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630A -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630A
KR20100012630A KR1020080074136A KR20080074136A KR20100012630A KR 20100012630 A KR20100012630 A KR 20100012630A KR 1020080074136 A KR1020080074136 A KR 1020080074136A KR 20080074136 A KR20080074136 A KR 20080074136A KR 20100012630 A KR20100012630 A KR 20100012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mixed gas
gas
combustion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050B1 (ko
Inventor
권정주
민인식
류상민
조성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050B1/ko
Priority to CA2732699A priority patent/CA2732699C/en
Priority to US13/056,575 priority patent/US9416978B2/en
Priority to PCT/KR2009/002568 priority patent/WO2010013888A2/ko
Publication of KR2010001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4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6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without any visible flame
    • F24C3/06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버너어셈블리가 서로 구획되는 아웃터포트 및 이너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포트 또는 상기 아웃터포트 및 이너포트에 혼합가스가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연소플레이트에서 연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보다 경제적으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조리기기, 버너어셈블리, 아웃터포트, 이너포트

Description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 burner assembly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열전달매체를 통하여 전달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스나 전기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전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를 이용하는 조리기기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버너부가 구비되고, 상기 버너부에서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염에 의하여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종래의 조리기기에서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화염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사용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염에 의하여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한편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의 외부로 넘쳐흐를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조리기기는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넘쳐흐르는 음식물에 의하여 화염이 소화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중단되거나 가스가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리기기에서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버너나 삼발이와 같이 상면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기의 상면이 음식물에 의하여 오염되면, 이를 청소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작신뢰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제1포트; 상기 제1포트와 구획되고,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제2포트; 상기 제1포트 및 제2포트에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포트에 공급되는 상기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가스가 분사되는 노즐어셈블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혼합가스를 공급받고 서로 구획되는 다수개의 포트 및 상기 포트에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부재를 포함하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상기 혼합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부; 및 상기 연소부에서 상기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 전부 또는 일부에 상기 연소부재에서 연소되는 상기 혼합가스가 공급되고, 상기 연소부재에서 상기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은 열전달매체를 통하여 피가열물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아웃터포트, 상기 아웃터포트와 구획되고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이너포트, 상기 아웃터포트 및 이너포트에 공급되는 상기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부재를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상기 이너포트 및 아웃터포트에 공급되거나 상기 이너포트 및 아웃터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어셈블리; 및 상기 노즐어셈블리에서 분사되는 가스를 공기와 혼합하여 상기 혼합가스를 형성하고, 형성된 혼합가스를 상기 포트에 공급하는 튜브어셈블리;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보다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동작신뢰성이 증진되고, 보다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0)의 외관을 캐비닛(100)이 형성한다. 상기 캐비닛(100)은 상면이 개구되는 육면체와 같은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냉각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공(110)은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부품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입출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공(110)을 통하여 입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냉각유로(Pc)(도 7참조)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 및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한 다수개의 버너어셈블리(200), 튜브어셈블리(300), 노즐어셈블리(400) 및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500)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어셈블리(200)는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동시에 혼합가스의 형성을 위한 공기 및 혼합가스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안내한다. 한편 상기 튜브어셈블리(300)는 연소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여 이를 상기 버너어셈블리(200)로 공급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400)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의 형성을 위하여 가스를 공급한다. 상기 컨트롤부(500)는 상기 조리기기(10)의 동작, 즉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버너어셈블리(200)는 그 후단부가 연결브라켓(800)(도 7참조)에 각각 고정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브라켓(800)은, 좌우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부(810)(도 7참조) 및 상기 고정부(810)의 후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820)(도 7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810)는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어셈블리(200)가 고정되는 곳이다. 상기 가이드부(820)는 후술할 밴트그릴(700)을 통하여 흡배기되는 공기와 연소가스를 구획하는 동시에 이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820)의 선단에는 경사가이드부(830)(도 7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가이드부(830)는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어셈블리(400)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의 개수에 대응하여 3개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400)는, 외부의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은 가스를 상기 버너어셈블리(200)로 각각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400)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의 직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부(500)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 전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부(500)에는, 상기 조리기기(1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전장부품, 예를 들면, 3개의 밸브어셈블리(510), 노브(520) 및 표시램프(530)이 구비된다.
상기 밸브어셈블리(510)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 가스의 공급여부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밸브어셈블리(510)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너버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후술할 아웃터포트(210)와 이너포트(220)로의 가스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결정한다. 즉 상기 밸브어셈블리(510)에 의하여 아웃터포트(210) 및 이너포트(220) 또는 이너포트(220)로 가스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밸브어셈블리(510)는 후술할 플러그어셈블리(240)를 동작시키는 동시에 상기 버너어셈블리(200)로의 가스의 공급여부에 따라서 상기 표시램프(530)를 선택적으로 점멸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밸브어셈블리(510)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 가스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플러그어셈블리(240)를 동작시키고, 상 기 표시램프(530)를 점등시킨다.
그리고 상기 노브(520)는 사용자가 상기 밸브어셈블리(510)를 조작하기 위하여 파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표시램프(530)는 상기 밸브어셈블리(510)에 의하여 점멸되어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의 점화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조리기기(10)의 상면 외관을 탑커버(600)가 형성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탑커버(600)는 실질적으로 상기 캐비닛(100)의 상면을 차폐한다. 상기 탑커버(600)는 탑프레임(610) 및 탑글래스(620)를 포함한다.
상기 탑프레임(610)은 상기 캐비닛(100)에 대응하는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탑프레임(610)의 전단부에는 상기 노브(520)가 관통하는 3개의 노브관통홀(611) 및 상기 표시램프(530)가 관통하는 3개의 램프홀(61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탑프레임(610)의 후단부에는 다수개의 흡배기개구(615)가 구비된다. 상기 흡배기개구(615)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서 가스를 연소하기 위한 공기가 흡입되고 가스를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배기되는 입출구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 대응하여 3개의 상기 흡배기개구(615)가 구비된다.
상기 탑글래스(620)는 상기 탑프레임(6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탑글래스(620)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서 혼합가스를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음식물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탑글래스(620)의 상면에는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탑글래스(620)에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용기가 안착될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용기안착부( 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흡배기개구(615)에는 밴트그릴(700)이 구비된다. 상기 밴트그릴(700)은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서 연소되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의 흡입 및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서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배출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밴트그릴(700)은 좌우로 길고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밴트그릴(700)의 상면은 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밴트그릴(700)의 후면은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밴트그릴(70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흡기공(710) 및 배기공(720)이 형성된다. 상기 흡기공(710)은 가스와 혼합되어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공기가 캐비닛(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곳이다. 상기 배기공(720)은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서 외부, 즉 실내로 배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기공(710)이 상기 밴트그릴(700)의 상면 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공(720)은 상기 밴트그릴(700)의 상면 전단부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흡기공(710)과 배기공(720)의 구분은 상기 연결브라켓(800)의 가이드부(82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이드부(820)를 기준으로 그 후방 또는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밴트그릴(700)의 상면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형성되는 구멍이 각각 상기 흡기공(710) 또는 배기공(720)이 된다. 또한 상기 흡기공(710)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공(720)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대하여 일종의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공(720)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의하여 조리기기(10)의 후방에 해당하는 주방의 벽면이 오염되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공(710)과 배기공(720)은 각각 후술할 흡기유로(Pi) 또는 배기유로(Po)와 연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어셈블리,튜브어셈블리 및 노즐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어셈블리, 노즐어셈블리 및 튜브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튜브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버너어셈블리(200)는 연소부, 점화부 및 배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부는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아웃터포트(210), 이너포트(220) 및 연소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상기 점화부는 상기 연소부에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어셈블리(240)가 점화부를 구성한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연소부에서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배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부는 버너밴트(250) 및 베리어(26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포트(210)와 이너포트(220)는 실질적으로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아웃터포트(210)와 이너포트(220)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에 의한 밸브어셈블리(510)의 조작에 의하 여 상기 아웃터포트(210) 및 이너포트(220)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 또는 상기 이너포트(220)에서만의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진다.
상기 아웃터포트(210)는 상면이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웃터포트(210)가, 납작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내부에는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내면 및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저면 사이에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후면에는 고정부(21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211)는 튜브어셈블리(300)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211)의 후면은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외주면에 접선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아웃터포트(210)에는 3개의 혼합가스공급공(213)(215)이 형성된다. 상기 혼합가스공급공(213)(215)은 상기 아웃터포트(210) 및 이너포트(220)에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혼합가스공급공(213)(215)은 상기 고정부(211)에 수평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혼합가스공급공(213)(215) 중 양측의 혼합가스공급공(213)(이하에서는 '제1공급공'이라 칭함)을 통하여 상기 아웃터포트(210)에 혼합가스가 공급되고, 상기 혼합가스공급공(213)(215) 중 상기 제1공급공(213) 사이의 혼합가스공급공(214)(이하에서는 '제2공급공'이라 칭함)을 통하여 상기 이너포트(220)에 혼합가스가 공급된다.
한편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내주면에는 플레이트안착부(215)가 구비된다. 상기 플레이트안착부(215)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저면 테두리가 안착되는 부 분이다. 상기 플레이트안착부(215)는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상면 내주연 일부가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두께만큼 하방으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상단 테두리에는 지지플랜지(217)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플랜지(217)는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상단테두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플랜지(217)의 상면에는 상기 버너밴트(250)의 저면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포트(210)에는 다수개의 체결공(218)이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체결공(218)은 상기 지지플랜지(217)에 서로 소정의 중심각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상기 이너포트(220)는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공간과 구획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너포트(220)의 내부 및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저면 사이에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공간과 구획되어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너포트(220)가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동일한 원중심을 가지고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너포트(220)의 높이는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높이에서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두께를 제외한 값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포트(220)의 상단은 상기 플레이트안착부(215)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포트(220)에는 연통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221)은 상기 제2공급공(214)을 통하여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상기 이너포트(220)의 내부 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너포트(220)에는 연결튜브(223)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튜브(223)는 상기 제2공급공(213)을 통하여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상기 이너포트(220)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튜브(223)의 일단은 상기 연통공(221)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튜브(223)의 타단은 상기 제2공급공(214)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상기 연통공(221)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포트(220)의 일측에는 점화안내부(225)가 구비된다. 상기 연소플레이트(230)로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상기 플러그어셈블리(240)에 의하여 점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점화안내부(225)는, 실질적으로 상기 이너포트(220)의 일부가 상기 플러그어셈블리(240)와 상하로 중첩되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포트(210), 이너포트(220) 및 연결튜브(223)는 실질적으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을 다이캐스팅가공하여 상기 아웃터포트(210), 이너포트(220) 및 연결튜브(223)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아웃터포트(210), 이너포트(220) 및 연결튜브(223)를 각각 별개로 제작하여 서로 용접이나 체결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연소플레이트(230)는 실질적으로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상기 연소플레이트(230)는, 예를 들면, 세라믹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저면 테두리는 상기 플레이트안착부(215)에 안착되고,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저면 중앙부는 상기 이너포트(220)의 상단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상면은 상기 지지플랜지(217)의 상면에 비하여 상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테부리에는 단차부(231)가 구비된다. 상기 단차부(231)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테두리 일부가 하방으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차부(231)의 상면은 상기 지지플랜지(217)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상기 플러그어셈블리(240)는, 점화플러그(241) 및 플러그타깃(242)을 포함한다. 상기 점화플러그(241)와 플러그타깃(242)은 혼합가스의 점화를 위한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점화플러그(241)에는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타깃(242)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점화플러그(241)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점화플러그(24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점화플러그(241)와 플러그타깃(242) 사이에 스파크가 발생된다. 상기 플러그어셈블리(240)는 상기 버너밴트(25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실질적으로 스파크가 발생되는 상기 점화플러그(241) 및 플러그타깃(242)의 일단부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직상방,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점화안내부(225)의 직상방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버너밴트(250)는 상기 아웃터포트(210), 이너포트(220) 및 연소플레이트(230)의 상방에 구비된다. 상기 버너밴트(250)는 제1버너밴트(251) 및 제2버너밴트(25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버너밴트(256)는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로 성형되어 용접이나 체결구에 의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버너밴트(251)는 그 바닥면이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버너밴트(251)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제2버너밴트(256)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버너밴트(256)는 상기 제1버너밴트(251)에서 전달받은 연소가스를 밴트그릴(7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버너밴트(251)는 상기 아웃터포트(21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소플레이트(230)를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저면이 상기 지지플랜지(217)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구(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제1버너밴트(251)가 상기 아웃터포트(210)에 고정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연소플레이트(230)가 고정된다.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탑글래스(620)로 전달하기 위한 열전달공(252)이 형성된다. 상기 열전달공(252)은 상기 단차부(231)를 제외한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버너밴트(251)가 상기 아웃터포트(210)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상기 열전달공(25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아웃터포트(210), 연소플레이트(230) 및 버너밴트(250)의 상대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버너밴트(251)에는 가이드리브(253)가 구비된다.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가이드리브(253)는, 실질적으로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혼합가 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상기 제2버너밴트(256)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가이드리브(253)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분산되지 않고 연소플레이트(230)에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글래스(620)로 집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가이드리브(253)는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후단을 제외한 제1버너밴트(251)의 상면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버너밴트(251)에는 글래스지지리브(254)가 구비된다.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글래스지지리브(254)는 상기 탑글래스(620)의 이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글래스지지리브(254)는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가이드리브(253)의 상단에서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전달공(252)에 인접하는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55)이 형성된다.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관통공(255)은 상기 제1버너밴트(251)를 상기 아웃터포트(2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관통공(255)을 관통한 체결구가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체결공(218)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버너밴트(251)와 아웃터포트(210)가 고정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56)는 그 바닥면이 방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56)는 상기 제1버너밴트(251)에서 전달받은 연소가스를 상기 밴트그 릴(7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버너밴트(256)는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가이드리브(253)가 구비되지 않는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후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가이드리브(257)가 구비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가이드리브(257)는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양측단부 및 후단부에서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가이드리브(253)와 동일한 높이만큼 소정의 높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가이드리브(257)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외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상기 밴트그릴(7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버너밴트(256)에는 글래스지지리브(258)가 구비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57)의 글래스지지리브(258)는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가이드리브(257)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글래스지지리브(258)는,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글래스지지리브(254)와 동일하게, 상기 탑글래스(6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버너밴트(256)에는 관통공(259)이 형성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관통공(259)은 상기 제2버너밴트(256)와 베리어(260)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관통공(259)은,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양측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가이드리브(257)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버너밴트(25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하방에는 흡기유로(Pi)(도 7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흡기유로(Pi)에는 가스와 혼합되어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가 유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기유로(Pi)가 실질적으로 상기 캐비닛(100)의 바닥면과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저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260)는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상부에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탑글래스(620)와 제2버너밴트(25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베리어(260)는 그 양측면 외측이 각각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가이드리브(257)의 내측에 각각 밀착되도록 대략 하방으로 개구되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리어(260)의 후단부는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후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제2버너밴트(256) 및 베리어(260)에 의하여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배기유로(Po)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유로(Po)를 유동하는 연소가스는 상기 제2버너밴트(256)와 베리어(26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베리어(260)가 삭제되고, 상기 제2버너밴트(256) 및 탑글래스(620)에 의하여 상기 배기유로(Po)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리어(260)에는 다수개의 체결공(261)이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260)의 체결공(261)은 상기 베리어(260)의 양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관통공(259)을 관통한 체결구(미도시)가 상기 베리어(260)의 체결공(26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베리어(260)와 제2버너밴트(256)가 고정된다.
상기 베리어(260)의 상면 후단부에는 가이드리브(263)가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260)의 가이드리브(263)는 상기 배기유로(Po)를 유동하는 연소가스를 상기 밴 트그릴(700)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리어(260)의 가이드리브(263)는 상기 베리어(260)의 상면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베리어(260)에는 구획리브(265)가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260)의 구획리브(265)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의 배기유로(Po)를 통하여 상기 밴트그릴(700)로 안내되는 연소가스를 서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리어(260)의 구획리브(265)는 상기 베리어(260)의 가이드리브(263)의 양측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베리어(260)는 상기 배기유로(Po)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의 일부,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데우기에 사용될 수 있을 정도만큼의 열만이 상기 탑글래스(620)로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배기유로(Po)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글래스(620)의 상면에는, 상기 배기유로(Po)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에 의하여 음식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하는 웜존(warm zone)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버너밴트(251)에는 써머커플(291)이 구비된다. 상기 써머커플(291)은, 상기 제1버너밴트(251)를 관통하여 그 선단부는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내부,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써머커플(291)은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중에는,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내부에 위치되는 선단부와 상기 제1버너밴트(251)의 외부에 위치되는 나머지 부분 사이의 온도차에 의하여 소정의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써머커플(291)의 기전력 유무에 따라서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가스를 공급하는 밸브어셈블리(510)가 개방된 상 태를 유지 또는 개방된 밸브어셈블리(510)를 차폐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튜브어셈블리(300)는, 다수개의 혼합튜브(310)(320), 밀착부(330) 및 연결리브(340)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튜브(310)(320)는 실질적으로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아웃터포트(210) 및 이너포트(220)의 내부에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혼합튜브(310)(320)는 상기 제1공급공(213) 및 제2공급공(214)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혼합튜브(310)(320)는 상기 제1공급공(213) 및 제2공급공(214)과 연통되도록 상기 튜브어셈블리(300)마다 3개가 각각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혼합튜브(310)(320) 중 상기 제1공급공(213)과 연통되는 혼합튜브(310)를 제1튜브(310), 상기 제2공급공(214)과 연통되는 혼합튜브(320)를 제2튜브(320)라 칭한다. 상기 제1튜브(310)의 일단은 상기 제1공급공(213)을 관통하여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튜브(320)의 일단은 상기 제2공급공(214)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튜브(223)에 삽입되어 상기 이너포트(220)의 내부공간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1튜브(310) 및 제2튜브(320)의 타단은 노즐어셈블리(400)와 서로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튜브(320)가 상기 제1튜브(3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러나 이는 상기 연결튜브(223)의 길이에 따른 것이므로, 상기 연결튜브(223)에 의하여 상기 제2공급공(214) 및 연통공(221)이 서로 연통된다면, 상기 제2튜브(320)가 상기 제1튜브(3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밀착부(330)는 상기 혼합튜브(310)(320)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튜브어셈블리(300)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211)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밀착부(330)는 상기 고정부(211)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33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공급공(213) 및 제2공급공(214)을 관통하는 상기 제1튜브(310) 및 제2튜브(320)의 일단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상기 제1튜브(310) 및 제2튜브(320)의 외주면 일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정부(211)와 밀착부(330) 사이에는 혼합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리브(34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튜브(310)와 제2튜브(320) 사이에 구비되어 양자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결리브(340)는 상기 밀착부(330)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제1튜브(310)와 제2튜브(320)의 타단, 즉 노즐어셈블리(400)에 인접되는 상기 제1튜브(310)와 제2튜브(320)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튜브어셈블리(300)에는 체결공(350) 및 체결돌기(36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튜브어셈블리(300)의 체결공(250) 및 체결돌기(360)는 상기 튜브어셈블리(300)와 노즐어셈블리(4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튜브어셈블리(300)의 체결공(350)이 상기 연결리브(340)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어셈블리(300)의 체결돌기(360)는 상기 연결리브(34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어셈블리(400)는 노즐본체(410), 노즐커버(420) 및 다수개의 분사노즐(431)(433)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본체(410)의 후면에는 호스연결부(411)가 구비된다. 상기 호스연결부(411)에는 2개의 공급공(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공에는 각각 가스호스(471)(473)가 연결된다. 상기 가스호스(471)(473)는 상기 노즐본체(410)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스호스(471)(473) 중 도면상 좌측으로 가스호스(471)를 제1가스호스(471), 도면상 우측의 가스호스(473)를 제2가스호스(473)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본체(410)의 전면에는 3개의 분사공(413)(415)이 형성된다. 상기 분사공(413)(415)은 상기 노즐본체(4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스를 상기 분사노즐(431)(433)을 통하여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분사공(413)(415)은 상기 제1튜브(310) 및 제2튜브(320)에 대응되게 상기 노즐본체(410)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분사공(413)(415)의 내주연에는 각각 나사산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분사공(413)(415) 중 상기 노즐본체(410)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는 분사공(413)을 제1분사공(413), 상기 제1분사공(413) 사이, 즉 상기 노즐본체(410)의 전면 중앙에 구비되는 분사공(415)을 제2분사공(415)이라 칭한다.
한편 상기 노즐본체(410)의 내부에는 상면이 개구되는 2개의 유로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가스호스(471)가 연결되는 상기 공급공 및 상기 제1분사공(413)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2가스호스(473)가 연결되는 공급공 및 상기 제2분사공(415)과 연통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가스호스(471)를 통하여 상기 노즐본체(4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스는 상기 제1분사공(413)을 통하여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스호스(473)를 통하여 상기 노즐본체(4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스는 상기 제2분사공(415)을 통하여 분사된다.
이와 같은 상기 유로의 구획은, 상기 노즐본체(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획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급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분사공(415)이 상기 구획부재에 의하여 상기 노즐본체(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나머지 공간과 구획됨으로써 상기 유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즐본체(410)가 알루미늄을 다이캐스팅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공(411) 및 분사공(413)(415)은 텝가공에 의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본체(410)를 압출성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사용되는 재료의 양 및 작업공수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노즐커버(420)는 상기 노즐본체(410)의 내부를 차폐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노즐본체(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는, 실질적으로, 상기 노즐본체(410)와 노즐커버(420)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431)(433)은 상기 제1분사공(413) 및 제2분사공(415)을 통하여 전달되는 가스를 상기 튜브어셈블리(3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튜브(310)와 제2튜브(320)를 향하여 각각 고압으로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노즐(431)(433)은 상기 제1분사공(413)에 결합되는 2개의 제1노즐(431) 및 상기 제2분사공(415)에 결합되는 1개의 제2노즐(4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노즐(431) 및 제2노즐(433)은 상기 제1분사공(413) 및 제2분사공(4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튜브(310) 및 제2튜브(320)의 후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제1노즐(431) 및 제2노즐(433)은 각각 상기 제1분사공(413) 및 제2분사공(415)에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노즐(431) 및 제2노즐(433)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분사공(413) 및 제2분사공(415)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어셈블리(400)에는 체결리브(440)가 구비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400)의 체결리브(440)는, 상기 제1노즐(431)과 제2노즐(433)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노즐본체(410)의 전면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400)의 체결리브(440)는, 상기 튜브어셈블리(300)와 노즐어셈블리(4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노즐어셈블리(400)의 체결리브(440)에는 가이드홀(450) 및 관통공(460)이 구비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400)의 가이드홀(450)은 상기 튜브어셈블리(300)의 가이드돌기(256)가 삽입되는 곳이다. 상기 노즐어셈블리(400)의 관통공(460)은 상기 튜브어셈블리(300)의 체결공(255)에 체결되는 체결구(미도시)가 관통하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튜브어셈블리(300)와 노즐어셈블리(400)는, 상기 튜브어셈블리(300)의 가이드돌기(350)가 상기 노즐어셈블리(400)의 가이드홀(450)에 삽입됨으로써 양자의 상대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어셈블리(400)의 관통공(460)을 관통한 상기 체결구가 상기 튜브어셈블리(300)의 체결공(360)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노즐본체(410)와 노즐커버(420) 사이에는 가스켓이 구비된다. 상기 노즐가스켓(470)은 상기 노즐본체(410)와 노즐커버(42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공을 통하여 공급되어 상기 제1노즐(431) 및 제2노즐(433)을 통하여 분사되는 가스가 상기 노즐본체(410)와 노즐커버(42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서 이너포트에서만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서 아웃터포트 및 이너포트에서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너포트(220)에서만 혼합가스를 연소하는 경우, 즉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의 크기가 상기 이너포트(220)의 크기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밸브어셈블리(510)가 상기 이너포트(220)에만 혼합가스가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밸브어셈블리(510)에 의하여 노즐어셈블리(400)에 연결되는 제2가스호스(473)에 대응하는 제2분사공(415)을 통해서만 가스가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2분사공(415)에 결합되는 제2노즐(433)을 통하여 가스가 분사된다.
상기 제2노즐(433)을 통하여 분사되는 가스는 공기와 함께 제2튜브(320)를 유동하여 상기 이너포트(22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2튜브(320)를 유동하는 가스와 공기는 서로 혼합되어 혼합가스로 상기 이너포트(220)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밸브어셈블리(510)는 상기 이너포트(220)로의 가스의 공급과 동시에 플러그어셈블리(240)를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플러그어셈블리(240)에 의하여 발생된 스파크는 실질적으로 점화안내부(225)에 해당하는 연소플레이트(230)의 일측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이너포트(220)에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점화된다. 그리고 실질적인 혼합가스의 연소는, 상기 이너포트(220)에 대응하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일부에서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밸브어셈블리(510)는 상기 이너포트(220)로 가스가 공급되면, 표시램프(530)를 점등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서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의 크기가 상기 이너포트(220)를 포함하는 아웃터포트(210)의 크기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밸브어셈블리(510)가 상기 제2가스호스(473)뿐만 아니라 제1가스호스(471)를 통하여 가스가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1분사공(413) 및 제2분사공(415)에 결합되는 제1노즐(431) 및 제2노즐(433)을 통하여 가스가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1노즐(431) 및 제2노즐(433)을 통하여 분사되는 가스는 공기와 함께 제1튜브(310) 및 제2튜브(320)를 유동하여 각각 혼합가스의 형태로 상기 아웃터포트(210)와 이너포트(220)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밸브어셈블리(510)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어셈블리(240)가 동작됨 으로써, 상기 아웃터포트(210) 및 이너포트(220)에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점화되어 연소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실질적인 혼합가스의 연소는 상기 아웃터포트(210) 및 이너포트(220)에 대응하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전체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밸브어셈블리(510)에 의하여 상기 표시램프(530)가 점등된다.
한편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혼합가스가 점화되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이 탑글래스(620)를 통하여 상기 탑글래스(620)의 상면에 안착된 용기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가 가열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이 조리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포트(220) 또는 상기 이너포트(220) 및 아웃터포트(210)에 혼합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고온의 연소가스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연소가스는 제2버너밴트(256) 및 베리어(26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 즉 배기유로(Po)를 통하여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유로(Po)를 유동하는 연소가스는 상기 배기유로(Po)와 연통되는 밴트그릴(700)의 배기공(720)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연소가스는 실내의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이므로, 대류에 의하여 상기 배기유로(Po)를 유동하여 상기 배기공(720)을 통하여 캐비닛(100)의 외부, 즉 실내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공(720)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연결브라켓(800)의 가이드부(820)에 의하여 전방을 향하도록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공(720)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후방의 벽면, 즉 주방의 벽면을 오염시키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베리어(260)는 상기 배기유로(Po)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의 일부, 즉 음식물을 데울 수 있는 정도의 열만 상기 배기유로(Po)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글래스(620)로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기유로(Po)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글래스(620)의 일부에 형성되는 웜존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데울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기공(720)을 통하여 연소가스가 실내로 배출되면, 상대적으로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의 압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밴트그릴(700)의 흡기공(710) 및 보조흡기공(710)을 통하여 실내의 공기가 상기 캐비닛(100)의 바닥면과 상기 제2버너밴트(256)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흡기유로(Pi)를 통하여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어셈블리(400)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혼합되어 혼합가스의 형태로 상기 버너어셈블리(200)로 공급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서의 가스의 연소를 위한 공기의 공급 및 연소가스의 배출이 온도차에 따른 대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가구장에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 또는 셀프-스탠딩타입의 조리기기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전장부품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냉각팬이 구비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전장부품의 보다 효율적인 냉각을 위하여 냉각팬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혼합가스의 형성을 위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흡기유로 및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어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배기유로가 캐비닛과 버너어셈블리 사이 및 버너어셈블리와 탑글래스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혼합가스의 연소, 공기의 흡입 및 연소가스의 배출이 보다 간단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버너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부품이 체결구에 의하여 체결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보다 간단하게 버너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버너어셈블리는, 연소부, 점화부, 혼합부 및 배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버너어셈블리에 의하여 혼합가스의 혼합, 연소, 점화 및 배기가 이루어짐으로써 제품의 구성이 보다 간단해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실질적으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부가 아웃터포트 및 이너포트를 포함하고,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아웃터포트 및 이너포트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다 경제적으로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어셈블리를 접지하기 위한 접지선과 같은 별도의 부품이 삭제된다. 따라서 제품이 보다 간단하게 구성됨으로써, 제품의 제조코스트가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밸브어셈블리에 의하여, 가스의 공급여부 및 공급되는 양의 조절, 점화플러그의 동작 및 표시램프의 점멸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가 절감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노즐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노즐본체가 다이캐스팅가공에 의하여 형성되고, 공급공 및 분사공은 상기 노즐본체를 텝가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품의 제작을 위하여 소요되는 재료의 양 및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혼합가스의 형성을 위한 공기의 흡입 및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배출이 공기와 연소가스의 온도차에 의한 대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혼합가스의 형성 또는/및 연소가스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팬과 같은 구성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제품이 보다 간단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밴트그릴의 배기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배출된다. 또한 밴트그릴의 흡기공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조리기기의 후방에 구비되는 주방의 벽체와 접촉되지 못하도록 하는 에어커튼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실내가 오염되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어셈블리, 노즐어셈블리 및 튜브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튜브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서 이너포트에서만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서 아웃터포트 및 이너포트에서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

Claims (20)

  1.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제1포트;
    상기 제1포트와 구획되고,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제2포트;
    상기 제1포트 및 제2포트에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포트에 공급되는 상기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가스가 분사되는 노즐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에서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버너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포트는 다이캐스팅가공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버너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포트는 상기 제1포트와 동일한 원중심을 가지고 상기 제1포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버너어셈블리.
  5. 혼합가스를 공급받고 서로 구획되는 다수개의 포트 및 상기 포트에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부재를 포함하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상기 혼합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부; 및
    상기 연소부에서 상기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 전부 또는 일부에 상기 연소부재에서 연소되는 상기 혼합가스가 공급되고, 상기 연소부재에서 상기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은 열전달매체를 통하여 피가열물에 전달되는 버너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아웃터포트; 및
    상기 아웃터포트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아웃터포트와 구획되는 이너포트; 를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포트에는 상기 혼합가스를 공급받기 위한 다수개의 혼합가스공급공이 구비되는 조리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가스공급공 중 일부는 상기 아웃터포트에 상기 혼합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혼합가스공급공 중 나머지는 상기 이너포트에 상기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버너어셈블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가스공급공 중 일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혼합가스를 상기 이너포트에 공급하기 위한 연결튜브를 더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는 상기 이너포트의 외주면에서 상기 아웃터포트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버너어셈블리.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포트는 상기 아웃터포트의 내주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점화부에 의한 점화를 위하여 상기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점화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재는 상기 포트의 상면을 모두 차폐하는 연소플레이트인 버너어셈블리.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포트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열전달매체와의 사이에 상기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버너밴트인 버너어셈블리.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포트의 상면에 결합되는 버너밴트; 및
    상기 버너밴트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버너밴트와의 사이에 상기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베리어; 를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15.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아웃터포트, 상기 아웃터포트와 구획되고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이너포트, 상기 아웃터포트 및 이너포트에 공급되는 상기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부재를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상기 이너포트 및 아웃터포트에 공급되거나 상기 이너포트 및 아웃터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어셈블리; 및
    상기 노즐어셈블리에서 분사되는 가스를 공기와 혼합하여 상기 혼합가스를 형성하고, 형성된 혼합가스를 상기 포트에 공급하는 튜브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어셈블리는,
    상기 아웃터포트에 상기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제1튜브; 및
    상기 이너포트에 상기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제2튜브;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포트의 내부에 상기 이너포트가 위치되고,
    상기 제2튜브는 상기 아웃터포트를 관통하여 상기 이너포트를 향하여 연장되는 조리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튜브는 상기 아웃터포트를 관통하여 상기 이너포트에서 연장되는 연장튜브에 삽입되는 조리기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어셈블리의 내부에는 상기 아웃터포트 또는 이너포트에 공급되는 상기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가스가 유동되는 유로가 서로 구획되는 조리기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어셈블리는, 상기 아웃터포트 또는 이너포트에 공급되는 상기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가스를 분사하는 제1노즐 및 제2노즐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080074136A 2008-07-29 2008-07-29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064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136A KR101064050B1 (ko) 2008-07-29 2008-07-29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A2732699A CA2732699C (en) 2008-07-29 2009-05-14 Cooking appliance and burner assembly thereof
US13/056,575 US9416978B2 (en) 2008-07-29 2009-05-14 Cooker and burner assembly thereof
PCT/KR2009/002568 WO2010013888A2 (ko) 2008-07-29 2009-05-14 조리기기 및 그의 버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136A KR101064050B1 (ko) 2008-07-29 2008-07-29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630A true KR20100012630A (ko) 2010-02-08
KR101064050B1 KR101064050B1 (ko) 2011-09-08

Family

ID=4161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136A KR101064050B1 (ko) 2008-07-29 2008-07-29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16978B2 (ko)
KR (1) KR101064050B1 (ko)
CA (1) CA2732699C (ko)
WO (1) WO201001388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774A (ko) * 2010-08-31 201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1941B2 (ja) * 2011-07-27 2016-08-03 株式会社Ihi 密閉式ガスヒータおよび密閉式ガスヒータを用いた連続加熱炉
KR101573989B1 (ko) * 2013-12-26 201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버너 유닛
KR101617499B1 (ko) 2013-12-26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버너 유닛
CN103900087B (zh) * 2014-02-10 2016-08-1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炉头和燃气灶
KR101851862B1 (ko) 2016-08-26 201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벤트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N108826294B (zh) * 2018-07-24 2023-04-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燃烧器、富氧结构及包括其的燃气燃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2397A (en) * 1931-05-01 1934-01-09 Ray Glo Corp Gas burner
US2297762A (en) * 1940-03-04 1942-10-06 Philip S Harper Gas burner
US3077922A (en) * 1958-03-10 1963-02-19 Whirlpool Co Gas burner
US3606612A (en) * 1969-10-20 1971-09-20 Columbia Gas Syst Gas burner and control
US3646927A (en) * 1970-06-15 1972-03-07 Tappan Co The Gas smooth top range
US3843313A (en) * 1973-07-23 1974-10-22 Raytheon Co Multi-cavity radiant burner
NL176301C (nl) * 1974-08-24 Schwank Gmbh Toestel met ten minste een gasbrander voor een kookplaat.
YU109677A (en) * 1976-05-15 1982-05-31 Spezialglas Gmbh Glass ceramic surface for cooking by means of the radiating gas-heated surface
DE4326945C2 (de) * 1993-08-11 1996-10-24 Schott Glaswerke Regeleinrichtung für die Gaszufuhr zu einer Gaskocheinrichtung mit unter einer durchgehenden Kochfläche angeordneten Gasstrahlungsbrennern
DE19637666A1 (de) * 1996-09-16 1998-03-26 Schott Glaswerke Druckregeleinrichtung für die Gaszufuhr zu einer Gaskocheinrichtung mit unter einer durchgehenden Kochfläche angeordneten Gasstrahlungsbrennern
TW481256U (en) * 2001-04-13 2002-03-21 Huang-Shi Shiu Igniting apparatus for furnace
ITMI20010247U1 (it) * 2001-05-03 2002-11-04 Whirlpool Co Bruciatore atmosferico a gas di tipo radiante
KR20050081678A (ko) * 2004-02-16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밀폐식 버너구조
KR100738696B1 (ko) 2005-11-22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드 더블 버너
KR100739545B1 (ko) * 2006-01-20 2007-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복사 버너
US7717105B2 (en) * 2006-01-06 2010-05-18 Lg Electronics Inc. Gas radiation burner
US7766005B2 (en) * 2006-01-20 2010-08-03 Lg Electronics Inc. Gas radiation bur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070218776A1 (en) * 2006-03-20 2007-09-20 American Water Heater Company,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Nevade Fuel supply line connector for water heater mounting bracket
KR100809745B1 (ko) 2007-01-23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KR100829628B1 (ko) * 2007-01-23 200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조리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774A (ko) * 2010-08-31 201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3888A3 (ko) 2010-03-25
US9416978B2 (en) 2016-08-16
WO2010013888A2 (ko) 2010-02-04
KR101064050B1 (ko) 2011-09-08
US20110186035A1 (en) 2011-08-04
CA2732699A1 (en) 2010-02-04
CA2732699C (en) 201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155B1 (ko) 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064050B1 (ko)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90059007A (ko)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816308B1 (ko) 조리기기
KR101789826B1 (ko) 조리기기
KR100918929B1 (ko) 조리기기
KR10159649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706779B1 (ko)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KR100938387B1 (ko) 조리기기
KR100829628B1 (ko) 가열조리기기
KR10153105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38386B1 (ko)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90059004A (ko) 플러그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23588B1 (ko) 조리기기
KR100926443B1 (ko) 밴트그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304610B1 (ko) 조리기기
KR20100069017A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4085047B2 (ja) ガスコンロ
KR10153530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2005291666A (ja) 燃焼機器
KR10153384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90059201A (ko) 밸브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90059012A (ko) 튜브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90059010A (ko) 조리기기
KR20090059013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