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426A - Mold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of bridge - Google Patents

Mold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of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426A
KR20100013426A KR1020080074939A KR20080074939A KR20100013426A KR 20100013426 A KR20100013426 A KR 20100013426A KR 1020080074939 A KR1020080074939 A KR 1020080074939A KR 20080074939 A KR20080074939 A KR 20080074939A KR 20100013426 A KR20100013426 A KR 20100013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irder
plate
forming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22323B1 (en
Inventor
계문교
Original Assignee
계문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문교 filed Critical 계문교
Priority to KR1020080074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323B1/en
Publication of KR20100013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4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3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URPOSE: A form system for molding a concrete girder of a bridge is provided to manufacture a concrete girder of a trapezoid shape installed in a straight section and a curved section. CONSTITUTION: A form system for molding a concrete girder of a bridge comprises a base frame(2), a bottom base form(6), outer forms(10), inner forms(14), second side frames(16), a suspension device(20), a second side frame movement unit, a first side frame movement unit, a suspension device movement unit, and a base plate(50). The bottom base form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The outer forms are installed in the inner sides of first side frames(8) to be respectively symmetrical. The second side frames support the inner forms. The suspension device hangs the second side frames on the top of the base frame. The first side frame movement unit moves the suspension device. The base plate molds a base surface of the concrete girder.

Description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mold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of bridge}Mold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of bridges

본 발명은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rmwork for forming concrete girder for bridges.

전철, 도로 등을 지상 또는 수면 위의 공중에 시공하기 위하여 교량 공사를 하여야 한다. 여러 가지의 교량 시공방법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일정 간격으로 축조된 교각 위에 거더(girder, 대들보)를 연속되게 얹고 그 위에 슬래브 또는 철도 선로를 설치하게끔 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철과 같은 궤도차량의 주행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거더에 관련된 것이다. 도 1은 교량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가 제공하고자 하는 거더의 사시도이다. Bridge work should be done in order to install trains, roads, etc. in the air on the ground or above the water. There are vari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s, but basically, girders are continuously placed on the piers constructed at regular intervals, and slabs or railway tracks are installed on them.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irders that can be used for driving purposes of tracked vehicles, such as trains, as shown in FIGS. 1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bridg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irder to be provided by the form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지면에 콘크리트 기초(100)가 놓이고, 기초 위에 교각(102)이 축조된다. 교각(102) 위에 단면이 대략 유(U)자 형태인 거더(104)가 놓이며 거더(104) 위에 궤도차량을 위한 선로(106)가 놓인다. 거더(104)는 평평한 바닥판(108)과 바닥판 양 측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경사지게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판(110)과 일단이 상기 측판(110)의 상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상판(11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거더(104)의 단면은 넓적한 그릇의 형태를 취한다. 거더(104)의 폭은 7 ~ 9m 정도가 된다. 상판(112)은 플랫홈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작업자 1인이 통행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가지며 상판(112)의 가장지리에는 난간이 설치된다. 거더(102)의 마구리면에는 거더(104) 상호간을 요철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일측 마구리면에는 돌기(통상 '전단키(key)'라 일컫는다. 이하 전단키(114)로 명칭하기로 한다)가 타측 마구리에는 전단키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다. 전단키(114)와 홈은 거더의 전단면을 따라 다수 형성된다. 또한 거더(104)에는 그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강선홀(116)이 전단면을 따라 마련된다. 이 강선홀(116)은 PSC빔을 위한 강선을 삽입시키기 위한 통로이다. A concrete foundation 100 is placed on the ground, and a piers 102 are constructed on the foundation. A girder 104 having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 section is placed on the pier 102 and a track 106 for the tracked vehicle is placed on the girder 104. The girder 104 has a flat bottom plate 108 and a side plate 110 extending upwardly inclined out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one end extending toward the center in a stat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110. The upper plate 112 is configured. Accordingly,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104 takes the form of a wide bowl. The width of the girder 104 is about 7 to 9 m. The top plate 112 functions as a platform and has a width that is at least one worker can pass and a handrail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top plate 112. In order to couple the girder 104 to each other on the surface of the girders 102, the projections (commonly referred to as 'keys') are referred to on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The groove is formed in the shear key is inserted. A plurality of shear keys 114 and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shear surface of the girder. In addition, the girder 10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eel wire holes 116 along the shea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is wire hole 116 is a passage for inserting a wire for the PSC beam.

본 발명의 목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나아가 직선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에 설치되는 사다리꼴 형태의 거더를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는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거더와 거더의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mwork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crete girder for bridges as shown in FIG. Furthermore, it is to provide a formwork apparatus having a system capable of manufacturing trapezoidal girders installed in a curved section as well as a straight section.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rmwork device that allows the connection of the girder and the girder accurately.

위와 같은 목적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방향으로 대칭되게 연장되게 설치되는 측판으로 구성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The above object is to form a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consisting of a bottom plate, a side plate installed to extend symmetrically upward from each side of the bottom plate;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평평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바닥판의 저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바닥저면폼; 상기 베이스프레임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측부프레임; 상기 측판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에 상기 제1측부프레임의 내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는 외측면폼; 상기 측판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내측면폼; 상기 내측면폼을 지지하기 위한 제2측부프레임; 상기 제2측부프레임으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현수(懸垂)수단; 상기 제2측부프레임이 상기 현수수단에 의해 매달린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외측면폼에 인접하는 위치로 힌지운동하게 하는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 상기 제1측부프레임을 기동시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부에 선택적으로 인접되도록 하기 위한 제1측부프레임 기동부; 상기 제2 측부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 직상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현수수단을 기동시키기 위한 현수수단 기동부; 거더의 마구리면을 성형하기 위한 마구리판; 상기 마구리판을 지탱시키기 위한 마구리판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 base frame installed flat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ground; A bottom bottom foam installed on the base frame to form a bottom of the bottom plate; First side frame frames symmetr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An outer surface foam symmetrically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ide frame to form an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An inner side foam for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A second side frame for supporting the inner side foam; Suspending means for allowing the second side frame to be suspended above the base frame; A second side frame starting part for allowing the second side frame to be hing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outer side surface foam selectively in a suspended state by the suspending means; A first side frame starting part for activating the first side frame to selectively adjoi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Suspension means starting unit for starting the suspending means so that the second side frame can be selectively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base frame; A curling plate for molding the curling surface of the girder; It is achieved by a formwork for forming concrete girder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rame for supporting the plate.

본 발명은 플랫홈의 기능을 위해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끔 상기 측판 상단 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상판을 동시에 성형하기 위한 상판성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판성형수단은 상기 내측면폼과 일체로 형성되어 내측면폼과 함께 기동되는 상판폼; 상기 거더의 양쪽 상단의 모서리 부분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측부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모서리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op plate forming means for simultaneously forming a top plate that i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side plate top to parallel to the bottom plate for the function of the platform; The upper plate forming means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surface foam and the upper plate foam to be activated together with the inner surface foa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rner form which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rst side frame as to close the corner portions of both upper ends of the gird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더의 마구리면 한쪽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폼은 이미 양생된 거더의 마구리면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이미 양생된 거더가 놓인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위치이동시키기 위한 거더이송대를 더 포함하며; 이 거더이송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저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아가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유압잭이 상부에는 설치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들어 올린 후 위치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ding foam for forming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girder is formed by the surface of the cured girder already; A girder carriage for moving the base frame on which the already cured girders are placed; The girder carriage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installed at the base frame bottom, and furthermore, the hydraulic jack is installed at the top so that the length is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base frame can be lifted and then moved.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정한 단위 길이를 가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거푸집 장치가 제공된다. 작업자는 성형된 거더를 운반해 시공현장에서 즉시로 연결 설치할 수 있어 교량시공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교량의 직선구간이나 곡선구간에 설치되는 거더를 하나의 장치로써 제작할 수 있는 거푸집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이미 양생된 거더의 마구리면을 거푸집의 일부로 이용함으로써 이미 양생된 거더와 정확하 게 암수결합되도록 하는 거푸집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provided a formwork apparatus that can easily manufacture a concrete girder for bridges as shown in Figure 2 having a predetermined unit length. The operator can carry the molded girders and install them immediately at the construction site, making the bridge construction simple. In addition, a formwork device is provided that can produce a girder installed in a straight section or curved section of the bridge as a single device. Also provided is a formwork device that uses the surface of the already cured girders as part of the formwork so that it can be precisely male and female combined with the already cured girders.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작용상태를 도시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작업의 진행상태에 따른 정면 구성도이다. 도 9는 측면구성도이다. 도 10은 곡선구간에 연속 설치되는 거더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11은 거더와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 평면구성도이다. 거더에 대하여는 도 2를 통해 부여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rmwork apparatus for forming a concrete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the formwork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for bridges showing the working state. 6 to 8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work. 9 is a side view. 10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girder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curve section, Figure 11 is a schematic pla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girder and the formwork device. For the girder, reference numerals given through FIG. 2 are used.

본 발명은; 바닥판(108), 상기 바닥판(108)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측판(110) 및 중심을 향해 연장되도록 측판(110) 상단에 설치되는 상판(112)으로 구성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이하, '거더'라 한다)를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거더(104)는 일정한 단위길이(예를 들어 3 ~ 3.5m)로 제작된 후 시공현장으로 운반되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2 is composed of a bottom plate 108, a side plate 110 installed to extend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108, and an upper plate 112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side plate 110 so as to extend toward the center. It is for forming a concrete gir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girder') for the bridge as shown. The girder 104 is generally manufactured to a certain unit length (for example, 3 ~ 3.5m) and then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for use.

바닥판(108)이 얹히게 되는 베이스프레임(2)은 여러 개의 다리(4)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바닥판(108)의 저면(108a)을 성형하기 위한 바닥저면폼(6)이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2)의 각 다리(4)의 끝단에는 스크류(4a)가 설치되어 바닥저면폼(6)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도 록 하고 있다. The base frame 2 on which the bottom plate 108 is mounted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lurality of legs 4 at a predetermined height. A bottom bottom foam 6 for forming the bottom surface 108a of the bottom plate 108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Screws 4a are installed at the ends of each leg 4 of the base frame 2 to adjust the horizontality of the bottom bottom foam 6.

제1측부프레임(8)이 베이스프레임(2)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된다. 외측면폼(10)은 측판(110)의 외면(110a)을 형성하기 위에 제1측부프레임(8)의 내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된다. 제1측부프레임(8)은 제1측부프레임 기동부에 의해 각각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first side frame 8 is install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 The outer side foam 10 is installed symmetrically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ide frame 8 to form the outer surface 110a of the side plate 110, respectively. The first side frame 8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by the first side frame starting part.

내측면폼(14)은 거더의 측판 내면(110b)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측부프레임(16)에 의해 지지된다. 현수(懸垂)수단(20)은 제2측부프레임(16)으로 하여금 베이스프레임(2)의 직상부에 매달려 있을 수 있도록 한다. 현수수단 기동부는 제2 측부프레임(16)이 베이스프레임(2)의 직상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현수수단(20)을 기동시킨다.  The inner side foam 14 is supported by the second side frame 16 to form the side plate inner surface 110b of the girder. Suspending means 20 allows the second side frame 16 to be suspended above the base frame 2. The suspending means starting section activates the suspending means 20 so that the second side frame 16 can be selectively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base frame 2.

이하, 현수수단 기동부를 설명한다. 제2측부프레임(16)은 현수수단(20)이 지면에 부착되는 레일(2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선택적으로 베이스프레임(2) 위에 설치될 수 있다. 현수수단(20)의 저면에는 레일(22)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제1바퀴(24)가 설치되고 있다. 레일(22)은 제2측부프레임(16)이 베이스프레임(2)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지점으로 위치되거나(도 3과 도 9 참조) 제2측부프레임(16)이 베이스프레임(2) 직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길게 설치된다(도 6 및 도 7의 상태 참조). The suspension means starting section will now be described. The second side frame 16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2 by being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22 to which the suspending means 20 is attached to the ground. At the bottom of the suspending means 20, first wheels 24 rolling along the rails 22 are provided. The rail 22 is positioned at the point where the second side frame 16 is completely out of the base frame 2 (see FIGS. 3 and 9) or the second side frame 16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base frame 2. Installed so long as possible (see the state of FIGS. 6 and 7).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는 제2측부프레임(16)이 현수수단(20)에 의해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내측면폼(14)에 인접하는 위치로 힌지운동하게끔 한다. 제1측부프레임 기동부에 의해 제1측부프레임(8)과 베이스프레임(2)이 최대한 인접되게 되면 바닥저면폼(6)과 외측면폼(10)은 틈새없이 서로 접하여 거더의 바닥판 저면(108a) 및 측판의 외면(110a)과 대응되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The second side frame actuating portion causes the second side frame 16 to be hing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ner side form 14, optionally suspended in suspension by the suspending means 20. When the first side frame 8 and the base frame 2 are as close to each other as possible by the first side frame moving part, the bottom bottom foam 6 and the outer side foam 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a gap and the bottom plate bottom of the girder ( 108a and the outer surface 110a of the side plate are formed.

거더의 상판은 선택적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측판에 흡수되어 설명될 수 있다. 상판을 성형하기 위한 상판성형수단은 내측면폼과 일체로 형성되어 내측면폼과 함께 기동되는 상판폼(12)과; 거더의 양쪽 상단의 모서리 부분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측부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모서리폼(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성형수단은 상판(112)의 구체적 형상에 따라 좌우될 것이며 요구하는 형상에 따라 당업자는 얼마든지 형태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op plate of the girder may be an optional component and may be described as absorbed by the side plate. Top plate forming means for forming the top plat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surface foam and the upper plate foam (12) to be activated together with the inner surface foam; As to close the corner portions of both upper ends of the girder may include an edge form 18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rst side frame. The top plate forming means will depend on the specific shape of the top plate 112,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orm any number of forms depending on the shape required.

이하, 현수수단(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현수수단(20)은 저면에 제1바퀴(24)가 설치되는 대차(26); 대차(26)의 후단에 직상방향으로 세워지는 기둥체(28); 및 상기 대차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상기 기둥체(28)의 상단에 설치되는 루프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대차(26)와 루프프레임(30)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현수수단(20)은 측면도인 도 9를 참조하면 디귿(ㄷ) 형상을 가지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루프프레임(30)은 기다란 외팔보의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루프프레임(30)과 제2측부프레임(16)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루프프레임(30)의 선단에는 처짐방지대(32)가 설치된다. 처짐방지대(32)는 거푸집의 합체후 베이스프레임(2) 등 고정체의 상면에 지지된다. 대차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대차(26)에도 스크류(26a)가 설치된다. Hereinafter, the suspension means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uspension means 20 is a bogie 26, the first wheel 24 is installed on the bottom; A pillar body 28 which is erected in a straight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trolley 26; And a loop frame 3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pillar body 28 so as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bogie. The bogie 26 and the loop frame 30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suspension means 20 has a dichroic shape with reference to FIG. As shown in FIG. 9, the loop frame 30 takes the form of an elongated cantilever beam, and the tip of the loop frame 30 is prevented from sagging due to the weight of the loop frame 30 and the second side frame 16. Deflection prevention 32 is installed in the. The sagging prevention member 32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ture such as the base frame 2 after the formwork is coalesced. A screw 26a is also installed in the trolley 26 to selectively fix the trolley.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의 3차원적 형체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은 단위중량을 감소시키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H-형강 또는 L-형강 등으로 제작된다. 다만 도면에는 4각봉의 형태로 간략하게 표현되었다.Each frame constitut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H-shaped steel or L-shaped steel and the like to reduce the unit weight and increase the strength. However, the drawings are briefly expressed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rod.

이하, 제1측부프레임 기동부에 대하여 도 3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트러스 구조의 제1측부프레임받침대(34)가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제1실린더(36)가 제1측부프레임(8)과 제1측부프레임받침대(34)의 경계부위에 설치된다. 제1측부프레임(8)과 제1측부프레임받침대(34)의 경계부위에는 용이한 이동을 위한 레일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1실린더(36)의 일측은 제1측부프레임(8)에, 타측은 제1측부프레임받침대(34)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변환을 겪게 된다. 이로써 제1측부프레임(8)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바닥저면폼과 외측면폼의 선택적 합체를 가능하게 한다. 때에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부프레임(8)은 약간 아래 방향으로 향하면서 외측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제1측부프레임(8)과 제1측부프레임받침대(34)의 경계를 비스듬하게 설정하면 된다. Hereinafter, the first side frame star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6. The first side frame support 34 of the truss structure is fixed to the ground, and the first cylinder 36 is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ide frame 8 and the first side frame support 34. Rails for easy movement may be provi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ide frame 8 and the first side frame support 34. One side of the first cylinder 36 is subjected to the length conversion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frame (8), the other side to the first side frame support (34). As a result, the first side frame 8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S. 6 and 8 to allow selective coalescing of the bottom bottom form and the outer form. 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6, the first side frame 8 may be separated to the outside while facing slightly downward, which is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side frame 8 and the first side frame support 34. This can be set at an angle.

이하, 도 3과 도 6을 주로 참조하여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는 상단은 루프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레버(38)와, 루프프레임(30) 하부에 직삼각 형태로 고정되는 브래킷(40)을 통해, 일단은 루프프레임(30)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레버(38)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실린더(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측부프레임(16)은 관절 형태로 연결된 부위를 가지는데, 이는 폼의 분리시 제2측부프레임(16)의 말단부가 양생된 거더에 부딪히지 않도록 힌지축을 기준으로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제2측부프레임의 말단부(16a)는 제3실린더(46)의 길이변환에 의해 관절 형태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Hereinafter, the second side frame starting p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6. The second side frame moving part is the upper end of the loop frame through a rotation lever 38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op frame 30 and a bracket 40 fixed in a right triangle shape to the lower part of the roof frame 30. It is connected to 30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second cylinder 42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lever 3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ide frame 16 has a jointed portion, which is formed based on the hinge axis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side frame 16 does not hit the cured girder when the foam is separated. It is to transform. That is, the distal end 16a of the second side frame can move in the form of a joint by the length change of the third cylinder 46.

한편 거더의 마구리면을 형성하기 위한 마구리판이 설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처음으로 제작되는 거더는 양쪽 마구리에 각각 마구리판을 대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지만, 그 다음부터는 한쪽 마구리에는 앞서 제작된 거더로하여금 마구리판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렇게 이미 제작된 거더를 한쪽 마구리판으로 대용하는 것은 거더와 거더의 정밀한 결합을 위한 것이다. 이는 현장에서 거더를 연결할 때 연결부위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용이한 방책이 된다. 거더로 하여금 한쪽 마구리판 기능을 하도록 하기 위해 거더를 베이스프레임(2)의 앞쪽에 선단에 위치시켜야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On the other hand, a copper plate for forming the copper surface of the girder should be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irder is cast concrete on both sides of the copper plate, but from then on one of the copper gird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gold plate. Substituting the already made girders on one side of the girder is for the precise combination of girders and girders. This is an easy measure for minimizing the error of the connecting part when connecting the girders in the field. In order to make the girders function as one side of the board, it is necessary to position the girders at the front end of the base frame 2.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마구리판프레임(48)은 마구리판(50)을 지탱시키기 위한 것이다. 마구리판(50)에는 전단키(114, 도 2 참조)를 형성하기 위한 전단키성형부(5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PSC용 강선을 삽입하여 관통시키기 위한 파이프홀(54)이 타공되어 있다. 이 강선홀에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기다란 원형파이프가 인입되어 고정된다. 이 원형파이프는 거더의 양생에 의해 그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The copper plate frame 48 is for supporting the copper plate 50. The shear plate 50 is provided with a shear key forming portion 52 for forming the shear key 114 (see FIG. 2). And the pipe hole 54 for perforating the PSC steel wire is perforated. Long steel pipes are introduced into these steel holes before they are placed. This round pipe is integrated with the girder by curing.

하나의 거더가 양생되면 그에 사용되었던 베이스프레임(2)은 거더를 받쳐 들고 도 5 또는 도 9상 "A"의 위치에서 "B"의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A"의 빈자리에는 재차 새로운 베이스프레임(2')을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기존의 베이스프레임(2)과 새로 설치한 베이스프레임(2') 사이에는 고정바(56)를 연결하여 서로간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When one girder is cured, the base frame 2 used in the girder supports the girder and is moved from the position of "A" in FIG. 5 or FIG. 9 to the position of "B". And a new base frame (2 ') is to be installed in the empty space of "A" again. In addition, the fixing bar 56 is connected between the existing base frame 2 and the newly installed base frame 2 'so that the position between each other is fixed.

본 발명에 의하면 양생된 거더를 위치이동시키 위한 베이스프레임기동부가 더 제공된다. 거더는 기중기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들어올린후 이송시킬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압잭(58)에 의해 베이스프레임(2)을 약간만 들어올린후 이동시키고 있다. 베이스프레임기동부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변화될 수 있는 기중용 유압잭(58)과 레일(22)을 따라 직선운동되는 대차 형태로 된 거더이송대(60)를 포함한다. 기중용 유압잭(58)은 거더이송대(60)의 상면에 설치된다. 거더이송대(60)는 감속기(62) 및 제2바퀴(64)가 설치되는 하체프레임(66); 하체프레임(66) 위에 상대적 위치이동이 가능하게끔 얹히는 상체프레임(68); 및 하체프레임(66)에 대하여 상체프레임(68)을 도면상(도 6 및 도 11의 L1 구간 참조) 좌우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게끔 제4실린더(70)가 설치된다. 제4실린더(70)는 러그를 통해 일측은 하체프레임(66)에 타측은 상체프레임(68)에 연결된다. 상체프레임(68)과 하체프레임(66)의 경계에는 마찰판이 개입되어 그들의 상대적 마찰운동을 허용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base frame moving part for moving the cured girder. The girder may be lifted up by air using a crane and then transported,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frame 2 is lifted only slightly by the hydraulic jack 58 and then moved. The base frame moving part includes a girder carriage 60 in the form of a bogie that is linearly moved along the rail 22 and a lifting hydraulic jack 58 which can be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rane hydraulic jack 58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transfer table 60. The girder carriage 60 includes a lower body frame 66 on which a speed reducer 62 and a second wheel 64 are installed; An upper body frame 68 mounted on the lower frame 66 to allow relative position movement; And a fourth cylinder 70 is installed to finely move the upper frame 68 to the left and right on the drawing (see the L1 section of Figs. 6 and 11) with respect to the lower frame 66. The fourth cylinder 70 i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66 on one side and the upper frame 68 on the other side through the lug. At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frame 68 and the lower frame 66, friction plates are involved to allow their relative frictional movements.

거더이송대(60)는 베이스프레임(2)과 양생된 거더를 마치 지게차처럼 떠서 도 9의 도면상 우측으로, 즉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송시킨후 내려놓는다. 이송거리는 거더의 길이에 해당되어야할 것이다. The girder transfer table 60 floats the base frame 2 and the cured girder as if it were a forklift, and transports it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of FIG. The feed distance should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girder.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곡선구간의 교량에 설치되는 거더를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도 10 내지 도 11의 평면 구성도를 통해 개념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거더는 전철 등의 선로가 놓이는 곳이어서 변곡률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도시된 것처럼 큰 곡률을 가지지는 아니한다. 즉, 도 10 내지 도 11은 이해의 편이를 위해 곡률 등을 다소 과장되게 표현하고 있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embodiment is for producing a girder installed in the bridge of the curved section. First, the conceptual cont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lan view of FIGS. 10 to 11. Since the girder is a place where a track such as a train is placed, there is a limit in the curvature, so it does not have a large curvature as shown. That is, FIGS. 10 to 11 exaggerate the curvature and the like somewhat for ease of understanding.

곡선구간에 설치되는 거더(10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한 직사각형이 아니며 대략 사다리꼴 형태로 만들어져야 한다. 거더의 제1변(P1)과 제2변(P2)는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제3변(P3)은 제1변과 직각을 이루는 변(P3')에 대하여 최대 4 ~5ㅀ의 각도(α)가 된다.  The girder 104 installed in the curved section is not an exact rectangle as shown in FIG. 10 and should be made in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The first side P1 and the second side P2 of the girder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third side P3 has an angle of up to 4 to 5 ° with respect to the side P3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α).

본 발명은 이러한 사다리꼴 평면 형태를 가지는 거더를 제작하기 위해 거푸집 장치의 각 폼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도 11은 곡선부위에 사용되는 거더와 그의 거푸집의 관계를 평면도로써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미 양생된 거더(104')가 새로 성형될 거더(104)의 마구리판 기능을 한다고 이미 언급한바 있다. 이미 양생된 거더(104')는 거더이송대(60)에 의해 도 11의 도면상 아래의 위치로 이동된다(도 9에서는 우측으로). 나아가 새로 성형될 거더(104)와 이미 양생된 거더(104')는 소정의 각도(β)로 비뚤어진 상태로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의하면 이미 양생된 거더의 선단(104'a)은 L1의 구간만큼 이동되어야 하며 새로 성형할 거더(104)의 일측판 외면을 성형하기 위한 외측면폼(10)은 L2의 구간만큼 뒤로 후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새로 성형할 거더(104) 의 마구리판(50) 또한 필요에 따라 L3의 구간만큼 각도변화를 겪어야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ystem capable of finely adjusting the position of each form of the formwork device to produce a girder having such a trapezoidal planar shape. 11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irder used in the curved portion and the formwork thereof in a plan view. It has already been mentioned that the cured girders 104 'function as a curling plate for the newly formed girders 104. The already cured girders 104 'are moved by the girder carriage 60 to the lower position in the figure of FIG. 11 (to the right in FIG. 9). Furthermore, the newly formed girders 104 and the already cured girders 104 ′ should be connected in a crooked s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β. According to this, the tip 104'a of the already cured girder should be moved by the section of L1 and the outer side form 10 for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plate of the new girder 104 should be retracted backward by the section of L2. something to do. Meanwhile, the copper plate 50 of the girder 104 to be newly formed should also undergo an angle change by the section of L3 as necessary.

이미 양생된 거더(104')를 L1의 구간만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위에 설명된 제4실린더(70)이다. 그리고 외측면폼(50)을 L2의 구간만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5실린더(72)이다. 제5실린더(72)는 일단이 제1측부프레임(8)에 연결되고 타단이 외측면폼(10)에 연결되며, 제1측부프레임(8)의 높이방향을 따라 3~ 4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5실린더(72)는 베이스프레임 양측에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제1측부프레임(8)에 각각 설치된다. 물론 제1측부프레임(8)과 외측면폼(10)은 상대적 유동이 가능하게끔 연결된다. 상대적 유동이란 약간(5 ~ 15cm)의 슬립이 가능하다는 정도이다. The means for moving the already cured girders 104 'by the interval of L1 is the fourth cylinder 70 described above. And the means for moving the outer side foam 50 by the section of L2 is the fifth cylinder (72). One end of the fifth cylinder 72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frame 8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er side foam 10, and three to four are install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side frame 8. In addition, the fifth cylinders 72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rst side frame 8 positioned independently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Of course, the first side frame 8 and the outer surface foam 10 are connected to allow relative flow. Relative flow is a slight slip (5 to 15 cm).

마구리판(50) 역시 제6실린더(74)에 의해 L3의 구간에 해당하는 만큼 움직거릴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마구리판(50)은 도 11의 도면상 좌우 임의방향으로 비틀린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 copper plate 50 may also move as much as the section of L3 by the sixth cylinder 74. As a result, the copper plate 50 may be installed in a twisted state in an arbitrary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of FIG. 11.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베이스프레임(2)과 제1측부프레임(8)만이 합체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마구리판프레임(48)이 베이스프레임(2)의 전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상태는 거더를 처음으로 양생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마구리판(50)을 통해 강선홀(116)을 만들기 위한 원형파이프를 파이프홀(54)에 설치한다. 그리고 거더의 바닥판(108)을 성형하기 위해 바닥저면폼(6) 위에 콘크리트를 일정 두께로 타설하여 일정시간 경과하도록 놓아둔다.Hereinafter, an operation st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3 shows a state in which only the base frame 2 and the first side frame 8 are merged. And the copper plate frame 48 is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se frame 2, respectively. The illustrated state is a state of curing the girder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ate, a circular pipe for making the steel wire hole 116 through the copper plate 50 is installed in the pipe hole 54. And in order to mold the bottom plate 108 of the girder, the concrete is placed on the bottom bottom foam 6 to a certain thickness and placed to pass for a predetermined time.

바닥판이 어느 정도 경화된 후, 제2측부프레임(16)이 현수수단 기동부에 의해 현수수단(20)에 매달린 채로 베이스프레임(2) 직상부로 이동하여 도 4의 도시된 지점에 위치되며(도 6 참조),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에 의해 거푸집이 완전히 합체되게 된다. 이후 내측면폼(14)을 고정시키기 위해 수작업으로 버팀봉(76)을 제2측부프레임(16) 사이에 설치한다(도 7 참조). 그리고 거더의 측판(110)을 성형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러면 도 7의 상태가 된다. After the bottom plate has hardened to some extent, the second side frame 16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2 with the suspension means starting part suspended from the suspension means 20 and positioned at the point shown in FIG. 4 ( 6, the formwork is completely coalesced by the second side frame starting part. Thereafter, the fixing rod 76 is manually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side frame 16 to fix the inner side foam 14 (see FIG. 7). And the concrete is poured to form the side plate 110 of the girder. Then, the state of FIG. 7 is obtained.

시간이 경과하여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게 되면 제1측부프레임 기동부에 의해 외측면폼(1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고,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는 내측면폼(14)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현수수단 기동부는 현수수단(20)으로 하여금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후퇴하도록 한다. 이후에 거더이송대(60)가 베이스프레임(2) 밑으로 이동하여 베이스프레임(2)을 들어올려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양생된 거더(104')를 이송시킨다. 이제부터 양생된 거더(104')는 일측 마구리판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2)이 원래 설치되어 있던 지점에는 새로운 베이스프레임(2')이 설치되어 새로운 거더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concrete is completely cured as time passes, the outer side foam 10 is open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s shown in FIG. 8 by the first side frame starting portion, and the second side frame starting portion is the inner side foam 14. To separate. And the suspending means starting unit causes the suspending means 20 to retreat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Thereafter, the girder carriage 60 moves under the base frame 2 to lift the base frame 2 to transfer the cured girders 104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Cured girders (104 ') from now on will function as one side of the copper plate. And at the point where the base frame 2 was originally installed, a new base frame 2 'is installed to form a new girder.

위에서 설명된 각 실린더(36,42,46,70,72,74)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 또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길이변환되는 스크류잭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특히 제3,6실린더(46,74)는 스크류잭으로 하는 것이 구성의 간편성을 위해 더 바람직하다. Each of the cylinders 36, 42, 46, 70, 72, and 74 described above is used to encompass a hydraulic cylinder actuated by hydraulic pressure, or a screw jack length converted by mechanical means.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for the third and sixth cylinders 46 and 74 to be screw jacks for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도 1은 교량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가 제공하고자 하는 거더의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bridg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irder to be provided by the form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rmwork apparatus for forming a concrete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5는 작용상태를 도시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4 to 5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the formwork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for bridges showing the working state.

도 6 내지 도 8은 작업의 진행상태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정면 구성도이다. 6 to 8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ormwor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opera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의 측면구성도이다. 9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 formwork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곡선구간에 연속 설치되는 거더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11은 거더와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 평면구성도이다. 10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girder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curve section, Figure 11 is a schematic pla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girder and the formwork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베이스프레임 6 ; 바닥저면폼2 ; Baseframe 6; Floor foam

8 ; 제1측부프레임 10 ; 외측면폼8 ; First side frame 10; Outer Foam

12 ; 상판폼 14 ; 내측면폼12; Top plate 14; Inner side foam

16 ; 제2측부프레임 18 ; 모서리폼16; Second side frame 18; Corner foam

20 ; 현수수단 22 ; 레일20; Suspension means 22; rail

26 ; 대차 28 ; 기둥체26; Balance 28; Column

30 ; 루프프레임 48 ; 마구리판프레임30; Loop frame 48; Curling board frame

36,42,46,70,72,74 ; 제1,2,3,4,5,6실린더36,42,46,70,72,74; 1, 2, 3, 4, 5, 6 cylinder

50 ; 마구리판 60 ; 거더이송대50; Copper plate 60; Girder

104 ; 거더 104; Girder

Claims (4)

바닥판(108), 상기 바닥판(108)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방향으로 대칭되게 연장되게 설치되는 측판(110)으로 구성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104)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For forming a concrete girder 104 for the bridge consisting of a bottom plate (108), the side plate (110) is installed to extend symmetrically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108);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2); 상기 바닥판의 저면(108a)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2) 위에 설치되는 바닥저면폼(6); 상기 베이스프레임(2)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측부프레임(8); 상기 측판의 외면(110a)을 형성하기 위에 상기 제1측부프레임(8)의 내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는 외측면폼(10); 상기 측판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내측면폼(14); 상기 내측면폼(14)을 지지하기 위한 제2측부프레임(16); 상기 제2측부프레임(16)으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프레임(2) 상부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현수(懸垂)수단(20); 상기 제2측부프레임(16)이 상기 현수수단(20)에 의해 매달린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외측면폼(10)에 인접하는 위치로 힌지운동하게 하는 제2측부프레임 기동부; 상기 제1측부프레임(8)을 기동시켜 상기 베이스프레임(2)의 양측부에 선택적으로 인접되도록 하기 위한 제1측부프레임 기동부; 상기 제2 측부프레임(16)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 직상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현수수단(20)을 기동시키기 위한 현수수단 기동부; 상기 거더(104)의 마구리면을 성형하기 위한 마구리판(50); 상기 마구리판(50)을 지탱시키기 위한 마구리판프레임(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A base frame (2)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certain height; A bottom bottom foam (6) installed on the base frame (2) to form the bottom (108a) of the bottom plate; First side frame (8) which is install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 An outer surface foam 10 symmetrically installed inside the first side frame 8 to form an outer surface 110a of the side plate; An inner side foam 14 for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A second side frame (16) for supporting the inner side foam (14); Suspending means (20) for allowing the second side frame (16) to be suspended above the base frame (2); A second side frame starting part for allowing the second side frame 16 to be hing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outer side surface form 10 in a suspended state by the suspending means 20; A first side frame starting part for starting the first side frame (8) to selectively adjoi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 Suspension means starting unit for activating the suspending means 20 so that the second side frame 16 can be selectively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base frame 2; A copper plate 50 for forming a copper surface of the girder 104; Formwork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pper plate frame (48) for supporting the copper plate (50). 제1항에 있어서, 플랫홈의 기능을 위해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끔 상기 측판 상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상판(112)을 동시에 성형하기 위한 상판성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판성형수단은 상기 내측면폼(14)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면폼(14)과 함께 기동되는 상판폼(12); 상기 거더(104)의 양쪽 상단의 모서리 부분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측부프레임(8)의 상단에 설치되는 모서리폼(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op plate forming means for simultaneously forming a top plate (112) integrally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ide plate in parallel with the bottom plate for the function of the platform; The upper plate forming means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surface form 14, the upper plate form 12 to be activated together with the inner surface form (14);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concrete girder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for closing the corners of both upper ends of the girder 104 includes a corner form (18)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rst side frame (8)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의 마구리면 한쪽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폼은 이미 양생된 거더(104')의 마구리면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이미 양생된 거더가 놓인 상기 베이스프레임(2)을 위치이동시키기 위한 거더이송대(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더이송대(6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 저부에 설치되는 레일(2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아가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유압잭(58)이 상부에는 설치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프레임(2)을 들어 올린 후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rming foam for forming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girder is to be formed by the surface of the cured girders 104 '; A girder carriage (60) for positioning the base frame (2) on which the cured girders are placed; The girder carriage 60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22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ase frame 2, and furthermore, the hydraulic jack 58 is installed at the top so that the length thereof varies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mwork for forming concrete girder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can be moved after lift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이송대(60)는 감속기(62) 및 제2바퀴(64)가 설치되는 하체프레임(66); 하체프레임(66) 위에 상대적 위치이동이 가능하게끔 얹히는 상체프레임(68); 및 하체프레임(66)에 대하여 상체프레임(68)을 좌우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게끔 일측은 하체프레임(66)에 타측은 상체프레임(68)에 연결되는 제4실린더(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According to claim 3, The girder carriage (60) comprises a lower frame (66) in which the reducer (62) and the second wheel (64) is installed; An upper body frame 68 mounted on the lower frame 66 to allow relative position movement; And a fourth cylinder 7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lower body frame 66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68 so that the upper body frame 68 can be finely moved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frame 66. Formwork for forming concrete girder for bridges.
KR1020080074939A 2008-07-31 2008-07-31 mold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of bridge KR1010223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939A KR101022323B1 (en) 2008-07-31 2008-07-31 mold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of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939A KR101022323B1 (en) 2008-07-31 2008-07-31 mold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of b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426A true KR20100013426A (en) 2010-02-10
KR101022323B1 KR101022323B1 (en) 2011-03-21

Family

ID=4208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939A KR101022323B1 (en) 2008-07-31 2008-07-31 mold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of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32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1127A (en) * 2010-10-26 2011-04-06 湖南中铁五新钢模有限责任公司 Combined box girder hydraulic internal mould
CN110820513A (en) * 2019-11-22 2020-02-21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Alignment construction method for diaphragm plate of prefabricated concrete T beam of curved bridge
CN113005907A (en) * 2021-02-21 2021-06-22 梁飞 Building templates of portable install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3736B2 (en) * 1995-04-24 1997-12-24 住友建設株式会社 Bridge girder segmen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0369757B1 (en) 1999-12-27 2003-01-30 주식회사 비엔지컨설턴트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type pc box girder bridge making mold system and segment making method thereof
JP2002088718A (en) 2000-09-12 2002-03-27 Kajima Corp Inner form device for concrete box girder bridge and moving method theref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1127A (en) * 2010-10-26 2011-04-06 湖南中铁五新钢模有限责任公司 Combined box girder hydraulic internal mould
CN110820513A (en) * 2019-11-22 2020-02-21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Alignment construction method for diaphragm plate of prefabricated concrete T beam of curved bridge
CN113005907A (en) * 2021-02-21 2021-06-22 梁飞 Building templates of portable insta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323B1 (en) 201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507167U (en) Non-dismantling movable formwork for concrete-passing continuous beam
CN111365035A (en) Rapid linkage construction trolley for pipe gallery diaphragm and pipe gallery diaphragm construction method
KR101001137B1 (en) mold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of bridge
CN102660925A (en) Moveable formwork for variable-width curved bridge
CN108638297A (en) Vertical shift trolley, adjusting part and application method for monorail track beam forms
KR101022323B1 (en) mold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girder of bridge
KR101491786B1 (en) Track skeleton assembly equipment for 3D precast slab track manufacturing
CN206016835U (en) Tunnel and subway engineering diameter Changeable Model chassis
CN110106788B (en) Post-cast section construction method for butt joint of track beams
CN111809660A (en) Comprehensive pipe gallery rectangular trolley and construction method
KR20170028779A (en) Mould And Form Traveller For Box Girder
KR101082418B1 (en) mold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slab of bridge
CN211547804U (en) Cantilever type retaining wall rapid construction device
CN108316156B (en) Movable formwor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7642010A (en) Medium-and low-speed maglev traffic system straightway support rail beam
CN208518323U (en) A kind of interior wall climbing apparatus of shear wall
CN208179881U (en) Vertical shift trolley and adjusting component for monorail track beam forms
CN208179882U (en) A kind of template system of straddle type monorail rail tracks
CN106758577A (en) The moveable entirety transfering type straddle-type monorail PC track beam forms of bed die
CN210068192U (en) Box culvert construction is with portable centre form platform truck
CN212612627U (en) Utility tunnel rectangle platform truck
CN112593495A (en) Construction equipment for concrete wall with sound barrier foundation and high and large thin plate structure
CN107288039A (en) Railway Through Steel concrete combination bridge floor steel truss girder construction method
CN109653088B (en)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reinforced concrete guardrail
CN207044390U (en) New prefabricated U-shaped b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