020417B1 (ko) 건조기의 향 분사 제어방법
US8122741B2 (en)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62364B1 (ko) 세탁 및 건조 장치
KR20100009043A (ko) 발향체 모듈을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028275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EP2039823B1 (en) Laundry machine
US2011013864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machine
JP5452802B2 (ja) 洗濯乾燥機
EP2145996B1 (en) Clothes dryer
US9708751B2 (en) Clothes dryer provided with scent-supply module in a top plate
KR101072029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1028237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1521930B1 (ko)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0999275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1036075B1 (ko) 회동형 카트리지 타입의 미스트 공급장치를 가진 의류 건조기
KR101020408B1 (ko) 압력홀이 형성된 향 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540664B1 (ko)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520656B1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15214A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방법
JP2020156795A (ja) 洗濯機
KR20100088984A (ko) 드로워 타입의 미스트 공급장치를 가진 의류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