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6375A - Z-형 아암들을 갖는 선단 및 후미 아암 서스펜션스 - Google Patents

Z-형 아암들을 갖는 선단 및 후미 아암 서스펜션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6375A
KR20100016375A KR1020097023395A KR20097023395A KR20100016375A KR 20100016375 A KR20100016375 A KR 20100016375A KR 1020097023395 A KR1020097023395 A KR 1020097023395A KR 20097023395 A KR20097023395 A KR 20097023395A KR 20100016375 A KR20100016375 A KR 20100016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bracket
arm
axle bracke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애쉴리 토마스 더딩
로돌포 주니어 로살레스
제롬 림 코르테즈
제리 마이클 러벳
제이슨 스테비 토마스
데이먼 엘우드 딜워스
Original Assignee
헨드릭슨 유에스에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드릭슨 유에스에이, 엘.엘.씨. filed Critical 헨드릭슨 유에스에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00016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60G9/003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being rigidly connected to a trailing gui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02Dead axles, i.e. not transmitting torque
    • B60B35/10Dead axles, i.e. not transmitting torque adjustable for varying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30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31Rigid axle suspensions with two trailing arms rigidly connected to th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6Mounting of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9Damper mount on wheel suspension or kn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8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unsprung part of the vehicle, e.g. wheel knuckle or rigid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60G2204/4306Bracket or knuckle for rigid axles, e.g. f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2Steel
    • B60G2206/722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3Shaping by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선단 또는 후미 아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은 제작된 차량 차축 및 아암 조립체로 구성된다. 아암 조립체는 차축에 부착된 차축 브라켓과 차축 브라켓에 부착된 선단 또는 후미 아암을 포함한다. 아암은 차축 권취를 제어하도록 굽힘 강도를 제공하고 차축 위치를 제어하도록 종방향 강도를 제공한다. 차축 브라켓은 관통 볼트 연결부를 갖는 차량 차축에 부착된다. 차축 브라켓 또는 아암은 랙과 피니온 설치 부착 구멍들을 포함하고 또한 차량 차축으로의 효율적인 부하 전달을 제공하는 다른 내장 형태부도 역시 포함한다.
Figure P1020097023395
차축 조립체, 차축 브라켓, 서스펜션 구성요소 부착물 설치면,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

Description

Z-형 아암들을 갖는 선단 및 후미 아암 서스펜션스{LEADING AND TRAILING ARM SUSPENSIONS WITH Z-SHAPED ARM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선단 아암 및 후미 아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 유형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작된 중공 차량 차축을 차량 프레임 행거에 연결하는 종방향 연장 아암을 구비한 서스펜션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선단 및 후미 아암 서스펜션 시스템들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서스펜션들은 전형적으로 차축 시트 또는 다른 중간 서스펜션 구성요소를 통해서, 근위 단부에서 차량 프레임 행거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일반적으로 원위 단부에서 차량 차축에 견고하게 연결된 종방향 연장 아암을 전형적으로 구비한다. 아암은 전형적으로 차축 권취(windup)를 제어하도록 굽힘 강도(bending stiffness)를 제공하고 차축 위치를 제어하도록 종방향 강도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아암은 이 문단에 기재된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선단 아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들은 차량 차축이 프레임 행거 앞에 위치하는 서스펜션들의 유형들이다. 후미 아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들은 차량 차축이 프레임 행거 뒤에 위치하는 서스펜션들의 유형들이다.
선단 아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들은 방향에 대한 기준 프레임을 제공할 목 적으로 그리고 균일성을 목적으로 본 특허 출원서에 예시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들은 후미 아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들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각 예에 대해서, 선단 아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의 각 기재 내용은 예시적인 설명으로 고려되며 유사 구조 및 기능적 특성들을 나타내는 후미 아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에도 적용될 것이다.
종래의 선단 및 후미 아암 서스펜션 시스템들은 특정 목적에 적합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일부 장점들이 결핍되어 있다. 많은 이들 장점들은 본원에 명확하게 기재되며 다른 장점들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한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한 장점은 선단 또는 후미 아암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선단 또는 후미 아암의 사용이며,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아암 조립체는 예를 들어, 내구성 관통 볼트 연결에 의해서 관형 차량 차축에 부착되고 후미 아암 서스펜션 시스템들과 선단 아암 서스펜션 시스템들에 각각 사용되는 유형의 후미 아암 또는 선단 아암과 같은 서스펜션 구성요소의 부착을 허용하는 수직 평면을 구비하는 차축 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다른 장점은 차축 브라켓 주물에 포함된 횡방향 토크 로드 부착물을 구비한 이러한 차축 브라켓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또다른 장점은 차축 브라켓 주물에 포함된 쇼크 부착물 로케이션((shock attachment location)을 갖는 이러한 차축 브라켓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또다른 장점은 차축 브라켓 주물에 포함된 랙과 피니온(rack and pinion) 부착물 로케이션을 갖는 이러한 차축 브라켓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또다른 장점은 차축 브라켓 주물에 포함된 에어 스프링 부착물 로케이션을 갖는 이러한 차축 브라켓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또다른 장점은 차축 브라켓 주물에 포함된 캐스터 웨지(caster wedge) 부착물 로케이션을 구비하고 슬롯형 캐스터 부착물 구멍 및 둥근 피봇 구멍을 추가로 구비하여 고정구(fixture)없이 조립체를 허용하는 이러한 차축 브라켓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또다른 장점은 그 수직 평면을 따라 차축 브라켓에 고정된 Z-형 단면을 구비하고 그에 의해서 아암으로부터 차축 브라켓 주물로 효율적인 부하 전달을 제공해서 상기 고정을 위해 사용된 고정자 주위에서 응력 라이저(stress riser)의 진행(development)을 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고 최적의 응력 분배를 이루는 아암을 구비한 아암 조립체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 또다른 장점은 차축 브라켓 주물에 대한 아암의 부착과 나란하게 전단 중심을 구비하여서 구브러짐 및 관련 비틀림을 부분적으로 피하는 이러한 Z-형 아암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또다른 장점은 중량을 위한 섹션을 최적화하고 아암이 서스펜션 롤 동안 과도하게 경직되지 않도록 적응성(compliance)을 보강하도록 효율적으로 테이퍼진 상단 및 하단 플랜지들을 갖는 이러한 Z-형 아암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또다른 장점은 소정의 양호한 범위 내에서 롤 강도(roll stiffness)를 추가로 제어하도록 이러한 Z-형 아암을 갖는 기공형성 부싱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 또다른 장점은 그에 연결된 횡방향 토크 로드 브라켓을 구비한 이러한 Z-형 아암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 또다른 장점은 비임에 포함된 랙과 피니온 부착물 로케이션을 갖는 이러한 Z-형 아암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또다른 장점은 용이한 제조를 달성하고 그리고 패키징 제한사항을 수용하도록, 압인된 구성(stamped configuration)을 갖는 이러한 Z-형 아암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또다른 장점은 서스펜션 시스템 중량, 부품수, 조립 시간 및 조립 복잡성을 감소시키도록, 이러한 아암 조립체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또다른 장점은 고장 모드를 감소시키고 생산 통합성을 개선하도록, 이러한 아암 조립체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또다른 장점은 비임을 관련 차량 프레임 행거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부싱 및 아암의 적응성을 최적화함으로써, 서스펜션의 롤 강도를 조정하는 능력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형태의 상기 및 기타 장점들은 하기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장치가 하기 설명으로부터 수집된 것을 포함하는 상기 장점들중 각 장점 및 모든 장점들을 나타내지 않고 본원에 청구된 발명을 도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다. 임의의 장점들이 기재되거나 또는 암시되지 않은 첨부된 청구범위들은 본 발명의 요지를 규정한다. 임의의 및 모든 장점들은 본 발명의 모든 형태로부터 얻어지며, 본 발명의 일반적인 구성에서 얻어진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후미 또는 선단 아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 차축은 차량 중심선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차량 차축은 중공 섹션을 구비한다. 차축 브라켓은 차량 차축에 부착되고, 아암은 차축 브라켓에 부착되어서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그리고 차량 차축의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차축 브라켓은 차축 상으로 끼워지고 차축 주위를 부분적으로 감싼다. 차축 브라켓은 아암이 그에 설치될 수 있게 하는 수직 설치 평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형태는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선단 아암 서스펜션 시스템의 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스펜션 시스템의 전방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스펜션 시스템의 임의의 구성요소들의 후방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다른 선단 아암 서스펜션 시스템의 임의의 구성요소들의 전방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스펜션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후방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선단 아암 서스펜션 시스템의 임의의 구성요소들의 전방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스펜션 시스템의 후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설계된 서스펜션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후방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사용하는 서스펜션 시스템의 일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설계된 서스펜션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변형된 유사 구성요소의 사시도.
도 1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선단 아암 서스펜션 시스템의 일부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서스펜션 시스템의 일부의 단면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서스펜션 시스템의 일부의 다른 단면 사시도.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서스펜션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조립체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서스펜션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요소들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서스펜션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임의의 구성요소들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서스펜션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또다른 구성요소의 사시도.
도 19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양호한 형태들의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부분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서스펜션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요소들의 조립체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임의의 구성요소들의 조립체의 다른 사시도.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유사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유소 부호를 지정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선단 아암 유형 서스펜션(30)을 구비한 차량용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제작된 차량 차축(32)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차량 중심선을 가로질러 일반적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한쌍의 협력하는 조향 너클(steering knuckle;34)이 제작된 차량 차축(32)의 대향 단부에 부착된다. 조향 너클(34)은 제작된 차량 차축(32)의 각 거위목형 단부(35)에 공지된 방식으로 킹 핀들(king pins;도시생략)에 의해서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제작된 차량 차축(32)과 조향 너클(34)에 관한 상세구성에 대한 추가 정보에 대해서, 미국 특허 제 6,609,764호(Dudding 등)과 미국 특허 제 6,616,156호(Dudding 등)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두 특허 공보에 충분히 기재된, 제작된 차량 차축(32)과 조향 너클(34) 의 상세구성은 당업자에게 사용가능하고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세 구성을 기재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특허 제 6,609,764호(Dudding 등)은 본원에서 참고로 합체되었다. 유사하게, 미국 특허 제 6,616,156호(Dudding 등)는 본원에서 참고로 합체되었다. 제작된 차량 차축(32)은 큰 롤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박스 섹션을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또한 제작된 차량 차축(32)을 통해서 볼트체결되고 위에 끼워진 차축 브라켓(38)을 각각 포함하는 두개의 선단 아암 조립체(36)를 도시한다. 차축 브라켓(38)은 양호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가소성 철 주물이고 제작된 차량 차축(32) 위에 덮혀진(glove) 완전히 통합된 구조이다. 이 구성은 비용 및 하중 뿐 아니라 제조 용이성에 관하여 매우 효율적이다. 관통 볼트 연결은 각각의 차축 브라켓(38)을 제작된 차량 차축(32)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된다.
각각의 차축 브라켓(38)은 에어 스프링 설치 패드(40)와 쇼크 부착물(42)을 포함한다. 각각의 차축 브라켓(38)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에 부착된 충격 흡수체(44)를 구비한다. 또한, 각각의 차축 브라켓(38)은 단면이 일반적으로 차량의 종축 및 횡축에 대한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배향된 아암 부착면(46)을 포함한다.
각각의 선단 아암 조립체(36)는 또한 일반적으로 z-형 단면을 구비한 선단 아암(48)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z-형 아암(48)은 상단 측방향 연장면(50), 하단 측방향 연장면(52) 및 상기 상단 및 하단 측방향 연장면들을 결합하 는 수직 연장 설치면(54)을 구비한다. 각각의 z-형 아암(48)은 차축 브라켓의 수직 배향된 아암 부착면(46)을 z-형 아암의 수직 연장 설치면(54)에 의해서 고정함으로써 그 연계된 차축 브라켓(38)에 부착된다. 여기서, 각각의 수직면(46,54) 상의 보어들은 서로 축방향 정렬되고 볼트들 또는 다른 고정자들은 차축 브라켓(38)과 z-형 아암(48)을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이 구성은 고정을 위해 고정자들 주위에 응력 라이저의 진행을 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최적의 응력 분배를 생성하기 위하여, 아암(48)으로부터 차축 브라켓 주물(38)로 효율적인 부하 전달을 제공한다. 아암의 수직 연장 설치면(54)과 나란한 전단 중심을 구비한 z-형 아암(48)과 차축 브라켓(38)의 수직 배향된 아암 부착면(46)을 사용하면 구브러짐 및 관련 비틀림을 부분적으로 피할 수 있다. z-형 아암(48)의 상단 및 하단 측방향 연장면(50,52)은 중량에 대한 섹션을 최적화하도록 그리고 아암이 서스펜션 롤 동안 과도하게 경직되지 않게 적응성을 보강하도록 효율적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추가로, 개방 z-형 섹션은 아암(48)이 서스펜션 롤 동안 또는 교차 관절운동(cross-articulation) 동안 과도하게 응력을 받지 않도록 비틀림 적응성을 제공한다.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z-형 아암(48)의 하단 측방향 연장면(52)은 아암에 대해서 상단 측방향 연장면(50)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내장 배치된다.
각각의 아암(48)은 부싱을 수납하고 비임을 차량 프레임 행거(도시생략)에 연결하기 위한 근위 단부에 있는 부싱 수납 보어 또는 외부 캐니스터(56)를 포함한다. 각각의 차량 프레임 행거는 종방향 연장 차량 프레임 레일들(58)중 각각의 하나에 부착된다. 각각의 아암(48)은 차량 프레임 행거로부터 제작된 차량 차축(32) 으로 그리고 차량 차축(32)을 지나서 안내하는 구성에서 종방향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술한 방식으로 관련 차축 브라켓(38)에 부착된다. 각각의 z-형 아암(48)은 또한 관련 차축 브라켓(38)의 에어 스프링 설치 패드(60)과 상보적 형상인 에어 스프링 설치 패드면(60)을 포함한다. 에어 스프링(6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z-형 아암(48)의 에어 스프링 설치 패드면(60) 상단에 설치된다. 각각의 아암(48)이 연장되므로, 그 폭은 에어 스프링 설치 패드면 영역(60)의 종단부 또는 그 부근에 있는 최대폭에서 외부 캐니스터(56)에 있는 최소폭으로 완만하게 감소한다. 여기서, 각각의 상단 및 하단면(50,52)에 대한 최외측 종방향 연장 에지들이 테이퍼진다. 당업자는 바람직하다면, 아암(48)에 대하여 다른 크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아암(48)은 차축 권취를 제어하기 위한 굽힘 강도와 차축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종방향 강도를 제공한다.
각각의 아암 조립체(36)는 또한 랙과 피니온 설치 브라켓(63)을 포함한다. 이러한 각각의 브라켓(6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48)의 수직 연장 설치면(54)에 고정된다. 랙과 피니온 설치 브라켓(63)은 z-형 아암(48)의 하단면(52) 내측과 아래로 연장된다. 도 4에 있어서, 랙과 피니온 조향 시스템(64)은 브라켓(63)을 적당한 고정자들에 의해서 설치하기 위하여 그때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경우에서 아암 조립체들중 하나, 우수 아암 조립체는 횡방향 토크 로드 설치 브라켓(66)을 포함한다. 횡방향 토크 로드 설치 브라켓(66)은 또한 관련 아암(48)의 수직 연장 설치면(54)에 부착된다; 그러나, 브라켓은 그 내측 상에 그리고 그 아암에 대한 하단 연장면(52) 위에 부착된다. 아암(48)에 부착될 때, 설 치 브라켓(66)은 적당한 수단에 의해서 횡방향 토크 로드(도시생략)를 수납하여 설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도 4와 도 5는 다른 선단 아암 서스펜션 시스템(130)을 도시한다. 차량은 이미 기술된 유형의 제작된 차량 차축(32)과 조향 너클(34)을 포함한다. 두개의 아암 조립체들(136)도 역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아암 조립체(136)는 양호하게 알루미늄 또는 가소성 철 주물로 제작된 차축 브라켓(138)을 포함한다. 각각의 차축 브라켓(138)은 제작된 차량 차축(32) 상에 끼워지고 본 명세서 후반에 기술된 관통 볼트 연결에 의해서 부착된다. 각각의 차축 브라켓(138)은 통합된 에어 스프링 설치 패드(140), 통합된 쇼트 부착물(142) 및 통합된 랙과 피니온 부착물(14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차축 브라켓(138)은 차축 브라켓(138)이 통합된 랙과 피니온 부착물(143)을 포함하는 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차축 브라켓(38)과 상이하다. 랙과 피니온 조향 시스템(6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당한 고정자에 의해서 차축 브라켓(138)에 부착된다. 에어 스프링과 충격 흡수체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이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부착물과 일치되는 방식으로 차축 브라켓(138)에 부착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차축 브라켓(138)이 구성이 상이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과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z-형 아암(148)은 각 아암 조립체(136)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z-형 아암(148)은 종래기술에서 기술된 z-형 아암(48)과 유사한 형상 및 설계를 가진다. 두개의 z-형 아암(148)은 일반적으로 z-형 단면을 각각 구비한다. 각각의 z-형 아 암(148)은 상단 측방향 연장면(150), 하단 측방향 연장면(152)과 상단 및 하단 측방향 연장면들을 결합하는 수직 연장 설치면(154)을 구비한다. 각각의 z-형 아암(148)은 차축 브라켓의 수직 배향된 아암 부착면(146)을 z-형 아암의 수직 연장 설치면(154)으로 고정함으로써, 관련 차축 브라켓(138)에 부착된다. 각각의 수직면(146,154)의 보어들은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볼트들 또는 다른 고정자들은 차축 브라켓(138)과 z-형 아암(148)을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이 조립체로써, 대응하는 기술된 장점들이 달성된다.
각각의 아암(148)은 부싱(157)을 수납하고 아암을 차량 프레임 행거(도시생략)에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종방향 연장 차량 프레임 레일에 연결하기 위한 근위 단부에 있는 부싱 수납 보어 또는 외부 캐니스터(156)를 포함한다. 각각의 아암(148)이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될 때, 그 폭은 일반적으로 부싱 외부 캐니스터(156)에 있는 최소 폭에서 원위 단부에 더욱 인접한 최대 폭으로 증가한다. 각각의 아암(148)에 대한 상단 및 하단면들(150,152)은 바람직할 때 테이퍼지고 구조의 양호한 강도에 대해서 최적화된다. 다시, 여러 z-형 아암 크기들은 아암을 특정 적용의 용도에 맞추기 위하여 바람직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우수 아암(148)은 횡방향 토크 로드 설치 브라켓(166)을 포함한다. 브라켓(166)은 양호하게 주물이고 그 내측 상에 그리고 아암에 대한 하단 연장면(152) 위에 있는, 그 관련 아암(148)의 수직 연장 설치면(154)에 부착된다. 아암(148)에 부착될 때, 설치 브라켓(166)은 적당한 수단에 의해서 횡방향 토크 로드(도시생략)를 수납하여 설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캐스터 웨지들(168)은 서스펜션(130)의 각 측부 상에 있는 아암(148)과 차축 브라켓(138) 사이에 위치한다. 웨지들(168)은 차축 브라켓(138)과 아암(148) 사이에 놓여져서 보유된다. 결과적으로, 서스펜션(130)에 대한 바람직한 캐스터 각도는 조립체 고정구(도 13 참조)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 세팅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또다른 선단 아암 서스펜션 시스템(230)을 도시한다. 차량은 이미 기술한 유형의 제작된 차량 차축(32)과 조향 너클(34)을 포함한다. 다시, 두개의 아암 조립체들(236)도 역시 제공된다. 각각의 아암 조립체들(236)는 양호하게 알루미늄 주물로 제작된 차축 브라켓(238)을 포함한다. 각각의 차축 브라켓(238)은 제작된 차량 차축(32) 상에 끼워지고 관통 볼트 연결에 의해서 부착된다. 각각의 차량 브라켓(238)은 통합된 에어 스프링 설치 패드(240), 통합된 쇼크 부착물(242) 및 통합된 랙과 피니온 부착물(243)을 포함한다. 랙과 피니온 조향 시스템(도시생략)은 고정자들에 의해서 차축 브라켓(238)에 부착된다. 에어 스프링과 충격 흡수체(역시 도시생략)는 각각의 차축 브라켓(238)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축 브라켓(238)은 구성이 상이하지만, 동일할 수 있다.
z-형 아암(248)은 각각의 아암 조립체들(236)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z-형 아암(248)은 유사한 z-형 단면을 가지며, 서두에 기재된 동일한 유익을 나타낸다. 여기서, 각각의 z-형 아암(248)은 상단 측방향 연장면(250), 하단 측방향 연장면(252)과, 상기 상단 및 하단 측방향 연장면들을 결합하는 수직 연장 설치면(254)을 구비한다. 상기 상단 및 하단 측방향 연장면들(250,252)은 최적의 응력 특성을 생성하도록, 테이퍼져서 z-형 단면의 수평 중심을 향하여 약간 굴곡된다.
각각의 z-형 아암(248)은 차축 브라켓(도 13 참조)의 수직 배향된 아암 부착면(246)을 z-형 아암의 수직 연장 설치면(254)으로 고정함으로써, 관련 차축 브라켓(238)에 부착된다. 각각의 수직면(246,254) 상의 보어들은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볼트 또는 고정자들은 차축 브라켓(238)과 z-형 아암(248)을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각각의 아암(248)은 부싱(257)을 수납하여 비임(258)을 차량 프레임 행거(도시생략)에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종방향 연장 차량 프레임 레일들에 연결하기 위해 근위 단부에 있는 부싱 수납 보어 또는 외부 캐니스터(256)를 포함한다. 각각의 아암(248)은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로 연장되고, 그 폭은 일반적으로 부싱 외부 캐니스터(256)에 있는 최소 폭으로부터 원위 단부에 더욱 인접하고 차축 브라켓(238)을 위한 랙과 피니온 설치 영역(243)을 위한 부착면에 있는 최대 폭으로 증가하며, 여기서 캐스터 웨지들(268)은 서스펜션(230)을 위한 고정된 원하는 캐스터 각도를 세팅하는데 사용하고 고정구의 사용없는 조립을 허용한다. 여러 z-형 아암 크기들은 바람직할 때, 아암을 특정 적용 용도에 맞추는데 사용될 수 있다.
우수 아암(248)은 그에 고정된 횡방향 토크 로드 설치 브라켓(266)을 포함한다. 브라켓(266)은 양호하게 주물이고 내측 아암 조립체에 있는 관련 아암(248)의 하단 측방향 연장면(252)과 수직 연장 설치 평면(254)에 부착된다. 설치 플레이트(267)는 아암(248)의 수직 연장 설치 평면(254)에 부착되는 것을 허용한다(도 12 참조). 아암(248)을 차축 브라켓(238)에 부착하는데 사용된 일부 동일한 고정자들은 횡방향 토크 로드 설치 브라켓(266)을 아암의 수직 연장 설치 평면(254)에 부착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설치 브라켓(266)은 적당한 수단에 의해서 횡방향 토크 로드(도시생략)의 수납 및 설치를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모든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동일 또는 유사 구성요소들은 후미 아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철 주물 형태로 도시된 횡방향 토크 로드 설치 브라켓(366)을 도시한다. 브라켓(366)은 설치 보어(371)를 구비한 두개의 설치 귀형상체(370)를 포함하고 교대로 차축 브라켓(238)의 수직 배향된 아암 부착 평면(246)에 설치된 z-형 아암(248)의 수직 연장 설치 플랜지(254)의 내측에 설치된다. 브라켓(366)은 또한 횡방향 토크 로드(도시생략)의 부착을 허용하기 위한 토크 로드 부착 부분(372)을 포함한다.
도 10은 알루미늄 또는 가소성 철 주물 형태로 도시된 차축 브라켓(374)을 도시한다. 차축 브라켓(374)은 그 위에 끼워져서 관통 볼트와 차량 차축(32)과의 연결을 허용하도록 설계된 차축 관통 볼트 부분(376)을 포함한다. 보어들(378)은 이 목적을 위한 포함된다. 차축 브라켓(374)은 또한 에어 스프링 부착 부분(380), 충격 흡수체 부착 부분(382) 및 랙과 피니온 부착 부분(384)을 포함하고, 적당한 보어들은 상기 구성요소들이 브라켓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차축 브라켓(374)은 수직 배향된 아아 부착 평면(394)을 따라 부착된 4개의 보어들(390 내지 393)을 추가로 포함한다. 3개의 보어들(390 내지 392)은 슬롯형이고, 하나의 보어(393)는 둥근형이다. 둥근 보어(393)는 피봇 또는 회전 지점으로서 작용한다. 3개의 슬롯형 보어들(390 내지 392)은 고정자들이 슬롯을 따라 여러 지점에서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차축 브라켓(374)과 z-형 아암 사이의 배향이 조정될 수 있어서, 조립 동안 캐스터 각도의 세팅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조립 고정구의 사용없이 조립될 수 있게 한다.
도 11은 다른 차축 브라켓(400)을 도시한다. 이 차축 브라켓(400)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차축 브라켓 주물 내에 포함된 횡방향 토크 로드 부착물(402)을 포함한다. 이는 횡방향 토크 로드가 직접 차축 브라켓(400)에 부착되어서 중량, 비용 및 구성요소의 복잡성을 경감될 수 있게 한다.
도 12 내지 도 15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서스펜션 시스템 구성요소의 일부를 도시한다. 두개의 쇼크 부착물 로케이션(242)은 바람직하게 단일 차축 브라켓(238)이 다른 바람직한 상세구성을 구비한 차량과 함께 사용될 수 있게 허용하도록 사용된다.
캐스터 웨지(26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슬롯형 보어들(290 내지 292)은 바람직한 캐스터 각도가 세팅될 수 있게 허용하도록, 둥근 피봇 보어(293)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랙과 피니온 고정자(294)는 캐스터 웨지들(268)을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양호하게, 캐스터 웨지들(268)은 z-형 아암(248)의 하단 측방향 연장면(252) 위 아래에서 유지되어서, 캐스터 조정이 원하는 세팅 장소에서 세팅되고 유지 또는 로킹될 수 있게 한다. 토크 로드 브라켓(266)의 배향은 그때 바람직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제작된 차량 차축(32)에 대한 차축 브라켓(238)의 관통 볼트 연결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된 차량 차축(32)은 역전된 U형 부 재(406)이 용접된 공지된 하단 플레이트(404)를 포함한다. 역전된 U형 부재(406) 내에서, 제작된 차량 차축(32)은 일반적인 스너그 끼움 방식(snug fitting relationship)으로 볼트(410)의 샤프트들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슬리브(408)를 포함한다. 각각의 차축 브라켓(238)은 제작된 차량 차축(32)의 역전된 U형 부재(406) 주위를 감싸므로, 차축의 원위측 상에서 랩 플레이트(wrap plate;412)를 포함한다. 랩 플레이트(412)는 제작된 차량 차축(32)의 역전된 U형 부재(406)를 통해서 연장되는 슬리브(408)와 정합되는 두개의 보어들(414)을 포함한다. 볼트(410)는 차축 브라켓(238)의 차축 랩 부분의 근위 단부에 형성된 지탱면 안으로 가공된 보어들, 슬리브들(408) 및 랩 플레이트(412) 내의 보어들(414)을 통해서 삽입된다.
도 16은 내부에 포함된 랙과 피니온 부착물(420)을 구비한 z-형 아암 구성(418)을 도시한다. 랙과 피니온 조향 시스템(64)은 z-형 아암(418)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랙과 피니온 조향 시스템(64)은 랙과 피니온 시스템을 아암(418) 안에 통합된 랙과 피니온 설치 구멍들에 고정하는 고정자들을 사용함으로써 부착된다.
도 17은 횡방향 토크 로드 브라켓(426)이 부착된 z-형 아암(424)을 도시한다. 횡방향 로드 브라켓을 z-형 아암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8은 압인된 구성을 구비한 z-형 아암을 도시한다. 이 구성은 z-형 아암(428)이 여러 프로파일을 구비할 수 있게 하여서, 패키징 제한사항을 수용하도록, 부품 설계의 추가적인 최적화를 허용한다. 압인된 z-형 아암(428)의 형상은 계획된 용도에 정확하게 맞추어질 수 있다.
도 19와 도 20은 z-형 아암의 종방향 연장 부분이 부싱을 위한 외부 캐니스터(256)를 갖는 개선된 용접 특성을 구비할 수 있게 허용하는 스키 팁 유형(ski tip type) 용접 접촉면(249)을 구비한 z-형 아암(428)을 도시한다. 또한, 기공형 부싱(257)은 롤링 강도를 추가로 제어하여 조율하도록, 상단 및 하단 상에서 기공과 함께 도시된다. 부싱(257)의 전후 부분은 기공이 없으며 편요(yaw)에서 공진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형태를 잠재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다. 서스펜션(230)에 대한 롤 강도는 범위 또는 "적절한 시간대(window)"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 강도는 원하는 차량 취급을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고, 새시에 대한 진동 및 비틀림 입력을 유발하지 않고 의도하지 않은 부하 전달 및 핸들성능의 불량을 유발하지 않을 만큼 충분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 및 도 22는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데, 이 구성에 의해서 차축 랩을 위하여 별개의 브라켓들이 사용되고 피니온 조향 시스템의 설치될 수 있다. 차축 랩 브라켓이 도면부호 "430"으로서 지정되고, 랙과 피니온 설치 브라켓이 도면부호 "432"로 지정된다. 브라켓들(430,432)은 적당한 고정자들에 의해서 z-형 아암에 부착된다.
본 발명은 여러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이러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오히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하기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 내에서 변형 및 수정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이러한 임의의 변형 및 수정은 하기 청구범위 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요소들과 동등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청구범위에 의해서 법령에 의해서 허용되는 최대의 크기로 포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7)

  1. 차량에서 사용하기 위한 차축 조립체로서,
    차량 중심선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중공 섹션을 구비한 차량 차축;
    상기 차량 차축에 부착되고, 상기 차축 상으로 끼워지며 상기 차축 섹션의 적어도 일부 주위를 감싸는 차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차축 브라켓은 상기 차축 브라켓이 상기 차축에 부착될 때, 상기 차축 위에 위치한 서스펜션 구성요소 부착물 설치면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차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평면에서 연장되어서, 부착된 서스펜션 구성요소에 대한 전단 부착물 설치면(shear attachment mounting surface)을 제공하는, 차축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차축은 박스 섹션을 구비한 제작된 차량 차축인, 차축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알루미늄 주물인, 차축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철 주물인, 차축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그 일부분으로서 포함된 횡방향 토크 로드 부착물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그 일부분으로서 포함된 쇼크 부착물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그 일부분으로서 에어 스프링 부착물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그 일부분으로서 랙과 피니온 부착물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그 일부분으로서 캐스터 웨지 부착물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슬롯형 캐스터 부착물 구멍 및 둥근 피봇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
  11. 차량에서 사용하기 위한 차축 조립체로서,
    차량 중심선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중공 섹션을 구비한 차량 차축;
    상기 차량 차축에 부착되고, 상기 차축 상으로 끼워지며 상기 차축 섹션의 적어도 일부 주위를 감싸는 차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차축 브라켓은 그 일부분으로서 랙과 피니온 부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차축은 박스 섹션을 구비한 제작된 차량 차축인, 차축 조립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알루미늄 주물인, 차축 조립체.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철 주물인, 차축 조립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그 일부분으로서 포함된 횡방향 토크 로드 부착물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그 일부분으로서 포함된 쇼크 부착물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그 일부분으로서 에어 스프링 부착물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그 일부분으로서 캐스터 웨지 부착물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슬롯형 캐스터 부착물 구멍 및 둥근 피봇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
  20. 측방향 연장 차량 차축에 부착하기 위한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 차축에 부착된 차량 차축으로서, 차축 브라켓이 상기 차축에 부착될 때, 상기 차축 위에 위치한 서스펜션 아암 부착물 설치면을 구비하고 상기 차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평면에서 연장되는 차축 브라켓; 및
    상기 차축 브라켓의 상기 서스펜션 아암 부착물 설치면을 따라 상기 차축 브라켓에 부착되고, 상기 차축 브라켓에 대한 상기 서스펜션 아암의 부착을 허용하는 설치면을 구비하는 종방향 연장 서스펜션 아암을 포함하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선단 아암 서스펜션 시스템인,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후미 아암 서스펜션 시스템인,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아암은 Z-형 단면을 구비하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아암에 부착된 횡방향 토크 로드 브라켓을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아암은 그 일부분으로서 랙과 피니온 부착물을 포함하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브라켓은 그 일부분으로서 캐스터 웨지 부착물을 포함하고 슬롯형 캐스터 부착물 구멍 및 둥근 피봇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아암은 부싱 외부 캐니스터와 내부에 삽입된 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부싱에는 상기 서스펜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두 방향으로 기공(void)이 형성되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
KR1020097023395A 2007-04-12 2008-03-27 Z-형 아암들을 갖는 선단 및 후미 아암 서스펜션스 KR201000163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34,671 US7748726B2 (en) 2007-04-12 2007-04-12 Leading and trailing arm suspensions with z-shaped arms
US11/734,671 2007-04-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375A true KR20100016375A (ko) 2010-02-12

Family

ID=39853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395A KR20100016375A (ko) 2007-04-12 2008-03-27 Z-형 아암들을 갖는 선단 및 후미 아암 서스펜션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748726B2 (ko)
EP (1) EP2137003B1 (ko)
JP (1) JP2010523404A (ko)
KR (1) KR20100016375A (ko)
CN (1) CN101687454B (ko)
AU (1) AU2008239471C1 (ko)
BR (1) BRPI0811049A2 (ko)
CA (1) CA2683039C (ko)
MX (1) MX2009010486A (ko)
WO (1) WO20081278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8023A1 (en) * 2005-01-14 2006-07-20 The Boler Company Continuous radius axle and fabricated spindle assembly
US8029008B2 (en) * 2005-04-27 2011-10-04 Hendrickson Usa, L.L.C. Vehicle suspensions having leaf springs and alternative clamp groups
US20060244236A1 (en) 2005-04-27 2006-11-02 Cortez Jerome L Vehicle suspensions having leaf springs and alternative clamp groups
US7690660B2 (en) * 2007-03-29 2010-04-06 Hendrickson Usa, L.L.C. Leading and trailing arm suspensions having a fully integrated arm
KR100941255B1 (ko) * 2007-10-05 2010-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형 프레임 차량의 트레일링 암 마운팅 장치
DE102011086517A1 (de) * 2011-11-17 2013-05-23 Zf Friedrichshafen Ag Starrachse mit Luftfederung
US8820760B2 (en) * 2011-12-28 2014-09-02 Vdl Weweler B.V. Wheel axle suspension
EP2969709A4 (en) * 2013-03-15 2017-04-12 Edison2 LLC Axle mounting system and vehicle
US9085212B2 (en) 2013-03-15 2015-07-21 Hendrickson Usa, L.L.C. Vehicle suspension
US9150071B2 (en) 2013-07-25 2015-10-06 Hendrickson Usa, L.L.C. Frame hanger for vehicle suspension
US9315083B2 (en) 2014-07-15 2016-04-19 Hendrickson Usa, L.L.C. Frame hanger for providing thrust angle alignment in vehicle suspension
US9840121B2 (en) * 2014-10-23 2017-12-12 Unverferth Manufacturing Company, Inc. Suspension axle
DE102015216207A1 (de) * 2015-08-25 2017-03-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Querlenker für eine Radaufhängung eines lenkbaren Rades eines Kraftfahrzeugs
DE102016007367A1 (de) * 2016-06-16 2017-10-19 Hochschule für Angewandte Wissenschaft und Kunst - Hildesheim/Holzminden/Göttingen Starres Fahrwerk für Nutzfahrzeuge
EP3684634A1 (en) * 2017-09-23 2020-07-29 Hendrickson USA, L.L.C. Fabricated axle seat assembly
USD871273S1 (en) * 2017-12-04 2019-12-31 Cruisemaster Australia Pty Ltd Independent suspension arm for a vehicle having a diagonal reinforcing member
WO2020071179A1 (ja) * 2018-10-02 2020-04-09 日本製鉄株式会社 サポートビー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33A (ja) * 1995-06-23 1997-01-07 Suzuki Motor Corp リ−ディングア−ム
US6241266B1 (en) 1995-08-03 2001-06-05 Holland Neway International, Inc.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wrapper compression axle mounting and articulated axle mounting
US6237304B1 (en) 1997-07-18 2001-05-29 Henkel Corporation Laminate structural bulkhead
US6032967A (en) * 1998-02-18 2000-03-07 Dana Canada, Inc. Axle and suspension connection assembly and method
AU749462B2 (en) 1998-07-02 2002-06-27 Hendrickson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iling arm axle/suspension system
JP2000108632A (ja) * 1998-09-30 2000-04-18 Rhythm Corp スタビライザコンロッド
US6808192B1 (en) 1999-11-24 2004-10-26 The Holland Group, Inc. Trailing arm suspension
US6416136B1 (en) 2000-02-23 2002-07-09 Fred P. Smith Lightweight, adjustable-height, axle
US6616156B1 (en) * 2000-04-27 2003-09-09 The Boler Company Steering knuckle
AU2003277354B2 (en) 2002-10-30 2007-10-11 Hendricks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teering damper and backup lock beam attachment
US7464948B2 (en) 2003-09-17 2008-12-16 Hendrickson Usa, L.L.C. Distributed compliance axle/suspension system
KR20050038139A (ko) * 2003-10-21 2005-04-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로어암 부시 장치
US7445220B2 (en) 2004-02-06 2008-11-04 Daimler Trucks North America Llc Vehicle axle apparatus
US7360774B2 (en) 2004-08-11 2008-04-22 Arvinmeritor Technology, Llc Cast trailing arm assembly for trailer suspension
US20060244236A1 (en) * 2005-04-27 2006-11-02 Cortez Jerome L Vehicle suspensions having leaf springs and alternative clamp groups
US7516968B2 (en) 2005-04-29 2009-04-14 Hendrickson Usa, L.L.C. Wishbone-shaped linkage component and suspension systems incorporating the same
US7484745B2 (en) 2006-03-07 2009-02-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Brinelling bushing joint assembly
US7360773B2 (en) * 2006-07-21 2008-04-22 Hendrickson Usa, L.L.C. Self-steering axle suspension system having a rotary stabilizer
US7618049B2 (en) 2006-09-15 2009-11-17 Arvinmeritor Technology, Llc Trailing arm suspension
US7690660B2 (en) * 2007-03-29 2010-04-06 Hendrickson Usa, L.L.C. Leading and trailing arm suspensions having a fully integrated 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39471B2 (en) 2013-06-06
AU2008239471A1 (en) 2008-10-23
CA2683039A1 (en) 2008-10-23
WO2008127857A2 (en) 2008-10-23
BRPI0811049A2 (pt) 2015-01-27
EP2137003B1 (en) 2012-05-16
US7748726B2 (en) 2010-07-06
CN101687454B (zh) 2013-08-07
JP2010523404A (ja) 2010-07-15
CA2683039C (en) 2015-06-23
AU2008239471C1 (en) 2013-09-12
CN101687454A (zh) 2010-03-31
EP2137003A2 (en) 2009-12-30
WO2008127857A3 (en) 2009-12-30
MX2009010486A (es) 2010-01-25
US20080252031A1 (en) 2008-10-16
EP2137003A4 (en)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6375A (ko) Z-형 아암들을 갖는 선단 및 후미 아암 서스펜션스
EP2137016B1 (en) Leading and trailing arm suspensions having a fully integrated arm
US6543857B1 (en) Vehicle axle
MXPA01006310A (es) Suspension.
US11207934B2 (en) Vehicle suspension assembly
US7520515B2 (en) Steer axle suspension
CA2955151A1 (en) Frame hanger for providing thrust angle alignment in vehicle suspension
US7540513B2 (en) Anti-roll bar and control arm assembly
US7188850B2 (en) Beam axle suspension with diagonal link
EP1185428B1 (en) Air suspension anti-roll stabilisation system
US9186946B2 (en) Vehicle suspension with X-linkage
CN111231593B (zh) 纵臂式独立悬架
US11565563B2 (en) Suspension travel control system
CA2442007A1 (en) Axle assembly
JP2013056656A (ja) コンプライアンス特性が改善されたカップルドトーションビーム車軸
US7686314B2 (en) Linkage system for suspension
CN208616037U (zh) 一种转向节装置、转向系统及车辆
WO2019213665A9 (en) Suspension travel control system
HU226305B1 (en) Carriage framework for pneumatic suspen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