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483A - 히트 펌프용 압축기 및 그 압축기를 구비한 히트 펌프 - Google Patents

히트 펌프용 압축기 및 그 압축기를 구비한 히트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483A
KR20100013483A KR1020080075018A KR20080075018A KR20100013483A KR 20100013483 A KR20100013483 A KR 20100013483A KR 1020080075018 A KR1020080075018 A KR 1020080075018A KR 20080075018 A KR20080075018 A KR 20080075018A KR 20100013483 A KR20100013483 A KR 20100013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heat
working fluid
moto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민
Original Assignee
김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민 filed Critical 김석민
Priority to KR1020080075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483A/ko
Publication of KR20100013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04C29/042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by injecting a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2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2Fluid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낮은 외기 온도로 인하여 증발기 외면에 발생할 수 있는 성에 또는 결빙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히트 펌프를 제공한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작동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작동 유체를 1차 응축하여 고온의 열원에 제1 열을 방출하는 제1 응축기와, 그리고 상기 제1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체를 2차 응축하여 제2 열을 방출한 후, 상기 작동 유체를 교축시키고, 그리고 난 후 상기 2차 응축에 위해 방출된 제2 열을 이용하여 상기 작동 유체를 가열하여 증발 시키는 복합 열 재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 열 재생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압축기에 공급된다.
히트 펌프, 압축기, 응축기, 열 재생기.

Description

히트 펌프용 압축기 및 그 압축기를 구비한 히트 펌프{COMPRESSOR FOR HEAT PUMP}
본 발명은 히트 펌프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압축기의 과열로 인한 동작 중단이나 고장을 방지하고, 개선된 압축력을 가진 히트 펌프용 압축기와 그 압축기를 구비한 히트 펌프에 관한 것이다.
히트 펌프는 저온의 열원에서 열을 흡수하여 고온의 수열체로 열을 운송하는 장치로서, 냉동기와 마찬가지로 열 기관의 역 싸이클로 작동하며, 겨울철에는 소정의 장소에 열을 보내어 난방 작용을 하고, 여름에는 그 장소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방 작용을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히트 펌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히트 펌프 시스템의 온도-엔트로피(T-S) 선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종래의 히트 펌프 장치가 난방 장치로서 기능하는 경우 작동 유체의 유동은 실선으로 표시되고, 종래의 히트 펌프 장치가 냉방 장치로서 기능하는 경우 작동 유체의 유동은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우선 종래의 히트 펌프 장치가 난방 장치로서 기능하는 경우, 작동 유체는 증발기(E)를 통 과하면서 저온 열원으로부터 Q2 의 열을 흡수하면서 증발을 한 후(지점 11 에서 지점 14의 과정), 압축기(W)에 의해 압축된다(지점 11에서 지점 12의 과정). 압축기(W)에서 배출된 작동 유체는 응축기(C) 내에서 액화 된다(지점12에서 지점 13의 과정). 이때, 작동 유체는 장소(B)에 Q1 의 열을 방출하여 장소(B)를 덥히게 된다. 이후, 작동 유체는 팽창 밸브(V)를 통과하면서 교축 냉각 된다(지점 13에서 지점 14의 과정).
반면, 종래의 히트 펌프 장치가 냉방 장치로서 기능하는 경우, 작동 유체는 점선과 같은 경로로 유동을 하면서, 장소(B)로부터 Q1 의 열을 흡수하여 냉방을 제공하고 응축기(E)를 통해 Q2 의 열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에는, C가 증발기로서 그리고 E가 응축기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 경우, 삼방 밸브와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유동 방향을 변환시키게 되나, 본 명세서에서는 이 점에 대한 논의를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히트 펌프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압축실을 구비하며, 흡입구를 통해 압축실에 작동 유체가 유입되면 압축실 내에서 상기 작동 유체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의 작동 유체를 토출하여 응축기로 제공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축기는 장시간 운전하는 경우, 압축기 모터가 과열되어 동작이 중단되거나 또는 열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과열로 인한 동작 중단이나 고장을 방지하고, 개선된 압축력을 가진 히트 펌프용 압축기와 그 압축기를 구비한 히트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에는, 흡입구와 토출구, 그리고 상기 토출구와 연결된 압축실을 구비하는 압축기 하우징, 상기 압축기 하우징내에 수납된 모터, 상기 압축기 하우징내에 수납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된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고 압축실 내에 설치된 송풍기(blower)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에 공급되는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 내에 유입되고,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기를 관통 유동한 후, 상기 압축실 내에 유입되어 상기 송풍기에 의해 압축된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 펌프용 압축기는, 종래의 압축기와는 달리 압축전의 상대적으로 저온의 작동 유체가 모터를 거쳐서 압축실에 유입됨으로써, 압축기에 냉각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압축기의 과열로 인한 동작 중단이나 고장을 방지하고, 압축 효율을 개선한다. 아울러, 압축기에 채택된 감속기는 압축력을 높여 압축효율, 나아가 히트 펌프의 열 효율을 크게 개선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1)를 구비하는 히트 펌프(10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1)를 구비하는 히트 펌프(1000)는, 난방 싸이클 회로(301), 냉방 싸이클 회로(303), 제1 전열 회로(305), 및 제2 전열 회로(307)을 포함한다.
상기 난방 싸이클 회로(301)는 목적 공간에 난방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회로로서, 압축기(101), 제1 응축기(103), 그리고 복합 열 재생기(203)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 열 재생기(203)는 제2 응축기(105), 제1 팽창 밸브(107), 및 제1 증발기(109)를 포함한다.
상기 냉방 싸이클 회로(303)는 목적 공간에 냉방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회로로서, 압축기(101), 제1 응축기(103), 제1 삼방 밸브(111), 제3 응축기(117), 제2 팽창 밸브(119), 제2 증발기(121), 그리고 제2 삼방 밸브(1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전열 회로(305)는 상기 제1 응축기(103)에서 방출되는 열을 축열 탱크(125)에 전달하기 위한 회로로서, 제1 전열 부재(115)와 상기 축열 탱크(125)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전열 부재(115)와 상기 제1 응축기(103)는 열 교환기(20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응축기(103)로부터 방출되는 열(Q1)이 상기 제1 전열 부재(115)를 통하여 상기 축열 탱크(125)에 전달, 축적되게 된다.
상기 제2 전열 회로(307)는 상기 축열 탱크(125)로부터 방열 부재(123)에 열 을 전달하기 위한 회로로서, 상기 축열 탱크(125), 순환 펌프(127), 그리고 상기 방열 부재(123)로 구성된다. 상기 순환 펌프(127)는, 상기 히트 펌프(1000)가 난방 작동 시에만 상기 제2 전열 회로(307)를 통한 전열을 허용하고, 상기 히트 펌프(1000)가 냉방 작동 시에는 상기 제2 전열 회로(307)를 통한 전열을 허용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증발기(121)와 상기 방열 부재(123)는 냉난방 제공 유니트(205) 내에 설치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난방 싸이클 회로(301)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5는 상기 난방 싸이클 회로(301)의 이론 싸이클을 나타낸 선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난방 싸이클 회로(301)는 압축기(101), 제1 응축기(103), 제2 응축기(105), 제1 팽창 밸브(107), 및 제1 증발기(10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응축기(105), 제1 팽창 밸브(107), 및 제1 증발기(109)는 복합 열 재생기(203)를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1)의 단면도이다.
상기 압축기(101)는, 흡입구(402)와 토출구(404), 그리고 상기 토출구(404)와 연결된 압축실(406)을 구비하는 압축기 하우징(401), 상기 압축기 하우징(401) 내에 수납된 모터(408), 상기 압축기 하우징(401)내에 수납되고 상기 모터(408)에 연결된 감속기(410), 및 상기 감속기(410)에 연결되고 압축실(406) 내에 설치된 송풍기(blower; 412)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101)는 모터 회전축(414)과 송풍기 회전축(416)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모터 회전축(414)과 상기 송풍기 회전축(416)은, 상기 압축기 하우 징(401)의 내벽에 고정된 베어링(4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서로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송풍기(412)는 상기 송풍기 회전축(416)과, 상기 송풍기 회전축(41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인(418)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408)는 회전자(422)와 고정자(420)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회전자(422)와 상기 고정자(420) 사이의 간극(424)을 통해 유동하면서 상기 모터(408)로부터 열을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간극(424)을 윤활시키게 된다.
상기 복합 열 재생기(203)로부터 상기 압축기(101)에 공급되는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흡입구(402)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101) 내에 유입되고, 상기 모터(408)와 상기 감속기(410)를 관통 유동한 후, 상기 압축실(406) 내에 유입된다. 상기 압축실(406) 내에서,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송풍기(412)에 의해 압축된 후 상기 토출구(404)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제1 응축기(103)으로 공급된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구비하는 히트 펌프(10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 재생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1000)가 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작동 유체는 상기 난방 싸이클 회로(301)를 통하여 유동한다. 즉, 먼저 상기 압축기(101)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작동 유체는 상기 열 교환기(201) 내의 상기 제1 응축기(103)을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이때 상기 제1 응축기(103)로부터 방열되는 제1 열(Q1)은 제1 전열부재(115)로 전달된다. 이 제1 열(Q1)은 제1 전열 회로(305)에 의해 제1 전열부재(115)로부터 축열 탱크(125)로 전달된 후, 다시 제2 전열 회로(307)에 의해 축열 탱크(125)로부터 방열 부재(123)로 전달된다. 이때, 순환 펌프(127)은 축열 탱크(125)로부터 방열 부재(123)로의 열 전달을 돕는다. 상기 방열 부재(123)는 냉난방 제공 유니트(205)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축열 탱크(125)로부터 전달된 열을 방출하여, 상기 냉난방 제공 유니트(205)가 설치된 목적 공간에 난방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응축기(103)에 의해 응축된 작동 유체는 제1 삼방밸브(111)에 의해 상기 복합 열 재생기(203)로 유입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복합 열 재생기(203) 내의 상기 제2 응축기(105), 제1 팽창 밸브(107), 및 제1 증발기(109)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압축기(101)에 공급된다. 상기 작동 유체는 먼저 상기 제2 응축기(105)를 통과하면서 응축되어 제2 열(Q2)를 방열하고, 제1 팽창 밸브(107)를 통과하면서 교축 팽창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작동 유체는 제1 증발기(109)를 통과하면서 증발한다. 이때, 상기 제2 열(Q2)은 상기 증발기(109)에 전달되어 상기 작동 매체의 증발을 돕는다. 즉, 상기 제2 응축기(105)에서 방출된 제2 열(Q2)이 상기 증발기(109)에서의 작동 유체의 증발에 이용된다.
이상과 같은 상기 난방 싸이클 회로(301)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 4에 도시되었으며, 그의 이상적이 온도-엔트로피(T-S) 선도가 도 5에 도시되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방 싸이클 회로(301)는 저온 열원으로부터 별도의 수열 없이 제2 응축기(105)로부터의 제2 열(Q2)을 이용하여 저온 상태의 작동 유체의 증발에 이용하고, 압축 과정에서의 일(W)를 사용하여 고온 열 원에 (Q1)의 열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1)를 구비하는 히트 펌프(1000)가 냉방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작동 유체는 상기 냉방 싸이클 회로(303)를 통하여 유동한다. 즉, 먼저 상기 압축기(101)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작동 유체는 상기 열 교환기(201) 내의 상기 제1 응축기(103)을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이때 상기 제1 응축기(103)로부터 방열되는 제1 열(Q1)은 제1 전열부재(115)로 전달된다. 이 제1 열(Q1)은 제1 전열 회로(305)에 의해 제1 전열부재(115)로부터 축열 탱크(125)로 전달된다. 이 제1 열(Q1)은 물을 덥혀서 온수의 제공을 위해 이용되거나 기타의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고, 또는 외부로 방출될 수도 있다.
이때, 순환 펌프(127)는 작동을 중지하여, 축열 탱크(125)로부터 방열 부재(123)로의 열 전달을 방지한다. 따라서, 냉난방 제공 유니트(205) 내에 설치된 상기 방열 부재(123)는 전혀 가열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냉난방 제공 유니트(205) 또한 가열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1 응축기(103)에 의해 응축된 작동 유체는 제1 삼방밸브(111)에 의해 상기 복합 열 재생기(203)로의 유동이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제3 응축기(117)로 보내진다. 상기 제3 응축기(117)를 통과하면서 상기 작동 유체는 제2 열(Q2)을 방출하며, 이 제2 열(Q2)은 회수 되지 않고 그냥 폐기된다. 그 이후, 상기 작동 유체는 제2 팽창 밸브(119)를 통과하면서 교축 팽창한 후, 상기 냉난방 제공 유니트(205) 내에 설치된 제2 증발기(121)를 통과하면서 증발한다. 이때, 제2 증발기(121)는 목적 공간으로부터 제3 열(Q3)을 흡수하여 목적 공간에 냉방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복합 열 재생기(203)로부터 상기 압축기(101)에 공급되는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흡입구(402)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101) 내에 유입된 후, 상기 모터(408)를 관통하여 유동한다. 즉, 상기 모터(408)의 고정자(420)와 회전자(422) 사이에 형성된 간극(424)를 통하여 유동하면서, 회전자(422)의 고속 회전에 의해 가열된 고정자(420)와 회전자(422)를 냉각시키게 된다. 작동 유체 중에 액체 성분이 잔류하는 경우 고정자(420)와 회전자(422) 사이의 윤활 작용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감속기(410)를 관통 유동하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감속기(410)의 냉각 및 윤활 작용을 하게 된다. 감속기(410)은 회전자(422)의 회전수를 줄여 송풍기 회전축(416)의 토오크를 증가시켜 압축력을 증가시킨다.
감속기(410)을 통과한 작동 유체는 상기 압축실(406) 내에 유입된다. 상기 압축실(406) 내에서,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송풍기(412)에 의해 압축된 후 상기 토출구(404)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제1 응축기(103)로 공급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 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 구성, 기타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도 1은 종래의 히트 펌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히트 펌프 시스템의 온도-엔트로피(T-S) 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구비하는 히트 펌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난방 싸이클 회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5는 상기 난방 싸이클 회로의 이론 싸이클을 나타낸 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 펌프용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히트 펌프 101: 압축기
103: 제1 응축기 105: 제2 응축기
107: 제1 팽창 밸브 109: 제1 증발기
201: 열 교환기 203: 복합 열 재생기
301: 난방 사이클 회로 303: 냉방 사이클 회로
305: 제1 전열 회로 307: 제2 전열 회로
402: 흡입구 404: 토출구
406: 압축실 408: 모터
410: 감속기 412: 송풍기

Claims (15)

  1. 압축기에 있어서,
    흡입구와 토출구, 그리고 상기 토출구와 연결된 압축실을 구비하는 압축기 하우징,
    상기 압축기 하우징내에 수납된 모터,
    상기 압축기 하우징내에 수납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된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고 압축실 내에 설치된 송풍기(blower)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에 공급되는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 내에 유입되고,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기를 관통 유동한 후, 상기 압축실 내에 유입되어 상기 송풍기에 의해 압축된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모터 회전축과 송풍기 회전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모터 회전축과 상기 송풍기 회전축은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송풍기 회전축과, 상기 송풍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축과 상기 송풍기 회전축은 상기 압축기 하우징의 내벽에 고정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회전자와 고정자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 사이의 간극을 통해 유동하면서 상기 모터로부터 열을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간극을 윤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히트 펌프 용 압축기로서, 상기 히트 펌프의 싸이클에 압축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7. 작동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작동 유체를 1차 응축하여 고온의 열원에 제1 열을 방출하는 제1 응축기와, 그리고
    상기 제1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체를 2차 응축하여 제2 열을 방출한 후, 상기 작동 유체를 교축시키고, 그리고 난 후 상기 2차 응축에 위해 방출된 제2 열을 이용하여 상기 작동 유체를 가열하여 증발 시키는 복합 열 재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 열 재생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압축기에 공급 되며,
    상기 압축기는
    흡입구와 토출구, 그리고 상기 토출구와 연결된 압축실을 구비하는 압축기 하우징,
    상기 압축기 하우징내에 수납된 모터,
    상기 압축기 하우징내에 수납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된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고 압축실 내에 설치된 송풍기(blower)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에 공급되는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 내에 유입되고,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기를 관통 유동한 후, 상기 압축실 내에 유입되어 상기 송풍기에 의해 압축된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열 재생기는,
    상기 제1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작동 유체를 2차 응축하여 상기 제2 열을 방출하는 제2 응축기와,
    상기 제2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작동 유체를 교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 유체를 단열 팽창 시키는 제1 팽창 밸브와, 그리고
    상기 2차 응축에 위해 방출된 상기 제2 열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팽창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작동 유체를 가열하여 증발 시키는 제1 증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열 재생기는 상기 제2 열을 상기 제2 응축기로부터 상기 제1 증발기에 전달하는 전열 매체와, 재생기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 응축기, 상기 제1 증발기, 그리고 상기 전열 매체는 상기 재생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상기 전열 매체는 상기 재생기 하우징 내에 담겨진 유체이며, 상기 제2 응축기와 상기 제1 증발기는 상기 유체 속에 잠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열 재생기는 상기 재생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수 탱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 증발기는 상기 제1 팽창 밸브로부터 상기 회수 탱크까지 연장하며, 상기 회수 탱크는 상기 압축기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열 재생기는 상기 회수 탱크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가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모터 회전축과 송풍기 회전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모터 회전축과 상기 송풍기 회전축은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송풍기 회전축과, 상기 송풍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축과 상기 송풍기 회전축은 상기 압축기 하우징의 내벽에 고정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회전자와 고정자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 사이의 간극을 통해 유동하면서 상기 모터로부터 열을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간극을 윤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KR1020080075018A 2008-07-31 2008-07-31 히트 펌프용 압축기 및 그 압축기를 구비한 히트 펌프 KR20100013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018A KR20100013483A (ko) 2008-07-31 2008-07-31 히트 펌프용 압축기 및 그 압축기를 구비한 히트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018A KR20100013483A (ko) 2008-07-31 2008-07-31 히트 펌프용 압축기 및 그 압축기를 구비한 히트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483A true KR20100013483A (ko) 2010-02-10

Family

ID=4208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018A KR20100013483A (ko) 2008-07-31 2008-07-31 히트 펌프용 압축기 및 그 압축기를 구비한 히트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34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5439B2 (ja) 空気圧縮機の廃熱利用装置
JP5923739B2 (ja) 冷凍装置
JP5862460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0032195A (ja) 冷凍装置
JP2013024510A (ja) 水冷媒冷凍システム
JP2008014533A (ja) 圧縮式冷凍機の油回収装置
JP6064489B2 (ja) ターボ冷凍機
JP5057569B2 (ja) 蒸発式空調装置
JP2015169402A (ja) 空気調和機
JP2010060202A (ja) 冷凍機用電動機における冷却構造
JP3491323B2 (ja) 空調装置
KR20100013483A (ko) 히트 펌프용 압축기 및 그 압축기를 구비한 히트 펌프
KR20160019181A (ko) 전기자동차 발전시스템
KR101613205B1 (ko) 증발 응축기 일체형 히트 펌프
KR101029323B1 (ko) 복합 열 재생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JP5326479B2 (ja) 空気調和装置
US4235080A (en) Refrigeration and space cooling unit
KR102044308B1 (ko) 가스히트펌프식 공조 및 온수공급 장치
KR930003924B1 (ko) 원판압축 팽창형 냉 난방장치
KR101166154B1 (ko) 냉매터빈발전기를 이용한 이원냉동사이클 히트펌프
WO2009017375A1 (en) Compressor for heat pump
JP2010236725A (ja) ヒートポンプ装置
JP2004340081A (ja) ランキンサイクル
KR101696435B1 (ko) 공기 사이클 시스템용 쿨링 터빈 조립체
JP2000274875A (ja) 複合式冷房システム及び複合式冷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