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952U -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 - Google Patents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2952U KR20100012952U KR2020090008006U KR20090008006U KR20100012952U KR 20100012952 U KR20100012952 U KR 20100012952U KR 2020090008006 U KR2020090008006 U KR 2020090008006U KR 20090008006 U KR20090008006 U KR 20090008006U KR 20100012952 U KR20100012952 U KR 2010001295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p
- rotating shaft
- coupling hole
- state
- dehyd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대 걸레에 대한 세척과 탈수를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되고 있는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로서, 특히 본 고안에서는 탈수 바구니의 회전축과 수조의 결합공 사이에 대한 누수 방지를 새롭게 개선하여 세척 혹은 탈수 시에 튀는 물이 회전축과 결합공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수 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그와 더불어 회전축의 견고한 지지 및, 정숙하고 원활한 구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외부에 오목한 수용부가 마련될 수 있도록 수조의 일면을 수용공간 측으로 굴곡하여 형성시킨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의 상면에 결합공을 형성한 리브와; 상기 결합공을 통과하여 수용부로 인출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상태로 수조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탈수 바구니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상태로 결합공에 결합되는 누수방지부재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상태로 회전축의 하단에 결합되는 원기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동력발생유니트;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용 탈수 세척 장치가 제공된다.
청소, 밀대, 걸레, 탈수, 회전, 세척, 누수
Description
본 고안은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척 혹은 탈수 시에 튀는 물이 회전축과 결합공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수 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그와 더불어 회전축의 견고한 지지 및, 정숙하고 원활한 구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조와,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탈수 바구니와, 탈수 바구니에 연결되어 수조의 외부로 인출되는 회전축과, 상기 수조의 외측에 배치 고정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발생유니트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세척 탈수 장치를 이용하여 밀대 걸레의 세척 시에는, 사용자가 밀대 걸레의 걸레부를 물이 수용되는 수조에 넣은 상태에서 밀대 걸레를 흔들거나, 또는 타격 및 비벼서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탈수 시에는, 밀대 걸레가 세워지는 상태로 밀대 걸레의 걸레부를 탈수 바구니에 넣고 동력발생유니트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통해 회전축과 탈수 바구니가 함 께 회전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탈수 바구니와 함께 밀대 걸레가 연동 회전하게 되면서 탈수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구성되는 세척 탈수 장치에서는 탈수 바구니에 구비되는 회전축이 수조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수조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될 때,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과 수조의 결합공 간에 여유 공차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여유 공차를 가지게 되면, 세척 및 탈수 수행 중 튀는 물이 회전축과 결합공 간에 형성되는 여유 틈새로 스며들면서 수조의 외부로 누수 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와 같은 누수로 인해 누수된 물을 재차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바닥재의 재질에 따라서는 바닥재를 세탁하거나 혹은 교체하여야 하는 낭패도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누수 문제를 다소 해소하기 위하여 결합공에 패킹이 설치된 세척 탈수 장치도 있다. 이 경우, 물이 누수 되는 현상은 방지할 수 있지만 압축 탄성력 의해 패킹과 회전축 간에는 마찰력이 강하게 형성되어 회전축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아울러 구동 부하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탈수 바구니의 회전에 대한 원심력 작용이 미흡하여 완벽한 탈수가 어렵게 되며, 구동 부하로 인해 동력발생유니트의 피로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와 함께 위와 같은 마찰력으로 인하여 패킹이 찢어지거나 마모되게 되면, 패킹과 결합공 간에 틈새가 또 다시 형성되게 되고, 이러한 틈새는 누수의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패킹을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교체 비용 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회전축과 결합공 간에 형성되는 여유 공차, 또는 패킹이 사용될 경우 패킹의 마모로 인한 유격으로 인하여 회전축과 함께 탈수 바구니가 결합공의 반경 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며, 이러한 흔들림으로 인해 수조도 함께 흔들리게 됨으로써 탈수를 제대로 수행할 수가 없었다. 그와 더불어 회전축과 탈수 바구니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기계적인 마찰과 부품 간 부딪힘으로 인해 탈수가 정숙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다.
참고로, 위와 같은 누수 현상 방지와, 회전축의 견고한 지지 및 정숙하고 원활한 회전을 위해 해당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여러 부품이 유기적으로 결합 설치된 것도 있으나, 이 경우 많은 부품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야 하므로 내부 구성이 복잡하고, 조립과 부품 교체에 따른 해체가 용이하지 못하다. 아울러 많은 부품이 설치되게 되면 원가 상승이 불가피하여 소비자에게 가격 부담을 주게 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일반적인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새로운 타입의 누수 방지 구조를 제시하여 세척 혹은 탈수 시에 튀는 물이 회전축과 결합공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수 되지 않도록 방지함은 물론, 회전축의 견고한 지지 및 정숙하고 원활한 구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외부에 오목한 수용부가 마련될 수 있도록 수조의 일면을 수용공간 측으로 굴곡하여 형성시킨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의 상면에 결합공을 형성한 리브와; 상기 결합공을 통과하여 수용부로 인출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상태로 수조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탈수 바구니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상태로 결합공에 결합되는 누수방지부재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상태로 회전축의 하단에 결합되는 원기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동력발생유니트;로 구성되는 밀대 걸레용 탈수 세척 장치가 제공된다.
위의 누수방지부재는, 결합공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부싱과, 상기 동부싱의 상면과 저면에 배치되는 상태로 회전축에 결합되는 한쌍의 실링 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탈수 바구니의 회전축과 수조의 결합공 사이에 새로운 구조 타입을 가지는 누수방지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세척 혹은 탈수 시에 튀는 물이 회전축과 결합공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수 되지 않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누수방지부재와, 기어 방식의 동력 발생 및 동력 전달 구조를 가진 동력발생유니트에 의하여, 회전축의 견고한 지지와 함께 정숙하고 원활한 구동이 보장되어 제품에 대한 탈수 성능과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타입 구조를 가지는 누수방지부재에 의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원가절감이 가능하여 소비자 판매 가격을 인하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서는 도 1의 세척 탈수 장치에 대한 결합된 모습과, 탈수를 수행하기 위한 밀대 걸레가 세척 탈수 장치에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고안에 따른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1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조(12)와, 수조(12) 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탈수 바구니(14)와, 탈수 바구니(14)에 연동하는 상태로 연결되는 회전축(16)과, 상기 수조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태로 회전축(16)과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력발생유니트(18)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조(12)는, 수조(12) 외부에 동력발생유니트(18)를 수용 배치할 수 있는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20)가 마련되도록, 수조(12)의 일면을 수용공간(22) 측으로 굴곡하여 형성시킨 단턱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부(24)의 상면에는 결합공(26)이 형성된 리브(28)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공(26)에는 탈수 바구니(14)가 단턱부(24)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태로 탈수 바구니(14)와 연결된 회전축(16)이 관통되어져 수용부(20)로 인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16)이 관통하게 되는 결합공(26)에는 회전축(16)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 형으로 이루어지는 누수방지부재(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누수방지부재(30)는, 물에 의한 녹 발생이나 부식이 방지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누수방지부재(30)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동 재질로 이루어진 동부싱(30a)과, 이 동부싱(30a)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배치되게 되는 씰링 와셔(30b, 30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씰링 와셔(30b, 30c)는 테프론 리테이너가 사용된다.
위에서 누수방지부재(30)의 일부 구성 요소인 동부싱(30a) 대신 소위 오일레스 베어링이라 일컫는 오일레스 부싱 또는 테플론 부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나 아가, 녹이나 부식이 발생하지 않고 회전축(16)의 견고한 지지 및,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그 어떤 부품이나 베어링부재의 사용도 무방하다.
위와 같은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누수방지부재(30)와 결합공(26)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 한다.
아울러, 씰링 와셔(30c)의 저면에는 반원 모양으로 형성된 스냅 스톱퍼(D)가 배치되는 상태로 회전축(16)의 걸림홈(F)에 결합되어져 씰링 와셔(30c)를 받쳐 주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하기에 설명되는 도 6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면중 미 설명부호 E는 앞서 설명된 스냅 스톱퍼(D)와 동일한 구조로회전축(16)에 결합되는 스냅 스톱퍼(E)이다. 이러한 스냅 스톱퍼(E)의 기능은 하기의 해당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본 고안의 동력발생유니트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서는 도 3의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상기 동력발생유니트(18)는 베이스부재(32)와, 베이스부재(32)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페달(34)과, 페달(34)의 회동 방향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전후진이동부재(36)와, 이 전후진이동부재(36)에 맞물리는 상태로 회전하는 2단 원기어부(38)와, 상기 2단 원기어부(38)와 맞물리는 상태로 회전축(16)에 결합되는 원기어(40)로 구성된다. (도 2참조)
아래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 요소를 가지는 동력발생유니트(18)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재(32)의 상면에는 베어링부재(44)가 수용되는 결합 상태로 결합홈(4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베어링부재(44)에는 회전축(16)의 하단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44)의 상면에는 한 쌍의 지지대(46)가 간격을 가지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46)간 서로 연결되는 힌지축(48)에는 페달(34)의 힌지부(P)가 힌지축(4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페달(34)은 힌지축(48)을 중심으로 원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32)의 상면에는 베이스부재(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홈(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홈(50)의 양 옆에는 장홈(5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태로 베이스부재(32)의 상면에 놓이게 되는 전후진이동부재(36)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 플레이트(52)가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설치되는 전후진이동부재(36)는 페달(34)의 하부 일면에 맞닿는 상태로 페달(34)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장홈(50)에는 압축 스프링(54)이 수용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압축 스프링(54)의 일단은 페달(34)과 근접하는 상태로 베이스부재(32)의 일측 고정부(T)에 걸림 고정된다. 이와 대응하는 상기 압축 스프링(54)의 타단은 고정부(T)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격된 전후진이동부재(36)의 저면에 걸림 고정되는데, 이때 압축 스프링(54)의 타단이 고정되는 전후진이동부재(36)의 저면에는 고정부(T)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고정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 스프링(54)의 압축 작용에 의해 전후진이동부재(36)는 항상 페달(34) 방향으로 후진 이동하게 되는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페달(34)은 수 조(12)의 바깥 방향으로 항상 상승 회동된 상태가 된다. 그와 더불어 전후진이동부재(36)의 과도한 후진 이동과 이탈 방지를 위해 스톱퍼(56)가 베이스부재(32)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스톱퍼(56)는, 전후진이동부재(36)의 과도한 후진 이동됨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기는 하나 반드시 스톱퍼(56)가 설치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전후진이동부재(36)가 후진 이동된 설정 위치에 맞추어 상기 압축 스프링(54)의 최대 압축 량이 정해져 제작된 상태라면 스톱퍼(56)가 없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32)의 상면에는 전후진이동부재(36)의 일면에 형성되는 랙기어(58)와 회전축(16)에 결합된 원기어(40)에 각각 맞물리도록 상부 및 하부 기어(64, 62)를 일체로 구비하는 2단 원기어부(38)가 힌지축(6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랙기어(58)는 2단 원기어부(38)의 하부 기어(62)에 맞물려져 있고, 상부 기어(64)에는 회전축(16)에 결합된 원기어(40)와 맞물려져 있다. (도 5참조)
더 나아가, 상기 원기어(40)의 내부에 일 방향 베어링부재(S)가 삽입되고, 이러한 일 방향 베어링부재(S)에 회전축(16)이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도 5 및 도 6을 통해 본 고안의 세척 탈수 장치(10)에서의 누수 방지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세척 및 탈수 시에 튀는 물이 도 6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회전축(16)과 결합공(26)으로 튀더라도, 상기 누수방지부재(30)의 동부싱(30a)이 결합공(26)에 억지 끼움 되어 있어 동부싱(30a)와 결합공(26)의 내면 간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아 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된다.
특히, 녹 및 부식이 방지되고 마찰계수가 낮은 동부싱(30a)의 채용으로 인해 여유 공차가 거의 형성되지 않는 최소한의 상태로 회전축(16)이 끼움 될 수 있게 됨으로써, 물에 잠기는 것이 아닌 단순히 물이 튀는 정도만으로는 회전축(16)과 동부싱(30a)의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이 불가능하여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회전축(16)의 견고한 지지 및, 원활한 회전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동부싱(30a)의 상면과 저면에 씰링 와셔(30b, 30c)가 각각 배치되는 상태로 회전축(16)에 결합되어 있어, 물이 스며드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스냅 스톱퍼(E)는 원기어(40)의 회전시. 회전축(16)을 따라 원기어(40)가 상승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누수 방지 구조에 의해 누수가 완벽하게 방지됨은 물론, 회전축(16)의 원활한 회전과, 여유 공차 혹은 유격에 의한 흔들림도 완벽하게 방지되어 탈수 력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구조적으로도 간단하여 조립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그에 따른 원가절감으로 소비 가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10)의 구동을 설명하기로 하기로 한다.
도 7에서는 세척 탈수 장치의 페달이 상승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서는 세척 탈수 장치의 페달이 하강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탈수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페달(34)을 누르게 되면, 상승되어 있던 페달(34)이 힌지축(48)을 중심으로 하강 회동하게 되면서 페달(34)과 맞닿는 상태로 후진 이동 배치되어 있던 전후진이동부재(36)가 전진 이동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전후진이동부재(36)가 전진 이동을 하게 되면, 전후진이동부재(36)의 랙기어(58)와 맞물려 있는 2단 원기어부(38)가 회전축(60)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축(16)에 결합된 원기어(40)는 이와 맞물린 2단 원기어부(38)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게 됨으로써, 회전축(16)과 함께 탈수 바구니(14)가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2단기어부(38)의 구조와, 랙기어(58) 및 원기어(40)에 대한 유기적인 결합 관계는 앞서 설명되어 있어 중복 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반대로, 페달(34)의 누름력을 해제 시키게 되면, 압축 스프링(54)의 압축 작용에 의해 전진 이동된 전후진이동부재(36)는 후진을 하게 되면서 페달(34)을 수조(12)의 바깥 방향 즉, 역방향으로 회동시켜 페달(34)이 상승하게 되는 상태가 된다. (도 2, 도 3, 도 5 참조)
이와 같이 페달(34)의 누름과 해제를 반복하게 될 때, 전후진이동부재(36)의 왕복 이동과 함께 2단 원기어부(38)의 회전 및, 이와 연동하는 원기어(40)를 통해 탈수 바구니(14)가 회전되어져 밀대 걸레의 걸레부에 대한 탈수가 수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척 탈수 장치에 대한 결합 모습과, 탈수를 수행하기 위한 밀대 걸레가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동력발생유니트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세척 탈수 장치의 탈수 바구니에 밀대 걸레가 수용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세척 탈수 장치의 페달이 상승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세척 탈수 장치의 페달이 하강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 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세척 탈수 장치 12 : 수조
14 : 탈수 바구니 16 : 회전축
18 : 동력발생유니트 20 : 수용부
22 : 수용공간 24 : 단턱부
26 : 결합공 28 : 리브
30 : 누수방지부재 32 : 베이스부재
34 : 페달 36 : 전후진이동부재
38 : 2단 원기어부 40 : 원기어
42 : 결합홈 44 : 베어링부재
46 : 지지대 48, 60 : 힌지축
50 : 장홈 52 : 가이드 플레이트
54 : 압축 스프링 56 : 스톱퍼
58 : 랙기어 62 : 하부 기어
64 : 상부 기어 66 : 걸림부
68 : 삽입부
Claims (3)
- 수조(12)와;상기 수조(12)의 외부에 오목한 수용부(20)가 마련될 수 있도록 수조(12)의 일면을 수용공간(22) 측으로 굴곡하여 형성시킨 단턱부(24)와;상기 단턱부(24)의 상면에 결합공(26)을 형성한 리브(28)와;상기 결합공(26)을 통과하여 수용부(20)로 인출되는 회전축(16) 및, 상기 회전축(16)과 연결되는 상태로 수조(12)의 수용공간(22)에 배치되는 탈수 바구니(14)와;상기 회전축(16)이 관통하는 상태로 결합공(26)에 결합되는 누수방지부재(30)와;상기 수용부(20) 내에 배치되는 상태로 회전축(16)의 하단에 결합되는 원기어(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동력발생유니트(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걸레용 탈수 세척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누수방지부재(30)는, 결합공(26)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부싱(30a)과, 상기 동부싱(30a)의 상면과 저면에 배치되는 상태로 회전축(16)에 결합되는 한쌍의 실링 와셔(30a, 30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 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동력발생유니트(18)는 베이스부재(32)와; 상기 베이스부재(32)에 회전축(16) 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베어링부재(44)를 삽입한 결합홈(42)과; 상기 결합홈(42)의 일 옆에 대향 배치되는 상태로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대(46)와; 상기 지지대(46)간 서로 연결되는 힌지축(48)에 결합되어 힌지축(48)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페달(34)과; 상기 페달(34)에 접촉되는 상태로 베이스부재(32)의 상면에 배치되어 페달(34)의 회동 방향에 따라 전 후진 이동을 하게 되는 전후진이동부재(36)와; 상기 전후진이동부재(36)와 베이스부재(32) 사이에 배치되어져, 일단은 페달(34)과 근접하는 상태로 베이스부재(32)에 고정되고 이와 대응하는 타단은 페달(34)로부터 이격된 전후진이동부재(36)의 일측 저면에 고정되는 압축 스프링(54)과; 상기 전후진이동부재(36)의 일면에 형성된 랙기어(58) 및 회전축(16)에 결합된 원기어(40)와 각각 맞물려지는 상태로 베이스부재(3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2단 원기어부(3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8006U KR20100012952U (ko) | 2009-06-22 | 2009-06-22 |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8006U KR20100012952U (ko) | 2009-06-22 | 2009-06-22 |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2952U true KR20100012952U (ko) | 2010-12-30 |
Family
ID=4448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8006U KR20100012952U (ko) | 2009-06-22 | 2009-06-22 |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12952U (ko) |
Cited B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6211B1 (ko) * | 2011-06-09 | 2012-05-18 | (주)에다스 | 탈수 가능한 자루걸레 및 탈수함 |
KR101355955B1 (ko) * | 2011-02-21 | 2014-01-29 | 한국과학기술원 | 우산 물기 제거 장치 |
CN103690123A (zh) * | 2014-01-09 | 2014-04-02 | 任强 | 棱筒磁变液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690129A (zh) * | 2014-01-09 | 2014-04-02 | 任强 | 柱筒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690121A (zh) * | 2014-01-09 | 2014-04-02 | 任强 | 棱筒液控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690127A (zh) * | 2014-01-09 | 2014-04-02 | 任强 | 侧轴棱筒液控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690120A (zh) * | 2014-01-09 | 2014-04-02 | 任强 | 侧轴棱筒液控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690125A (zh) * | 2014-01-09 | 2014-04-02 | 任强 | 侧轴液控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690126A (zh) * | 2014-01-09 | 2014-04-02 | 任强 | 侧轴棱筒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05189A (zh) * | 2014-01-09 | 2014-04-09 | 任强 | 柱筒磁变液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05191A (zh) * | 2014-01-09 | 2014-04-09 | 任强 | 侧轴磁变液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05190A (zh) * | 2014-01-09 | 2014-04-09 | 任强 | 棱筒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20451A (zh) * | 2014-01-09 | 2014-04-16 | 任强 | 柱筒磁变液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20448A (zh) * | 2014-01-09 | 2014-04-16 | 任强 | 柱筒液控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20449A (zh) * | 2014-01-09 | 2014-04-16 | 任强 | 柱筒液控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20452A (zh) * | 2014-01-09 | 2014-04-16 | 任强 | 侧轴柱筒液控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20450A (zh) * | 2014-01-09 | 2014-04-16 | 任强 | 侧轴柱筒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20447A (zh) * | 2014-01-09 | 2014-04-16 | 任强 | 侧轴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35235A (zh) * | 2014-01-09 | 2014-04-23 | 任强 | 侧轴棱筒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35236A (zh) * | 2014-01-09 | 2014-04-23 | 任强 | 棱筒液控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KR20220002277U (ko) * | 2021-03-16 | 2022-09-23 | 저지앙 리빙휴 하우스웨어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 대걸레통 및 해당 대걸레통이 구비되는 청소 도구 |
-
2009
- 2009-06-22 KR KR2020090008006U patent/KR20100012952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5955B1 (ko) * | 2011-02-21 | 2014-01-29 | 한국과학기술원 | 우산 물기 제거 장치 |
KR101146211B1 (ko) * | 2011-06-09 | 2012-05-18 | (주)에다스 | 탈수 가능한 자루걸레 및 탈수함 |
CN103705191A (zh) * | 2014-01-09 | 2014-04-09 | 任强 | 侧轴磁变液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05190A (zh) * | 2014-01-09 | 2014-04-09 | 任强 | 棱筒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690121A (zh) * | 2014-01-09 | 2014-04-02 | 任强 | 棱筒液控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690127A (zh) * | 2014-01-09 | 2014-04-02 | 任强 | 侧轴棱筒液控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690120A (zh) * | 2014-01-09 | 2014-04-02 | 任强 | 侧轴棱筒液控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690125A (zh) * | 2014-01-09 | 2014-04-02 | 任强 | 侧轴液控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690126A (zh) * | 2014-01-09 | 2014-04-02 | 任强 | 侧轴棱筒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05189A (zh) * | 2014-01-09 | 2014-04-09 | 任强 | 柱筒磁变液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690123A (zh) * | 2014-01-09 | 2014-04-02 | 任强 | 棱筒磁变液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690129A (zh) * | 2014-01-09 | 2014-04-02 | 任强 | 柱筒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20451A (zh) * | 2014-01-09 | 2014-04-16 | 任强 | 柱筒磁变液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20448A (zh) * | 2014-01-09 | 2014-04-16 | 任强 | 柱筒液控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20449A (zh) * | 2014-01-09 | 2014-04-16 | 任强 | 柱筒液控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20452A (zh) * | 2014-01-09 | 2014-04-16 | 任强 | 侧轴柱筒液控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20450A (zh) * | 2014-01-09 | 2014-04-16 | 任强 | 侧轴柱筒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20447A (zh) * | 2014-01-09 | 2014-04-16 | 任强 | 侧轴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35235A (zh) * | 2014-01-09 | 2014-04-23 | 任强 | 侧轴棱筒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735236A (zh) * | 2014-01-09 | 2014-04-23 | 任强 | 棱筒液控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CN103690125B (zh) * | 2014-01-09 | 2016-01-20 | 任强 | 侧轴液控弹簧升降手压旋转拖把清洗甩干器 |
KR20220002277U (ko) * | 2021-03-16 | 2022-09-23 | 저지앙 리빙휴 하우스웨어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 대걸레통 및 해당 대걸레통이 구비되는 청소 도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12952U (ko) | 밀대 걸레용 세척 탈수 장치 | |
JP3155700U (ja) | モップ洗浄用脱水桶 | |
JP2021003546A (ja) | 電動モップ用自動掃除可能な収納台 | |
JP6397217B2 (ja) | ドラム式洗濯機 | |
JP5767282B2 (ja) | 洗濯機 | |
JP2016049365A (ja) | ドラム式洗濯機 | |
RU2448208C1 (ru) |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 |
KR20050064926A (ko) | 전자동 세탁기의 스테이터 체결구조 | |
KR100990177B1 (ko) | 세척 및 탈수 장치 | |
US8695382B2 (en) | Washing machine | |
JP7460618B2 (ja) | ダンピング構造及び衣類処理機 | |
KR20150053305A (ko) |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 |
KR20190033502A (ko) | 세탁기 | |
KR101033566B1 (ko) | 전자동 세탁기의 슬라이딩 커플러 마모방지 구조 | |
KR20040104979A (ko) |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 |
KR101014710B1 (ko) | 세탁기의 구동축 지지용 베어링의 완충구조 | |
KR101033565B1 (ko) | 전자동 세탁기의 로터부싱 | |
KR0152794B1 (ko) | 전자동 세탁기 | |
KR20110045741A (ko) | 식기세척기의 도어래치구조 | |
CN213721797U (zh) | 具有弹性止流环的拖把 | |
KR100940845B1 (ko) | 세탁기용 펌핑 모터 조립체 | |
KR100461873B1 (ko) | 세탁기 | |
CN217390627U (zh) | 清洁机器人 | |
KR101014709B1 (ko) | 세탁기의 구동축 지지용 베어링의 완충구조 | |
TWM610022U (zh) | 脫水桶結構改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