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705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멀티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멀티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7051A
KR20100017051A KR1020090064135A KR20090064135A KR20100017051A KR 20100017051 A KR20100017051 A KR 20100017051A KR 1020090064135 A KR1020090064135 A KR 1020090064135A KR 20090064135 A KR20090064135 A KR 20090064135A KR 20100017051 A KR20100017051 A KR 20100017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mapped
uplink
symbo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900B1 (ko
Inventor
김기환
고현수
정재훈
권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9/0043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16698A2/en
Priority to GB1100272.2A priority patent/GB2474978B/en
Priority to CN2009801304552A priority patent/CN102113255B/zh
Priority to US13/055,702 priority patent/US8724564B2/en
Publication of KR2010001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6Unequal error protection
    • H04L1/0088Unequal error protection in control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3Auxiliary parameters, e.g. power control [PCB] or not acknowledged commands [NACK], used as feedback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02Details
    • H04J1/06Arrangements for supplying the carrier wave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synchronis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04L1/0073Special arrangements for feedback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35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 H04L2025/0342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transmission using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777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2025/03802Signalling on the reverse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343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멀티 캐리어(multi-carrier)를 N개로 나눈 N개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멀티 캐리어를 N개로 나눈 N개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균등 또는 비균등하게 분배되어 전송되고, 상기 제어정보는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PMI(Precoding Matrix Index),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 ACKnowledgement) 및 RI(Rank Ind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캐리어 집합, 제어정보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멀티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FORMATION OF DOWNLINK MULTI CARRI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멀티 캐리어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데이터 채널에 전송될 데이터와 제어정보가 다중화되어 데이터 채널에 사상된 서브프레임 구조(subframe structure)를 도시한 도면이다. 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동안 전송되는 프레임은 N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와 M개의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symbol)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는 NⅹM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를 가지는데, 상기 자원요소에 데이터와 제어정보가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를 고려한 하나의 심볼 단위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에서 데이터와 제어정보가 위치할 수 없는 공간은 RS(Reference Signal)와 SRS(Sounding RS)가 위치하는 K개의 RE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가 위치할 수 있는 RE는 NⅹM-K개로 이루어진다. 데이터와 제어정보는 전송조건에 따라서 각각의 변조 차수를 가질 수 있고, 변조 차수에 따라서 여러 비트들은 하나의 심볼(symbol)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심볼은 하나의 RE에 사상된다. SC-FDMA 심볼 당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양을 계산한 다음 다중화된 데이터와 제어정보에 대하여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 0번부터 N-1번까지 순차적으로 부반송파 단위로 시간축(SC-FDMA 심볼 방향)으로 사상된다.
상기 도 1에서 제어정보는 제어정보1, 제어정보2, 제어정보3으로 이루어 지거나 그 중 일부의 제어정보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다중화된 데이터와 제어정보는 변조방법을 고려하여 변조 심볼(modulation symbol) 단위로 데이터 채널에 사상되는데, 사상하는 순서는 첫번째 RB의 좌상 위치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진행되며, 하나의 부반송파 단위의 사상이 끝나면 다음 부반송파에서 위와 같은 순서로 사상된다.
따라서,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는 데이터 사이에 제어정보가 사상될 위치에 제어정보를 삽입하기 위하여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하거나 천공(puncturing)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데이터와 제어정보는 RS와 SRS의 위치를 피한다. 제어정보1은 서브프레임 상에서 좌상에 위치한 RE부터 SC-FDMA 심볼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어정보2는 부반송파 기준으로 제일 아래부터 0번 부반송파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어정보3은 부반송파 기준으로 제일 아래부터 0번 부반송파 방향으로 RS에서 1 RE씩 떨어진 RE에 위치한다. 데이터는 결론적으로 제어정보가 위치하지 않는 공간에 제어정보1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어 정보가 위치 하지 않는 남은 공간에 위치한다.
상기 제어정보1은, 채널의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인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와 프리코딩(precoding)에 사용되는 코드북(codebook)의 인덱스 정보인 PMI(Precoding Matrix Index)의 조합인 CQI/PMI일 수 있다. 제어정보1은 레이트 매칭에 의해 데이터와 다중화될 수 있다.
상기 제어정보2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응답인 ACK/NACK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일 수 있다. 제어정보2는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 1을 천공(puncturing)하여 다중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정보3은, 전송 스트림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RI(Rank Indication)일 수 있다. 상기 제어정보3은,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1을 천공하거나, 또는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 1과 레이트 매칭되는 방식에 의해 다중화 될 수 있다.
천공(puncturing)은 여러 개의 비트(또는 심볼)로 이루어지는 시퀀스에서 특정 비트(또는 심볼)을 제거하고 새로운 비트(또는 심볼)을 삽입하는 처리를 지칭한다. 즉, 천공은 정보의 일부를 다른 정보로 대체하는 것으로써,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가 다중화될 때, 천공하여 삽입하고자 하는 정보가 천공되는 정보의 비트(또는 심볼)을 대체하는 것을 말한다. 천공에 의해 새로운 정보를 삽입하여도 전체 비트(또는 심볼)의 길이는 그대로 유지되며, 다만, 천공되는 정보의 부호화율(code rate)에 영향을 준다.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은 데이터의 부호화율을 조정하는 것으로써,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가 다중화될 때, 각 정보의 위치가 변경될 수는 있어도 다중화 되기 이전의 비트(또는 심볼) 자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제어정보1과 데이터가 ‘레이트 매칭’된다는 것은, 레이트 매칭되는 제어정보1과 데이터의 양의 합이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송되어야 하는 제어정보1의 양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제어정보1과 레이트 매칭되는 데이터의 양은 그만큼 감소하게 된다.
도 2는 멀티 캐리어(multi-carrier)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멀티 캐리어는 기지국이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전체 밴드(whole band)와 같은 의미이다.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는 멀티 캐리어를 구성하는 원소 캐리어를 의미한다. 즉,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캐리어 집합(캐리어 aggregation)을 통해 멀티 캐리어를 구성한다. 그리고, 컴포넌트 캐리어는 복수의 하위 밴드(lower band)들을 포함한다. 이때, 멀티 캐리어라는 용어가 전체 밴드라는 용어로 대체되는 경우 컴포넌트 캐리어는 서브밴드(subband)로, 하위 밴드는 부분밴드(partial band)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집합은 대역폭 집합(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불린다.
캐리어 집합은 전송율(data rate)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캐리어들을 모아 대역폭을 확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은 시스템은 하나의 캐리어가 20MHz인데,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시스템은 20Mhz 캐리어 5개를 모아 대역폭을 100MHz까지 확장한다. 그리고, 캐리어 집합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있는 캐리어들을 집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통신에 사용되는 대역폭이 늘어나면, 전송 시스템의 전송 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전송에 관련된 제어정보가 늘어나게 되고, 또한 이전 시스템과 호환성을 위하여 대역폭 집합(bandwidth aggregation)을 사용하면 각 밴드(band)에 대하여 제어정보를 갖게 되므로 결국, 데이터뿐만 아니라 제어정보도 늘어나게 된다. 증가하는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기존의 방법을 단순히 확장하게 되면 여러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첫번째로, 늘어난 제어정보2에 대한 성능을 보장하려면 데이터뿐만 아니라 제어정보1을 천공하게 된다. 이는 제어정보1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두번째로, 늘어난 제어정보들에 대한 성능을 모두 보장하기 위하여 제어정보의 전송대역을 확장하게 되면, 데이터의 마지막 코드블록에 천공이 몰리게 되어 데이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세번째로, 대역폭 집합이 적용된 밴드에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 늘어난 제어정보들은 집합된 밴드 중 특정 밴드에 몰리는 현상이 초래되어 위의 첫번째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어정보3(예를 들어, RI)을 제대로 복호(decoding)하지 못하면, 기지국은 제어정보1(예를 들어, CQI/PMI)의 구간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의 시작지점을 알 수 없고 따라서 이는 데이터의 복호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특히, 데이터가 여러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복호 에러의 문제가 커지게 된다. 또한, 확장 순환 전치(extended Cyclic Prefix, extended CP)에서 마지막 SC-FDMA 심볼에 SRS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파워 트랜지션(power transition)으로 인하여 SRS에 인접한 제어정보 3의 심볼이 열화되어 전체 제어정보 3의 성능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방법은 통신에 사용되는 대역폭이 늘어남에 따라 그 대역폭이 여러 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묶여서 사용하는 형태의 전송 시스템(예를 들어, LTE-A)에 대해서는 호환성을 유지할 수 없다.
도 3은 데이터를 제외한 제어정보를 데이터 채널에 사상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제어정보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RS에 가까운 심볼에 특정 제어정보를 위치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블랭크(blank)와 같이 사용하지 않으면서 의미없는 데이터가 들어가게 되므로 점유 대역폭이 올라가게 된다. 즉, 사용하지 않는 부반송파가 많아지므로 그 공간만큼 다른 단말의 통신 용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급적 대역폭을 줄이면서 HARQ전송방식에 있어서, HARQ 버퍼 변조(buffer corruption)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선통신에 사용하는 대역폭이 증가된 경우, 상기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상기 대역폭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멀티 캐리어(Multi-Carrier) N개로 나눈 N개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멀티 캐리어를 N개로 나눈 N개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균등 또는 비균등하게 분배되어 전송되고, 상기 제어정보는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PMI(Precoding Matrix Index),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 ACKnowledgement) 및 RI(Rank Ind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가 복수개의 코드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개의 코드블록은 시간 영역에서의 변조 심볼 단위로 서로 교차되어(interlaced) 상기 서브프레임 상에 사상(mapping)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가 복수개의 코드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개의 코드블록의 각각은 변조 심볼 단위로 시간 영역에서 대각선 형태로 상기 서브프레임 상에 사상(mapping)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각각에 대한 제어정보는 개별적으로 부호화(encoding)되고 상기 개별적으로 부호화된 제어정보는 연접(concatenation)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균등 또는 비균등하게 분배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각각에 대한 제어정보는 연접(concatenation)되고 상기 연접된 제어정보는 결합 부호화(joint encoding)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CQI/PMI는 전송에 이용되는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심볼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사상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ACK/NACK은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마지막 부반송파에서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 으로 사상되고, 상기 ACK/NACK은 참조신호(Reference Signa; RS)가 사상된 심볼의 바로 옆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ACK/NACK은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첫번째 부반송파에서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되고, 상기 ACK/NAKC은 참조신호(Reference Signa; RS)가 사상된 심볼의 바로 옆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RI는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마지막 부반송파에서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되고, 상기 RI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가 사상된 심볼에서부터 한 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만큼 떨어진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R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순차적으로 사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기기는, 멀티 캐리어를 N개로 나눈 N개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멀티 캐리어를 N개로 나눈 N개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전송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균등 또는 비균등 하게 분배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정보는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PMI(Precoding Matrix Index),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 ACKnowledgement) 및 RI(Rank Ind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가 복수개의 코드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개의 코드블록이 시간 영역에서의 변조 심볼 단위로 서로 교차되어(interlaced) 상기 서브프레임 상에 사상(mapping)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가 복수개의 코드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개의 코드블록의 각각은 변조 심볼 단위로 시간 영역에서 대각선 형태로 상기 서브프레임 상에 사상(mapping)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각각에 대한 제어정보는 개별적으로 부호화(encoding)되고 상기 개별적으로 부호화된 제어정보는 연접(concatenation)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균등 또는 비균등하게 분배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각각에 대한 제어정보는 연접(concatenation)되고 상기 연접된 제어정보는 결합 부호화(joint encoding)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CQI/PMI는 전송에 이용되는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심볼에서부 터 순차적으로 사상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ACK/NACK은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마지막 부반송파에서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되고, 상기 ACK/NACK은 참조신호(Reference Signa; RS)가 사상된 심볼의 바로 옆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ACK/NACK은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첫번째 부반송파에서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되고, 상기 ACK/NAKC은 참조신호(Reference Signa; RS)가 사상된 심볼의 바로 옆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RI는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마지막 부반송파에서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되고, 상기 RI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가 사상된 심볼에서부터 한 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만큼 떨어진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R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순차적으로 사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의 성능을 확보하면서 멀티 캐리어 대역폭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송할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멀티캐리어 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어정보1은, 채널의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인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와 프리코딩(pre-coding)에 사용되는 코드북(codebook)의 인덱스 정보인 PMI(Precoding Matrix Index)의 조합인 CQI/PMI일 수 있다. 제어정보1 은 레이트 매칭에 의해 데이터와 다중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정보2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응답인 ACK/NACK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일 수 있다. 제어정보2는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 1을 천공(puncturing)하여 다중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정보3은, 전송 스트림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RI(Rank Indication)일 수 있다. 상기 제어정보3은,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1을 천공하거나, 또는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 1과 레이트 매칭되는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제어정보는 상기 제어정보1, 제어정보2, 제어정보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그 중 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1
도 4는 전체 전송대역이 대역 집합(bandwidth aggregation)된 멀티 캐리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대역(Whole band)은 특정 대역의 서브밴드(subband)들로 이루어지고, 전체 대역은 같은 크기를 갖는 5개의 서브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고, 5개 이외의 다른 개수의 서브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4의 구조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서브밴드의 채널 품질 상태를 기준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분산하여 전송하는 방법이다. 즉, 채널의 품질을 측정한 정보인 CQI를 전송에 이용하는 서브밴드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단말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채널의 CQI를 측정하여 기지국에 보내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품질 상태가 좋은 서브밴드를 선택할 수 있고, 하향링크를 통하여 단말에게 좋은 품질의 를 알려 주어 단말이 제어정보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품질이 좋은 서브밴드에 중요한 정보를 보내거나 더 많은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과 미리 약속된 제어정보의 배분 규칙에 준하여 서브밴드에 비균등 하게 제어정보 또는 데이터를 배당하여 전송할 수 있고 우선도(priority)가 높은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품질이 좋은 서브밴드에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어서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각 제어정보는 종류별로 분산할 수도 있고, 비율별로 분산할 수도 있다.
도 5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비대칭인 경우로서 하향링크의 서브밴드의 수에 비하여 해당 하향링크에 대한 응답이 나갈 시점의 상향링크 서브밴드의 수가 적은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좌측 도면은 하향링크의 각 서브밴드에 대한 제어정보를 모아서 상향링크의 특정 서브밴드(예를 들어, 특정된 하나의 서브밴드)에 전송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도 5의 우측 도면은 하향링크의 각 서브밴드에 대한 제어정보를 모아서 상향링크의 2개의 서브밴드에 균등 또는 비균등 하게 전송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도 5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상향링크 서브밴드를 예로 들었지만, 상향링크 서브밴드의 개수는 3개 또는 4개인 경우도 가능하다.
도 6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대칭인 경우로서 상향링크의 서브밴드의 개수와 하향링크의 서브밴드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에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서브밴드의 개수가 같으므로 각 서브밴드에 대한 제어정보는 대응하는 서브밴드에 전송하거나 전송될 제어정보를 모아서 상향링크의 서브밴드에 균등하거나 비균등하게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비대칭인 경우로서 하향링크의 서브밴드의 수에 비하여 해당 하향링크에 대한 응답이 나갈 시점의 상향링크 서브밴드의 수가 많은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7의 좌측 도면은 하향링크의 각 서브밴드에 대한 제어정보는 대응하는 서브밴드에 전송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도 7의 우측 도면은 하향링크의 각 서브밴드에 대한 제어정보를 모아서 상향링크의 서브밴드에 균등하거나 비균등하게 전송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하향링크의 서브밴드는 각 서브밴드 당 데이터 전송시 HARQ 응답 신호인 ACK/NACK 신호를 상향링크로 요구하며, 또한 해당 시점에서 CQI/PMI 와 RI중 적어도 하나를 상향링크로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증가된 제어정보를 데이터 채널에 보낼 때는 특정 서브밴드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거나 두 개 이상의 서브밴드에 균등 또는 비균등하게 나누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정보 1은 하나의 서브밴드에, 제어정보 2는 다른 하나의 서브밴드에, 제어정보 3은 또 다른 하나의 서브밴드에 나누어 위치할 수 있거나, 각 제어정보가 균등 또는 비균등 하게 각 서브밴드에 나누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로 보내질 전체 제어정보를 심볼 단위로 서브밴드에 할당하거나 하향링크의 서브밴드 별로 구분하여 상향링크의 서브밴드에 나누어 할당할 수 있다.
도 8은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에서는 전송할 각 코드 블록을 일렬로 붙여서 시간 우선 사상(time-first mapping) 방식으로 전송 채널에 사상하는 구조이다. 시간 우선 사상 방식이란 시간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사상하는 방식이다. 이때, 증가된 제어정보 2로 인하여 특정 코드 블록에서 데이터의 천공이 많이 일어나 전체 데이터 전송의 성능을 저하된다.
한편, 도 9은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에 앞서 각 코드 블록을 코드 블록의 심볼 또는 일정 크기 단위로 교차(interlace)하여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부에 입력한 경우의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과는 달리, 상기 도 9에서는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에 앞서 각 코드 블록을 코드 블록의 심볼 또는 일정 크기 단위로 교차(interlace)하여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부에 입력하였기 때문에, 여러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된 데이터는 코드 블록끼리 섞이게 된다. 따라서, 제어정보 2에 의한 천공이 발생하여도 비교적 균등하게 각 코드 블록의 부호화율을 유지할 수 있고, 전송된 데이터의 복호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 및 사상에 관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0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어정보 1은 기존의 방법과 같이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을 기준으로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위치한 후 다음 부반송파에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위치하고, 제어정보 3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제어정보 1이 끝난 위치 이후에 시간 우선 사상 방 식으로 위치하고, 제어정보 2는 제어정보 2에 할당되는 RE만큼 마지막 부반송파 및 마지막 SC-FDMA 심볼을 기준으로 공간을 확보하여 위치하고, 데이터는 제어정보가 위치하지 않는 RE에 위치한다.
제어정보가 레이트 매칭 방식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데이터와 각 제어정보는 전송 대역에 맞추어서 서로의 전송 용량을 레이트 매칭부에서 조절하지만, 제어정보가 천공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는 천공으로 동작하는 제어정보의 영역에 위치한 후 천공으로 동작하는 제어정보로부터 천공을 당한다.
도 11은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 및 사상에 관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9의 가장 큰 문제는 천공을 통해 삽입되는 제어정보 2로 인하여 특정 코드 블록에서 데이터의 천공이 많이 일어나게 되어 전체 데이터의 전송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10의 방법을 도입하여 재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11에서는 제어정보의 위치는 상기 도 10에서와 동일하지만, 데이터는 코드 블록 또는 코드 블록의 일부 묶음 단위로 섞여 위치하는 점에서 도 11과 도 10은 상이하다. 따라서, 증가한 제어정보 2로 인하여 특정 코드 블록에서 데이터의 천공이 비교적 균일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전체 데이터 전송 성능을 저하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도 12는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 및 사상에 관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되 는 경우에 증가한 제어정보 2로 인하여 특정 코드 블록에서 데이터의 천공이 많이 일어나게 되어 전체 데이터의 전송 성능을 저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송할 각 코드 블록을 일렬로 연접하여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전송 채널에 사상하는 것이 아닌,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에 앞서서 각 코드 블록을 SC-FDMA 심볼의 수 또는 변조 심볼 (시간 영역에서) 단위로 교차(interlace)하여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부의 입력에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3은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 및 사상에 관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증가한 제어정보 2로 인하여 특정 코드 블록에서 데이터의 천공이 많이 일어나게 되어 전체 데이터 전송의 성능을 저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에 앞서서 각 코드 블록을 심볼 단위의 인터리빙에 있어서 변조 심볼(시간 영역) 단위로 대각선 구조로 위치하여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부의 입력에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여러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된 데이터는 코드 블록끼리 섞이게 되고, 제어정보 2의 의한 천공이 발생하여도 비교적 균등하게 각 코드 블록의 부호화율을 유지할 수 있고, 전송된 데이터의 복호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부의 입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존의 부호화 체인(coding chain)의 코드 블록 결합(Code Block Concatenation, CBC) 기능 블록 또는 별도의 인터리버(interleaver) 기능 블록을 이용할 수 있다. CBC 기능 블록에서 각 코드 블록을 심볼 또는 일정 크기 단위로 교차하여 일련의 부호화된 전송 블록(coded transmit block)으로 구성하여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부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CBC 내부 또는 CBC와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부 기능 블록의 사이에 별도의 인터리버(interleaver) 또는 다중화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리버를 두어 각 코드 블록의 심볼 단위 또는 일정 크기 단위로 섞은 일련의 부호화된 전송 블록(coded transmit block)을 구성하여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부의 입력으로 사용하거나 다중화부 내에서 인터리빙을 수행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송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는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인 부반송파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제외한 제어정보를 데이터 채널에 사상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정보 1은 기존의 방법과 같이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을 기준으로 시간 우선 사상 방식(time-first mapping)으로 위치한 후 다음 부반송파에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위치하고, 제어정보 3은 기존의 방법과 달리 제어정보 1이 끝난 위치 이후에 시간 우선 사상 방법으로 위치하고, 제어정보 2는 제어정보 2에 할당되는 RE만큼 마지막 부반송파 및 마지막 SC-FDMA 심볼을 기준으로 공간을 확보하여 위치한다. 제어정보가 레이트 매칭 방식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각 제어정보가 전송 대역에 맞추어서 서로의 전송 용량을 레이트 매칭부에서 조절하지만, 제어정보가 천공에 의해 삽입되는 경우에는 레이트 매칭으로 동작하는 제어정보는 천공에 의해 삽입되는 제어정보의 영역에 위치한 후 천공에 의해 삽입되는 제어정보에 의해 천공될 수 있다.
도 15는 대역폭 집합(bandwidth aggregation)이 적용된 데이터를 제외한 제어정보를 데이터 채널에 사상한 서브프레임 구조(subframe structur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전송 대역폭 전체가 몇 개의 작은 단위의 대역폭(예를 들어, 서브밴드)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작은 단위의 대역폭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을 적용한 구조이다. 제어정보 1과 제어정보 3은 상기 도 14와 마찬가지로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순서대로 특정 밴드(예를 들어, 0번 서브밴드)에 위치시키고, 제어정보 2는 다른 특정 밴드(예를 들어, 1번 서브밴드)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2개 이상의 서브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각 제어정보의 성격에 따라서 제어정보를 상기 서브밴드에 서로 분리해서 위치시킬 수 있다. 제어정보 2의 경우 다른 특정 밴드의 앞부분에 위치할 수 도 있고, 뒷부분에 위치할 수 도 있다.
도 16은 대역폭 집합(bandwidth aggregation)이 적용된 데이터를 제외한 제어정보를 데이터 채널에 사상한 구조(subframe structur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전송 대역폭 전체가 몇 개의 작은 단위의 대역폭(서브밴드)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작은 단위의 대역폭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을 적용한 구조이다. 제어정보 1과 제어정보 3은 상기 도 13과 마찬가지로 시간 우선 사상 방법으로 순서대로 특정 밴드(예를 들어, 0번 서브밴드)에 위치시키고, 제어정보 2는 사용되는 각 밴드(예를 들어, 0번과 1번 서브밴드)에 분산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즉, 2개 이상의 서브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각 제어정보의 성격에 따라서 제어정보를 서로 분리 및 분배해서 위치시킬 수 있다. 제어정보 2의 경우 다른 특정 밴드의 앞 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고, 뒷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14 내지 도 16에서는 데이터를 제외한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만약 데이터도 같이 구성되는 경우, 데이터의 위치는 블랭크(blank) 구간, 블랭크 및 제어정보 2 구간, 제어정보 1의 다음 구간, 제어정보 3의 다음 구간, 제어정보 1과 제어정보 2의 사이 구간, 제어정보 1과 제어정보 2 구간, 제어정보3과 제어정보2의 사이 구간 또는 제어정보3과 제어정보 2 구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의 위치는 코드 블록 또는 코드 블록의 묶음을 교차하는 방식으로 지정될 수 있다.
실시예 3
전체 밴드가 여러 개의 서브밴드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서브밴드의 개수가 대칭이거나 비대칭일 수 있으므로, 단말은 일정한 규칙에 의하여 CQI의 측정 및 보고를 해야할 필요가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기지국에 대하여 하향링크의 CQI를 상향링크로 보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하향링크의 각 서브밴드로부터 측정된 CQI는 각각 부호화(encoding)를 거쳐서 서로 연접(concatemation) 후 상향링크의 각 서브밴드로 분산하거나 특정 서브밴드에 모아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기지국에 대하여 하향링크의 CQI를 상향링크로 보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하향링크의 각 서브밴드로부터 측정된 CQI는 서로 연접 후 부호화를 거쳐서 상향링크의 각 서브밴드로 분산하거나 특정 서브밴드에 모아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 17과 도 18에서 상기 CQI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의 서브밴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7와 도 18에서는 하향링크의 서브밴드가 5개로 표현되었지만, 이 개수는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하나 또는 다중의 서브밴드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7과 도 18에서는 서브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서브밴드는 컴포넌트 캐리어일 수 있다.
특정 서브밴드의 CQI를 측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서브밴드의 CQI는 측정 및 부호화, 연접이 제외될 수 있다. 따라서, 하향링크과 상향링크의 서브밴드 개수가 다르더라도 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장점과 서브밴드에 대한 복호화를 각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 17과 도 18에서 설명한 방법은 CQI만으로 구성되어 전송될 수도 있지만, CQI와 ACK/NACK, RI 등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 부호화(joint encoding)되어 이용하거나 개별적으로 부호화(separate encoding)되어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9는 LTE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사상(mapping)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데이터 또는 전송 블록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코드 블록(code block)으로 이루어지고 각 코드 블록이 순서대로 연결된 일련의 시퀀스(sequence) 구조를 가지면, 상기 도 19에서와 같이 데이터는 가상 부반송파(virtual subcarrier)의 1번 RE부터 2번 RE방향으로 1 RE씩 순서대로 사상되고, 다음 가상 부반송파의 3번 RE부터 4번 RE 방향으로 1 RE씩 순서대로 사상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여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마지막 가상 부반송파의 5번 RE부터 6번 RE 방향으로 1 RE씩 사상된다. 이때 데이터는 CQI/PMI, RI와 비율 정합하여 CQI/PMI가 마지막으로 위치하는 RE의 다음 RE부터 사상이 시작될 수 있으며 RI가 있는 경우 RI가 위치하는 RE를 피하여 사상한다.
LTE-A 시스템에서도 LTE 시스템의 데이터 사상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여 LTE 시스템의 다중화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0은 LTE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사상(mapping)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19에서의 데이터 사상 순서와 반대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의 구조이다. 즉 마지막 가상 부반송파의 마지막 SC-FDMA 심볼부터 마지막 가상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 방향으로 사상하면서 다시 바로 윗쪽의 가상 부반송파 방향으로 마지막 SC-FDMA 심볼부터 첫번째 SC-FDMA 심볼방향으로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첫번째 가상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에서 사상을 끝내게 된다.
이때 데이터는 CQI/PMI, RI와 비율 정합하여 CQI/PMI가 마지막으로 위치하는 RE의 다음 RE에서 사상을 끝낼 수 있으며, RI가 있는 경우 RI가 위치하는 RE를 피하여 사상한다. 데이터의 사상에 앞서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코드 블록이 순서대로 연결된 일련의 시퀀스 구조를 반대 순서로 바꾸고 상기 도 19의 사상 순서를 이용하여도 도 20에서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20에서 설명된 방법은 데이터의 사상 순서를 반대로 하거나 데이터의 구성순서를 반대로 함으로써, CQI/PMI, RI 가 데이터와 다중화 하는 경우에 RI의 미감지(miss detection)로 인하여 데이터의 시작 지점을 알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 19 및 도 20은, LTE 시스템에서 PUSCH 전송에 표준 순환 전치(Normal Cyclic Prefix, Normal CP)가 사용된 경우를 도시한 그림으로 RS(Reference Signal),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CP(Cyclic Prefix) 구조에 따라서 RE의 개수 및 RS, SRS 위치가 변경될 수 있지만, 기본 개념은 동일하다.
또한 상기 도 19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데이터는 순서대로 5번 RE부터 6번 RE방향으로 1 RE씩 순서대로 사상되고, 윗쪽 가상 부반송파(virtual subcarrier)에서 5번 RE에 해당하는 RE부터 6번 RE에 해당하는 RE방향으로 1 RE씩 순서대로 사상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첫번째 가상 부반송파의 1번 RE부터 2번 RE방향으로 1 RE씩 사상된다. 이때 데이터는 CQI/PMI, RI와 비율 정합하여 CQI/PMI와 RI가 위치하는 RE를 피하여 사상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구조를 나타낸다.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는 N개의 DL CC와 1개의 UL CC의 링크가 설정되고, N개의 DL CC에 대한 제어정보는 1개의 UL CC로 전송되고, 기지국은 단말에게 TTI 당 1개의 RI를 요구하고, 해당 TTI에서는 PUSCH에 데이터, CQI/PMI, RI, ACK/NACK이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CQI/PMI를 개별 부호화(separate encoding)하는 경우에는 CQI/PMI는 DL CC 별로 개별 부호화(separate encoding) 후 연접(concatenation)하여 기존 LTE 방식대로 순서대로 사상되며, 결합 부호화(joint encoding)하는 경우에는 DL CC에 대한 CQI/PMI를 연접 후 결합 부호화(joint encoding)하여 기존 LTE 방식대로 순서대로 사상된다.
RI는 기지국으로부터 지정된 DL CC 에 대한 RI를 부호화 한 후 기존 LTE 방식대로 순서대로 사상된다.
데이터는 기존 LTE 방식대로 CQI/PMI 뒤쪽부터 순서대로 사상되거나 데이터의 순서를 역순으로 구성하여 기존 LTE 방식대로 CQI/PMI 뒤쪽부터 순서대로 사상되거나 기존 LTE 방식과 반대로 데이터의 마지막 심볼이 CQI/PMI 뒤쪽 RE에 사상되면서, RI가 위치하는 RE를 피하여 사상된다.
ACK/NACK은 개별 부호화하는 경우에 DL CC 별로 개별 부호화 한 후 연접하여 기존 LTE 방식대로 순서대로 사상되며, 결합 부호화하는 경우에는 DL CC에 대한 ACK/NACK를 연접 후 결합 부호화하여 기존 LTE 방식대로 순서대로 사상될 수 있으며, 데이터 또는 CQI/PMI가 ACK/NACK이 위치할 수 있는 RE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 또는 CQI/PMI를 천공(puncturing)한다. ACK/NACK 결합 코딩은 부호화 전의 ACK/NACK 비트의 수에 따라 나뉘어 질 수 있다. 즉, 부호화 전의 ACK/NACK 비트 수가 A 비트와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RM(Reed Muller) 부호기 등의 블록 코드(block code)를 사용할 수 있고, A 비트보다 큰 경우에는 테일 바이팅 콘볼루션 코드(tail biting convolutional code) 등의 부호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CQI/PMI 의 부호화 방법을 재사용 하여 11 비트를 기준으로 (fixed output length, variable input length) 블록 코드(block code) 또는 테일 바이트 콘볼루션 코드(tail biting convolutional code)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별도의 CRC를 부착할 수 있다. 각 제어정보 및 데이터는 MCS 및 부호화율(coding rate)에 따라서 차지하는 RE의 개수가 변할 수 있지만 사상 방법은 동일하다.
또한, RI와 ACK/NACK이 각각 위치할 수 있는 가상 부반송파(Virtual subcarrier) 당 4개의 RE에 사상하는 순서를 왼쪽 RS의 왼쪽 RE를 0번, 오른쪽 RE를 1번, 오른쪽 RS의 왼쪽 RE를 2번, 오른쪽 RE를 3번 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0번, 3번, 2번, 1번의 순서대로 기존의 LTE 사상 순서를 사용할 수 도 있고, RS간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 방법으로 심볼을 복구하는 방법에 효과적인 1번, 2번, 3번, 0번의 순서, 1번, 2번, 0번, 3번의 순서, 1번, 2번, 0번, 3번의 순서, 2번, 1번, 0번, 3번의 순서, 또는 2번, 3번, 0번, 1번 순서 등 다양한 순서로 사상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구조를 나타낸다.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는 3개의 DL CC와 2개의 UL CC의 링크가 설정되고, 0번과 1번으로 기지국에 의해 정의된 2개의 DL CC에 대한 제어정보는 기지국에 의해 정의된 0번의 UL CC로 전송되고, 기지국에 의해 정의된 1개의 DL CC에 대한 제어정보는 기지국에 의해 정의된 1번의 UL CC로 전송되고, 기지국은 단말에게 TTI 당 1개의 RI를 UL CC 0번에 전송할 것을 요구하고, 해당 TTI에서는 PUSCH에 DATA, CQI/PMI, RI, ACK/NACK이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CQI/PMI를 개별 부호화(separate encoding) 하는 경우에는 DL CC 별로 개별 부호화 후 DL CC 0번과 1번에 대한 CQI/PMI를 연접하여 UL CC 0번에 기존 LTE 방식 대로 순서대로 사상하며, DL CC 2번에 대한 CQI/PMI는 UL CC 1번에 기존 LTE 방식대로 순서대로 사상하며, 결합 부호화(joint encoding)하는 경우에는 DL CC 0번과 1번에 대한 CQI/PMI를 연접 후 결합 부호화하여 UL CC 0번에 기존 LTE 방식대로 순서대로 사상하며, DL CC 2번에 대한 CQI/PMI는 부호화하여 UL CC 1번에 기존 LTE 방식대로 순서대로 사상한다.
RI는 기지국으로부터 선택된 DL CC에 대한 RI를 부호화한 후 UL CC 0번에 기존 LTE 방식대로 순서대로 사상하며, 데이터는 각 UL CC에서 기존 LTE 방식대로 CQI/PMI 뒤쪽부터 순서대로 사상하거나 데이터의 순서를 역순으로 구성하여 기존 LTE 방식대로 CQI/PMI 뒤쪽부터 순서대로 사상하거나 기존 LTE 방식과 반대로 데이터의 마지막 심볼을 CQI/PMI 뒤쪽의 RE에 사상하고, RI가 위치하는 RE를 피하여 사상된다.
ACK/NACK을 개별 부호화하는 경우에는 DL CC 별로 개별 부호화 한 후 DL CC 0번과 1번에 대한 ACK/NACK를 연접하여 UL CC 0번에 기존 LTE 방식대로 순서대로 사상하며, DL CC 2번에 대한 ACK/NACK는 UL CC 1번에 기존 LTE 방식대로 순서대로 사상하며, 결합 부호화하는 경우에는 DL CC 0번과 1번에 대한 ACK/NACK를 연접 후 결합 부호화하여 UL CC 0번에 기존 LTE 방식대로 순서대로 사상하며, DL CC 2번에 대한 ACK/NACK는 부호화하여 UL CC 1번에 기존 LTE 방식대로 순서대로 사상할 수 있으며, 데이터 또는 CQI/PMI가 ACK/NACK이 위치할 수 있는 RE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 또는 CQI/PMI를 천공한다. ACK/NACK의 결합 부호화는 부호화 전의 ACK/NACK 비트의 수에 따라 나뉘어 질 수 있다. 즉, 부호화 전의 ACK/NACK 비트의 수가 A 비트와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RM (Reed Muller) 부호기 등의 블록 부호화를 사용할 수 있고, A 비트 보다 큰 경우에는 테일 바이팅 콘볼루션 코드(tail biting convolutional code) 등의 부호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CQI/PMI 의 부호화 방법을 재사용 하여 11 비트를 기준으로 (fixed output length, variable input length) 블록 코드(block code) 또는 테일 바이트 콘볼루션 코드(tail biting convolutional code)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별도의 CRC를 부착할 수 있다. 각 제어정보 및 데이터는 MCS 및 부호화율(coding rate)에 따라서 차지하는 RE의 개수가 변할 수 있지만 사상 방법은 동일하다.
또한, RI와 ACK/NACK이 각각 위치할 수 있는 가상 부반송파(Virtual subcarrier) 당 4개의 RE에 사상하는 순서를 왼쪽 RS의 왼쪽 RE를 0번, 오른쪽 RE를 1번, 오른쪽 RS의 왼쪽 RE를 2번, 오른쪽 RE를 3번 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0번, 3번, 2번, 1번의 순서대로 기존의 LTE 사상 순서를 사용할 수 도 있고, RS간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 방법으로 심볼을 복구하는 방법에 효과적인 1번, 2번, 3번, 0번의 순서, 1번, 2번, 0번, 3번의 순서, 1번, 2번, 0번, 3번의 순서, 2번, 1번, 0번, 3번 의 순서, 또는 2번, 3번, 0번, 1번 순서 등 다양한 순서로 사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서브프레임의 구조는 전송 대역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캐리어 그룹(carrier group) 또는 캐리어 집합(carrier aggregation)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송에 사용되는 부반송파(subcarrier) 또는 RB(resource block)가 연속 또 는 비연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룹화된 캐리어의 일부 부반송파 또는 RB의 조합(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할 때 각 캐리어 그룹의 일부 부반송파 또는 R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부반송파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나타난 부반송파는 동일 캐리어 그룹내의 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구성되거나 각 캐리어 그룹내의 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구성된 부반송파 또는 RB의 집합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전송방식에 따라서 SC-FDMA 심볼은 OFDMA 심볼, DTFS-OFDM 심볼, clustered DFT-S OFDM 심볼, pure SC-FDMA 심볼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3은 데이터 채널에 전송될 데이터와 제어정보가 다중화되어 데이터 채널에 사상된 서브프레임 구조(subframe structure)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3에서 ACK/NACK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바로 옆의 SC-FDMA 심볼에 해당하는 4개의 RE에 사상되고, RI는 DMRS에서 1 RE씩 떨어진 4개의 RE에 사상된다.
ACK/NACK은 DMRS 양옆의 SC-FDMA 심볼에 해당하는 RE에 위치하는데, 부반송파를 기준으로 0번 부반송파부터 아랫방향으로 위치한다. 부반송파 0번을 RB(resource block) 내 제일 처음에 해당하는 부반송파로 볼 수 있고, 아랫방향으로 1번, 2번, 3번 등으로 볼 수 있다. RI는 DMRS에서 1 RE씩 떨어진 RE에 위치하는데, 부반송파를 기준으로 0번째 부반송파부터 아랫방향으로 위치한다.
도 24은 데이터 채널에 전송될 데이터와 제어정보가 다중화되어 데이터 채널에 사상된 서브프레임 구조(subframe structure)를 도시한 도면이다. ACK/NACK은 DMRS의 바로 옆의 SC-FDMA 심볼에 해당하는 4개의 RE에 사상하고, RI는 데이터가 사상되는 다음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된다. ACK/NACK은 DMRS 양 옆의 SC-FDMA 심볼에 해당하는 RE에 위치하는데, 부반송파를 기준으로 0번째 부반송파부터 아랫방향으로 위치한다. 부반송파 0번을 RB 내 제일 처음에 해당하는 부반송파로 볼 수 있고, 아랫방향으로 1번, 2번, 3번 등으로 볼 수 있다.
데이터는 CQI/PMI 또는 RI와 다중화 되는 경우에 그 위치를 피하여 시간 우선 사상 방식에 따라 위치한다. 만약 CQI/PMI 또는 RI가 다중화 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는 그 위치를 점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는 ACK/NACK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ACK/NACK 위치를 점유하며 ACK/NACK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ACK/NACK이 데이터를 천공(puncturing)한다. CQI/PMI는 RI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RI가 사상되는 다음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되거나 RI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가 사상되는 다음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된다.
도 25는 데이터 채널에 전송될 데이터와 제어정보가 다중화되어 데이터 채널에 사상된 구조(sub-frame structur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에서는 RI가 반송파 당 점유하는 심볼의 개수가 상기 도 23 및 도 24에서와 다르다. 즉, 이전 서브프레임에 마지막 SC-FDMA 심볼이 사용되거나 현재 서브프레임에 마지막 SC-FDMA 심볼이 사용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파워 트랜지션(power transition)으로 인한 성능저하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RI 심볼의 위치에는 RI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RI는 DMRS에서 1 RE씩 떨어진 2개의 RE에 사상되고, 부반송파를 기준으로 0번째 OFDM 심볼부터 아랫방향으로 위치한다. 부반송파 0번을 RB내 제일 처 음에 해당하는 부반송파로 볼 수 있고, 아랫방향으로 1번, 2번, 번 등으로 볼 수 있다.
추가로 종래의 기술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상순서를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배경기술란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도 1에서 데이터를 역 시간 우선 사상 방법(reverse time-first mapping)을 하게 되면 상기 도 23과 비슷한 효과를 갖게 된다.
ACK/NACK은 DMRS에 바로 옆의 SC-FDMA 심볼에 해당하는 4개의 RE에 사상하고, RI는 DMRS에서 1 RE씩 떨어진 4개의 RE에 사상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ACK/NACK은 DMRS 양 옆의 SC-FDMA 심볼에 해당하는 RE에 위치하는데, 부반송파 기준으로 마지막번째부터 윗방향 위치한다. 부반송파 0번을 RB(resource block)내 제일 처음에 해당하는 부반송파로 볼 수 있고, 아랫방향으로 1번, 2번등으로 볼 수 있다.
RI는 DMRS에서 1 RE씩 떨어진 RE에 위치하는데, 부반송파를 기준으로 마지막번째부터 윗방향으로 위치한다. 부반송파 0번을 RB내 제일 처음에 해당하는 부반송파로 볼 수 있고, 아랫방향으로 1번, 2번 등으로 볼 수 있다.
데이터는 CQI/PMI 또는 RI와 다중화 되는 경우에 그 위치를 피하여 역 시간 우선 사상 방법(reverse time-first mapping) 방법으로 위치한다. 이는 마지막 부반송파의 마지막 SC-FDMA 심볼부터 데이터가 위치하여 그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 방향으로 위치하고, 하나의 부반송파에 사상이 끝나면 바로 윗쪽의 부반송파에서 마지막 SC-FDMA 심볼부터 데이터가 위치하여 그 부반송파의 첫번째 첫번째 SC-FDMA 심볼로 사상하는 것을 데이터가 모두 사상할 때까지 반복한다. 만약 CQI/PMI 또는 RI가 다중화 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는 그 위치를 점유할 수 있다.
상기 도 23 내지 25에서 데이터는 CQI/PMI 또는 RI와 다중화 되는 경우에 그 위치를 피하여 시간 우선 사상(time-first mapping) 방식으로 위치한다. 만약 CQI/PMI 또는 RI가 다중화 되지 않는 경우에 데이터는 CQI/PMI 또는 RI의 위치를 점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는 ACK/NACK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ACK/NACK 위치를 점유하며 ACK/NACK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ACK/NACK이 데이터를 천공(puncturing)한다. CQI/PMI는 데이터가 사상되는 다음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된다.
ACK/NACK이 없을 경우에 CQI/PMI와 RI는 상기 도 25에서 ACK/NACK이 빠진 형태로 위치하고, RI가 없을 경우에 CQI/PMI와 ACK/NACK은 RI가 빠진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CQI/PMI는 데이터를 천공하지 않는 특징 (레이트 매칭)을 가지며 서로 다른 성격의 제어정보가 연접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ACK/NACK은 데이터를 천공하는 특징을 갖고, RI는 데이터와 레이트 매칭을 하는 특징을 갖는다.
실시예 5
도 26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데이터와 CQI/PMI 또는 CQI/PMI 정보를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로 요청하는 경우에 기지국이 단말에게 지정한 기지국과 단말간의 DL CC (Component Carrier)와 UL CC 간의 연결(linkage) 정보를 바탕으로 CQI/PMI를 LTE 시스템에서 사용한 부호화 방식을 재이용하여 UL CC에 사상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도 26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각 DL CC에 대한 CQI/PMI 정보를 DL CC 별로 측정 및 연산하여 개별적인 부호화를 하고, 해당 DL CC를 그에 배당된 UL CC 별로 부호화된 CQI/PMI를 일련의 순서로 결합(concatenation)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UL CC를 통하여 전송한다. 이때, 하나 또는 여러 개의 DL CC에 대하여 각각 부호화된 CQI/PMI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DL CC와 UL CC의 연결 별로 모아서 해당 UL CC에 배당된 DL CC에 대한 CQI/PMI 정보를 DL CC 순서별 또는 역순서별 또는 기지국이 원하는 순서로 기존 LTE의 PUSCH 다중화 방법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사상한다.
도 27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각 DL CC에 대한 CQI/PMI 정보를 DL CC 별로 측정 및 연산하여 해당 DL CC를 그에 배당된 UL CC 별로 CQI/PMI를 일련의 순서로 결합(concatenation)하여 부호화를 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UL CC를 통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때, UL CC에 배당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DL CC에 대하여 결합된 CQI/PMI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DL CC와 UL CC의 연결 별로 모아서 부호화 후 기존 LTE의 PUSCH 다중화 방법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사상한다. 상기 도 26과 도 27에서는 다섯개의 DL CC와 2개의 UL CC를 예로서 나타내었지만, 그 개수 및 연결은 기지국에 의하여 변할 수 있으며 DL CC와 UL CC의 개수가 같은 상황에서는 일대일로 DL CC의 CQI/PMI 정보가 UL CC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LTE 시스템에서의 CQI/PMI의 PUSCH 다중화 방법 및 부호화를 재이용하여 DL CC와 UL CC의 개수 및 연결에 관계없이 캐리어 집합 상황에서도 CQI/PMI 정보를 PUSCH에 사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 26은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각 DL CC에 대한 CQI/PMI 정보를 DL CC 별로 측정 및 연산하여 CQI/PMI를 일련의 순서로 결합(concatenation)하여 부호화(full joint encoding)를 하여 UL CC 별로 지정받은 양 만큼 하나 또는 여러 개의 UL CC를 통하여 전송하는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UL CC에 배당된 부호화된 CQI/PMI 정보는 기존 LTE의 PUSCH 다중화 방법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사상한다. 또한 다섯개의 DL CC와 2개의 UL CC를 예로서 나타내었지만, 그 개수 및 연결은 기지국에 의하여 변할 수 있으며 DL CC와 UL CC의 개수가 같은 상황에서는 일대일로 DL CC의 CQI/PMI 정보가 UL CC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 기지국이 단말에게 데이터와 RI 정보 또는 RI 정보를 PUSCH로 요청하는 경우에 RI의 관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지정한 기지국과 단말간의 DL CC와 UL CC 간의 연결 정보 및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당 필요한 RI의 개수를 바탕으로 RI를 LTE 시스템에서 사용한 부호화 방식을 재이용하여 UL CC에 사상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8은 기지국이 특정 DL CC에 대하여 한 개의 RI를 요청하는 경우에 UL CC로 RI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때, 하나 또는 여러 개의 DL CC에 대하여 단말이 선호하는 RI 정보는 부호화 후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UL CC에 기존 LTE의 PUSCH 다중화 방법을 이용하여 사상한다. 만약, 기지국이 원하는 RI의 개수가 전송 가능한 UL CC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 예를 들어, 기지국이 원하는 RI의 개수가 2개 이고, 전송 가능한 UL CC의 개수가 1개인 경우에는 기지국이 원하는 순서에 따라 해당 TTI에 한 개의 RI를 UL CC로 전송하고 다른 한 개의 RI는 TTI 오프셋을 갖고 다른 TTI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8에서는 3개의 DL CC와 1개의 UL CC를 예로써 나타내었지만, 그 개수 및 연결(linkage)은 기지국에 의하여 변할 수 있으며 DL CC와 UL CC의 개수가 같은 상황에서는 일대일로 DL CC의 RI 정보가 UL CC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9는 기지국이 특정 DL CC에 대하여 두 개 이상의 RI를 요청하는 경우에 UL CC로 RI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DL CC 그룹에 대하여 단말이 선호하는 RI정보는 부호화 후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UL CC에 기존 LTE의 PUSCH 다중화 방법을 이용하여 사상한다. 만약, 기지국이 원하는 RI의 개수가 전송 가능한 UL CC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기지국이 원하는 RI 순서에 따라 UL CC 마다 한 개의 RI를 먼저 전송하고, 나머지 RI는 TTI 오프셋을 갖고 다른 TTI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 29는 4개의 DL CC와 2개의 UL CC를 예로써 나타내었지만, 그 개수 및 연결은 기지국에 의하여 변할 수 있으며 DL CC와 UL CC의 개수가 같은 상황에서는 일대일로 DL CC의 RI 정보가 UL CC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도 28과 도 29에서 설명한 방법은 LTE 시스템에서의 RI 다중화 방법을 재이용하고, 1, 2 비트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재이용하고, 3 비트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단순 확장하여 DL CC와 UL CC의 개수 및 연결에 관계없이 캐리어 집합 상황에서도 RI 정보를 PUSCH에 사상할 수 있는 장점과 UL CC 당 한번에 보낼 수 있는 RI의 개수를 한정함으로써 RI 미감지(miss detection)에 의해 연쇄적으로 데이터의 시작점을 기지국이 잘못 판단하는 경우를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기지국이 단말에게 데이터와 ACK/NACK 또는 ACK/NACK 정보를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로 요청하는 경우에 ACK/NACK의 관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지정한 기지국과 단말간의 DL CC (Component Carrier) 와 UL CC 간의 연결 정보를 바탕으로 ACK/NACK을 LTE 시스템에서 사용한 부호화 방식을 재이용하여 UL CC에 사상하는 방법을 설명하다.
도 30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각 DL CC에 대한 ACK/NACK 정보를 DL CC 별로 개별적인 부호화를 하고, 해당 DL CC를 그에 배당된 UL CC 별로 부호화된 ACK/NACK을 일련의 순서로 결합(concatenation)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UL CC를 통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때, 하나 또는 여러 개의 DL CC에 대하여 각각 부호화된 ACK/NACK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DL CC와 UL CC의 연결 별로 모아서 해당 UL CC에 배당된 DL CC에 대한 ACK/NACK 정보를 DL CC 순서별 또는 역순서별 또는 기지국이 원하는 순서로 기존 LTE의 PUSCH 다중화 방법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사상한다.
도 31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각 DL CC에 대한 ACK/NACK 정보를 그에 배당된 UL CC 별로 ACK/NACK을 일련의 순서로 결합(concatenation)하여 부호화를 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UL CC를 통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때, UL CC에 배당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DL CC에 대하여 결합된 ACK/NACK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DL CC와 UL CC의 연결 별로 모아서 부호화 후 기존 LTE의 PUSCH 다중화 방법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사상한다. 만약 부호화 전에 결합된 ACK/NACK 정보가 3 비트를 넘는 경우에는 LTE 시스템에서 ACK/NACK 부호화에 사용하는 단일 부호화(simplex coding)가 아닌 CQI/PMI 부호화기를 사용하거나 변형된 RM(Reed Muller) 부호화기 또는 TBCC(Tail Biting Convolutional Code) 부호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2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UL CC 별로 할당받은 DL CC에 대한 ACK/NACK 정보가 특정 개수 N 이상인 경우에는 DL CC 별 ACK/NACK을 전송하는 것이 아닌 해당 UL CC에 할당된 DL CC에 대한 ACK/NACK을 번들링(bundling)하여 UL CC 별로 부호화된 ACK/NACK을 일련의 순서로 결합(concatenation)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때, 2개 이상의 UL CC가 사용되고 UL CC 별로 DL CC에 대한 ACK/NACK 정보가 특정 개수 N을 넘는 경우와 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특정 개수 N을 넘는 UL CC에 대해서는 ACK/NACK을 번들링을 하고, 넘지 않는 UL CC에 대해서는 상기 도 30의 개별 부호화(separate coding) 방식이나 상기 도 31의 결합 부호화(joint encoding)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존 LTE의 PUSCH 다중화방법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사상할 수 있다. 따라서, ACK/NACK 번들링의 경우에는 수신측에서 번들링된 DL CC의 ACK/NACK에 대하여 같은 판정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도 30 내지 도 32에서는 다섯개의 DL CC와 2개의 UL CC를 예로서 나타내었지만, 그 개수 및 연결은 기지국에 의하여 변할 수 있으며 DL CC와 UL CC의 개수가 같은 상황에서는 일대일로 DL CC의 ACK/NACK 정보가 UL CC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도 30 내지 도 32에서 설명한 방법은 LTE 시스템에서의 ACK/NACK의 PUSCH 다 중화 방법 및 부호화를 재이용하여 DL CC와 UL CC의 개수 및 연결에 관계없이 캐리어 집합 상황에서도 ACK/NACK 정보를 PUSCH에 사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전송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는 연속 또는 비연속의 부반송파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서브 프레임의 구조는 전송 대역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캐리어 그룹(carrier group) 또는 캐리어 집합(carrier aggregation)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송에 사용되는 부반송파 또는 RB(resource block)가 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룹화된 캐리어의 일부 부반송파 또는 RB(resource block)의 조합(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할 때 각 캐리어 그룹의 일부 부반송파 또는 R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부반송파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부반송파는 동일 캐리어 그룹 내의 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구성되거나 각 캐리어 그룹 내의 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구성된 부반송파 또는 RB의 집합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서브프레임 구조는 확장 순환 전지의 서브프레임 구조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송방식에 따라서 SC-FDMA 심볼은 OFDMA 심볼, DTFS-OFDM 심볼, 클러스터(clustered) DFT-S OFDM 심볼 또는 퓨어(pure) SC-FDMA 심볼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 F0, F1 및 F2는 하향링크에 사용되는 캐리어 그룹을 나타내며, 사용되는 부반송파는 그룹화된 캐리어의 일부 부반송파 또는 각 캐리어 그룹 의 일부 부반송파 또는 RB의 연속 또는 비연속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F3와 F4는 상향링크에 사용되는 캐리어 그룹을 나타내며, 사용되는 부반송파는 그룹화된 캐리어의 일부 부반송파 또는 각 캐리어 그룹의 일부 부반송파 또는 RB의 연속 또는 비연속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CA #1과 CA #2는 두 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3개의 하향링크의 캐리어 그룹과 2개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과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개수는 가변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ENC는 부호화부(encoding unit)를 나타낸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CQI/PMI 제어정보를 특정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통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각 CQI/PM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time-first mapping)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CQI/PMI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CQI/PMI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 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각 CQI/PM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CQI/PMI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CQI/PMI 제어정보를 특정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통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각 CQI/PM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 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CQI/PMI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만약, RI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RI, CQI/PMI의 순서로 시간 우선 사상방식을 이용하여 사상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CQI/PMI 제어정보를 상향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각 CQI/PM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CQI/PMI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만약, RI와 같이 전송 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RI, CQI/PMI의 순서로 시간 우선 사상방식을 이용하여 사상된다.
상기 도 33 내지 도 36에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어떤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사용할 지에 대하여 미리 약속되어 있음을 전제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어떤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사용할 것인지를 알려주어야 하고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우선순위 또는 번호를 알려주어야 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CQI/PMI 제어정보를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통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CQI/PM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CQI/PMI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CQI/PMI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CQI/PM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 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CQI/PMI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CQI/PMI 제어정보를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통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CQI/PM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CQI/PMI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만약, RI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RI, CQI/PMI의 순서로 시간 우선 사상 방식을 이용하여 사상된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CQI/PMI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CQI/PM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CQI/PMI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만약, RI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RI, CQI/PMI의 순서로 시간 우선 사상 방식을 이용하여 사상된다.
상기 도 37 내지 도 40에서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은 기지국과 단말이 미리 약속되어 있음을 전제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어떤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사용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것과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우선순위 또는 번호를 알려주는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야 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ACK/NACK 제어정보를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CK/NACK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통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ACK/NACK은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마지막 부반송파의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RE에 위치하여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ACK/NACK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ACK/NACK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CK/NACK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통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ACK/NACK은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첫번째 부반송파의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RE에 위치하여 마지막 부반송파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ACK/NACK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ACK/NACK 제어정보를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CK/NACK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통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ACK/NACK은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부반송파의 개수와 부호화된 ACK/NACK 심볼의 개수의 합을 서브 캐리어 당 위치할 수 있는 ACK/NACK 심볼의 최대 개수(본 실시예에서는 4)로 나누어 올림한 값을 이용하여 부반송파 당 최대 4개의 RE를 단위로 전송에 이용될 부반송파에 분산하여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ACK/NACK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ACK/NACK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CK/NACK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ACK/NACK은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마지막 부반송파의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RE에 위치하여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ACK/NACK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ACK/NACK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CK/NACK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ACK/NACK은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첫번째 부반송파의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RE에 위치하여 마지막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ACK/NACK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ACK/NACK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CK/NACK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ACK/NACK은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부반송파의 개수와 부호화된 ACK/NACK 심볼의 개수의 합을 부반송파 당 위치할 수 있는 ACK/NACK 심볼의 최대 개수(본 실시예에서는 4)로 나누어 올림한 값을 이용하여 부반송파 당 최대 4개의 RE(Resource Element)를 단위로 전송에 이용될 부반송파에 분산하여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ACK/NACK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상기 도 41 내지 도 46에서,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은 기지국과 단말이 미리 약속되어 있음을 전제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어떤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사용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것과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우선순위 또는 번호를 알려주는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부호화된 ACK/NACK 제어정보는 기본적으로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4개의 RE에 위치하는데 부반송파 단위로 최대 4개가 위치할 수 있으며 해당 RE에 사상된 데이터를 천공(puncturing)하여 위치한다.
도 47 내지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ACK/NACK 제어정보를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0 내지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ACK/NACK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47 내지 상기 도 52에서 설명하고 있는 방법의 각각은 3 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ACK/NACK 제어정보를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41 내지 도 46의 각각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ACK/NACK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CK/NACK 제어정보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ACK/NACK은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부반송파의 개수와 부호화된 ACK/NACK 심볼의 개수의 합을 부반송파 당 위치할 수 있는 ACK/NACK 심볼의 최대 개수(본 실시예에서는 4)로 나누어 올림한 값을 이용하여 부반송파 당 최대 4개의 RE(Resource Element)를 단위로 전송에 이용될 부반송파에 분산하여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ACK/NACK 제어정보를 사상한다.
상기 도 53에서,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은 기지국과 단말이 미리 약속되어 있음을 전제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어떤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사용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것과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우선순위 또는 번호를 알려주는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부호화된 ACK/NACK 제어정보는 기본적으로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4개의 RE에 위치하는데 부반송파 단위로 최대 4개가 위치할 수 있으며 해당 RE에 사상된 데이터를 천공(puncturing)하여 위치한다.
도 5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는 각각 ENC에서 부호화되어,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부호화된 R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마지막 부반송파의 RS에서 한 개의 RE씩 떨어진 심볼에 해당하는 RE에 위치하여 첫번째 부반송파의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RI 를 사상한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 를 상향링크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는 각각 ENC에서 부호화되어,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되어 전송된다. 부호화된 R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마지막 부반송파의 RS에서 한 개의 RE씩 떨어진 심볼에 해당하는 RE에 위치하여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RI를 사상한다.
도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는 각각 ENC에서 부호화되어,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통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R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time-first mapping) 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RI를 사상한다. 만약, CQI/PMI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RI, CQI/PMI의 순서로 시간 우선 사상 방식을 이용하여 사상된다. 한편, ACK/NACK 제어정보를 RI와 함께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ACK/NACK 제어정보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사상된 RI를 천공하여 RS신호 바로 옆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 를 상향링크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는 각각 ENC에서 부호화되어,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R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time-first mapping)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RI를 사상한다. 만약, CQI/PMI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RI, CQI/PMI의 순서로 시간 우선 사상 방식을 이용하여 사상된다. 한편, ACK/NACK 제어정보를 RI와 함께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ACK/NACK 제어정보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사상된 RI를 천공하여 RS신호 바로 옆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 54 내지 도 57에서,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은 기지국과 단말이 미리 약속되어 있음을 전제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어떤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사용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것과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우선순위 또는 번호를 알려주는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 를 상향링크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 를 상향링크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58 내지 도 61에서 설명하고 있는 방법의 각각은 3 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54 내지 도 57의 각각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실시예 6
도 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어정보를 두 개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2에서 CQI/PM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하고, 사용되는 부반송파의 집합 중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time-first mapping)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ACK/NACK은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부반송파의 집합 중 마지막 부반송파의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의 바로 옆의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첫번째 부반송파의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R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부반송파의 집합 중 마지막 부반송파의 RS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첫번째 부반송파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데이터는 CQI/PMI 및 RI와의 관계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이므로 CQI/PMI와 RI가 위치하지 않은 곳에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되며, 데이터는 ACK/NACK과 천공(puncturing) 관계이므로 ACK/NACK에 의하여 천공된다.
도 6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어정보를 특정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ACK/NACK은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마지막 부반송파의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 바로 옆의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는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마지막 부반송파의 RS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첫번째 부반송파의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데이터는 CQI/PMI 및 RI와의 관계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므로 CQI/PMI와 RI가 위치하지 않은 곳에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되며, ACK/NACK과는 천공(puncturing) 관계이므로 ACK/NACK에 의하여 천공된다.
도 6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어정보를 두 개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지정된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CQI/PMI끼리 일련의 순서로 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CQI/PM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ACK/NACK은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지정된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HARQ 응답끼리 일련의 순서로 각 ENC 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ACK/NACK은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마지막 부반송파의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 바로 옆의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RI는 각 하향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지정된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RI끼리 일련의 순서로 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 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R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마지막 부반송파의 RS 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당 2개인 경우에는 RS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데이터는 CQI/PMI 및 RI와의 관계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므로 CQI/PMI와 RI가 위치하지 않은 곳에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되며, 데이터는 ACK/NACK과 천공(puncturing)관계이므로 ACK/NACK에 의하여 천공된다.
도 6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어정보를 두 개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ACK/NACK은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부반송파의 집합 중 첫번째 부반송파의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 바로 옆의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마지막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R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부반송파의 집합 중 첫번째 부반송파의 RS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마지막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데이터는 CQI/PMI 및 RI와의 관계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므로 CQI/PMI 및 RI가 위치하지 않은 곳에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되며, 데이터는ACK/NACK과는 천공(puncturing) 관계이므로 ACK/NACK에 의하여 천공된다.
도 6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어정보를 지정된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ACK/NACK은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첫번째 부반송파의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 바로 옆의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마지막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 된 순서로 사상한다.
R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첫번째 부반송파의 RS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마지막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데이터는 CQI/PMI 및 RI와의 관계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므로 CQI/PMI와 RI가 위치하지 않은 곳에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되며, ACK/NACK과는 천공(puncturing) 관계이므로 ACK/NACK에 의하여 천공된다.
도 6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어정보를 두 개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지정된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CQI/PMI끼리 일련의 순서로 각 ENC 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CQI/PM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ACK/NACK은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 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지정된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HARQ 응답끼리 일련의 순서로 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ACK/NACK은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첫번째 부반송파의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 바로 옆의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마지막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R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지정된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RI끼리 일련의 순서로 각 ENC 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R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첫번째 부반송파의 RS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 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마지막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데이터는 CQI/PMI 및 RI와의 관계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므로 CQI/PMI와 RI가 위치하지 않은 곳에 시간 우선 방식으로 사상되며, ACK/NACK과는 천공(puncturing) 관계이므로 ACK/NACK에 의하여 천공된다.
한편, 상기 도 62 내지 도 67에서 CA #1과 CA #2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을 나타내지만, CA #1과 CA #2는 CA #1과 CA #2가 나타내는 각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 의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6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어정보를 두 개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만약, RI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RI, CQI/PMI의 순서로 시간 우선 사상방식을 이용하여 사상된다.
ACK/NACK은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부반송파의 집합 중 첫번째 부반송파의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 바로 옆의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마지막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RI는 각 하향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 제어정보를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만약, CQI/PMI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RI, CQI/PMI의 순서로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된다.
데이터는 CQI/PMI 및 RI와의 관계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므로 CQI/PMI와 RI가 위치하지 않은 곳에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되며, ACK/NACK과는 천공(puncturing) 관계이므로 ACK/NACK에 의하여 천공된다.
도 6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어정보를 지정된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만약, RI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RI, CQI/PMI의 순서로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된다.
ACK/NACK은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첫번째 부반송파의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 바로 옆의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마지막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RI는 각 하향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만약, CQI/PMI와 같이 전송되 는 경우에는 데이터, RI, CQI/PMI의 순서로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된다.
데이터는 CQI/PMI 및 RI와의 관계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므로 CQI/PMI와 RI가 위치하지 않은 곳에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되며, 데이터는 ACK/NACK과는 천공(puncturing)관계이므로 ACK/NACK에 의하여 천공된다.
도 7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어정보를 2개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지정된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CQI/PMI끼리 일련의 순서로 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CQI/PM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만약, RI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RI, CQI/PMI의 순서로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된다.
ACK/NACK은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지정된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HARQ 응답끼리 일련의 순서로 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ACK/NACK은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첫번째 부반송파의 RS 바로 옆의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 바로 옆의 심볼은 4개 가 존재)에 위치하여 마지막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R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지정된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RI끼리 일련의 순서로 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R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만약, CQI/PMI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RI, CQI/PMI의 순서로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된다.
데이터는 CQI/PMI 및 RI와의 관계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므로 CQI/PMI와 RI가 위치하지 않은 곳에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되며, 데이터는 ACK/NACK과는 천공(puncturing) 관계이므로 ACK/NACK에 의하여 천공된다.
도 7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어정보를 2개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부반송파의 집합 중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SC-FDMA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ACK/NACK은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ACK/NACK은 전송에 이용될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모든 부반송파의 개수 중 CQI/PMI가 포함된 부반송파를 제외한 개수와 부호화된 ACK/NACK 심볼의 개수의 합을 부반송파 당 위치할 수 있는 ACK/NACK 심볼의 최대수로 나누어 올림한 값을 이용하여 부반송파 당 4개의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 바로 옆의 심볼은 4개가 존재)를 단위로 전송에 이용될 모든 부반송파 중 CQI/PMI가 포함된 부반송파를 제외한 부반송파에 대하여 분산하여 사상한다. 이때,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ACK/NACK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R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부반송파의 집합 중 마지막 부반송파의 RS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데이터는 CQI/PMI와 RI와의 관계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므로 CQI/PMI와 RI가 위치하지 않은 곳에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되며, 데이터는 ACK/NACK과는 천공(puncturing)관계이므로 ACK/NACK에 의하여 천공된다.
도 7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어정보를 2개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ACK/NACK은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ACK/NACK은 전송에 이용될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모든 부반송파의 개수 중 CQI/PMI가 포함된 부반송파를 제외한 개수와 부호화된 ACK/NACK 심볼의 개수의 합을 부반송파 당 위치할 수 있는 ACK/NACK 심볼의 최대수로 나누어 올림한 값을 이용하여 부반송파 당 4개의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 바로 옆의 심볼은 4개가 존재)를 단위로 전송에 이용될 모든 부반송파 중 CQI/PMI가 포함된 부반송파를 제외한 부반송파에 대하여 분산하여 사상한다. 이때,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ACK/NACK을 전송한다.
R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 제어정보를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부반송파의 집합 중 첫번째 부반송파의 RS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에 해당하는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 에서 1 RE씩 떨어진 심볼은 4개가 존재)에 위치하여 마지막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데이터는 CQI/PMI 및 RI와의 관계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므로 CQI/PMI와 RI가 위치하지 않은 곳에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되며, 데이터는 ACK/NACK과 천공(puncturing)관계이므로 ACK/NACK에 의하여 천공된다.
도 7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어정보를 2개의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QI/PM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하여 측정 또는 연산되어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만약, RI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RI 및 CQI/PMI의 순서로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된다.
ACK/NACK은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HARQ 응답을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사용되는 캐리어 그룹에 분산하여 전송된다. 부호화된 ACK/NACK은 전송에 이용될 캐리어 그룹에서 전송에 이용될 모든 부반송파의 개수 중 CQI/PMI 및/또는 RI가 포함된 부반송파를 제외한 개수와 부호화된 ACK/NACK 심볼의 개수의 합을 부반송파 당 위치할 수 있는 ACK/NACK 심볼의 최대수로 나누어 올림한 값을 이용하여 부반송파 당 4개의 RE(RS가 부반송파 당 2개인 경우에는 RS 바로 옆의 심볼은 4개가 존재)를 단위로 전송에 이용될 모든 부반송파 중 CQI/PMI 및/또는 RI가 포함된 부반송파를 제외한 부반송파에 대하여 분산하여 사상한다. 이때,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부호화된 ACK/NACK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RI는 각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각각 ENC에서 부호화를 하거나 일련의 순서로 하나의 ENC에서 부호화를 하고,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하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의 약속된 순서 또는 한 심볼씩 교차된 순서로 사상한다. 만약, CQI/PMI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RI 및 CQI/PMI의 순서로 시간 우선 사상 방식으로 사상된다.
데이터는 CQI/PMI 및 RI와의 관계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므로 CQI/PMI와 RI가 위치하지 않은 곳에 시간 우선 방식으로 사상되며, 데이터는 ACK/NACK과 천공(puncturing)관계이므로 ACK/NACK에 의하여 천공된다.
도 74는 사용자 기기에 적용 가능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80)는 처리 유닛(81), 메모리 유닛(82), RF(Radio Frequency) 유닛(83), 디스플레이 유닛(84)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85)을 포함한다. 물리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상기 처리 유닛(81)에서 수행된다. 상기 처리 유닛(81)은 제어 플레인(plane)과 사용자 플레인(plane)을 제공한다. 각 계층의 기능은 처리 유닛(81)에서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82)은 처리 유닛(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및 일반 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만약 상기 디바이스(80)가 사용자 기기라면, 디스플레이 유닛(84)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공지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85)은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공지의 사용자 인터페 이스와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 유닛(83)은 처리 유닛(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무선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eNB(evolved Node B),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Mobile Terminal)은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에 해당하며, 단말(Mobile Terminal)은 이동 단말(MS: Mobile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또는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기지국, 또는 기타 다른 장비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데이터 채널에 전송될 데이터와 제어정보가 다중화되어 데이터 채널에 사상된 서브프레임 구조(subframe structur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멀티 캐리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데이터를 제외한 제어정보를 데이터 채널에 사상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전체 전송대역이 대역 집합(bandwidth aggregation)된 멀티 캐리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비대칭인 경우로서 하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에 비하여 해당 하향링크에 대한 응답이 나갈 시점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가 적은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대칭인 경우로서 상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개수와 하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에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도 7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비대칭인 경우로서 하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에 비하여 해당 하향링크에 대한 응답이 나갈 시점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가 많은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에 앞서 각 코드 블록을 코드 블록의 심볼 또는 일정 크기 단위로 교차(interlaced)하여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부에 입력한 경우의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다중화 및 사상에 관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제외한 제어정보를 데이터 채널에 사상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대역폭 집합(bandwidth aggregation)이 적용된 데이터를 제외한 제어정보를 데이터 채널에 사상한 서브프레임 구조(subframe structur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대역폭 집합(bandwidth aggregation)이 적용된 데이터를 제외한 제어정보를 데이터 채널에 사상한 구조(subframe structur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과 도 18은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기지국에 대하여 하향링크의 CQI를 상향링크로 보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와 도 20은 LTE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사상(mapping)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구조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구조를 나타낸다.
도 23 내지 도 25는 데이터 채널에 전송될 데이터와 제어정보가 다중화되어 데이터 채널에 사상된 서브프레임 구조(subframe structur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7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데이터와 CQI/PMI 또는 CQI/PMI 정보를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로 요청하는 경우에 CQI/PMI를 UL CC에 사상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기지국이 특정 DL CC에 대하여 한 개의 RI를 요청하는 경우에 UL CC로 RI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기지국이 특정 DL CC에 대하여 두 개 이상의 RI를 요청하는 경우에 UL CC로 RI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2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각 DL CC에 대한 ACK/NACK 정보를 하나 또는 여러 개의 UL CC를 통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3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CQI/PMI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1 내지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ACK/NACK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0 내지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 룹에 대한 ACK/NACK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2개의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4 내지 도 6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3개의 캐리어 그룹에 대한 RI를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2 내지 도 7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개의 하향링크 캐리어 그룹에 대한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캐리어 그룹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4는 사용자 기기에 적용 가능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 캐리어를 N개로 나눈 N개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멀티 캐리어를 N개로 나눈 N개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균등 또는 비균등하게 분배되어 전송되고, 상기 제어정보는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PMI(Precoding Matrix Index),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 ACKnowledgement) 및 RI(Rank Ind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가 복수개의 코드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개의 코드블록은 시간 영역에서의 변조 심볼 단위로 서로 교차되어(interlaced) 상기 서브프레임 상에 사상(mapping)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가 복수개의 코드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개의 코드블록의 각각은 변조 심볼 단위로 시간 영역에서 대각선 형태로 상기 서브프레임 상에 사상(mapping)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각각에 대한 제어정보는 개별적으로 부호화(encoding)되고 상기 개별적으로 부호화된 제어정보는 연접(concatenation)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균등 또는 비균등하게 분배되어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각각에 대한 제어정보는 연접(concatenation)되고 상기 연접된 제어정보는 결합 부호화(joint encoding)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6.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CQI/PMI는 전송에 이용되는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심볼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사상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7.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ACK/NACK은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마지막 부반송파에서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되고, 상기 ACK/NACK은 참조신호(Reference Signa; RS)가 사상된 심볼의 바로 옆 심볼에 위치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8.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ACK/NACK은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첫번째 부반송파에서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되고, 상기 ACK/NAKC은 참조신호(Reference Signa; RS)가 사상된 심볼의 바로 옆 심볼에 위치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9.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RI는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마지막 부반송파에서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되고, 상기 RI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가 사상된 심볼에서부터 한 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만큼 떨어진 심볼에 위치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10. 제 4항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R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순차적으로 사상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멀티 캐리어를 N개로 나눈 N개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멀티 캐리어를 N개로 나눈 N개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전송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균등 또는 비균등하게 분배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정보는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PMI(Precoding Matrix Index),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 ACKnowledgement) 및 RI(Rank Ind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가 복수개의 코드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개의 코드블록이 시간 영역에서의 변조 심볼 단위로 서로 교차되어(interlaced) 상기 서브프레임 상에 사상(mapping)되는,
    사용자 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가 복수개의 코드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개의 코드블록의 각각은 변조 심볼 단위로 시간 영역에서 대각선 형태로 상기 서브 프레임 상에 사상(mapping)되는,
    사용자 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각각에 대한 제어정보는 개별적으로 부호화(encoding)되고 상기 개별적으로 부호화된 제어정보는 연접(concatenation)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균등 또는 비균등하게 분배되어 전송되는,
    사용자 기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각각에 대한 제어정보는 연접(concatenation)되고 상기 연접된 제어정보는 결합 부호화(joint encoding)되는,
    사용자 기기.
  16. 제 14항 및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CQI/PMI는 전송에 이용되는 첫번째 부반송파의 첫번째 심볼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사상되는,
    사용자 기기.
  17. 제 14항 및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ACK/NACK은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마지막 부반송파에서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되고, 상기 ACK/NACK은 참조신호(Reference Signa; RS)가 사상된 심볼의 바로 옆 심볼에 위치하는,
    사용자 기기.
  18. 제 14항 및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ACK/NACK은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첫번째 부반송파에서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되고, 상기 ACK/NAKC은 참조신호(Reference Signa; RS)가 사상된 심볼의 바로 옆 심볼에 위치하는,
    사용자 기기.
  19. 제 14항 및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RI는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마지막 부반송파에서 첫번째 부반송파 방향으로 사상되고, 상기 RI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가 사상된 심 볼에서부터 한 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만큼 떨어진 심볼에 위치하는,
    사용자 기기.
  20. 제 14항 및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 중 RI는 지정된 캐리어 그룹에서 데이터가 사상된 이후의 심볼부터 순차적으로 사상되는,
    사용자 기기.
KR1020090064135A 2008-08-05 2009-07-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멀티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KR101638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4324 WO2010016698A2 (en) 2008-08-05 2009-08-03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bout downlink multiple carri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1100272.2A GB2474978B (en) 2008-08-05 2009-08-03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bout downlink multiple carri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09801304552A CN102113255B (zh) 2008-08-05 2009-08-03 无线通信系统中传输下行链路多载波控制信息的方法
US13/055,702 US8724564B2 (en) 2008-08-05 2009-08-03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bout downlink multiple carri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45408P 2008-08-05 2008-08-05
US61/086,454 2008-08-05
US8647408P 2008-08-06 2008-08-06
US61/086,474 2008-08-06
US8718108P 2008-08-08 2008-08-08
US61/087,181 2008-08-08
US11664008P 2008-11-21 2008-11-21
US11664108P 2008-11-21 2008-11-21
US61/116,640 2008-11-21
US61/116,641 2008-11-21
US15397209P 2009-02-20 2009-02-20
US61/153,972 2009-02-20
US15633309P 2009-02-27 2009-02-27
US61/156,333 2009-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051A true KR20100017051A (ko) 2010-02-16
KR101638900B1 KR101638900B1 (ko) 2016-07-12

Family

ID=4208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135A KR101638900B1 (ko) 2008-08-05 2009-07-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멀티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24564B2 (ko)
KR (1) KR101638900B1 (ko)
CN (1) CN102113255B (ko)
GB (1) GB2474978B (ko)
WO (1) WO2010016698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8109A2 (ko) * 2011-09-26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접속시스템에서 pucch 포맷 3을 이용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4142577A3 (ko) * 2013-03-13 2015-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174555A1 (ko) * 2017-03-21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257815B2 (en) 2010-03-26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190B1 (ko) * 2008-08-08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 및 상기 채널 품질 정보에 따라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KR101089838B1 (ko) * 2008-08-13 2011-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캐리어 집성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상기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기지국 및 단말
WO2010026936A1 (ja) 2008-09-04 2010-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5219708B2 (ja) * 2008-09-22 2013-06-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端末装置、無線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5145294B2 (ja) * 2008-09-22 2013-02-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端末装置、無線基地局装置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CN102365837B (zh) * 2009-03-29 2014-05-1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控制信息的方法及其装置
KR101670744B1 (ko) * 2009-04-13 2016-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최적화된 랭크 3 코드북을 이용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CA2758216C (en) 2009-04-24 2016-08-02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US9444589B2 (en) * 2009-10-05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uncturing data regions for signals to minimize data loss
JP2011130412A (ja) * 2009-11-18 2011-06-30 Sony Corp 端末装置、基地局、通信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2082625B (zh) * 2010-01-11 2014-10-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反馈多载波信道信息的方法及装置
KR20190090089A (ko) * 2010-02-12 2019-07-3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셀-에지 사용자 성능을 향상시키고 하향링크 협력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무선 링크 실패 조건을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1118943A2 (ko) 2010-03-22 201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555128B2 (en) 2010-03-24 2013-10-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cknowledgement information
CN103004253B (zh) * 2010-03-31 2016-05-2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通信的方法和装置
CN101826949B (zh) * 2010-04-01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载波聚合场景下非周期反馈的方法和系统
CN105162508B (zh) 2010-04-01 2018-05-29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接入系统中收发信道状态信息报告的方法和装置
CN102835057B (zh) 2010-04-01 2015-07-08 Lg电子株式会社 控制信息发送方法及其设备
CN102215502A (zh) * 2010-04-02 2011-10-1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lte-a系统的移动性小区测量方法
US9553697B2 (en) * 2010-04-05 2017-01-24 Qualcomm Incorporated HARQ ACK/NACK transmission for multi-carrier operation
WO2011123976A1 (zh) * 2010-04-06 2011-10-13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在平坦反馈模式和分级反馈模式之间切换的方法和设备
CN102215085B (zh) * 2010-04-07 2014-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上行控制信息的方法、系统、用户设备和基站
US9654265B2 (en) * 2010-04-08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to facilitate transmission of acknowledgement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561716B1 (en) * 2010-04-23 2017-04-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ference mitigation on uplink control channel in heterogeneous networks
CN102237991B (zh) * 2010-04-30 2016-08-2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tdd系统中发送ack/nack信息的方法
US9258807B2 (en) 2010-05-03 2016-02-09 Intel Deutschland Gmbh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methods
WO2011138849A1 (ja) * 2010-05-06 2011-1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応答信号マッピング方法
PL2387172T3 (pl) * 2010-05-11 2020-01-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posób wysyłania informacji o randze kanału zstępującego przez fizyczny, współdzielony kanał wstępujący
CN102244631B (zh) * 2010-05-11 2014-12-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中心子载波的配置方法和设备
JP5654621B2 (ja) * 2010-06-14 2015-01-14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のためのユーザ機器、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の方法
WO2011159624A2 (en) * 2010-06-18 2011-12-22 Brown, J., Robert, Jr.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in carrier aggregation
CN101867458B (zh) * 2010-06-21 2016-03-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的反馈方法及装置
WO2011162568A2 (ko) * 2010-06-24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8743799B2 (en) 2010-06-24 2014-06-03 Nokia Siemens Networks Oy Change of rate matching modes in presence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JP5357126B2 (ja) * 2010-10-04 2013-12-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フィードバック方法、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基地局装置
US9526089B2 (en) * 2010-10-27 2016-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3701559B (zh) * 2010-11-09 2017-09-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质量信息的传输方法、基站及用户设备
CN103701558B (zh) * 2010-11-09 2017-10-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质量信息的传输方法、基站及用户设备
CN102130741B (zh) 2010-11-09 2013-09-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质量信息的传输方法、基站及用户设备
JP5255043B2 (ja) * 2010-11-26 2013-08-0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CN102638896B (zh) * 2011-02-15 2017-07-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分量载波优先级别的方法及系统
KR101923440B1 (ko) * 2011-02-15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접속시스템에서 채널품질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
US9282552B2 (en) 2011-05-17 2016-03-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20140369324A1 (en) * 2012-01-20 2014-12-18 Zte Corporation Uplink signal send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EP2983427B1 (en) 2012-03-23 2018-02-28 MediaTek Inc. Methods for physical layer multi-point carrier aggregation and multi-point feedback configuration
KR101791396B1 (ko) * 2012-06-18 2017-10-2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장비, 및 시스템
WO2014161142A1 (en) 2013-04-01 2014-10-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erminal, base station, method of generating dmrs, and transmission method
EP2999282B1 (en) * 2013-06-17 2017-10-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9209923B2 (en) * 2013-11-06 2015-12-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f OFDM signal
GB2522846B (en) * 2014-02-04 2016-08-03 Keysight Tech Singapore (Holdings)Pte Ltd Carrier aggregation
US10033505B2 (en) * 2014-07-31 2018-07-24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channels over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MX2017008002A (es) * 2014-12-19 2017-12-11 Ericsson Telefon Ab L M Llenando simbolos vacios en transmisiones de red de comunicacion celular en espectro sin licencia.
WO2016119207A1 (en) * 2015-01-30 2016-08-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rq/csi ack feedback method over unlicensed carriers
CN106937387A (zh) * 2015-12-30 2017-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控制信号的方法和装置
WO2018031715A1 (en) * 2016-08-10 2018-02-15 Idac Holdings, Inc. Priority-based channel coding for control information
EP4027728A1 (en) 2017-01-11 2022-07-13 MediaTek Inc. Efficient wide bandwidth operation and efficient ue-specific rf bandwidth adaptation
US10454644B2 (en) * 2017-03-24 2019-10-2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ulti-cluster uplink transmissions
CN110754124B (zh) * 2017-06-16 2024-01-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广播信道的资源元素映射
US11678332B2 (en) * 2017-08-22 2023-06-13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and data multiplexing in uplink wireless transmissions
CN110650545B (zh) * 2018-04-04 2020-07-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送、接收上行控制信息的方法及装置
EP4213554A1 (en) * 2018-07-17 2023-07-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bs in nr v2x
US11206705B2 (en) * 2018-07-23 2021-12-21 At&T Mobility Ii Llc Flexible carrier downlink and uplink pairing for advanced networks
JP6609356B2 (ja) * 2018-08-06 2019-11-2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端末、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US11558864B2 (en) * 2019-02-15 2023-01-17 Qualcomm Incorporated Out-of-order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2413B2 (en) 2003-05-16 2008-04-01 Hsien-Rong Liang Multifunctional remote control device
US7184703B1 (en) 2003-06-06 2007-02-27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hop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relay equipments which select signals to forward
KR100566274B1 (ko) * 2003-11-20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 부반송파 할당 장치 및방법
KR20050119590A (ko) 2004-06-16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채널 품질 정보 피드백 장치 및 방법
WO2006034577A1 (en) * 2004-09-30 2006-04-06 Nortel Networks Limited Channel sounding in ofdma system
US7961700B2 (en) 2005-04-28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rrier operation in data transmission systems
CN102916777B (zh) 2005-08-19 2016-06-08 知识产权之桥一号有限责任公司 无线通信基站装置以及信道质量标识符接收方法
KR101119281B1 (ko) 2005-08-29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피드백 장치 및방법과 이를 이용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US8675549B2 (en) 2005-10-27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serving sector mainten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I20065180A0 (fi) 2006-03-20 2006-03-20 Nokia Corp Kanavan laadun osoittimen lähettäminen
JP4818803B2 (ja) 2006-05-01 2011-1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可変tti長制御に基づく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9143288B2 (en) * 2006-07-24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control channe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83939B2 (en) * 2006-08-22 2009-09-01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antenna selection in wireless networks
MX2009011763A (es) * 2007-04-30 2009-12-11 Interdigital Tech Corp Verificacion y deteccion de error de señalizacion de retroalimentacion en sistemas de comunicacion inalambrica mimo.
EP2168297A1 (en) * 2007-06-08 2010-03-31 QUALCOMM Incorporated Hierarchical modulation for communication channels in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US8457235B2 (en) * 2007-06-25 2013-06-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feedback data in multiple antenna system
US9130612B2 (en) * 2008-01-07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uplink control signal formats
US8140944B2 (en) * 2008-01-24 2012-03-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rleaver design with unequal error protection for control information
MY192672A (en) * 2008-02-04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and data multiplexing in communication systems
WO2009120701A2 (en) 2008-03-24 2009-10-01 Zte U.S.A., Inc. Dynamic adjustment and signaling of downlink/uplink allocation ratio in lte/tdd systems
US8259651B2 (en) * 2008-03-25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xing on an LTE uplink control channel
KR100925444B1 (ko) * 2008-05-27 2009-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US8948704B2 (en) 2008-10-22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Scope of channel quality reporting region in a multi-carrier system
KR101065706B1 (ko) 2008-11-23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US8264992B2 (en) 2008-11-26 2012-09-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trol information feedback over the long-term evolution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CN102365837B (zh) 2009-03-29 2014-05-1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控制信息的方法及其装置
WO2010114237A2 (en) 2009-04-02 2010-10-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ck/nac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ed carrier aggregation and apparatus therefor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ricsson; Carrier aggregation in LTE-Advanced; R1-082468; June 30 - July 4, 2008 *
Nokia Siemens Networks, Nokia; Uplink Multiple access for LTE Advanced; R1-082609; June 30th - July 4th, 2008 *
Texas Instruments; Design Aspects of UE Feedback; R1-074695; November, 2007 *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7815B2 (en) 2010-03-26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048109A2 (ko) * 2011-09-26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접속시스템에서 pucch 포맷 3을 이용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3048109A3 (ko) * 2011-09-26 201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접속시스템에서 pucch 포맷 3을 이용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9635651B2 (en) 2011-09-26 2017-04-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using PUCCH format 3 in a wireless access system
WO2014142577A3 (ko) * 2013-03-13 2015-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609634B2 (en) 2013-03-13 2017-03-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device therefor
US10477524B2 (en) 2013-03-13 2019-1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signal and device therefor
US11032805B2 (en) 2013-03-13 2021-06-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signal and device therefor
WO2018174555A1 (ko) * 2017-03-21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109370B2 (en) 2017-03-21 2021-08-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74978B (en) 2012-09-19
GB201100272D0 (en) 2011-02-23
US20110128942A1 (en) 2011-06-02
US8724564B2 (en) 2014-05-13
KR101638900B1 (ko) 2016-07-12
WO2010016698A3 (en) 2010-06-03
WO2010016698A2 (en) 2010-02-11
CN102113255A (zh) 2011-06-29
GB2474978A (en) 2011-05-04
CN102113255B (zh)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90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멀티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US108419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653232C2 (ru) Мультиплексирование управляющей информации и информации данных от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в физическом канале данных
CN111448839B (zh) 用户设备、基站和无线通信方法
US987163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uplink signal
US101429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 uplink control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94392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감시하는 제어 채널들의 집합을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1699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178264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인코딩 방법 및 장치
US87610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in multi-antenna system
USRE48064E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2106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20091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oded symbol
KR10184616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1112018A2 (ko) 캐리어 병합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시그널링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0001931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 및 상기 채널 품질 정보에 따라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KR20180034539A (ko)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방법과 수신 방법, 및 관련 장치
CN104054292A (zh) 用于通过上行链路发送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KR2010001994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 방법
US910095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respons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