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074U - 모니터거치대 - Google Patents

모니터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074U
KR20100013074U KR2020090008184U KR20090008184U KR20100013074U KR 20100013074 U KR20100013074 U KR 20100013074U KR 2020090008184 U KR2020090008184 U KR 2020090008184U KR 20090008184 U KR20090008184 U KR 20090008184U KR 20100013074 U KR20100013074 U KR 201000130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xed
center
bracket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2758Y1 (ko
Inventor
신현봉
Original Assignee
헤드라인블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드라인블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헤드라인블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8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758Y1/ko
Publication of KR201000130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0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7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조작만으로 거치대의 상부에 모니터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을 구비하고, 거치대의 저면에 설치된 높이조절부를 조절하여 지면의 환경 및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사용 가능하고 거치대의 배면에 수납함을 구비하여 전선의 정리와 안정성을 높이고 아울러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모니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수직하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상부 중앙에 관통공(410)을 구비하는 고정스탠드부재(400)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고정스탠드부재(40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재(500)를 구비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상부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중앙에 관통공(200)을 구비하여 회전하는 회전수단(1000)과; 상기 회전수단(100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중앙에 관통공(610)을 구비하여 회전수단(1000)에 의해 회전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600)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600)의 상부 및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는 수평연결대(700)(800)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격벽(420)에 의해 나누어지되, 전기단자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2수납함(430)(440)과; 상기 제1,2수납함(430)(440)에 설치되어 수납함의 공간 비율을 조절하는 조절막대(435)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정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제1,2수납함(430)(440)에 설치된 전기단자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선전문구를 표시해 주는 제1,2디스플레이부(450)(460)와; 상기 베이스부재(500)의 네측 모서리 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500)의 높이를 조절해 주는 높이조절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니터, 거치대, 회전수단, 스탠드부재

Description

모니터거치대{A monitor- supporter}
본 고안은 모니터를 구비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대의 상부에 모니터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을 구비하고, 거치대의 저면에 설치된 높이조절부를 조절하여 지면의 환경 및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사용 가능하고 거치대의 배면에 수납함을 구비하여 전선의 정리와 안정성을 높이고 아울러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모니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니터거치대는 수직하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상부 중앙에 관통공(410)을 구비하는 고정스탠드부재(400)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고정스탠드부재(40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재(5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정면 상부 일측에 모니터가 체결 고정된다.
상기한 도 1의 모니터거치대는 최근에 컴퓨터 및 TV에 급속한 보급으로 모니 터 장치의 수요가 급증하였다. 이에,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에 대응하기 위해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 및 기능을 갖도록 개발되고 있으나, 통상의 가정과 회사에서 사용하는 모니터거치대의 경우 모니터거치대에 설치된 모니터가 회전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니터거치대의 배면에 나열된 전기 배선에 의해 미감을 손상시키며 감전사고 및 화재 위험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어려움없이 간편하게 사용자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자유롭게 모니터를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고, 높낮이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치대의 조작성과 취급성이 매우 간편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거치대의 특징은, 수직하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상부 중앙에 관통공(410)을 구비하는 고정스탠드부재(400)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고정스탠드부재(40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재(500)를 구비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상부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중앙에 관통공(200)을 구비하여 회전하는 회전수단(1000)과;
상기 회전수단(100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중앙에 관통공(610)을 구비하여 회전수단(1000)에 의해 회전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600)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600)의 상부 및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는 수평연결대(700)(800)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격벽(420)에 의해 나누 어지되, 전기단자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2수납함(430)(440)과;
상기 제1,2수납함(430)(440)에 설치되어 수납함의 공간 비율을 조절하는 조절막대(435)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정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제1,2수납함(430)(440)에 설치된 전기단자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선전문구를 표시해 주는 제1,2디스플레이부(450)(460)와;
상기 베이스부재(500)의 네측 모서리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500)의 높이를 조절해 주는 높이조절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거치대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사용자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자유롭게 거치대의 회전수단을 조절하여 모니터거치대의 모니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구조를 간결하게 하여 조작성과 취급성을 매우 간편하게 하고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모니터거치대보다 두께를 얇게 하여 차지하는 공간의 비율을 최소화하고 무게를 경량화화며 내구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면의 환경에 맞게 높이조절부를 조절하여 거치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거치대의 배면에 구비된 단자함에 배선들을 가지런히 나열하여 깔끔한 미관과 감전 및 화재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거치대가 분해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거치대의 요부를 분해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거치대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내부를 계략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거치대는 수직하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상부 중앙에 관통공(410)을 구비하는 고정스탠드부재(400)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상부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중앙에 관통공(200)을 구비하여 회전하는 회전수단(1000)과; 상기 회전수단(100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중앙에 관통공(610)을 구비하여 회전수단(1000)에 의해 회전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600)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600)의 상부 및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는 수평연결대(700)(800)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격벽(420)에 의해 나누어지되, 전기단자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2수납함(430)(440)과; 상기 제1,2수납함(430)(440)에 설치되어 수납함의 공간 비율을 조절하는 조절막대(435)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정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제1,2수납함(430)(440)에 설치된 전기단자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선전문구를 표시해 주는 제1,2디스플레이부(450)(460)와; 상기 베이스부재(500)의 네측 모서리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500)의 높이를 조절해 주는 높이조절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1000)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상부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내면을 따라 "U"자형 홈(120)을 구비하는 수용브레킷(100)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60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중앙에 관통공(350)을 구비하여 상기 수용브레킷(100)의 "U"자형 홈(120)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브레킷(100)은,
상기 회전부(300)의 일측면과 체결되며, 상부에서 하부까지 "U"자형의 곡선 형태로 형성된 바닥을 이루되, 상부의 양측에 경사지어 돌출된 수용돌기(112b)를 구비하고, 하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체결공(112a)이 형성된 바닥면(112)과; 상기 바닥면(112)의 양측단에 수직하방 일정길이 연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2수직돌출면(113)(114)과; 상기 제1,2수직돌출면(113)(114)에 연장 절곡되되,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공(117)이 형성되는 제1,2날개부(115)(116)와; 상기 바닥면(112)의 하부에 연장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돌출면(118)을 구비한 제1브레킷(11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브레킷(110)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부에서 상부까지 "U"자형의 곡선 형태로 형성된 바닥을 이루되, 하부에 상기 제1브레킷(110)의 체결공(112a)과 대응되는 체결공(132a)이 형성되는 바닥면(132)과; 상기 바닥면(132)의 양측단에 수직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브레킷(110)의 제1,2수직돌출면(113)(114)의 내주면을 따라 용접 고정되는 제1,2수직돌출면(134)(135)과; 상기 제1브레킷(110)의 수평돌출면(118)의 내주면을 따라 용접 고정되되, 상기 바닥면(132)에 연장 형성된 수평돌출면(136)을 구비한 제2브레킷(1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레킷(110)과 제2브레킷(130)이 일정간격을 두고 용접될때 그 사이에 "U"자형 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수용브레킷(100)의 "U"자형 홈(120)에 삽입 설치되되, 중앙에 관통 공(312)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312)의 상측과 하측에 대칭되게 가이드홀(314)을 구비하며, 하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나사공(316)을 구비하는 고정플렌지(310)와; 상기 고정플렌지(310)와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중앙에 관통공(322)을 구비한 고정샤프트(320)와; 상기 고정샤프트(320)의 관통공(32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끼움 설치되되, 중앙에 관통공(332)을 구비하는 회전샤프트(330)와; 상기 회전샤프트(33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중앙에 관통공(342)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샤프트(3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플랜지(340)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거치대의 조립과정 및 동작 상태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스탠드부재(400)를 일정한 장소에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하단부에 베이스부재(50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1브레킷(110)과 제2브레킷(130)을 용접하여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U"자형 홈(120)이 형성된 수용브레킷(100)이 형성된다.
그리고, 형성된 수용브레킷(100)의 "U"자형 홈(120)에 회전부(300)를 삽입시킨 후 나사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300)의 정면에 관통공(342)이 형성된 회전플렌지(340)와 프레임(600)을 나사고정하고, 상기 프레임(600)과 수평연결대(700)(800)를 체결시킨 후 상기 수평연결대(700)(800)에 나사고정되는 모니터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격벽(420)에 의해 나누어지되, 전기단자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2수납함(430)(440)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2수납함(430)(440)의 내부에 조절막대(43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조절막대(435)가 상기 제1,2수납함(430)(440)의 공간 비율을 조절한다.
상기 모니터에 연결된 전선들이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410)을 통해 삽입되고, 그 배면에 구비된 제1,2수납함(430)(440)에 배선들을 가지런히 나열하여 깔끔한 미관과 감전 및 화재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한 조립과정이 끝나면, 상기 회전부(300)에 물리적인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플렌지(310)에 형성된 가이드홀(314)의 지름을 따라서 모니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홀(314)에 체결된 나사를 조임으로 그 위치를 조정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500)에 형성된 높이조절부(510)의 나사홈(516)에 삽입 체결된 볼트(514)를 베이스부재(500)의 상단부에서 간단한 공구로 조작하여 베이스부재(500)의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한다.
또한, 모니터거치대는 상기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600)과 상기 회전수단(1000)을 벽에 거치하여 벽걸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모니터거치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거치대가 분해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거치대의 요부를 분해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회전수단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거치대의 배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거치대의 요부의 계략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거치대의 요부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용브레킷 110 : 제1브레킷
120 : "U자형 홈" 130 : 제2브레킷
300 : 회전부 310 : 고정플렌지
320 : 고정샤프트 330 : 회전샤프트
340 : 회전플랜지 510 : 높이조절부
512a : 이탈방지부 600 : 프레임
700,800 : 수평연결대

Claims (4)

  1. 수직하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상부 중앙에 관통공(410)을 구비하는 고정스탠드부재(400)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고정스탠드부재(40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재(500)를 구비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상부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중앙에 관통공(200)을 구비하여 회전하는 회전수단(1000)과;
    상기 회전수단(100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중앙에 관통공(610)을 구비하여 회전수단(1000)에 의해 회전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600)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600)의 상부 및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는 수평연결대(700)(800)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격벽(420)에 의해 나누어지되, 전기단자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2수납함(430)(440)과;
    상기 제1,2수납함(430)(440)에 설치되어 수납함의 공간 비율을 조절하는 조절막대(435)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정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제1,2수납함(430)(440)에 설치된 전기단자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선전문구를 표시해 주는 제1,2디스플레이부(450)(460)와;
    상기 베이스부재(500)의 네측 모서리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500)의 높이를 조절해 주는 높이조절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1000)은,
    상기 고정스탠드부재(400)의 상부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내면을 따라 "U"자형 홈(120)을 구비하는 수용브레킷(100)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60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중앙에 관통공(350)을 구비하여 상기 수용브레킷(100)의 "U"자형 홈(120)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브레킷(100)은,
    상기 회전부(300)의 일측면과 체결되며, 상부에서 하부까지 "U"자형의 곡선 형태로 형성된 바닥을 이루되, 상부의 양측에 경사지어 돌출된 수용돌기(112b)를 구비하고, 하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체결공(112a)이 형성된 바닥면(112)과; 상기 바닥면(112)의 양측단에 수직하방 일정길이 연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2수직돌출면(113)(114)과; 상기 제1,2수직돌출면(113)(114)에 연장 절곡되되,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공(117)이 형성되는 제1,2날개부(115)(116)와; 상기 바닥면(112)의 하부에 연장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돌출면(118)을 구비한 제1브레킷(110)과;
    상기 제1브레킷(110)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부에서 상부까지 "U"자형의 곡선 형태로 형성된 바닥을 이루되, 하부에 상기 제1브레킷(110)의 체결공(112a)과 대응되는 체결공(132a)이 형성되는 바닥면(132)과; 상기 바닥면(132)의 양측단에 수직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브레킷(110)의 제1,2수직돌출면(113)(114)의 내주면을 따라 용접 고정되는 제1,2수직돌출면(134)(135)과; 상기 제1브레킷(110)의 수평돌출면(118)의 내주면을 따라 용접 고정되되, 상기 바닥면(132)에 연장 형성된 수평돌출면(136)을 구비한 제2브레킷(130)으로 구성되되,
    여기서, 상기 제1브레킷(110)과 제2브레킷(130)이 일정간격을 두고 용접될때 그 사이에 "U"자형 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수용브레킷(100)의 "U"자형 홈(120)에 삽입 설치되되, 중앙에 관통공(312)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312)의 상측과 하측에 대칭되게 가이드홀(314)을 구비하며, 하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나사공(316)을 구비하는 고정플렌지(310)와;
    상기 고정플렌지(310)와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중앙에 관통공(322)을 구비한 고정샤프트(320)와;
    상기 고정샤프트(320)의 관통공(32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끼움 설치되되, 중앙에 관통공(332)을 구비하는 회전샤프트(330)와;
    상기 회전샤프트(33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고정되되, 중앙에 관통공(342)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샤프트(3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플랜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니터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510)는,
    상기 베이스부재(500)의 네측 모서리에 관통된 통공(512)과; 상기 통공(512)의 내주연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이탈방지부(512a)와; 상기 이탈방지부(512a)에 체결되되, 상단부가 육각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몸체의 저면에 나사산을 갖고 수직하방으로 연장형성된 볼트(514)와; 상기 볼트(514)와 체결되며 상부에 나사홈(516)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5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바퀴(51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거치대.
KR2020090008184U 2009-06-24 2009-06-24 모니터거치대 KR200452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84U KR200452758Y1 (ko) 2009-06-24 2009-06-24 모니터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84U KR200452758Y1 (ko) 2009-06-24 2009-06-24 모니터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74U true KR20100013074U (ko) 2010-12-31
KR200452758Y1 KR200452758Y1 (ko) 2011-03-24

Family

ID=4424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184U KR200452758Y1 (ko) 2009-06-24 2009-06-24 모니터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75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32Y1 (ko) * 2011-05-30 2013-03-18 (주)에이서브원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KR101279014B1 (ko) * 2012-12-28 2013-07-02 주식회사 나이콤 멀티 트랜스폼 모니터링 장치
KR20210120414A (ko) * 2020-03-26 2021-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6137B1 (ko) 2021-09-27 2022-03-17 신승원 모니터의 스탠드 거치대 설치를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93B1 (ko) * 2001-08-17 200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판 모니터용 스탠드 장치
KR100609180B1 (ko) 2004-03-08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용 스탠드 구조
KR200386693Y1 (ko) 2005-03-24 2005-06-16 김성삼 대형 디스플레이의 승하강 기구
KR20070084650A (ko) * 2006-02-21 2007-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32Y1 (ko) * 2011-05-30 2013-03-18 (주)에이서브원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KR101279014B1 (ko) * 2012-12-28 2013-07-02 주식회사 나이콤 멀티 트랜스폼 모니터링 장치
KR20210120414A (ko) * 2020-03-26 2021-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461068B2 (en) 2020-03-26 2022-10-0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376137B1 (ko) 2021-09-27 2022-03-17 신승원 모니터의 스탠드 거치대 설치를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758Y1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8195U (ja) モニター支持装置
KR200452758Y1 (ko) 모니터거치대
JP6814952B2 (ja) 表示装置およびスタンドセット
CA2788537A1 (en) Shelf bracket for a television wall mount
US8408504B1 (en) Television support assembly
AU2015200407A1 (en) Winding device and cordless roller blind incorporating the same
KR2012006142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침대용 거치대
KR101656614B1 (ko) 모니터 거치장치
KR20160121052A (ko) 모니터 거치장치
CN102486256A (zh) 平板电视机挂架
KR200479949Y1 (ko)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KR100940485B1 (ko) 영상표시기기의 천정/벽걸이 장치
CN201359669Y (zh) 平板显示器安装固定架
CN201555003U (zh) 全视角多位置可调平板电视或显示器支架
CN105840969A (zh) 一种壁挂装置及显示设备
KR1008536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수납대
JP3155495U (ja) 消火器の壁掛け装置
KR101699156B1 (ko) 모니터 거치장치
JP6281136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ポール取付構造
EP2959204B1 (en) Display panel mounting unit
CN219588548U (zh) 一种可旋转屏幕的支架结构
US20100029444A1 (en) Foldable support frame for treadmill
KR201401310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02827B1 (ko) 모니터용 지지 브래킷
CN214595249U (zh) 一种天线展示辅助装置和天线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