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697A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697A
KR20100013697A KR1020080075328A KR20080075328A KR20100013697A KR 20100013697 A KR20100013697 A KR 20100013697A KR 1020080075328 A KR1020080075328 A KR 1020080075328A KR 20080075328 A KR20080075328 A KR 20080075328A KR 20100013697 A KR20100013697 A KR 20100013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ubject
original image
imag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6326B1 (ko
Inventor
한규춘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3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로 촬영을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입사한 광으로부터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를 인식하는 감지부,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건으로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촬영조건 설정부 및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의 일부 영역을 트리밍하는 편집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피사체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할 때에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의 영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생성되는 영상 파일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로 촬영을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상소자에 결상하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를 일련의 신호처리를 통하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지털 촬영장치는 소형화 기술, 배터리 기술, 메모리 기술 등의 비역적인 발달로 인하여 보급이 확대되었다.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좀 더 좋은 영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 하기 위하여는 셔터-릴리즈 버튼을 눌러야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셔터-릴리즈 버튼을 누르는 경우 흔들림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또한 피사체의 움직임이 빠른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구도로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즉, 피사체가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에 위치할 때에 사용자가 셔터-릴리즈 버튼을 눌러도 이미 피사체는 원래 위치에서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의 영상 데이터는 생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로 촬영을 수행함과 동시에 생성되는 영상 파일의 용량을 저감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사한 광으로부터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를 인식하는 감지부,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건으로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촬영조건 설정부 및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의 일부 영역을 트리밍하는 편집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피사체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할 때에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관심 영역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피사체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였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촬영조건 설정부는 생성하고자 하는 원본 영상 데이터의 매수를 더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원본 영상 데이 터를 처음 생성하는 시점을 더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b) 영상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를 인식하는 단계, c) 상기 피사체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 중 일부 영역을 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관심 영역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피사체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2)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 대한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에서, 생성하고자 하는 원본 영상 데이터의 매수를 더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처음 생성하는 시점을 더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가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자동으로 촬영을 수행하여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함으로 인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생성된 원본 영상 데이터 중에서 관심 영역 부분을 트리밍하여 영상 파일에 포함시킴으로 인하여 영상 전체에 대한 데이터를 영상 파일에 포함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파일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전면 및 상면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1(b)는 도 1(a)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후면의 외형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내부 및 외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촬상부는 피사체의 영상을 포착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촬상부로는 렌즈(101), 광학 구동부(102), 촬상소자(103), ADC(10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렌즈(101)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통과시켜, 촬상소자(103)로 영상광을 결상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광학 구동부(102)는 후술할 주 제어기(16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서 초점, 노출 등의 제어가 가능한 줌 모터, 조리개 등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촬상소자(103)는 상기 렌즈(101)를 통과한 빛을 전기적 신호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촬상소자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나 CCD(charge coupled device)등이 사용될 수 있다.
ADC(104)는 상기 촬상소자(103)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타이밍 회로(105)는 상기 촬상소자(103) 및 ADC(104)의 동작을 제어한다.
플래시(106) 및 보조광 발광 수단(107)은 촬영에 필요한 빛을 피사체에 비춘다.
DSP(110)는 영상 데이터를 후술할 주 제어기(16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신호 처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신호 처리는 화이트 밸런스 처리, 노이즈 제거, 색보정 등의 일련의 신호처리일 수 있다.
또한 DSP(110)는 셔터-릴리즈 버튼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원본 영상 데이터 및 썸네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 및 썸네일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상기 영상 파일은 JPEG 파일 형식일 수 있다. 상기 DSP(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하도록 한다.
메모리(120)는 각종 신호, 데이터 및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알고리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등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임시 메모리로서 RAM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RAM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로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저장 매체(121)에는 영상 파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121)는 내장형 또는 탈착이 가능한 외장형일 수 있다. 외장형 저장 매체의 경우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통신 I/F(130)는 USB I/F와 같이 외부 장치와 데이터 및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이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피사체, 사용자에 의한 버튼들의 조작에 따라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 라이브 뷰 모드에서의 라이브 뷰 영상 및 재생모드에서의 재생 영상 등을 표시하는 부분이다. 또한 OSD(On Screen Display)가 표시된다. 상기 OSD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설정되는 관심 영역 설정 창이 포함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라이브 뷰 영상, 재생 영상 등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42)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2)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42)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각종 키 버튼 또는 다이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필요한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한다.
전원 버튼(151)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키 입력 버 튼이다.
셔터-릴리즈 버튼(152)은 촬영자의 입력에 의해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촬영자는 셔터-릴리즈 버튼(152)을 반쯤 눌러 반셔터 신호를 입력시키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어,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촬영자는 비로소 셔터-릴리즈 버튼(152)을 완전히 눌러, 촬상되는 영상을 포착할 수 있다.
또한 모드 다이얼(153), 줌 버튼(154), 얼굴 인식 버튼(155), 재생 버튼(156), 스마트 버튼(1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배치 및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50)의 각종 키 버튼들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후술할 촬영조건들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촬영조건에는 관심 영역 설정 창, 촬영 매수, 촬영 시점이 포함될 수 있다.
주 제어기(16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50)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적용되는 부분, 예를 들어 광학 구동부(102), DSP(110) 등에 인가할 수 있다.
마이크(170)는 외부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상기 DSP(110)에 인가한다. 카메라 상태 램프(171)는 자동 초점 조절시, 사진 촬영 후, 프린터와 연결시 등에 사용자에게 카메라의 상태를 알려준다. 카메라 끈걸이(172)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를 휴대하기 위한 줄을 연결하는 고리이다.
한편, 도 1(a) 및 도 1(b)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로서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 즉 렌즈가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렌즈의 착탈이 가능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가 될 수도 있다.
이하, DSP(110)의 동작에 대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SP(1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DSP(110)는 상기 촬상소자(103), ADC(104) 등을 통하여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DSP(110)는 제어부(111), 감지부(112), 촬영조건 설정부(113), 편집부(114) 및 판단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상기 주 제어기(160)로부터의 제어신호(CS)를 인가받아 DSP(110) 내의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한다.
감지부(112)는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를 인식한다.
촬영조건 설정부(113)는 자동으로 피사체의 영상이 촬영되는 조건을 설정한다. 즉, 상기 촬영조건 설정부(113)는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관심 영역, 촬영 매수, 촬영 시점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관심 영역은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로 피사체가 위치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영상이 촬영되도록 하는 조건이다.
상기 촬영 매수는 자동으로 촬영되는 영상의 매수를 설정하는 조건이다. 상기 설정된 촬영 매수만큼 원본 영상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시점은 상기 판단부(115)에서 피사체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였다고 판단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편집부(114)는 촬영조건을 만족하여 피사체의 영상이 촬영되고, 원본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로부터 일부 영역을 트리밍하는 부분이다. 상기 트리밍이란 잘라낸다는 의미로서, 본 발명에서는 촬영된 영상에서 일부 영역만을 잘라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판단부(115)는 피사체가 상기 설정된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부분이다. 상기 판단부(115)에 의하여 피사체가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촬상부가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DSP(110)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관심영역, 촬영 매수 및 촬영 시점을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42) 내에 자신이 원하는 구도를 설정한다. 즉, 영상에서 피사체를 위치시키고자 하는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한다. 상기 설정된 관심 영역은 관심 영역 설정 창(400)으로 OSD 방식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피사체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였을 때, 자동으로 촬영하는 영 상의 매수를 설정할 수 있다. 촬영 매수 설정 창(410)에 촬영될 매수가 표시되며, 증감 버튼(411)에 의하여 상기 촬영될 매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12)에 의하여 피사체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였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판단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영상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촬영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피사체가 관심 영역의 가장자리에 들어왔다가 나가는 것을 대비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촬영 시점에서 설정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피사체가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영상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촬영 시점 설정 창(420)에 의하여 촬영 시점이 표시되며, 증감 버튼(411)에 의하여 상기 촬영이 시작될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자동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움직임 촬영 모드를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셔터-릴리즈 버튼에서 반셔터 신호를 입력하면 포커싱, 노출 등이 조절될 수 있으며, 감지부(112)에서 움직이는 피사체를 인식하기 시작한다.
도 5에 의하면 피사체(500)가 관심 영역의 모서리를 짧은 시간동안 지나치는 경우를 나타낸다. 좌측 도면에 의할 때, 피사체(500)가 관심 영역 내에 일단 진입하므로 판단부(115)는 피사체(500)가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였다고 판단한다. 상기 판단 이후, 상기 촬영 시점에서 설정한 시간만큼을 대기한다. 그러나 우측 도면에 의할 때, 상기 촬영 시점 이후에 피사체(500)가 관심 영역 밖으로 빠져나가므로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도 6에 의하면 피사체(500)가 관심 영역 내에 진입하고, 촬영 시점에서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피사체(500)가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판단부(115)는 촬영부에서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하여 촬영부에서는 피사체가 포함된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촬영부는 촬영조건 설정부(113)에서 설정한 촬영 매수만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트리밍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피사체가 포함된 원본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면, 편집부(114)에서는 원본 영상 데이터 중에서 일부 영역의 데이터만을 트리밍한다. 상기 트리밍된 영상 데이터는 썸네일 영상 데이터 등과 함께 영상 파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일부 영역은 촬영조건 설정부(113)에서 설정한 관심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편집부(114)는 상기 트리밍한 부분을 추가적으로 확대하여 영상 파일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피사체를 중심으로 하는 영상(700)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가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자동으로 촬영을 수행하여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생성된 원본 영상 데이터 중에서 관심 영역 부분을 트리밍하여 영상 파일에 포함시킴으로 인하여 영상 전체에 대한 데이터를 영상 파일에 포함시키는 경 우에 비하여 파일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하여 동작 촬영 모드에서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촬영 조건을 설정한다(S80). 상기 촬영 조건에는 관심 영역, 촬영 매수, 촬영 시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동작 촬영 모드를 실행하고, 촬상소자에 의하여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한다(S81). 상기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는 라이브 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영상 데이터들 중에서 이전 프레임에 생성된 영상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S82),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피사체를 인식하고 움직임을 감시한다(S83).
움직이는 피사체가 있는지 판단하여(S84), 움직이는 피사체가 인식되면 촬영 시점에서 설정한 시간만큼 대기한다.(S85), 피사체가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86)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촬영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설정한 촬영 매수만큼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87).
생성된 원본 영상 데이터들은 전체 영상 중에서 관심 영역 부분의 영상만을 트리밍하여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S88), 상기 트리밍된 영상 데이터들을 각각 영상 파일에 포함시켜 저장한다(S89).
한편, 피사체가 인식되지 않거나 피사체가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S81 단계로 돌아가 영상 데이터를 반복하여 비교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피사체가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자동으로 촬영을 수행하여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생성된 원본 영상 데이터 중에서 관심 영역 부분을 트리밍하여 영상 파일에 포함시킴으로 인하여 영상 전체에 대한 데이터를 영상 파일에 포함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파일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외부 모습을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SP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관심영역, 촬영 매수 및 촬영 시점을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자동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트리밍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01: 렌즈
102: 광학 구동부 103: 촬상소자
104: ADC 105: 타이밍 회로
106: 플래쉬 107: 보조광 발광 수단
110: DSP 111: 제어부
112: 감지부 113: 촬영조건 설정부
114: 편집부 115: 판단부
120: 메모리 121: 저장매체
130: 통신 I/F 140: 디스플레이부
141: 디스플레이 구동부 142: 디스플레이 패널
150: 사용자 입력부 151: 전원 버튼
152: 셔터-릴리즈 버튼 153: 모드 다이얼
154: 줌 버튼 155: 얼굴 인식 버튼
156: 재생 버튼 157: 스마트 버튼
160: 주 제어기 170: 스피커
171: 카메라 상태 램프 172: 카메라 끈걸이
400: 관심 영역 창 410: 촬영 매수 설정 창
420: 촬영 시점 설정 창 500: 피사체

Claims (11)

  1. 입사한 광으로부터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를 인식하는 감지부;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건으로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촬영조건 설정부; 및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의 일부 영역을 트리밍하는 편집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피사체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할 때에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관심 영역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였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조건 설정부는 생성하고자 하는 원본 영상 데이터의 매수를 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조건 설정부는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처음 생성하는 시점을 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6. a)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b) 영상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를 인식하는 단계;
    c) 상기 피사체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 중 일부 영역을 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관심 영역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피사체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2)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 대한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생성하고자 하는 원본 영상 데이터의 매수를 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처음 생성하는 시점을 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80075328A 2008-07-31 2008-07-31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36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328A KR101436326B1 (ko) 2008-07-31 2008-07-31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328A KR101436326B1 (ko) 2008-07-31 2008-07-31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97A true KR20100013697A (ko) 2010-02-10
KR101436326B1 KR101436326B1 (ko) 2014-09-01

Family

ID=4208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328A KR101436326B1 (ko) 2008-07-31 2008-07-31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3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268B1 (ko) * 2011-11-09 2014-11-07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569A (ko) 2019-05-17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정 순간에 관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6461B2 (ja) 2002-08-09 2007-08-29 株式会社リコー 電子カメラ装置
JP2007316892A (ja) 2006-05-25 2007-12-06 Fujifilm Corp 自動トリミング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4761146B2 (ja) * 2006-06-30 2011-08-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109482A (ja) 2006-10-26 2008-05-08 Olympus Corp 撮像装置、画像記録処理方法及び画像記録処理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268B1 (ko) * 2011-11-09 2014-11-07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US9240064B2 (en) 2011-11-09 2016-01-19 Rakuten, Inc. 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326B1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114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626425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JP5493789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8427430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JP5048614B2 (ja) 撮影装置及び方法
JP2007324877A (ja) 撮像装置
JP2007310813A (ja) 画像検索装置およびカメラ
CN103179345A (zh) 数字拍摄设备及其控制方法
JP2012231415A (ja) 撮像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6145629A (ja) 撮像装置
JP586803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5044472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96650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01436326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4761039B2 (ja) 撮像装置
JP2011078143A (ja) 撮影装置、その顔検出方法並びに画像記録方法
KR10136975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645612B1 (ja)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JP6645614B2 (ja)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JP6593476B2 (ja) 撮像装置
KR101456492B1 (ko) 영상의 구도 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및 그 제어방법
JP2007101877A (ja) 撮影装置
JP2016012927A (ja) 撮像装置
JP2020061783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