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058U - 다용도 세면시설 - Google Patents

다용도 세면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058U
KR20100013058U KR2020090008167U KR20090008167U KR20100013058U KR 20100013058 U KR20100013058 U KR 20100013058U KR 2020090008167 U KR2020090008167 U KR 2020090008167U KR 20090008167 U KR20090008167 U KR 20090008167U KR 20100013058 U KR20100013058 U KR 201000130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washba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준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딜인터네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딜인터네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딜인터네셔날
Priority to KR2020090008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058U/ko
Publication of KR20100013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0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01G19/5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having additional measuring devices, e.g. for h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01G23/3728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with wireless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다용도 세면시설은 사용자가 세수를 하거나 손을 씻는 세면대, 세면대를 지지하는 지지대, 지지대의 하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헬스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기,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헬스 정보를 표시 정보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욕실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헬스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헬스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세면대, 지지대, 헬스, 표시부

Description

다용도 세면시설{WASH EQUIPMENT FOR MULTI PURPOSE}
본 고안은 다용도 세면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헬스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헬스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다용도 세면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는 세면시설이 구비되어 있다. 통상 세면시설은 욕실의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세면대가 설치되고, 세면대의 상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수도꼭지가 구비된다. 또한, 세면대의 하부에는 세면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세면대에서 사용자는 세수를 하거나 손을 씻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욕실은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면대를 사용하는 동안 시간을 확인하거나, 집안의 정보를 얻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욕실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헬스 정보를 제공하고, 시간 및 집안의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다용도 세면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면시설은 사용자가 세수를 하거나 손을 씻는 세면대, 상기 세면대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헬스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상기 헬스 정보를 표시 정보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용도 세면시설은 상기 지지대를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제1 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접이식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는 제1 수납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대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수납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부가 제공될 수 있다.
다용도 세면시설은 상기 세면대의 상측에 구비된 거울 및 상기 거울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제2 몸체로 이루어진 거울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몸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측정기로부터 상기 헬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벽체에 매립형으로 제공된 제2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거울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용도 세면시설에 따르면, 욕실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헬스 정보를 측정하여 측정된 헬스 정보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욕실 온도, 조도 및 홈 네트워크 정보 등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욕실을 사용하는 동안 다양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면시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세면시설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용도 세면시설(100)은 세면대(110), 지지대(120), 거울장(140), 측정기(130), 제어부(150) 및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세면대(110)는 세수를 하거나 손을 씻기 위해 제공되고, 세면대(110)의 일측에는 세면대(1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꼭지(111)가 구비된다. 또한, 세면대(110)에는 사용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세면대(110)의 하측에는 세면대(1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20)가 제공된다. 지지대(120)는 제1 몸체(121)에 의해서 벽체(10)에 고정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대(120)가 직접적으로 벽체(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세면대(110)의 상측에는 거울장(140)이 구비된다. 거울장(140)은 거울(141) 및 거울(141)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제2 몸체(142)로 이루어진다.
지지대(120)의 하측에는 사용자의 헬스 정보(예를 들어, 체중 및 체지방 등)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130)가 구비된다. 측정기(130)는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욕실 바닥에 구비된다. 측정기(130)는 욕실 바닥체와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욕실 바닥체에 매립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측정기(130)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헬스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어부(150)는 거울장(140)의 제2 몸체(142)에 내장되므로, 측정기(130)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헬스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50)는 수신된 헬스 정보를 표시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표시 정보를 표시부(160)로 제공한다.
표시부(160)는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헬스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표시부(160)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거울(142)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60)는 헬스 정보 뿐만 아니라, 시간, 욕실 온도, 욕실 조도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다용도 세면시설(100)은 헬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현재 측정된 헬스 정보만을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측정된 헬스 정보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이전에 측정된 헬스 정보를 비교하여 헬스 정보의 변화량 등을 표시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단순히 헬스 정보만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체중이 증가하였는지 또는 체지방이 감소하였는지 등 헬스 정보의 변화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세면시설(100)은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부(181),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부(182), 스피커부(125), 홈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91), 및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19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50)는 이들과 네트워크 시스템(10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부(181)는 사용자가 직접 음악을 선택하거나,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90)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181)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표시부(18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지지대(120)의 일측에는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부(182) 및 스피커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부(182)는 버튼 형식으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직접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부(182)에는 음향 조절 버튼, 비데 조절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홈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91) 및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192)은 표시부(160)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현관 도어의 잠금 상태 또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홈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91) 및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192)은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부(181)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현관 도어의 잠금 상태를 컨트롤하거나 엘리베이터를 대기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용도 세면시설(100)은 각 기능 블럭들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세면대 및 지지대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의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지지대(120)의 상면에는 새면대(110)의 배수구로부터 배수된 물을 배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0a)가 형성된다. 또한, 지지대(120)의 내부에는 제1 수납공간(120b)이 제공되고, 제1 수납공간(120b)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부(120c)가 될 수 있다.
지지대(120)의 일측에는 버튼 형태의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부(182)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지지대(120)의 일측은 욕실에 구비된 변기에 인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욕실 사용자가 변기에 앉아서도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부(18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 몸체(121)의 양측에는 접이식 핸들(121a)이 구비될 수 있다. 접이식 핸들(121a)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들이 세면대(110)를 사용하는 경우에 펼쳐서 사용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미관을 위해 접어놓을 수 있다. 이러한 핸들(121a)은 지지대(120)의 일측에 고정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거울장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거울장을 절단선 Ⅰ-Ⅰ`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거울장(140)은 거울(141) 및 제2 몸체(142)로 이루어지고, 거울(141)은 제2 몸체(142)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또한, 제2 몸체(142)의 양측에는 표시부(160)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헬스 정보 뿐만 아니라, 시간, 욕실 온도, 욕실 조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142)의 후면에는 벽체(10)에 매립형으로 형성된 제2 수납공간(143)이 제공된다. 여기서, 거울(141)은 제2 몸체(14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2 수납공간(143)을 개폐시키는 도어로써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거울(141)은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측정기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측정기(130)는 지지대(120)의 하측에 대응하여 욕실 바닥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면대(110)를 사용하는 경우 측정기(130)에 두 발로 올라설 수 있고, 그 결과 측정기(130)는 사용자의 헬스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기(130)는 욕실 바닥체에 고정되도록 매립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면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세면시설의 블럭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거울장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거울장을 절단선 Ⅰ-Ⅰ`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측정기의 정면도이다.

Claims (9)

  1. 사용자가 세수를 하거나 손을 씻는 세면대;
    상기 세면대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헬스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상기 헬스 정보를 표시 정보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세면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를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제1 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접이식 핸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세면시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는 제1 수납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대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수납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세면시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의 상측에 구비된 거울; 및
    상기 거울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제2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몸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세면시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측정기로부터 상기 헬스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세면시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몸체에 구비되는 메인 유저 인테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구비된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세면시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벽체에 매립형으로 제공된 제2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거울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세면시설.
  8. 제1항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세면시 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세면시설.
KR2020090008167U 2009-06-24 2009-06-24 다용도 세면시설 KR201000130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67U KR20100013058U (ko) 2009-06-24 2009-06-24 다용도 세면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67U KR20100013058U (ko) 2009-06-24 2009-06-24 다용도 세면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58U true KR20100013058U (ko) 2010-12-31

Family

ID=4448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167U KR20100013058U (ko) 2009-06-24 2009-06-24 다용도 세면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305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422A (ko) 2015-08-23 2017-03-06 지범진 접이식 세면대
CN113284438A (zh) * 2021-05-14 2021-08-20 陕西中医药大学 一种健康管理用图文展示装置
WO2021215820A1 (ko) * 2020-04-24 2021-10-28 Jeong Yoocheon 음향 기능이 구비된 세면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422A (ko) 2015-08-23 2017-03-06 지범진 접이식 세면대
WO2021215820A1 (ko) * 2020-04-24 2021-10-28 Jeong Yoocheon 음향 기능이 구비된 세면대
US11979698B2 (en) 2020-04-24 2024-05-07 Yoocheon JEONG Washbasin having sound function
CN113284438A (zh) * 2021-05-14 2021-08-20 陕西中医药大学 一种健康管理用图文展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6875B2 (en) Lavatory system
US2006014511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in a sanitary installation
US11812903B2 (en) Bathroom fixtures and components
KR20100013058U (ko) 다용도 세면시설
KR100755949B1 (ko) 휴대용 다기능 세면대
JP5027538B2 (ja) 洗面化粧台
CN110868895A (zh) 可堆叠的厕所
WO2018017642A1 (en) Toilet with a front facing user-accessible compartment
JP2016063944A (ja) 電気温水器の設置構造
JP2008206831A (ja) 洗面化粧台
JP5707733B2 (ja) 便器洗浄装置
JP2008154997A (ja) 浴室ユニット
JP2006017560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JP3148582U (ja) 小便器
CN218204767U (zh) 卫生设备、卫生间及健康监测装置
KR200485509Y1 (ko) 크로젯형 유니트 화장실
JP2007000468A (ja) 洗面化粧台
JP5028928B2 (ja) トイレの手洗い装置
JPH1199081A (ja) 浴室の洗い場カウンター
CN215227046U (zh) 一种卫生健康装置
CN220540404U (zh) 一种挂壁式水龙头
CN210902155U (zh) 一种卫浴组合柜
CN207979572U (zh) 一种可节约空间的新型组合式洗漱台
US20240125467A1 (en) Wellness system and device
JP2007321431A (ja) 衛生設備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