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6219A - 통신 링크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릴레이 - Google Patents

통신 링크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6219A
KR20100016219A KR1020097023059A KR20097023059A KR20100016219A KR 20100016219 A KR20100016219 A KR 20100016219A KR 1020097023059 A KR1020097023059 A KR 1020097023059A KR 20097023059 A KR20097023059 A KR 20097023059A KR 20100016219 A KR20100016219 A KR 20100016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al
output signal
communication link
control circu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208B1 (ko
Inventor
토마스 로버트 핑스텐
스탠톤 홉킨스 브라이트로우
존 프레데릭 렘케
키스 더글라스 네스
Original Assignee
와틀로 일렉트릭 매뉴팩츄어링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틀로 일렉트릭 매뉴팩츄어링 컴파니 filed Critical 와틀로 일렉트릭 매뉴팩츄어링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00016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1Bases; Casings; Covers structurally combining a relay and an electronic component, e.g. varistor, R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01H47/1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differential operation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01H47/2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producing frequency-selective operation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01H9/541Contacts shunted by semiconductor devices
    • H01H9/542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01H9/541Contacts shunted by semiconductor devices
    • H01H9/542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 H01H2009/545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comprising a parallel semiconductor switch being fired optically, e.g. using a photocoup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7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controlling and controlled circuit, e.g. transformer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01H47/32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아크 억제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는 직렬 신호를 전달하는 직렬 통신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직렬 통신 링크와 통신하는 직렬 입력을 구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직렬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회로는 전기 접점을 구비하며 이 전기 접점에서의 아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어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더 포함한다.
Figure P1020097023059
통신 링크, 하이브리드, 전력, 릴레이

Description

통신 링크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릴레이{HYBRID POWER RELAY USING COMMUNICATIONS LIN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릴레이(relay)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전력 스위칭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절에서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에 관한 배경 정보만을 제공하고 종래 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기계적인 릴레이는 다른 타입의 전력 제어를 통해 여러 실제적인 잇점을 제공한다. 금속 접점의 낮은 옴 저항으로 인해, 릴레이의 온-상태 전력 소비가 본질적으로 낮다. 기계적인 릴레이에 대한 하나의 단점은 접촉이 이루어지고 파단될 때 전기 아크에 의해 유발되는 접점 물질의 저하이다. 접점의 파손은 디바이스가 동작될 수 없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고체소자 스위칭 디바이스는 상당한 양의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고가의 방열 디바이스를 사용하여야 한다.
종종, 아크 억제 회로가 전력 스위칭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별개의 회로를 사용한다. 이 접근법에 대한 하나의 단점은 이 회로와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정 상태에서 여러 상태로 조절하기 위 해 아크 억제 회로의 동작 특성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크 억제 회로의 다른 예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별개의 전압들을 사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구비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 구성은 U.S. 특허 6,347,024에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 상태의 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아크 억제 회로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여러 타입의 정보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제공하기 위해 직렬 통신 링크를 사용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직렬 링크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여러 상태를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어 회로는 직렬 신호를 전달하는 직렬 통신 링크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는 직렬 통신 링크와 통신하는 직렬 입력을 구비하며 직렬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또한 구비한다. 제어 회로는 전기 접점을 구비하며 이 전기 접점에서의 아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어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직렬 통신 링크를 통해 직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직렬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 접점에서의 아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어 출력 신호로 전기 접점을 구비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상기 제어 회로는 다수의 구성들 중 하나의 구성이 제조될 수 있게 하며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직렬 통신 링크로부터의 여러 입력에 기초하여 여러 동작 상태에서 수행하기 위해 용이하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다른 응용 분야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과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도면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전혀 아니다.
도 1은 직렬 입력으로부터 출력을 생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되는 아크 억제 회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
본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 응용 분야 또는 용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료함을 위해, 동일한 도면 부호는 여러 도면에서 유사한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라는 어구는 비-배타적인 논리 OR을 사용하여 논리(A 또는 B 또는 C)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방법 내 단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변경함이 없이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아크 억제 회로를 제어하는데 사용되 는 제어 회로(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어 회로(10)는 제 1 출력(출력 1)과 제 2 출력(출력 2)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컨트롤러라고도 언급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12)는 여러 계산을 수행하며 여러 입력들에 기초하여 출력을 제어하는 CPU(1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CPU(14)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여러 파라미터와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메모리(15)를 더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직렬 통신 링크(20)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6)는 범용 비동기 송수신기(UART :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직렬 주변 인터페이스(SPI : serial peripheral interface), 제어 영역 네트워크(CAN), 이더넷(Ethernet) 또는 집적회로간 인터페이스(Inter-Integrated circuit I2C interface)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유형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6)가 마이크로프로세서(12) 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인터페이스(16)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16)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의 외부에 있는 별개의 부품일 수도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 내에 포함된다.
직렬 통신 링크(20)는 직렬 신호를 전달한다. 이 직렬 신호는 파라미터 신호, 알고리즘 선택 신호, 및 외부 회로의 상태나 외부 회로에 의해 원하는 아크 억제 회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는 직렬 디지털 정보를 포함 한다. 감독 마이크로프로세서(30)와 같은 외부 회로는 직렬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외부 회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와는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직렬 신호는 감독 마이크로프로세서(30)나 외부 회로와 연결된 파라미터에 대응할 수 있다. 직렬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의 소프트웨어 내 특정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코드에 대응할 수 있다. 선택은 감독 마이크로프로세서(30)나 다른 연결된 회로에서의 요구나 검출된 상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직렬 디지털 정보 신호는 또한 감독 마이크로프로세서(30)나 다른 외부 회로의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직렬 통신 링크(20)는 일방향 통신 링크나 도시된 바와 같이 2방향 통신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직렬 통신 링크(20)는 비동기 통신 링크나 동기 통신 링크일 수 있다. 2방향으로 구현시 직렬 통신 링크는 입력 링크(20i)와 출력 링크(20t)를 포함할 수 있다. 감독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직렬 통신 링크(20)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2)의 인터페이스(16)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저항(R1, R2)이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감독 회로(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로부터 분리(isolated)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지털 아이솔레이션 회로(digital isolation circuit)(40)가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아이솔레이션 회로(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로부터의 수신 및 송신 지시에서 감독 마이크로프로세서(30)를 분리하기 위한 듀얼 채널 디지털 아이솔레이터(dual channel digital isolator)일 수 있다. 듀얼 채널 디지털 아이솔레이션 회로(40)는 전기적인 분리를 제공한다. 아이솔레이션 회로(40)는 광학 디바이스나 디지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적절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례는 아날로그 디바이스 부품 번호 ADUM1201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로부터 감독 마이크로프로세서(30)를 분리할 때에는, 저항(R1, R2)이 사용되지 않는다. 비-분리된 구성에서, 아이솔레이션 회로(40)는 사용되지 않는다.
전력 공급원(50)은 마이크로프로세서(12)와 아이솔레이션 회로(40)에 연결될 수 있다. 전력 공급원(50)은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3.3볼트와 24볼트를 포함하는 여러 전압 레벨로 분리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력 공급원(50)의 전압 출력은 사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다른 부품의 특정 타입에 좌우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와 아이솔레이션 회로(40)는 모두 전압 기준점(60)에 연결된다.
감독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커넥터(62)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2)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62)는 통신 버스나 버스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감독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부하(102)와 부하 전력 공급원(104)에 연결된 아크 억제 회로(10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부하(102)는 고전력 부하일 수 있다. 아크 억제 회로의 다른 예는 U.S. 특허 5,790,354, U.S. 특허 6,347,024 및 U.S. 특허공개 2007/0014055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문헌들은 본 명세서에 병합되어 있다.
아크 억제 회로(100)는 기계적인 릴레이 제어부(110)와 고체소자 제어부(112)를 포함한다. 기계적인 릴레이 제어부(110)는 출력 신호(출력 1)를 수신하 며 이에 의해 제어된다. 출력 1은 전기 기계 릴레이(128)에 직접 연결되거나 아이솔레이션 회로를 사용하여 간접 연결될 수 있다.
분리된 구성에서, 출력 1 신호는 광 아이솔레이션 회로(114)에 연결될 수 있다. 광 아이솔레이션 회로(114)는 발광 다이오드(116)와 포토트랜지스터(118)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1 신호는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반면, 애노드는 전력 공급원(50)에 연결된다. 출력 1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이 광은 포토트랜지스터(118)에 의해 수신된다. 포토트랜지스터(118)는 발광 다이오드(114)로부터의 광에 응답하여 도통된다(conduct). 포토트랜지스터(118)를 통한 전류 흐름에 응답하여, 전류가 저항(R3)을 통해 흐르며 스위칭 디바이스(120)가 온으로 스위칭되며 이에 따라 릴레이 코일(124)을 통해 24볼트와 같은 고전압으로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전류가 나온다. 스위칭 디바이스(120)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쇼트키 다이오드(122)는 코일(124)과 스위치 디바이스(120) 사이의 경로에 배치되어 스위칭 디바이스가 턴오프될 때 자기장이 와해(collapse)되게 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저항(R3)은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전압 기준점(12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 디바이스(120)의 에미터는 기준 전압(123)에 연결된다. 이런 방식으로, 전기 기계 릴레이(128)의 코일(124)은 저항(R4)을 통해 전류를 도통한다. 저항(R4)의 존재는 릴레이 코일(124) 내 자기장이 더 급격히 와해되게 하여 접점이 더 빠르게 개방되게 한다. 코일(124)과 전기 접점(126)은 릴레이(128)를 형성한다. 전류가 코일(124)을 통해 흐를 때, 접점(126)이 닫히고 접점들 사이에 아크가 생성될 수 있다. 접 점(126)이 개방될 때 아크가 생성될 수 있다. 접점(126)에서의 아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감소된다. 릴레이(128)는 부하(102)에 연결된다.
전술된 회로 부분, 즉 전기 기계 릴레이(128)는 출력 1로부터 광학적으로 분리된다. 그러나, 광학적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라면, 트랜지스터(140)와 같은 스위칭 디바이스가 저항(R5,R6,R7)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저항(R5)은 전력 공급원과 스위칭 디바이스(140)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스위칭 디바이스(140)의 에미터는 전력 공급원(50)에 연결된다. 저항(R6)은 베이스와 출력 1 사이에 연결된다. 저항(R7)은 스위치(140)의 콜렉터와 스위칭 디바이스(120)의 베이스 사이에 연결된다. 출력 1에서 신호는 전류가 스위칭 디바이스(140)를 통해 저항(R5,R6, R7)을 거쳐 흐르게 한다. 따라서, 분리된 구성에서, 발광 다이오드(116)와 포토트랜지스터(118)는 제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분리된 구성에서, 저항(R5,R6,R7)은 R3 및 R6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고체소자 제어부(112)는 트라이악(triac)(150)과 같은 고체소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트라이악(150)은 출력 2에 의해 제어된다. 광학적으로 분리된 구성에서, 광 아이솔레이션 회로(152)가 사용될 수 있다. 광 아이솔레이션 회로(152)는 발광 다이오드(154)와 포토-트라이악(156)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신호(출력 2)에 응답하여, 발광 다이오드(154)는 저항(R8, R9)을 통해 전류를 전도한다. 발광 다이오드(154)로부터 생성된 광은 특정 임계값에 도달할 때 전류가 포토-트라이악(156)을 통해 흐르게 한다. 전류는 이후 저항(R10,R11,R12)을 통해 흐른다. 저항(R10,R11)은 노드(N1)를 포함하여 트라이악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광 트라이 악(156)의 출력은 트라이악(150)의 게이트(160)에 입력으로 사용된다. 트라이악(150)은 노드(N1)와 노드(N2) 사이에 연결된다. 저항(R12)은 광 트라이악(156) 또는 게이트(160), 및 노드(N2) 사이에 연결된다. 광학적 분리가 필요하지 않다면, 광 아이솔레이터(152)는 트랜지스터나 다른 스위칭 디바이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출력 신호들(출력 1 및 출력 2)을 제어함으로써 전기 기계 릴레이(128)와 고체소자 디바이스(150)의 동작의 타이밍과 지속시간이 제어될 수 있다. 접점(126)을 개폐하는 동안 접점(126)에서의 아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고체소자 디바이스(150)를 도통 상태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 시점에 접점(126)을 통해 낮은 전압 강하를 제공한다. 전기 접점(126)이 닫힌 후, 고체소자 디바이스는 개방되고 또는 비-도통 상태로 놓이고, 이에 따라 많은 또는 모든 전류가 접점(126)을 통해 흐른다. 이것은 고체소자 트라이악 디바이스(15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며 고가의 히트 싱크의 요구조건을 감소시킨다.
노드(N1)와 트라이악(150) 사이에 배치된 퓨즈(170)는 트라이악(150)의 고장시에 안전 동작(failsafe operation)을 제공한다. 트라이악(150)이 고장나면, 퓨즈(170)는 개방될 것이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단계 200에서,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직렬 디지털 정보 신호를 수신한다. 이 신호는 직렬 통신 링크(20)를 통해 통신하는 감독 마이크로프로세서(30)나 다른 외부 회로로부터 여러 타입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직렬 디지털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계산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출력 신호들을 제어함으로써 여러 타입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에 따라, 출력 신호 2에 대한 출력 신호 1의 관계를 변경하여 마모를 보상하거나 환경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러 제어 타입은 부하(102)로 전도되는 전력 공급원(104)으로부터의 전력의 펄스 폭 듀티 사이클이나 다른 전력 상태(shaping)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신호는 알고리즘을 선택하는데 사용되거나 시스템의 여러 파라미터에 입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정보는 특성상 '아날로그'일 수 있다. 즉, 특정 전압, 듀티 사이클, 전도(도통) 시간이나 다른 정보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직렬 전달될 수 있다.
단계 202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출력 신호를 계산한다. 출력 신호들은 여러 신호들의 타이밍과 지속시간이 기계적인 릴레이의 접점에서의 아크 억제를 제공하도록 상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기계적인 릴레이에서 접점을 닫기 전에 고체소자 디바이스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04에서, 고체소자 디바이스는 온(on) 상태 또는 전도(도통)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고체소자 디바이스는 전기 기계 릴레이의 접점에서의 아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기계적인 접점을 개방하기 전에 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접점을 닫기 전에 전도(도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06에서, 기계적인 릴레이가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개폐된다. 단계 208에서, 고체소자 디바이스는 오프(off) 상태 또는 비-전도 상태로 제어된다. 기계적인 릴레이를 닫음으로써, 고 전력 부하와 같은 부하는 단계 210에서 동작되거나 에너지 공급될 수 있다.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제 본 발명의 전체 내용이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전술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도면, 명세서 및 청구범위를 연구하여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전문가들이 다른 변형을 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므로 제한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 접점에서의 아크 발생을 억제하는데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64)

  1. 직렬 신호를 전달하는 직렬 통신 링크와;
    상기 직렬 통신 링크와 통신하는 직렬 입력을 구비하고 상기 직렬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기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 접점에서의 아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아크 억제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는 2방향 직렬 통신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2방향 직렬 통신 링크를 통해 상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는 일방향 통신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는 비동기 통신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는 동기 통신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는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범용 비동기 송수신기(UA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직렬 주변 인터페이스(SP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집적회로간 인터페이스(I2C Interfa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신호는 직렬 디지털 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디지털 정보 신호는 파라미터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디지털 정보 신호는 알고리즘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디지털 정보 신호는 상기 아크 억제 회로의 원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출력 신호는 제 1 출력 신호와 제 2 출력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억제 회로는 기계적인 릴레이부와 고체소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는 상기 기계적인 릴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출력 신호는 상기 고체소자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출력 신호는 상기 전기 접점에서의 아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아크 억제 회로의 동작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출력 신호는 상기 기계적인 릴레이부의 전기 접점이 개폐될 때 도통되도록 고체소자 제어부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는 상기 기계적인 릴레이부 내 기계적인 릴레이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는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터로 상기 기계적인 릴레이부 내 기계적인 릴레이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력 신호는 상기 고체소자 제어부 내 고체소자 디바이스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력 신호는 포토-트라이악으로 상기 고체소자 제어부 내 고체소자 디바이스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통신하는 감독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 내에 배치된 아이솔레이션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솔레이션 회로는 듀얼 채널 디지털 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직렬 통신 링크를 통해 직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출력 신호는 에러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제어 회로.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출력 신호는 상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출력 신호는 상기 아크 억제 회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33. 직렬 통신 링크를 통해 직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직렬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 접점에서의 아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출력으로 전기 접점을 갖는 아크 억제 회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는 2방향 직렬 통신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2방향 직렬 통신 링크를 통해 상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는 일방향 통신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는 비동기 통신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는 동기 통신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39.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를 인터페이스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를 인터페이스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직렬 통신 링크를 마이크로프로세서 내 인터페이스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범용 비동기 송수신기(UA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직렬 주변 인터페이스(SPI)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43.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집적회로간 인터페이스(I2C Interfa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44.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4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신호는 직렬 디지털 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디지털 정보 신호는 파라미터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디지털 정보 신호는 알고리즘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48.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디지털 정보 신호는 상기 아크 억제 회로의 원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 를 동작시키는 방법.
  49.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 1 출력 신호와 제 2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억제 회로는 기계적인 릴레이 제어부와 고체소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로 상기 기계적인 릴레이부를 제어하고 제 2 출력 신호로 상기 고체소자 제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억제 회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출력 신호와 제 2 출력 신호로 상기 전기 접점에서의 아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아크 억제 회로의 동작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인 릴레이 제어부의 전기 접점이 상기 제 1 출력 신호와 제 2 출력 신호로 개폐될 때 도통되도록 상기 고체소자 제어부의 타이 밍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54.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인 릴레이 제어부 내 기계적인 릴레이로부터 상기 제 1 출력 신호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55. 제 50 항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및 포토트랜지스터로 상기 기계적인 릴레이 제어부 내 기계적인 릴레이로부터 상기 제 1 출력 신호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56.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소자 제어부 내 고체소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출력 신호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57. 제 48 항에 있어서, 포토-트라이악으로 상기 고체소자 제어부 내 고체소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출력 신호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58.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마이크로프로세 서에서 제어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직렬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감독 마이크로프로세서 사이에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 내에 배치된 아이솔레이션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감독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솔레이션 회로는 듀얼 채널 디지털 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61.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링크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직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출력 신호는 에러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63.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출력 신호는 상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64.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출력 신호는 상기 아크 억제 회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억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
KR1020097023059A 2007-04-06 2008-04-01 통신 링크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릴레이 KR101410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84,454 US7961443B2 (en) 2007-04-06 2007-04-06 Hybrid power relay using communications link
US11/784,454 2007-04-06
PCT/US2008/059028 WO2008124395A1 (en) 2007-04-06 2008-04-01 Hybrid power relay using communications li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219A true KR20100016219A (ko) 2010-02-12
KR101410208B1 KR101410208B1 (ko) 2014-06-20

Family

ID=39495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059A KR101410208B1 (ko) 2007-04-06 2008-04-01 통신 링크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릴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961443B2 (ko)
EP (1) EP2135268B1 (ko)
KR (1) KR101410208B1 (ko)
WO (1) WO2008124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2780A1 (en) * 2009-09-17 2011-03-17 Cyber Switching, Inc. Power distribution unit with support for human interface and communication
US8619395B2 (en) 2010-03-12 2013-12-31 Arc Suppression Technologies, Llc Two terminal arc suppressor
CN104604088B (zh) * 2012-04-26 2017-12-19 米尔普罗斯有限公司 用于电子产品的备用电功率切断装置
CN103105790A (zh) * 2012-11-14 2013-05-15 苏州爱知电机有限公司 消弧柜控制器
TWI497860B (zh) * 2013-08-06 2015-08-21 Elifeconnection Co Ltd 多埠電源監控系統
FR3018949B1 (fr) * 2014-03-21 2016-04-08 Legrand France Appareil electrique de commande d’une charge
FR3018950B1 (fr) * 2014-03-21 2016-03-25 Legrand France Appareil electrique de commande d'une charge
CN108900399A (zh) * 2018-06-15 2018-11-27 福建师范大学 一种应用于自动跟踪定位消防系统的can总线接口电路
KR20200108707A (ko) 2019-03-11 2020-09-21 엘에스일렉트릭(주) 전자접촉기의 코일 구동 장치
TWI799143B (zh) * 2022-02-16 2023-04-11 光寶科技股份有限公司 開關控制模組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2137A (en) 1975-03-27 1976-09-21 Power Management Corporation Arc suppressor circuit
US4025820A (en) 1976-03-11 1977-05-24 Power Management Corporation Contactor device including arc supression means
US4152634A (en) 1976-12-22 1979-05-01 Power Management Corporation Power contactor and control circuit
US4251845A (en) 1979-01-31 1981-02-17 Power Management Corporation Arc suppressor circuit
US4389691A (en) 1979-06-18 1983-06-21 Power Management Corporation Solid state arc suppression device
US4445183A (en) 1981-12-23 1984-04-24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
US4438472A (en) 1982-08-09 1984-03-20 Ibm Corporation Active arc suppression for switching of direct current circuits
US4525762A (en) 1983-10-07 1985-06-25 Norris Claude R Arc suppression device and method
JPS60117518A (ja) 1983-11-28 1985-06-25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装置
US4618906A (en) 1984-07-16 1986-10-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Hybrid solid state/mechanical switch with failure protection
US4598330A (en) 1984-10-31 1986-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power direct current switching circuit
KR900000310B1 (en) 1985-02-20 1990-01-25 Takamisawa Electric Co Hybrid relay circuit having electromagnetic relay for switching ac power supply
US4754360A (en) 1985-05-07 1988-06-28 Nipponkouatsudenki Kabushikikaisha Arc extinguishing apparatus having sensing of initial arc
US4704652A (en) 1986-01-27 1987-11-03 Westinghouse Electric Corp. Hybrid electrical power controller
US4760483A (en) 1986-10-01 1988-07-26 The B.F. Goodrich Company Method for arc suppression in relay contacts
US4959746A (en) 1987-01-30 1990-09-25 Electronic Specialty Corporation Relay contact protective circuit
US4816818A (en) 1987-05-05 1989-03-28 Truck-Lite Co., Inc. Heavy duty lamp flasher for trucks, trailers and the like
EP0332855A3 (en) 1988-03-16 1991-03-13 OMRON Corporation Improved hybrid relay
US4939776A (en) 1988-09-20 1990-07-03 Siemens Transmission Systems, Inc. Logic signal circuit for a releasing relay
US5081558A (en) 1990-02-02 1992-01-14 Northrop Corporation High voltage DC relays
US5519370A (en) 1991-03-28 1996-05-21 Kilovac Corporation Sealed relay device
US5536980A (en) 1992-11-19 1996-07-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voltage, high current switching apparatus
US5629824A (en) 1993-07-27 1997-05-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Hall-effect arc protector
US5652688A (en) 1995-09-12 1997-07-29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Hybrid circuit using miller effect for protection of electrical contacts from arcing
US5699218A (en) 1996-01-02 1997-12-16 Kadah; Andrew S. Solid state/electromechanical hybrid relay
US5703743A (en) 1996-04-29 1997-12-30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Two terminal active arc suppressor
ATE185449T1 (de) 1996-05-07 1999-10-15 Siemens Ag Hybridrelais
US5790354A (en) 1997-03-26 1998-08-04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Hybrid power switching device
FR2772975B1 (fr) * 1997-12-23 2003-01-31 Crouzet Automatismes Relais hybride de puissance
US6054659A (en) 1998-03-09 2000-04-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tegrated electrostatically-actuated micromachined all-metal micro-relays
US6621668B1 (en) 2000-06-26 2003-09-16 Zytron Control Products, Inc. Relay circuit means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AC power to a load using a relay with arc suppression circuitry
US6741435B1 (en) 2000-08-09 2004-05-25 Server Technology, Inc. Power controller with DC ARC-supression relays
US7259945B2 (en) 2000-08-09 2007-08-21 Server Technology, Inc. Active arc-suppression circuit, system, and method of use
US6760610B2 (en) * 2000-11-23 2004-07-06 Sentec Ag Sensor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parameters
US6671142B2 (en) 2001-02-27 2003-12-30 Omron Corporation Circuit for operating voltage range extension for a relay
US6624989B2 (en) 2001-05-18 2003-09-23 Franklin Electric Company, Inc. Arc suppressing circuit employing a triggerable electronic switch to protect switch contacts
US6891705B2 (en) 2002-02-08 2005-05-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mart solid state relay
US6917500B2 (en) 2002-04-08 2005-07-12 Harris Corporation Hybrid relay including solid-state output and having non-volatile state-reten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100434153B1 (ko) 2002-04-12 2004-06-04 엘지산전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직류 전자 접촉기
US7145758B2 (en) 2002-05-17 2006-12-05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Arc suppression circuit for electrical contacts
US6956725B2 (en) 2002-09-18 2005-10-18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Current controlled contact arc suppressor
GB0222881D0 (en) 2002-10-03 2002-11-13 Electroheat Plc Electrica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US6868731B1 (en) * 2003-11-20 2005-03-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igital output MEMS pressure sensor and method
ITMI20042146A1 (it) 2004-11-09 2005-02-09 I A C E Di Cristina Adriano Dispositivo di commutazione per rele' elettrici
US7110225B1 (en) 2005-03-31 2006-09-19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Arc-limiting switching circuit
US7591187B2 (en) * 2005-05-10 2009-09-22 Microstrain, Inc. Wireless vibrating strain gauge for smart civil structures
US7385791B2 (en) 2005-07-14 2008-06-10 Wetlow Electric Manufacturing Group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 contact arc suppression
DE502006007296D1 (de) 2005-08-02 2010-08-05 Phoenix Contact Gmbh & Co Sicherheitsvorrichtung zum mehrkanaligen Steuern einer sicherheitstechnischen Einrichtung
US7808764B2 (en) 2007-10-31 2010-10-0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contact stiction in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based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208B1 (ko) 2014-06-20
WO2008124395A8 (en) 2010-02-04
US20110205682A1 (en) 2011-08-25
US8422178B2 (en) 2013-04-16
US7961443B2 (en) 2011-06-14
EP2135268A1 (en) 2009-12-23
WO2008124395A1 (en) 2008-10-16
US20080250171A1 (en) 2008-10-09
EP2135268B1 (en)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208B1 (ko) 통신 링크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릴레이
US9602097B2 (en) System and method having a first and a second operating mode for driving an electronic switch
AU2010272519B2 (en) First-fail-safe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WO20070116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 contact arc suppression
EP304613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eewheel contactor circuits
CN108352239B (zh) 用电器的安全控制
JP2008210638A (ja) 開閉器及び光電式自動点滅器
CN103620725A (zh) 电子开关组件
KR101393818B1 (ko) 하이브리드 릴레이
US8988844B2 (en) Drive circuit for an electromagnetic relay
US8120266B2 (en) Driving circuit for driving a load
JP6481925B2 (ja) スイッチ装置
CN103970043A (zh) 一种控制电路
US20190074146A1 (en) Switching device and system for switching on and off an electrical load
CN212726857U (zh) 一种多路负载的供电控制电路
JP5294480B2 (ja) ハイブリッドリレー
JP5645263B2 (ja) 電源装置
CN114793110B (zh) 用于功率半导体电路的控制电路
CN217035537U (zh) 一种磁保持继电器驱动电路及电子设备
CN215378749U (zh) 一种逆变器以及继电器的驱动电路
JP7331585B2 (ja) 配線器具
KR101695202B1 (ko) 전기적인 부하를 위한 누설전류 차단장치
KR101808567B1 (ko) 무극성 부하 제어 시스템
KR20020026736A (ko) 트라이액을 이용한 릴레이 보호방법
JP2021103655A (ja) 溶着検出装置及び溶着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