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842A - 프로젝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842A
KR20100013842A KR1020080075552A KR20080075552A KR20100013842A KR 20100013842 A KR20100013842 A KR 20100013842A KR 1020080075552 A KR1020080075552 A KR 1020080075552A KR 20080075552 A KR20080075552 A KR 20080075552A KR 20100013842 A KR20100013842 A KR 20100013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rojection system
prisms
prism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842A/ko
Priority to US12/461,075 priority patent/US20100026969A1/en
Publication of KR20100013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원의 밝기를 향상시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 입사면으로 광을 입사시키는 두 개의 광원과; 상기 입사면에 배열되어 위치하며, 다수의 프리즘으로 이루어지는 광원 합성부와; 상기 광원 합성부를 통한 광이 입사되는 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젝션, 광원, 램프, 광원 합성부, 프리즘.

Description

프로젝션 시스템{Projection system}
본 발명은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원의 밝기를 향상시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션 티브이(Projection TV) 또는 프로젝터(Projector)와 같은 투사 광학계(Optical projection system)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에서 이용되는 광원은 램프,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및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LD)와 같은 광원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프로젝터 또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 대화면을 구성하고, 외광이 밝은 상황에서도 문제없이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더 밝은 투사계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밝기는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량 또는 프로젝터 및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마이크로 디바이스(Micro-device) 및 광학계의 크기에 관계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 개의 광을 합성하여 보다 밝은 프로젝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광을 합성하는 수단으로서 프리즘을 사용하여 하나의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은 광학적 특성(광원에서 출사되는 빛의 각도 및 광원 뒷부분의 광학계로 입사되는 광원의 빔 폭)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1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 입사면으로 광을 입사시키는 두 개의 광원과; 상기 입사면에 배열되어 위치하며, 다수의 프리즘으로 이루어지는 광원 합성부와; 상기 광원 합성부를 통한 광이 입사되는 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2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 입사면으로 광을 입사시키는 두 개의 램프와, 상기 입사면에 배열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프리즘을 포함하는 조명계와; 상기 조명계를 통하여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두 개의 광원을 합성하면서 하나의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 은 광학적 특성(광원에서 출사되어 뒷부분의 광 부품으로 입사되는 빛의 각도 및 빔 폭)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하나의 광원을 사용한 경우보다 1.7배 밝은 프로젝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본 광학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에텐듀(Etendue)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에텐듀란 발광하거나 빛을 받는 부분의 면적에 비례하고 발광 또는 수광 공간각에 비례하는 양으로서,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그리고 이는 아베의 사인 조건(Abbe's Sine condition)에 의하여 수차가 없는 광학계에서는 보존되는 양이다.
Figure 112008055673558-PAT00001
여기서 n은 굴절률이고 A0는 광원의 면적이며, θ0는 A0에서 나오는 빛의 각도이다. 이러한 수학식 1로부터 에텐듀(E)와 광속(Φ)은 다음과 같은 관계로 표현 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광속의 정의는 수학식 2와 같고, 여기서 광원의 휘도가 일정하고(L0), 램버시안(Lambertian)이라고 가정하면 수학식 2는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8055673558-PAT00002
Figure 112008055673558-PAT00003
결국, 광속과 에텐듀와의 관계는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8055673558-PAT00004
즉, 광속과 에텐듀는 서로 비례하는 값이며, 상수만큼을 곱한 정도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에텐듀를 알면 광원이 비추는 곳의 광속을 알 수 있게 된다.
위의 에텐듀와 광속과의 관계식은 아래의 세 가지 가정을 전제로 정의되며, 이 에텐듀를 이용하여 광원의 에텐듀와 수광부의 에텐듀를 안다면 쉽게 광원의 광속에서 사용 가능한 광속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
첫째, 에텐듀는 수차가 없는 광학계에서는 보존되는 양이다.
둘째, 광원의 발광면의 위치에 따른 발광분포는 일정하다.
셋째, 광원의 발산각 분포는 램버시안(Lambertian)이다.
에텐듀의 정의에 대한 세 가지 전제조건 중 두 번째인 광원의 위치에 따른 발광분포가 일정하다는 것은 일반적인 광원에서 성립하지 않는 조건이다.
프로젝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고압 램프(UHP Lamp)의 경우 아크(Arc)에서 발광된 빛이 반사판(Reflector)에 반사되어 빛이 출사된다. 이러한 경우 아크에서 위치에 따른 발광분포는 일정하지 않다. 그리고 반사판에서 반사되어 나온 빛 또한 발광분포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위치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
만일, 프로젝터에 두 개의 램프를 설치하는 경우, 두 개의 고압 램프(UHP Lamp)를 광학계에 대하여 나란히 배치하였을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은 공간상의 발광분포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실제 광학계에서 하나의 램프를 사용한 동일 광학계를 사용하는 경우, 램프에서 발광된 광의 영역 중 일정 영역만 사용하게 되므로, 광학계의 밝기는 하나의 램프를 사용한 경우와 같거나 오히려 저하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에서 램프를 두 개 사용하더라도 단순히 나란하게 배치하는 방법으로는 광학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광학계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위에서 살펴본 광원의 에텐듀 특성을 향상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아래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램프의 아크 간극(Arc Gap)을 감소시켜 발광면적은 줄이고, 광속은 유지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램프에 있어서 아크 간극이 감소할수록 같은 에텐듀 값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광량이 증가함을 이용하는 것이다.
다음, 두 개의 램프를 하나의 경로(Path)로 합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경로를 합성하는 방법 중 하나는 도 5에서와 같이, 다이크로익 미러 또는 다이크로익 프리즘(3)을 이용하여 빛의 파장을 이용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광원(1, 2) 합성하는 방법이 있고, 다른 하나는 도 6과 같이, 빛의 편광을 이용하여 PBS(Polarizing Beam Splitter; 4)를 이용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광원(1, 2)을 합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내는 방법은 일반적인 고압 램프에 대해서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램프(1, 2)에서 발광된 빛을 하나의 경로로 합성하기 위해서는 파장을 이용하여 합성하거나, 편광을 이용하여 합성하는 방법이 있는데, 일반적인 고압 램프의 경우는 백색 광원이면서 무편광 광원이기 때문이다.
한편, 두 개의 서로 다른 램프를 나란히 배열하였을 때의 빛의 공간 분포와 하나의 램프에 의한 빛의 공간 분포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이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램프를 나란히 배열하여 광학계에 적용한 경우에도 한 개의 램프를 이용하여 구성된 광학계와 같은 밝기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광학계의 유효면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공간에 두 개의 램프를 적용하여도 밝기의 증가가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두 개의 램프를 적용하여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서로 다른 램프를 나란히 배열하였을 때의 빛의 공간분포를 아래와 같이 분할하여 재배열하면 에텐듀는 변화되지 않지만, 이러한 재배열에 의하여 빛의 공간 분포를 변화시켜 실제 사용되는 광학계에서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에텐듀가 변화하지 않는 이유는, 에텐듀가 면적과 각도에 관계하나 램프의 각도는 변경시키지 않았기 때문이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면적은 변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균일한 광원인 경우에는 유효면에서 광 플럭스가 변화하지 않고, 따라서 광학계의 밝기도 변화하지 않으나, 도 8에서와 같이, 공간상에서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램프와 같은 광원의 경우에서는 유효면에서 광 플럭스가 증가하고, 따라서 광학계의 밝기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에텐듀 특성의 변화 없이 광학계의 밝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두 개의 램프의 광 공간 분포를 분할하고 재배열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프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램프의 사용 수와 프리즘의 이용과 관계없이 광학계의 에텐듀는 변화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즘(5) 면에 수직으로 입사된 광은 프리즘(5) 내부 면에서 전반사되어 출사되게 되어, 광이 입사된 공간의 분포가 재배열됨을 알 수 있다.
즉, 프리즘(5)의 중앙측으로 입사된 "-1" 위치의 광은 프리즘(5)의 외곽측으로 출사되고, 프리즘(5)의 외곽측으로 입사된 "1" 위치의 광은 프리즘(5)의 중앙측 으로 출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나의 프리즘(5)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체 광 공간은 변화하지 않는다.
도 12a에서는 두 개의 프리즘(5)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도 12b 및 도 12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의 빛의 공간 분포가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3a에서는 네 개의 프리즘(5)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3b 및 도 13c에서와 같이, 위의 두 개의 프리즘(5)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많은 광량이 중앙측에 집중하며 광 공간의 분포가 변화함을 알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서는 프리즘을 6개 이용한 경우의 공간상의 광 분포 변화를 나타내고 있고, 도 15a 및 도 15b에서는 8개의 프리즘을 이용한 경우의 공간상의 광 분포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6a 및 도 16b는 프리즘이 10개인 경우, 도 17a 및 도 17b는 프리즘이 12개인 경우, 도 18a 및 도 18b는 프리즘이 14개인 경우, 도 19a 및 도 19b는 프리즘이 16개인 경우, 도 20a 및 도 20b는 프리즘이 18개인 경우, 및 도 21a 및 도 21b는 프리즘이 20개인 경우의 공간상의 광 분포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2a 및 도 22b는 프리즘이 40개인 경우, 도 23a 및 도 23b는 프리즘이 60개인 경우, 도 24a 및 도 24b는 프리즘이 80개인 경우, 및 도 25a 및 도 25b는 프리즘이 100개인 경우까지의 공간상의 광 분포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프리즘을 이용한 경우 유효면에서의 광학계의 밝기 증가에 따른 광학계의 효율이 도 26의 그래프에 나타나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즘을 4개 이용한 경우에 밝기가 급격히 증가하여, 그 이후에는 프리즘을 100개까지 증가시켜도 밝기가 크게 변화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프리즘을 이용한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통하여 두 개의 램프를 이용하였을 경우에 한 개의 램프를 이용한 경우보다 약 1.7배 정도 밝기의 증가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도 27a 및 도 27b는 두 램프에서 출사되는 광이 완전히 하나의 광 분포를 보이도록 합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광의 밝기 증가는 약 1.74배 정도이다. 따라서, 완전히 하나의 광 분포를 보이도록 합성하여도 4개의 프리즘을 이용하여 광을 재배치한 경우에 비하여 밝기가 주목할 정도로 증가하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28은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프리즘을 이용하여 밝기를 증가시킨 조명계(100)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조명계(100)에는 동일 입사면(150)으로 광을 입사시키는 두 개의 광원(110, 120)과, 이 입사면(150)에 배열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프리즘으로 이루어지는 광원 합성부(140)가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 합성부(140)는 다수의 프리즘(14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4개 이상이면 두 개의 광원(110, 120)의 밝기를 충분히 합성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도 13a에서 기술한 바 있는 광원 합성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때의 공간상의 빛의 분포는 도 13b와 같다.
이때, 이 조명계(100)에서 출사된 광은 광학계(200)로 입사되는데, 도 27에서 광학계(200)는 하나의 유효면적을 가지는 리시버(201)로 대표되고 있다.
여기서, 프리즘(14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정삼각형 프리즘(141)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리즘(141)의 특징은 각 광원(110, 120)에서 출사된 광이 리시버(201) 면에 수직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프리즘(141)은 직각 삼각형을 포함한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프리즘(도시되지 않음)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때, 이러한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이 프리즘은 광원(110, 120)에서 입사되는 광이 전반사를 일으키며 리시버(201) 면으로 입사시킬 수 있는 각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광원 합성부(140)를 이용하는 조명계(100)는 일반적으로 고압 수은등과 같은 고압 램프를 이용하는 조명계(100)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나, 발광 다이오드(LED) 및 레이저 다이오드(LD)와 같은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조명계에서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각 광원(110, 120)과 광원 합성부(140) 사이에는 광원(110, 120)에서 출사되는 광의 집중을 위한 렌즈(13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9는 이러한 조명계를 이용한 전체 프로젝션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즉, 조명계(100)에서 출사된 광은 차례로 평행광 변환부(210)와, 조명렌즈부(220)를 거쳐 이미저(imager; 240)로 입사된다.
여기서 평행광 변환부(210)는 플라이 아이 렌즈(Fly Eye Lens; 211, 212) 및 PBS(213)를 포함하는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명렌즈부(220)는 다수의 조명렌즈(221, 222, 22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명렌즈부(220)와 이미저(240) 사이에는 PBS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미저(240)는 LCoS, LCD, MD(Micro Device) 등의 다양한 패널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 이러한 이미저(240)를 통하여 형성된 영상이 투사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즘, 다이크로익 미러 등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30에서는 도 29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광의 진행을 시각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프리즘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재배치되어 집중되어서 진행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기술적 사상의 여러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 및 도 2는 하나의 광원의 광 분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두 개의 광원의 광 분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두 개의 광원의 광원을 합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동일 유효면적을 가지는 시스템에서 두 개의 광원을 사용시 밝기가 증가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두 개의 광원을 공간상의 재배치에 의하여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균일한 광원인 경우에는 광학계의 밝기가 변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두 개의 램프를 이용하여도 에텐듀는 변화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한 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광의 진행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두 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네 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6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8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10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12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14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16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18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20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40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60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80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100개의 프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공간상의 광의 재배치 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은 다수의 프리즘을 이용한 경우 유효면에서의 광학계의 밝기 증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7a 및 도 27b는 두 램프에서 출사되는 광이 완전히 하나의 광 분포를 보이도록 합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8은 프리즘을 이용하여 밝기를 증가시킨 조명계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시스템의 일 실시예이다.
도 29는 전체 프로젝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이다.
도 30은 도 29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광의 진행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Claims (12)

  1.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 입사면으로 광을 입사시키는 두 개의 광원과;
    상기 입사면에 배열되어 위치하며, 다수의 프리즘으로 이루어지는 광원 합성부와;
    상기 광원 합성부를 통한 광이 입사되는 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합성부의 프리즘은 네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리즘은 상기 입사면 상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과 각각의 광원 사이에는 렌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광원은, 상기 입사면 상의 동일한 영역으로 광을 입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광원 합성부를 통한 광이 입사되는 평행광 변환부와;
    상기 평행광 변환부를 통과한 광이 입사되는 조명렌즈부와;
    상기 조명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입사되는 이미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정삼각형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광원과 프리즘의 위치는,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프리즘에서 전반사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광학계 측으로 수직으로 입사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프리즘에 수직으로 입사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고압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12.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 입사면으로 광을 입사시키는 두 개의 램프와, 상기 입사면에 배열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프리즘을 포함하는 조명계와;
    상기 조명계를 통하여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KR1020080075552A 2008-08-01 2008-08-01 프로젝션 시스템 KR20100013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552A KR20100013842A (ko) 2008-08-01 2008-08-01 프로젝션 시스템
US12/461,075 US20100026969A1 (en) 2008-08-01 2009-07-30 Proje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552A KR20100013842A (ko) 2008-08-01 2008-08-01 프로젝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842A true KR20100013842A (ko) 2010-02-10

Family

ID=4160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552A KR20100013842A (ko) 2008-08-01 2008-08-01 프로젝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26969A1 (ko)
KR (1) KR201000138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4505B (zh) * 2013-11-15 2015-11-18 丁文娟 一种棱镜集束led灯
US9765265B2 (en) * 2014-04-28 2017-09-19 Kbk Industries, Llc Separation vessel with enhanced particulate remov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9789B2 (ja) * 2003-03-28 2008-02-20 三洋電機株式会社 多灯式照明装置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26969A1 (en)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6563B2 (en) Illuminator for a wearable display
US9188709B2 (en) Optical multiplexing apparatus and projector
US20090128781A1 (en) LED multiplexer and recycler and micro-projector incorporating the Same
CA2710963A1 (en) Light multiplexer and recycler, and micro-projector incorporating the same
JP5957937B2 (ja) 照明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JPWO2018173200A1 (ja) 光源装置、プロジェクター及びスペックル低減方法
CN103365054A (zh) 照明装置和显示装置
WO2009110081A1 (ja) 投光光学系、及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TW201833653A (zh) 投影系統
JP2015222418A (ja) 色分離合成系およびこれを用いた色分離合成装置、画像表示装置
US20080025041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034132B2 (ja) 投写型表示装置
KR20100013842A (ko) 프로젝션 시스템
JP2008070769A (ja) 光源ユニット、照明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装置
JP4682626B2 (ja) 照明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US6870683B2 (en) Optical illumination system of projector using optical device for homogenizing luminous energy and polarized light
JP4909703B2 (ja) プロジェクタ
JP2007047418A (ja) 画像表示装置、該装置を備えた投射光学系プロジェクタ及び接眼光学系画像観察装置
US1195369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00081194A (ko)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투사영 조명장치
JP4893780B2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2004226738A (ja) 光学素子及び照明装置並びに投射型表示装置
JP2006337428A (ja) 照明光学系、光学エンジン及び投射型映像表示装置
US11199766B1 (en) Illumination system and projection device
KR20010054283A (ko) 2 램프를 이용한 액정 프로젝터의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