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153A - 전립선 수술장치 - Google Patents

전립선 수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153A
KR20100018153A KR1020080076794A KR20080076794A KR20100018153A KR 20100018153 A KR20100018153 A KR 20100018153A KR 1020080076794 A KR1020080076794 A KR 1020080076794A KR 20080076794 A KR20080076794 A KR 20080076794A KR 20100018153 A KR20100018153 A KR 20100018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unit
prostate
urethra
inser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관
홍철운
강형섭
김기범
양성채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6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8153A/ko
Publication of KR2010001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74Prostate operation, e.g. prostatectomy, turp, bhp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4Material properties low fri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전립선 수술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립선 수술장치는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술에 사용되는 전립선 수술장치에 있어서, 요도에 접촉되며, 일부가 절개된 절개홈을 구비한 제 1 삽입유닛; 상기 제 1 삽입유닛 내부에 삽입되는 제 2 삽입유닛; 상기 제 2 삽입유닛 내부에 삽입되어 인체의 전립선 환부를 시술하도록 자유단에 절제수단이 구비된 내시경유닛; 및 상기 제 1 삽입유닛에 삽입되며, 상기 절개홈을 통해 상기 요도에 젤을 배출하는 젤주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립선, 요도, 젤주입유닛, 제 1 삽입본체, 접촉면적, 마찰력

Description

전립선 수술장치{prostate op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전립선 수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요도를 통해 장치를 삽입하여 환부를 제거하는 경요도적 전립선 수술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립선은 고환과 함께 생식을 가능하게 하는 성 부속기관 중의 하나로, 정액의 액체성분 중 약 35%정도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립선액은 정자에 영양을 공급하여 사정된 정액을 굳지 않게 하여 정자의 운동성을 증진시켜 정자의 수정능력을 높여주는 것이다. 또한, 전립선액은 알칼리성이므로 나팔관의 강산성을 중화시켜 정자가 안전하게 나팔관을 지나 난자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준다.
도 1에서와 같이, 전립선(Prostate, P)은 남자의 방광(Bladder, B) 바로 밑에 있는 밤톨만한 조직으로 전립선의 가운데에는 구멍이 뚫려 있고 그 사이로 요도(Urethra, U)가 지나가므로 전립선(P)에 이상이 생기면 배뇨에도 이상이 발생하고, 또 성기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전립선 질환으로는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 등이 있다. 이들 중 전립선 비대증은 중년 이후의 남자들에게 소변보는 것을 어렵게 하고, 여러 가지 비뇨기과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왔다.
한편, 이러한 전립선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중,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수술에 사용되는 전립선 수술장치(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가이드부재(10), 제 1 삽입유닛(20), 제 2 삽입유닛(30), 내시경유닛(40)을 포함한다.
먼저 제 1 삽입유닛(20)에 삽입가이드부재(10)를 삽입하면, 끝이 둥근형태의 돌출부재(13)가 제 1 삽입본체(11)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요도(U)를 통해 인체의 내부로 제 1 삽입유닛(20)을 삽입한다.
제 1 삽입본체(21)가 요도(U)를 통해 전립선(P)의 수술부위 근처까지 삽입되면, 사용자는 삽입가이드부재(10)를 제 1 삽입유닛(20)으로부터 빼낸다.
이후, 사용자는 제 2 삽입유닛(30)을 제 1 삽입본체(21)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삽입하고, 이 후, 전기칼(44)이 구비된 내시경유닛(40)을 제 2 삽입본체(3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한다.
이 경우, 내시경유닛(40)은 제 1 및 제 2 삽입유닛(20,30)보다 더 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내시경 본체(41)의 자유단에 형성된 전기칼(44)은 제 1 및 제 2 삽입유닛(20,3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수술시행자는 내시경유닛(40)으로 피수술자의 환부를 모니터링하면서 수술해야할 부위를 전기칼(44)을 이용하여 절제한다.
한편, 이렇게 수술부위를 절제하면, 출혈이 발생되는데 이렇게 발생된 피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유입밸브(35)가 열린상태에서 제 2 물 유입관(33)을 통해 물을 유입시키면, 물 유입관(33)으로 유입된 물은 제 2 삽입본체(31)의 내면과 내시경 본체(41)의 외면에 형성되는 유입유로를 통해 출혈이 발생되는 절제된 수술부위에 배출된다. 이 후, 수술부위로 배출된 물은 수술부위를 세척하여 피와 섞인 후, 제 1 삽입본체(21)의 내면과, 제 2 삽입본체(31)의 외면에 형성되는 유로공간을 통하여 물 배출관(23)을 거쳐 인체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물 배출관(23)은 외부의 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수술부위 부근에 흡입력이 형성되며, 수술시행자는 제1 밸브(25)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에 의해 수술부위에 생성된 피와 섞인 물을 물 배출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전립선 수술장치(1)는 수술시, 제 1 삽입본체(21)의 외면과 요도(U)와의 마찰로 인해, 제 1 삽입본체(21)를 요도내에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없었으며, 제 1 삽입본체(21)에 힘을 가하여 움직일 경우, 요도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요도와 전립선수술장치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전립선 수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술에 사용되는 전립선 수술장치에 있어서, 요도에 접촉되며, 일부가 절개된 절개홈을 구비한 제 1 삽입유닛; 상기 제 1 삽입유닛 내부에 삽입되는 제 2 삽입유닛; 상기 제 2 삽입유닛 내부에 삽입되어 인체의 전립선 환부를 시술하도록 자유단에 절제수단이 구비된 내시경유닛; 및 상기 제 1 삽입유닛에 삽입되며, 상기 절개홈을 통해 상기 요도에 젤을 배출하는 젤주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젤 주입유닛은 상기 제 1 삽입유닛에 삽입되는 젤주입본체; 상기 젤주입본체의 원주면 부분에 형성되는 다수의 젤배출공; 및 상기 젤주입본체의 개방된 후측에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젤주입본체내부로 주입된 젤이 상기 젤배출공으로 배출하는 피스톤부재;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젤 배출공은 상기 절개홈의 위치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립선 수술장치에 따르면, 요도와 전립선 수술 장치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어, 과도하게 힘을 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전립선 수술장치를 요도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마찰이 적어 수술장치와 접촉되는 수술 후 인체부위의 부작용이 적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립선 수술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립선 수술장치(100)는 제 1 삽입유닛(120), 제 2 삽입유닛(130), 내시경유닛(140), 젤주입유닛(160)을 포함한다.
제 1 삽입유닛(120)은 전립선 수술시 요도(U)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는지는 것으로서, 원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삽입본체(121)를 구비한다. 이 경우, 제 1 삽입본체(121)에는 요도(U)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제 1 삽입본체(121)와 요도(U)와의 마찰면적을 줄이기 위해 원주면 양측을 절개하여 한쌍의 절개홈(125)이 형성되며, 이때, 절개홈(125)의 형성에 의해 젤배출공간(S1)이 형성된다. 절개홈(125)은 제 1 삽입본체(121)의 전단측(121a)에서 6센티미터~10센티미터 이격된 위치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삽입본체(121)의 후방에는 절제된 수술 부위에 공급된 물이 피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물배출관(123)이 형성된다. 물배출관(123)은 하측방향으로 배치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흡입력을 제공하는 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삽입유닛(130) 및 내시경 유닛(140)은 종래의 수술장치(1)의 제 2 삽입유닛(30), 내시경 유닛(4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젤주입유닛(160)은 제 1 삽입본체(121)에 삽입되어 제 1 삽입본체(121)의 젤개홈(125)을 통해 요도(U)에 젤을 공급함으로써, 제 1 삽입본체(121)의 외면과 요도(U)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젤주입유닛(160)은 젤주입본체(161), 피스톤부재(163) 및, 젤배출공(165)을 포함한다. 젤주입본체(161)는 제 1 삽입본체(131)에 삽입되어지도록 제 1 삽입본체(131)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원통파이프로 형성된다. 절주입본체(161)의 전방은 막히고 후방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피스톤부재(163)는 젤주입본체(161)의 개방된 후측에 삽입되어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젤주입본체(161)에 주입된 젤을 전방으로 밀어 준다. 이러한 피스톤부재(163)는 주사기에 사용되는 피스톤부재(163)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젤 배출공(165)은 피스톤부재(163)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지는 젤이 젤주입본체(16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젤주입본체(161)의 원주면 부분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젤배출공(165)은 도 4에서와 같이, 제 1 삽입본체(131)의 절개홈(125)의 동일한 길이만큼 젤주입본체(161)의 원주면에 형성된다.
이 경우, 젤배출공(165)을 통해 배출되는 젤은 제 1 삽입본체(121)에 형성된 절개홈(125)의 젤배출공간(S1)을 통해 요도(U)에 배출됨으로써, 제 1 삽입본 체(121)와 요도(U)와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립선수술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수술 시행자는 피수술자의 요도(U)를 통해 제 1 삽입본체(121)의 전다측(121a)이 피 수술자의 인체내 전립선 환부까지 위치하도록 제 1 삽입유닛(120)을 삽입한다. 이 경우, 제 1 삽입유닛(120)을 용이하게 수술자의 인체내로 삽입하기 위하여 제 1 삽입본체(121) 및 통상적으로 사용하였던 종래의 삽입가이드부재(10)에 젤을 바르고, 삽입가이드부재(10)를 제 1 삽입본체(12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하여, 삽입가이드부재(10)의 둥근 끝단이 제 1 삽입본체(12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 1 삽입유닛(120)을 요도(U)를 통해 삽입한다.
이후, 수술 시행자는 삽입가이드 부재(10)를 제 1 삽입본체(121) 후방으로 빼내고, 제 2 삽입유닛(120) 및 내시경 유닛(140)을 순서대로 제 1 삽입유닛(120)에 삽입한 후, 내시경 유닛(140)에 구비된 전기칼(144)을 이용하여 전립선의 환부를 절제하거나 긁어내는 전립선 수술을 시행한다.
이때, 수술 시행자는 전립선 수술과정에서 제 1 삽입본체(121)를 요도(U)내에서 움직여, 제 1 삽입본체(121)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전립선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삽입본체(121)는 절개홈(125)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요도(U)와 제 1 삽입본체(121)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어, 마찰력이 줄기 때문에 제 1 삽입본체(121)를 요도(U)내에서 보다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수술 시행자가 계속적으로 제 1 삽입본체(121)를 요도(U)내에서 움직 이다 보면, 전립선 수술 시작전 요도(U)에 제 1 삽입유닛(120)을 삽입하기 위해 제 1 삽입본체(121)의 외면에 발랐던 젤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술 시행자는 제 2 삽입유닛(130) 및 내시경 유닛(140)을 제 1 삽입본체(121)로부터 빼내고, 대신에 젤주입유닛(160)을 제 1 삽입본체(12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한다. 이 경우, 젤주입본체(161)가 제 1 삽입본체(121)에 삽입되면, 젤주입본체(161)에 형성된 젤배출공(165)이 제 1 삽입본체(121)의 절개홈(125)에 위치하게 되어 노출된다.
이후 수술시행자가 젤주입본체(161)의 개방된 후측을 통해 젤을 주입한 후, 피스톤부재(163)를 삽입하여 피스톤부재(163)를 누르게 되면, 젤은 젤주입본체(161)내부를 이동하여 젤배출공(165)을 통해 배출된다. 이렇게 젤배출공(165)을 통해 배출된 젤이 절개홈(125)의 젤배출공간(S1)을 통해 요도(U)에 배출됨으로써, 요도(U)와 제 1 삽입본체(121)상에는 젤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요도(U)와 제 1 삽입본체(121)와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요도(U)내에서 제 1 삽입본체(121)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후, 수술시행자는 젤주입유닛(160)을 제 1 삽입본체(121)로부터 빼내고, 다시 제 2 삽입유닛(130) 및 내시경유닛(140)을 순서대로 제 1 삽입본체(121)에 삽입하여 전립선 수술을 계속한다.
도 1은 인체의 전립선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전립선 수술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립선수술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발명의 젤주입유닛이 제 1 삽입유닛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삽입유닛을 하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전립선 수술장치 120...제 1 삽입유닛
121...제 1 삽입본체 123...물 배출관
125...절개홈 130...제 2 삽입유닛
140...내시경 유닛 144...절제수단
160...젤주입유닛 161...젤주입본체
163...피스톤부재 165...젤배출공
S1...젤배출공간

Claims (3)

  1.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술에 사용되는 전립선 수술장치에 있어서,
    요도에 접촉되며, 일부가 절개된 절개홈을 구비한 제 1 삽입유닛;
    상기 제 1 삽입유닛 내부에 삽입되는 제 2 삽입유닛;
    상기 제 2 삽입유닛 내부에 삽입되어 인체의 전립선 환부를 시술하도록 자유단에 절제수단이 구비된 내시경유닛; 및
    상기 제 1 삽입유닛에 삽입되며, 상기 절개홈을 통해 상기 요도에 젤을 배출하는 젤주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수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젤 주입유닛은
    상기 제 1 삽입유닛에 삽입되는 젤주입본체;
    상기 젤주입본체의 원주면 부분에 형성되는 다수의 젤배출공; 및
    상기 젤주입본체의 개방된 후측에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젤주입본체내부로 주입된 젤이 상기 젤배출공으로 배출하는 피스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수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젤 배출공은 상기 절개홈의 위치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수술장치.
KR1020080076794A 2008-08-06 2008-08-06 전립선 수술장치 KR20100018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794A KR20100018153A (ko) 2008-08-06 2008-08-06 전립선 수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794A KR20100018153A (ko) 2008-08-06 2008-08-06 전립선 수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153A true KR20100018153A (ko) 2010-02-17

Family

ID=4208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794A KR20100018153A (ko) 2008-08-06 2008-08-06 전립선 수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81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909B1 (ko) 2020-03-16 2020-08-03 김남배 요도경 장치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요도경 장치
CN113116463A (zh) * 2019-12-31 2021-07-16 广西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前列腺腺体移除设备和移除方法
US11628035B2 (en) 2018-09-20 2023-04-18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Endoscope surgery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8035B2 (en) 2018-09-20 2023-04-18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Endoscope surgery device
CN113116463A (zh) * 2019-12-31 2021-07-16 广西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前列腺腺体移除设备和移除方法
CN113116463B (zh) * 2019-12-31 2023-07-28 广西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前列腺腺体移除设备
KR102140909B1 (ko) 2020-03-16 2020-08-03 김남배 요도경 장치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요도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54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nic medical treatment, in particular, for debulking the prostate
US9237902B2 (en) Multi-fluid tissue ablation methods for treatment of an organ
US8808232B2 (en) Needleless delivery systems
US9636123B2 (en) Calculus retrieving/removing device and method
US10470783B2 (en) Calculus retrieving/removing device and method
US9610087B2 (en) Calculus retrieving/removing device and method
US9517080B2 (en) Calculus retrieving/removing device and method
EP2921119B1 (en) Calculus removing/retrieving device
WO2012091954A2 (en) Median lobe de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EP1090658A1 (en) Ultrasonic medical treatment apparatus
KR101481887B1 (ko) 삽입 가이드를 이용하는 카테터 및 카테터 삽입 방법
KR20100018153A (ko) 전립선 수술장치
KR101014909B1 (ko) 전립선 수술장치
CN108403210B (zh) 前列腺剜除镜
KR101014958B1 (ko) 전립선 수술장치
WO2020052331A1 (zh) 一种导丝接头
CN213759888U (zh) 膀胱血块冲洗器
US10456150B2 (en) Discharge device
KR102641223B1 (ko) 수술부위 대응이 용이한 세척 및 흡입장치
CN220876893U (zh) 插入组件及消融装置
CN210583330U (zh) 一种可视化前列腺扩裂器
KR200306792Y1 (ko) 전립선 치료기
Blanc et al. Endouterine resection: surgical proced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