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278U - Jib Crane - Google Patents

Jib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278U
KR20100012278U KR2020100005576U KR20100005576U KR20100012278U KR 20100012278 U KR20100012278 U KR 20100012278U KR 2020100005576 U KR2020100005576 U KR 2020100005576U KR 20100005576 U KR20100005576 U KR 20100005576U KR 20100012278 U KR20100012278 U KR 201000122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b
hoist
heavy
post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5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58721Y1 (en
Inventor
재 현 김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주하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주하나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주하나
Publication of KR201000122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27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72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non-adjustable and non-inclinable jibs mounted solely for slew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66C23/94Safety gear for limiting slew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miting trolley or crane travel; Arrangements of buffer-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지브크레인은 지브; 풍력발전기; 상기 지브를 지탱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가 회전할 수 있는 받침대를 구비하며, 중량물용 호이스트와 경량물용호이스트가 하나의 지브 내에서 이동하며,지브를 구성하는 I빔의 중간에 육각의 공기구멍을 뚫어 태풍 등의 풍압에 의하여 회전용기어 및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중량물용 인지 경량물용 인지에 따라서 포스트 및 지브, 호이스트의 내구설계가 달라지고 지브의 길이가 제한되는 점을 개선하여 하나의 포스트와 지브내에 제한하중과 거리에 따라 경량물용 호이스트와 중량물용호이스트를 각각 사용하며 이의 구동용 전기를 풍력발전을 통하여 발생 되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Jib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jib; Wind power generator; A post for supporting the jib; The post is provided with a pedestal to rotate, the hoist for heavy goods and the hoist for light weights move in one jib, and the hexagonal air hole is drilled in the middle of the I beam constituting the jib, Prevents damage to dedicated gears and motors, and improves the durability design of posts, jibs, and hoists and limits the length of jib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heavy or light, and according to the limit load and distance in one post and jib. Light weight hoist and heavy weight hoist are used respectively, and the driving electricity thereof is characterized by using energy generated through wind power generation.

Description

지브크레인{JIB CRANE} Jib crane {JIB CRANE}

지브크레인은 수직기둥에 수평의 팔을 구성하여 팔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호이스트가 이동하며 각종 물체를 이동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수직기둥이나 팔이 360도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호이스트는 인력이나 전기력, 유압 등에 의하여 작동되며 화물의 적재, 선박 인양 등에 사용된다  Jib crane consists of a horizontal arm on a vertical column so that the hoist moves along the rail installed on the arm to move various objects, and the vertical column or the arm can be rotated 360 degrees. It is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and used for loading cargo, lifting ship, etc.

어촌에서 화물을 선박에 싣거나 내릴 때, 또는 소형선박을 육상으로 올려 놓는 등의 다목적으로 사용한다.   It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loading or unloading cargo in fishing villages or placing small vessels on land.

수산물의 인양에 사용되는 지브크레인의 인양능력은 보통 1톤 미만으로 빈번하게 사용되지만 선박인양의 경우 사용빈도는 지극히 낮으나 3톤 내지 5톤의 인양능력을 갖춘 대용량의 지브크레인을 구비하여야 하는 현실이다. The lifting capacity of jib crane used to lift aquatic products is usually used less than 1 ton, but in the case of ship lifting, the frequency of use is very low, but it must be equipped with a large capacity jib crane with lifting capacity of 3 to 5 tons. .

수산물의 인양에 사용되는 지브크레인의 인양능력은 보통 1톤 미만으로 빈번하게 사용되지만 선박인양의 경우 사용빈도는 지극히 낮으나 3톤 내지 5톤의 인양능력을 갖춘 대용량의 지브크레인을 구비하여야 한다.          The lifting capacity of jib crane used to lift aquatic products is usually less than 1 ton, but in case of ship lifting, the frequency of use is very low, but a large capacity jib crane with a lifting capacity of 3 to 5 tons should be provided.

지브크레인의 인양능력을 증가시킴에 따라 포스트와 지브에 걸리는 수직하중이 늘어나므로, 모멘트 증가에 의한 포스트와 지브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이 대형화하거나, 지브의 길이를 짧게 구성하여야 하는데, 중량물용 호이스트는 복 도르레로 후크 체인이 감김과 풀림이 됨으로서 단도르레를 사용하는 경량물용호이스트에 비해 현저하게 속도가 느리며 지브가 짧아 회전반경이 작을 경우 지브의 수직선상에서만 작업이 가능하므로 썰물때에는 작업에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이와 관련하여 본 고안자가 포스트를 중심으로 한쪽에 중량물용 호이스트와 다른 한 쪽에 경량물용호이스트를 사용하도록 개발하여 설치하고 공개실용신안공보 2009-2770호로 출원한바 있으나 아래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가 없었다. As the lifting capacity of the jib crane increases, the vertical load on the posts and jibs increases, so that the structure must be enlarged or the length of the jibs must be shortened to prevent the buckling of the posts and jibs due to the moment increase. Hoist is remarkably slower than light hoist using single pulley because of hook pulley with hook pulley. There is no choice but to receive. 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nd installed a heavy hoist on one side of the post and a lightweight hoist on the other side of the post and filed it as a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9-2770, but the following problems could not be solved.

수산물의 하역 과정에서 인양물이 공중에 올려진 상태에 기계적 결함으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크레인탑재차량을 용차하여 하역하는 등의 불편이 초래되었다. 기계적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는 최소한 하루 이틀 정도는 소요되어도 불편을 감내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었다.
In the process of unloading aquatic products, if a failure occurred due to mechanical defects while the salvaged product was placed in the air, inconvenience such as unloading by loading a crane-mounted vehicle was caused. In order to solve the mechanical defects, it was necessary to bear the inconvenience even if it took at least a day or two.

현재 어촌에 설치되어 있는 지브크레인 중, 5톤 선박을 인양할 수 있는 호이스트를 가진 경우는 포스트로부터 약 7m 이내 거리에서 움직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에 본 고안의 스토퍼를 사용하여 지브의 길이를 연장하고 1톤 정도의 소형화물을 인양하도록 경량물용 호이스트를 설치할 경우 포스트를 추가로 강도를 보강하지 않더라도 이동거리 10 내지 15 미터 정도의 지브를 구성할 수가 있다.
Among jib cranes currently installed in fishing villages, it is designed to move within about 7m from the post if it has a hoist that can lift a 5 ton vessel. If the hoist for lightweight water is installe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jib by using th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lift a small cargo of about 1 ton, the jib of about 10 to 15 meters can be configured even if the post is not reinforced. You can do it.

선박을 부두에 최대한 가까이 접안한 상태에서 들어올리게 되므로 통상 지브의 길이가 7m정도이면 사용이 가능하다. 경량물 화물인양용 지브크레인은 사용빈도가 높으며 지브가 길수록 회전반경이 커서 사용에 편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지브크레인을 동시에 설치할 수 없어서 선박인양을 위한 사용빈도보다 선박으로부터 수산물의 하역 또는 선박으로 적재 등의 경량물의 취급 빈도가 높으나 국가가 지원하는 보조사업에 의해 시설이 되는 관계로 선박인양을 할 수 있는 대용량의 지브크레인을 설치기준으로 삼고, 또 그 시설자금도 한정되어 있으므로 지브가 짧은 중량물용 지브크레인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경량물의 인양에 사용하면, 복 도르레에 의해 후크체인을 감고 풀기 때문에 화물인양 속도가 지극히 느리고 회전반경이 작아 어민들이 사용함에 불편을 호소하는 현실이다.
Since the ship is lifted up as close as possible to the pier, it can be used if the length of the jib is about 7m. Light weight cargo lifting jib crane has a high frequency of use and the longer the jib, the greater the radius of rotation, which is more convenient for use. Nevertheless, because two jib cranes cannot be installed at the same time, the handling frequency of light items such as unloading or loading of marine products from ships or loading them into ships is higher than the frequency of use for ship lifting. The jib crane with a large capacity for ship lifting is used as a standard and the facility funds are limited.Therefore, the jib crane for heavy items with short jibs is installed. Since the lifting speed is very slow and the turning radius is small, the fishermen complain of inconvenience.

또한 지브를 길게 구성을 하게 될 경우 태풍 등의 풍압에 의하여 회전용 기어 및 모터의 손상의 우려와 지브의 처짐을 방지하여야 한다.
In addition, if the jib is configured for a long tim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risk of damage to the rotating gear and the motor and sag of the jib due to wind pressure such as a typhoon.

또한, 전기를 사용하여 구동을 하여야 함으로 전기공급이 충분하게 되지않는 섬이나 만조에 잠수 되는 선착장 등에도 설치되어야하므로 태풍이나 천재지변을 통해 정전 등으로 전기공급이 외부에서 차단이 되더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In addition, since it must be driven by electricity, it should be installed in islands where the electricity supply is not sufficient or in the marina submerged at high tide. do.

본 고안의 지브크레인은 지브;          Jib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jib;

상기 지브를 지탱하며 상부에 풍력발전기를 탑재한 포스트;A post supporting the jib and having a wind generator mounted thereon;

상기 포스트가 회전할 수 있는 받침대를 구비하며, A post on which the post can rotate,

중량물용 호이스트가 포스트로부터 설정된 제한하중의 이동거리에서 경량물용 호이스트는 통과할 수 있는 본 고안의 스토퍼를 설치하고, 경량물용 호이스트는 중량물용 호이스트 스토퍼를 통과하여 이동하도록 지브를 구비하여 한 개의 포스트와 한 개의 지브에 두 종류의 호이스트를 설치하여 회전반경을 극대화하여 어민들의 작업반경을 넓혀주고 사용빈도가 높은 경량물용호이스트가 기계적 결함으로 고장이 나더라도 다른 한 대의 중량물용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작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한다.
The heavy-weight hoist is equipped with a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light-weight hoist can pass through at a limited load travel distance set from the post, and the light-weight hoist is provided with a jib to move through the heavy-weight hoist stopper. Two types of hoists are installed in one jib to maximize the turning radius to increase the working radius of fishermen and continue to work with another heavy hoist even if the frequent use of lightweight water hoist fails due to mechanical defects. To help.

또한, 본 고안의 지브크레인은In addition, the jib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포스트가 회전하며 하부에 견인줄을 감아 들이는 윈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썰물 때에 자의적으로 선착장이나 지브 내로 진입하지 못하는 선박을 견인줄로 당겨 선착장이나 지브 내로 인양한다.
The post rotates and constitutes a winch that winds a tow line at a lower portion, and when a low tide, a ship that does not arbitrarily enter a dock or a jib is pulled into a dock or a jib by a pull line.

또한, 본 고안의 지브크레인은 지브의 처짐과 풍압에 의한 기어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브의 제조과정에서 I빔을 가상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정육면체의 삼면을 지그재그로 절단하고 절단된 삼면이 정육면체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접합하여 빔의 높이를 늘려주어 인장 강도를 높이고 처짐을 방지하면서도 자체하중이 증가 되지 않아 포스트 및 기초를 보강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처짐이 적어 호이스트의 수평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접합된 육면체의 공간을 통하여 공기가 소통되므로 태풍 등의 풍압에 의한 지브크레인의 회전용 기어 및 모터의 손상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jib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bic zigzag cut three sides of the cube around the imaginary center lin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jib in order to prevent the deflection of the jib and damage of gears due to wind pressure, etc. The joints are formed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beam, which increases the tensile strength and prevents sag, while the self-load does not increase, so it is not necessary to reinforce the post and the foundation. In addition, the deflection is smooth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oist smoothly and the air is communicated through the space of the bonded hexahedron to prevent damage to the rotating gear and motor of the jib crane due to wind pressure such as typhoon.

또한, 전기공급이 취약하거나 정전 등의 천재지변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포스트 상부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여 발생 되는 전기를 축전기에 충전시켜 두었다가 이를 구동전기로 사용하도록 하며 충전용 축전기들은 지브의 웨이트로 활용되도록 포스트를 중심으로 호이스트의 반대편 끝에 설치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be used for natural disasters such as power failure or power failure, wind power generators are installed on the pos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harg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capacitors, and to use them as driving electricity. It is install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hoist around the post so that it can be used as

본 고안은 동일 지브 궤도 내에서 중량물용호이스트와 경량물용호이스트가 이동하되 제한하중과 이동제한거리에 따른 필요에 대응하여 경량물용 호이스트와 중량물용 호이스트를 각각 운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빈도가 높은 경량물용 호이스트의 사용중 인양물이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기계적 결함으로 고장이나서 작업이 불가하게 되었을 경우 별도의 크레인 탑재 차량을 통하여 그 인양물을 해체하여 내린 후 호이스트를 수리하거나 호이스트의 수리 후 인양물을 해체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고안의 경우 중량물용 호이스트가 동일 지브 궤도 내에 있으므로서 고장난 호이스트를 대체하여 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며 고안의 효과라 할 것이다. 따라서, 두 대의 지브크레인의 역할이 한 개의 포스트와 한 개의 지브 안에서 가능하게 되므로 공개실용신안공보 2009-2770호와는 그 기능과 목적이 차별화 된다. 즉 공개실용신안공보 2009-2770호는 중량물용스토퍼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별도의 지브를 중량물 제한하중에 맞추어 제조하였으며 그 대칭되는 곳에 경량물용호이스트의 제한하중에 맞추어 지브를 길게 제조하도록 고안이 되었으므로 본 고안과 한 개의 포스트에 경량물용과 중량물용 지브를 각각 구성하여 지브의 길이를 길게 하였다는 점은 동일하지만 본 고안은 동일 지브 궤도 내에서 경량물용과 중량물용호이스트가 이동하며 작업이 가능하므로 사용빈도가 높은 경량물용호이스트의 기계적 결함으로 인한 고장 시에 고장난 호이스트를 대체하여 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는 점은 한층 진보된 고안일 것입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operating the light weight hoist and the heavy weight hoist, respectively. If the hoist is lifted from the ground and the work is not possible due to mechanical failure, the hoist is repaired after disassembling the lift by a separate crane-mounted vehicle and repairing the hoist or after the hoist is repaired. This was inevitably dismantled,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vy hoist is in the same jib orbit, so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failed hoist and continue the work. Therefore, the role of two jib cranes is possible in one post and one jib, so that the function and purpose of the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9-2770. That is, 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9-2770 manufactured a separate jib according to the heavy weight limit load without installing a stopper for heavy goods, and was designed to manufacture a long jib according to the limit load of the light weight hoist in the symmetrical place. The length of the jib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jib by constructing a light weight and a heavy weight jib on one post and the same, but the present design has a frequency of use because the hoist for light weight and heavy weight moves and works within the same jib track. In the event of a failure due to the mechanical failure of the high-weight water hoist, it would be an advanced design to replace the failed hoist.

또한, 지브크레인의 지브의 내부에 도달하지 못하는 원거리에서 썰물 때에 선박이 멈추었을 경우 지브의 회전 반경 내부로 선박을 끌어올 수 있는 윈지 기능이 포스트에 포함되어 지브의 길이에 의해 제한되는 도달 거리의 한계를 극복한다. 윈지 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2009-2770호는 별도의 구동장치를 겸비한 윈지를 하부의 베이스판에 부착하여 사용하였으나 본 고안은 별도의 구동장치가 없으며 본 고안의 포스트가 회전하며 와이어가 포스트 외곽에 구성한 원통에 감기도록 윈지를 구성하였다.
In addition, the post includes a winch function that can pull the ship in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jib when the vessel stops at low tide at a distance that does not reach the inside of the jib of the jib crane. Overcome the limits Windage Also,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9-2770 used a windage having a separate driving device attached to the base plate of the lower part,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eparate driving device, and the pos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and the wir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ost. The winches were configured to be wound on cylinders.

또한, 지브를 구성하는 I빔 중간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하여 공기가 소통되도록 제조되어 태풍 등의 풍압에 의한 기어 등의 손상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air is manufactur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through the air hol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I-beam constituting the jib to prevent damage to the gear or the like due to wind pressure such as typhoons.

또한, 축전기들이 웨이트로 사용되어 포스트를 안정시킴은 물론이며 풍력발전기에 의해 발생 되는 전기를 사용하게 함으로서 정전 등의 재해에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친환경 대체에너지의 생산으로 저 탄소 녹색사업에도 기여한다.
In addition, the capacitors are used as weights to stabilize the posts, as well as to use electricity generated by wind power generators, which can be used for disasters such as power outages. .

도 1은 본 고안의 지브크레인
도 2는 본 고안의 지브크레인에 지브(12)를 보강하고 공기구멍(31)을 설치한 부분과 중량물용 호이스트(17)를 사용하여 선박을 인양하는 실시모습
도 3은 본 고안의 지브크레인에 설치된 중량물용 호이스트 스토퍼(18)와 경량용 호이스트 스토퍼(35)의 확대모습
도 4는 본 고안의 지브크레인이 썰물 때 갯펄에 멈춰선 선박(20)을 윈지(14)로 견인하는 모습
도 5는 본 고안의 지브크레인의 지브(12)내 중량물용호이스트(17) 하단으로 윈지(14)를 통해 견인된 선박(20)이 중량물용 호이스트(17)에 의하여 들어 올려진 모습
1 is a jib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 embodiment of reinforcing a jib 12 to a jib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lifting a vessel by using a portion having an air hole 31 and a heavy hoist 17.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hoist stopper 18 and the light weight hoist stopper 35 for heavy materials installed in the jib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in which the jib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towing the vessel 20 stopped on the mud flat when the ebb tide to the winch 14
5 is a view in which the vessel 20 towed through the winch 14 to the bottom of the heavy hoist 17 in the jib 12 of the jib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fted by the heavy hoist 17.

본 고안의 지브크레인은 지브(12);       Jib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jib (12);

상기 지브를 지탱하는 포스트(11);A post 11 supporting the jib;

상기 포스트가 회전할 수 있는 받침대(13);A pedestal 13 into which the post can rotate;

포스트 상부의 풍력발전기(30) 및 축전기(19)를 구비하며, Having a wind generator 30 and a capacitor 19 at the top of the post,

중량물용 호이스트(17)와 경량물용 호이스트(16)가 동일 지브 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하며 중량물용 호이스트(17)가 포스트(11)로부터 설정된 제한하중의 이동거리에 경량물용 호이스트(16)는 통과할 수 있는 스토퍼(18)를 설치하고, 경량물용 호이스트(16)는 중량물용 호이스트 스토퍼(18)를 통과하여 이동하도록 지브(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avy object hoist 17 and the lightweight object hoist 16 are installed and moved in the same jib, respectively, and the heavy object hoist 17 is allowed to pass through 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limit load set from the post 11. The stopper 18 can be provided, and the light hoist 16 is provided with a jib 12 to move through the heavy hoist stopper 18.

도 1은 이러한 본 고안의 지브크레인을 도시한다. 도1의 지브(12) 내에 중량물용 호이스트(17)와 경량물용 호이스트(16)를 모두 탑재하고 필요에 따라 각각의 호이스트 위치를 유선 또는 무선조종장치(미도시)에 의해 조작한다. 예를 들어, 중량물용 호이스트(17)을 스토퍼(18)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려면, 경량물용 호이스트(16)를 중량물용 호이스트 스토퍼(18)를 지나 지브(12)의 끝단 방향으로 먼저 보내서 중량물용 호이스트(17)의 이동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중량물용 호이스트 스토퍼(18)는 중량물용 호이스트(17)의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포스트(11)와 지브(12)의 좌굴을 방지하면서 두 종류의 호이스트(16, 17)를 모두 일정거리내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1 shows a jib crane of this invention. Both the heavy hoist 17 and the lightweight hoist 16 are mounted in the jib 12 of FIG. 1, and each hoist position is operated by a wired or wireless control device (not shown) as necessary. For example, to move the heavy hoist 17 to the position of the stopper 18, the lightweight hoist 16 is first passed through the heavy hoist stopper 18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jib 12 for heavy goods. The movement path of the hoist 17 can be secured. The heavy hoist stopper 18 restricts the moving distance of the heavy hoist 17 to prevent buckling of the post 11 and the jib 12 while keeping both types of hoists 16 and 17 within a certain distance. Make it available.

도 2는 본 고안의 지브크레인으로서 중량물을 인양할 때 지브(12)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브(12)의 제조과정에서 I빔을 가상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정육면체의 삼면을 지그재그로 절단하고 절단된 삼면이 정육면체의 공간(31)이 형성되도록 접합하여 빔의 높이를 늘려주어 인장 강도를 높이고 처짐을 방지하면서도 자체하중이 증가 되지 않아 포스트(11) 및 기초를 보강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호이스트(16,17)의 수평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접합된 육면체의 공간(31)을 통하여 공기가 지나가도록 하여 태풍 등의 풍압에 의하여 크레인이 손상되거나 회전용 모터나 기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조된 모습을 도시한다.
FIG. 2 is a zigzag cut and cut three sides of a cube around an imaginary centerline of an I beam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jib 12 to prevent sagging of the jib 12 when lifting a heavy object as the jib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 sides are joined to form a cube space 31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beam to increase the tensile strength and prevent sagging, but does not increase the self load does not need to reinforce the post 11 and the foundation. In addition, the hoists 16 and 17 smoothly move horizontally and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spaces 31 of the bonded hexahedron to prevent the crane from being damaged or the rotating motor or gear from being damaged by wind pressure. The manufactured figure is shown.

도 3은 본 고안의 스토퍼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지브크레인은 상기 중량물용 호이스트(17)가 일정거리이상 외곽으로 이동하는 것을 스토퍼(18)를 통해 금지시키고 경량물용 호이스트(16)가 설치된 지브(12)의 길이를 최대화하여 작업반경을 넓혀주는 것으로서 어촌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경량물용 호이스트(16)를 중량물용 호이스트(17)와 함께 동일 지브(12)에 설치하여 하중 설정에 따른 구조물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고 지브(12)의 길이를 길게 제조하여 회전반경을 극대화하여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호이스트는 롤러(171, 161)에 의해 구동되어 이동할 수 있다.
3 shows a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ib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hibits the heavy hoist 17 from moving to the outside over a predetermined distance through the stopper 18 and maximizes the length of the jib 12 in which the light hoist 16 is installed. The wider hoist 16, which is frequently used in fishing villages, is installed in the same jib 12 together with the heavy hoist 17, thereby minimiz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load setting,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reducing the cost of the jib 12. By making the length longer, the rotation radius can be maximized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At this time, the hoist may be driven and moved by the rollers 171 and 161.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지브크레인으로 썰물 때 갯펄(10)에서 지브의 회전반경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고 멈춰서 정지된 선박(20)을 상기 포스트(11)가 회전하며 견인줄(15)을 감아 들여 지브의 회전반경 내부로 견인하는 모습으로서, 이러한 견인줄(15)을 감아 들이는 윈지(14)가 설치된 포스트(11) 하단부를 도시한다.
In addition, Figure 4 is a stop of the ship 20 is stopped by entering the inside of the rotation radius of the jib at a low tide 10 when the low tide with the jib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t (11) is rotated and wound around the tow line 15 Towing in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jib, it shows the lower end of the post 11 is provided with a windage 14 to wind this tow line (15).

도 5는 도4의 과정을 통해 선박이 견인되어 중량물용 호이스트 스토퍼(18)의 회전반경 내로 들어온 선박을 중량물용 호이스트(17)가 들어올리는 모습을 도시한다.    FIG.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heavy hoist 17 lifts a vessel that is towed through the process of FIG. 4 and enters a rotation radius of the heavy hoist stopper 18.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갯펄
11 : 포스트
12 : 지브
13 : 좌대
14 : 윈치
15 : 견인줄
16 : 경량물용 호이스트
17 : 중량물용 호이스트
18 : 중량물용 호이스트 스토퍼
19 : 축전기
20 : 선박
21 : 화물
30 : 풍력발전기
31 : 공기구멍
32 : 스토퍼 설치 부분
35 : 경량물용 호이스트 스토퍼
161 : 경량물용 롤러
171 : 중량물용 롤러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mud pearl
11: post
12: jib
13: base
14: winch
15: tow line
16: Hoist for Light Weight
17: Hoist for heavy goods
18: Hoist Stopper for Heavy Goods
19 capacitor
20: ship
21: cargo
30: wind power generator
31: air hole
32: stopper installation
35: Hoist Stopper for Light Weight
161: Lightweight Roller
171: Roller for heavy goods

Claims (2)

지브(12)의 중간에 공기 구멍(31)을 뚫어 풍압을 해소할 수 있는 지브(12);
상기 지브를 지탱하며 상부에 풍력발전기(30)를 탑재한 포스트(11);
상기 포스트가 회전할 수 있는 받침대(13);
상기 포스트가 회전할 때 견인줄이 감길 수 있는 윈지(14); 를 구비하며,
중량물용 호이스트(17)와 경량물용 호이스트(16)가 동일의 지브(12) 내에서 이동하되 중량물용 호이스트(17)는 포스트(11)로부터 제한하중설정거리에 고정된 중량물용 호이스트 스토퍼(18)에 의하여 제한되고, 경량물용 호이스트(16)는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중량물용 호이스트 스토퍼(18)를 구비하여, 중량물용 호이스트(17)와 경량물용 호이스트(16)가 각기 최대회전반경이 다르도록 고안된 다기능 지브크레인.
A jib 12 capable of relieving wind pressure by drilling an air hole 31 in the middle of the jib 12;
A post 11 supporting the jib and having a wind generator 30 mounted thereon;
A pedestal 13 into which the post can rotate;
A winch 14 to which a traction line can be wound when the post is rotated; Equipped with
Heavy-weight hoist 17 and light-weight hoist 16 move in the same jib 12, while heavy-weight hoist 17 is fixed to limit load setting distance from post 11 Limited by the, the lightweight hoist 16 has a heavy hoist stopper 18 configured to pass through, so that the heavy hoist 17 and the lightweight hoist 16 are each designed to have a different maximum rotation radius. Multifunctional Jib Crane.
상기 지브크레인의 상부에 풍력 발전기(30)를 설치하여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축전기(19)에 저장하고 저장된 전기를 사용하여 구동하도록 고안된 지브크레인.       Jib crane designed to store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installing a wind generator (30) on top of the jib crane and to drive using the stored electricity.
KR2020100005576U 2009-06-03 2010-05-28 Jib Crane KR200458721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9036 2009-06-03
KR1020090049036 2009-06-03
KR2020100000899 2010-01-27
KR20100000899 2010-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278U true KR20100012278U (en) 2010-12-13
KR200458721Y1 KR200458721Y1 (en) 2012-03-06

Family

ID=4420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576U KR200458721Y1 (en) 2009-06-03 2010-05-28 Jib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721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048B1 (en) * 2013-10-07 2015-04-10 (주)하나 Jib crane
WO2021153947A1 (en) * 2020-01-31 2021-08-05 이지수 Wind power generator having tower crane structure
KR20210098305A (en) * 2020-01-31 2021-08-10 이지수 Wind power generator using tower cra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157B1 (en) 2015-07-16 2017-05-31 주식회사 반도호이스트 Long-distance transport type jib cranes
KR102046551B1 (en) 2018-05-02 2019-11-19 (주)뉴텍 Lifting equipment for fish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586A (en) * 2002-02-25 2003-09-02 Hitachi Plant Kensetsu Soft:Kk Hybrid charge moving type crane and charging method for batter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048B1 (en) * 2013-10-07 2015-04-10 (주)하나 Jib crane
WO2021153947A1 (en) * 2020-01-31 2021-08-05 이지수 Wind power generator having tower crane structure
KR20210098305A (en) * 2020-01-31 2021-08-10 이지수 Wind power generator using tower crane
US11725630B2 (en) 2020-01-31 2023-08-15 Ji Su Lee Wind power generation apparatus having tower cran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721Y1 (en)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0370B2 (en) Motion compensating crane for use on an offshore vessel
JP5860976B2 (en) Floating wind power generator and method of conveying parts of the device
KR200458721Y1 (en) Jib Crane
CN103145051B (en) Separated hoisting device of offshore wind turbine generator, and installation method
EP2724021B1 (en) A self-propelled offshore wind farm installation vessel,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n offshore wind turbine farm
JP2019529286A (en) Crane, ship including such a crane, and method for erecting a vertical structure
US2011022121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tower section of a wind turbine with a crane
US20130125397A1 (en)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of an unwieldy object
US20110126748A1 (en) Wind turbine holding and lifting system and movable operating platform above water
EP2670691A2 (en) Unloading and loading crane arrangement and assembly of two unloading and loading crane arrangements
CN102701083A (en) Special equipment and method for replacing wind driven generator component
US20230399206A1 (en) Offshore wind turbine assembly vessel
CN209568440U (en) One kind turning over a guider
CN101402393A (en) Special operation platform for mounting wind-driven generator
CN202220059U (en) Fully variable frequency electric maintenance crane for rock breaking plant
CN101871207B (en) Offshore wind turbine bearing device
CN105384085A (en) Tower column type three-chord-member boom ship crane
NO337931B1 (en) Portable and modular hoisting assembly for a wind turbine
CN208700450U (en) A kind of port floating crane
CN102887438A (en) Maintenance crane for electric full-variable frequency rock crushing station
CN215884017U (en) Floating ship hoisting structure
CN201626782U (en) Amphibious crawler crane
CN212953983U (en) Crane convenient to install
JP6790217B1 (en) Tower assembly method
JP5555272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