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566A - 로밍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과이를 위한 전화번호 등록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 - Google Patents

로밍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과이를 위한 전화번호 등록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566A
KR20100011566A KR1020080072833A KR20080072833A KR20100011566A KR 20100011566 A KR20100011566 A KR 20100011566A KR 1020080072833 A KR1020080072833 A KR 1020080072833A KR 20080072833 A KR20080072833 A KR 20080072833A KR 20100011566 A KR20100011566 A KR 20100011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ternational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3642B1 (ko
Inventor
박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8007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6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64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전화번호부 제공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전화번호부 제공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한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국가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국가코드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미리 저장된 홈망의 국가코드와 비교하여 해외 로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해외 로밍 여부에 따라, 전화번호부의 각 인명항목마다 할당된 서로 다른 저장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을 개시한다.
자동로밍, 전화번호부, PLMN, 국제 프리픽스, MCC, IMSI

Description

로밍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전화번호 등록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Method of providing phone book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oaming service and method of registering phone number for the sam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로밍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외 로밍 서비스의 이용 시 발신자 확인이나 통화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전화번호 등록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외 로밍 서비스의 이용 시 방문국에 있는 이동통신단말에서 자국이나 해외로 국제전화를 걸기 위해서는 국제전화 접속번호를 전화번호의 시작에 입력한 후, 국가코드, 0을 제외한 가입자 식별번호를 차례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국제포맷의 전화번호를 사용해야 한다.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이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단말의 경우, 국제전화 접속번호는 예컨대, "0"을 길게 눌러 국제 프리픽스(prefix)인 "+" 기호를 만듦으로써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국제포맷의 전화번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방문국의 국제전화 접속번호와 통화 상대의 국가코드를 이동통신단말에 미리 저장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89441호에서는 개인별 전화번호와 국가코드를 대응시킴과 아울러 각 국가별로 해당 국제전화 서비스 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통화연결 요구가 있을 때 위치정보에 따른 국제전화 서비스 번호와 국가코드를 상기 메모리에서 추출한 후 상대방 전화번호에 부가하여 통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전화 자동발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제689441호에 따르면 전화번호부 등록 단계에서 개인별 전화번호에 대하여 국제전화 서비스 번호와 국가코드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등록만을 수행하게 되므로 통화연결 시 해당 국제전화 서비스 번호 및 코드를 추출하여 개인별 전화번호에 덧붙이는 처리를 별도로 수행해야 하고, 이로 인해 신속한 통화연결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한편, 자국에서 방문국에 있는 이동통신단말로 호를 발신하는 경우에는 국내포맷의 전화번호를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국제관문교환기(International Gateway MSC)에 의해 발신번호가 국제포맷으로 자동변경된 상태로 호 발신이 이루어지므로 방문망에 있는 로머(roamer)는 이동통신단말에 표시된 국제포맷의 발신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자에게 콜백(call back)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에 위치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가 010-2921-xxxx인 경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에는 "+8210-2921-xxxx"의 형태를 갖는 국제포맷 전화번호가 표시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국제관문교환기에서 발신번호를 국제포맷으로 자동 변경하게 되면 콜백이 가능한 장점이 있긴 하나, 방문망에 있는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인명과 발신번호가 불일치하여 누가 전화를 했는지를 로머가 직관적으로 알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로밍 여부에 따라 요구되는 포맷의 전화번호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전화번호 등록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내포맷의 전화번호 등록 시 국제포맷의 전화번호가 자동 등록되어 로밍 상태에서도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발신 시도나 발신자 정보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전화번호 등록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은, (A)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한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국가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국가코드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미리 저장된 홈망의 국가코드와 비교하여 해외 로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해외 로밍 여부에 따라, 전화번호부의 각 인명항목마다 할당된 서로 다른 저장영역 들 중 어느 하나의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국가코드가 상기 홈망의 국가코드와 일치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화번호부에 미리 저장된 국내포맷 전화번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국가코드가 상기 홈망의 국가코드와 불일치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화번호부에 미리 저장된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상태에서, 해당 방문국에서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의 국제 프리픽스(prefix)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국제 프리픽스를 당국에서 지원하는 국제 프리픽스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망의 국가코드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에 포함된 MCC(Mobile Country Code)로부터 획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에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로부터 국내포맷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와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의 동일 인명항목 내에 할당된 서로 다른 저장영역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 등록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는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포함된 첫번째 "0"을 삭제하고, 전화번호 앞에 국제 프리픽스와 국가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c)에서는,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한 경우에는 전화번호부 검색 시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한편,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는 숨김 처리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경우에는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한편,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는 숨김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통신단말로서, 국내포맷 전화번호와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국제포맷 전화번호가 각각 저장되는 제1 저장영역과 제2 저장영역을 전화번호부의 인명항목별로 제공하는 메모리; 국내포맷 전화번호의 입력 시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국제포맷 처리부; 및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와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각각 상기 제1 저장영역과 제2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등록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한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국가코드를 획득한 후 스마트 카드에 미리 저장된 홈망의 국가코드와 비교하여 이동통신단말의 해외 로밍 여부를 인식하는 로밍모드 판단부; 및 상기 로밍모드 판단부에 의해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제1 저장영역에 저장된 국내포맷 전화번호를 활성화하고, 해외 로밍 중인 것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저장영역에 저장된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활성화하는 전화번호 세팅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화번호 세팅 제어부는,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부 검색 시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한편,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는 숨김 처리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부 검색 시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한편,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는 숨김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경우, 국제관문교환기에 의해 국제포맷 전화번호로 변경된 발신번호의 호착신 시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발신번호표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통신단말로서,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할 때 활성화되는 제1 저장영역과,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일 때 활성화되는 제2 저장영역을 전화번호부의 인명항목별로 제공하는 메모리; 및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한 상태에서, 국제포맷 전화번호의 입력 시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상기 제1 저장영역과 제2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등록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통신단말로서,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할 때 활성화되는 제1 저장영역과,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일 때 활성화되는 제2 저장영역을 전화번호부의 인명항목별로 제공하는 메모리;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상태에서, 방문망의 국내포맷 전화번 호의 입력 시 상기 방문망의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국제포맷 처리부; 및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상기 제1 저장영역과 제2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등록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국제포맷 처리부는,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포함된 첫번째 "0"을 삭제하고, 전화번호 앞에 국제 프리픽스(prefix)와 국가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국제포맷 처리부는,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한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MCC(Mobile Country Code)로부터 국가코드를 자동추출하여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국제포맷 처리부는, 사용자가 국가코드를 직접 입력하거나 메뉴 상에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외 로밍 중인 가입자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를 활용함으로써 편리하게 국제포맷의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을 시도할 수 있으며, 국제관문교환기에 의해 국제포맷으로 변경되어 착신되는 호에 대하여 발신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국제간 자동로밍에 적합한 WCDMA 단말이나 GSM 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전화번호부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국제포맷 처리부(31)와, 국내포맷 전화번호와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등록하는 등록 처리부(32)와, 이동통신단말의 해외 로밍 여부를 인식하는 로밍모드 판단부(33)와,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에 따라 국내포맷 전화번호 및 국제포맷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는 전화번호 세팅 처리부(34)를 구비한 제어부(30)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전화번호부의 각 인명항목마다 제1 저장영역과 제2 저장영역을 포함하는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메모리의 제1 저장영역에는 국내포맷 전 화번호가 저장되고, 제2 저장영역에는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국제포맷 전화번호가 저장된다. 메모리로는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되는 통상의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20)나, 가입자식별모듈(SIM : Subscriber Identity Module), 사용자식별모듈(UIM : User Identity Module), 광역가입자식별모듈(USIM :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에 해당하는 스마트 카드(40)가 이용될 수 있다.
국제포맷 처리부(31)는 국내포맷 전화번호의 입력 시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한다. 국제포맷 전화번호는 [국제 프리픽스] & [국가코드(CC)] & [첫번째 "0" 삭제] & [가입자 식별번호]의 형태를 갖도록 생성된다.
국가코드는 국제포맷 처리부(31)에 의해 이동통신단말이 현재 위치한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MCC(Mobile Country Code)로부터 자동으로 추출되어 입력될 수 있다. 대안으로, 국가코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소정의 입력창을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메뉴 상에서 선택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국가코드는 디폴트값으로 자국의 코드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폴트값은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등록 처리부(32)는 전화번호부의 인명항목별로 국내포맷 전화번호와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등록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즉, 등록 처리부(32)는 국내포맷 전화번호와 그에 대응하는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의 동일 인명항목 내에 할당된 제1 저장영역과 제2 저장영역에 각각 저장한다.
로밍모드 판단부(33)는 이동통신단말이 현재 위치한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MCC를 획득하고, 이를 스마트 카드(40)에 미리 등록된 홈망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의 MCC와 비교하여 이동통신단말의 해외 로밍 여부를 판단한다.
전화번호 세팅 처리부(34)는 이동통신단말의 로밍 상태에 따라 제1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제2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화번호 세팅 처리부(34)는 로밍모드 판단부(33)에 의해 이동통신단말이 현재 자국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1 저장영역에 저장된 국내포맷 전화번호를 활성화하여 전화번호부에서 검색 가능하게 세팅(setting)하고,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것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2 저장영역에 저장된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활성화하여 전화번호부에서 검색 가능하게 세팅한다. 아울러 전화번호 세팅 처리부(34)는 국내포맷 전화번호의 세팅 시 국제포맷 전화번호는 숨김 처리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부를 검색했을 때 국내포맷 전화번호만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국제포맷 전화번호의 세팅 시에는 국내포맷 전화번호는 숨김 처리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부를 검색했을 때 국제포맷 전화번호만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신번호표시 제어부(35)는 호 착신 시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발신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표시한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경우에는 상대방이 자국에서 발신을 했을 때, 콜백(call back)이 가능하도록 국제관문교환기에 의해 국제포맷 전화번호로 변경된 호가 이동통신단말에 착신된다. 이 때 발신번호표시 제어부(35)는 전화번호부에서 해당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그에 대응하는 발신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한다.
그밖에 이동통신단말은 안테나(10)를 통하여 기지국과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모듈과, 제어부(30)와 RF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와 신호변환 등의 처리를 담당하는 베이스밴드(Baseband)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무선송수신부(50); 음성입력부(100) 및 음성출력부(70)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코덱(CODEC)(60); 코덱(60)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음성출력부(70); 버튼을 통하여 메뉴 선택 신호, 전화번호 등을 입력받는 키패드(90); 및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른 각종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80);와 같은 통상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수행되는 전화번호부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전화번호 등록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제공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단말의 로밍모드 판단부(33)는 현재 이동통신단말이 속한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MCC를 획득한 후(단계 S100), 스마트 카드(40)에 미리 등록된 IMSI의 MCC와 비교하는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10).
단계 S110의 비교 결과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MCC가 IMSI의 MCC와 일치하여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세팅 처리부(34)는 전화번호부의 제1 저장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활성화한다(단계 S120). 이 경우 활성화 제어에 의해 전화번호부에는 제1 저장영역의 데이터가 세팅되고, 제2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는 전화번호부 상에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단계 S110의 비교 결과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MCC가 IMSI의 MCC와 불일치하여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세팅 처리부(34)는 전화번호부의 제2 저장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활성화한다(단계 S130). 이 경우 활성화 제어에 의해 전화번호부에는 제2 저장영역의 데이터가 세팅되고, 제1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는 전화번호부 상에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화번호부의 각 인명항목마다 제1 저장영역에는 예컨대, 국내포맷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제2 저장영역에는 이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등록해 둔 경우,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있을 때는 전화번호부 상에 국내포맷 전화번호만이 검색되고,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일 때는 전화번호부 상에 국제포맷 전화번호만이 검색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에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방법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은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한 경우의 전화번호 등록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200에서 전화번호부 등록을 위해 자국의 국내포맷 전화번호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었을 때, 이동통신단말의 국제포맷 처리부(31)에서는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한다(단계 S210). 예를 들어, 한국 내에서 사용자가 전화번호부에 국내포맷 전화번호 "010-3010-xxxx"를 입력했을 때, 국제포맷 처리부(31)는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포함된 첫번째 "0"을 삭제하고 전화번호 앞에 국제 프리픽스 "+"와 국가코드 "82"를 부가함으로써 국제포맷 전화번호 "+8210-3010-xxxx"를 생성한다. 여기서, 국가코드는 국제포맷 처리부(31)에 의해 이동통신단말이 현재 위치한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MCC(Mobile Country Code)로부터 자동으로 추출되어 입력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는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표시부에 출력되는 메뉴 선택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국제포맷 전화번호에 있어서 국제 프리픽스 "+"는 일부 국가에서 지원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국제 프리픽스 확인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국제 프리픽스의 입력 시 당국에서 지원하는 국제 프리픽스가 "+"인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300 및 단계 S310), 판단 결과 당국에서 지원하는 국제 프리픽스가 "+"인 경우에는 디폴트값 "+"를 유지하고(단계 S32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당국에서 지원하는 국제 프리픽스를 입력받아 대체하는 절차를 수행한다(단계 S330).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입력된 국내포맷 전화번호와 국제포맷 전화번호는 이동통신단말의 등록 처리부(32)에 의해 메모리의 제1 저장영역과 제2 저장영역에 각각 저장된다(단계 S220). 도 6에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부를 통하여 인명 A에 대하여 할당된 전화번호 1 부분에 "010-3010-xxxx"를 입력함에 따라 자동으로 국내포맷 전화번호 "010-3010-xxxx"와 국제포맷 전화번호 "+8210-3010-xxxx"가 각각 메모리의 제1 저장영역(전화번호 1)과 제2 저장영역(전화번호 2)에 상호 대응되게 등록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 S200 및 S230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국제포맷 전화번호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된 경우 이동통신단말의 등록 처리부(32)는 메모리의 제1 저장영역(전화번호 1)은 물론, 해외 로밍 시 활성화되는 제2 저장영역(전화번호 2)에도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저장한다(단계 S240). 따라서, 사용자는 해외 로밍 시에도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부를 통하여 인명 A에 대하여 할당된 전화번호 1 부분에 "+8210-3010-xxxx"를 입력함에 따라 자동으로 국제포맷 전화번호 "+8210-3010-xxxx"이 메모리의 제1 저장영역(전화번호 1)과 제2 저장영역(전화번호 2)에 모두 등록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5에는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상태에서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400에서 전화번호부 등록을 위해 방문망의 국내포맷 전화번호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었을 때, 이동통신단말의 국제포맷 처리부(31)에서는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방문망의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한다(단계 S410). 예를 들어, 한국으로부터 일본으로 아웃 바운드(outbound)한 사용자가 전화번호부에 일본에 있는 인명 B의 국내포맷 전화번호 "090-1234-xxxx"를 입력했을 때, 국제포맷 처리부(31)는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포함된 첫번째 "0"을 삭제하고 전화번호 앞에 국제 프리픽스 "+"와 국가코드 "81"를 부가함으로써 국제포맷 전화번호 "+8190-1234-xxxx"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국가코드는 국제포맷 처리부(31)에 의해 이동통신단말이 현재 위치한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고유코드인 MCC(Mobile Country Code)로부터 자동으로 추출되어 입력될 수 있으며, 대안으 로는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표시부에 출력되는 메뉴 선택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국제포맷 전화번호는 이동통신단말의 등록 처리부(32)에 의해 메모리의 제2 저장영역에 저장되고, 아울러 자국(한국)에 복귀한 이후에도 일본에 있는 인명 B에게 발신이 가능하도록 제1 저장영역에도 자동 저장된다(단계 S420). 도 8에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부를 통하여 인명 B에 대하여 할당된 전화번호 2 부분에 "090-1234-xxxx"를 입력함에 따라 자동으로 국제포맷 전화번호 "+8190-1234-xxxx"가 메모리의 제1 저장영역(전화번호 1)과 제2 저장영역(전화번호 2)에 모두 등록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 S400 및 S430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방문망의 국제포맷 전화번호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된 경우 이동통신단말의 등록 처리부(32)는 메모리의 제2 저장영역(전화번호 2)은 물론, 자국(한국)에서 복귀했을 때 활성화되는 제1 저장영역(전화번호 1)에도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저장한다(단계 S440). 따라서, 사용자는 해외 로밍 시 등록한 방문망의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자국에 돌아와서도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전화번호부를 통하여 인명 B에 대하여 할당된 전화번호 2 부분에 "+8190-1234-xxxx"를 입력함에 따라 자동으로 국제포맷 전화번호 "+8190-1234-xxxx"이 메모리의 제1 저장영역(전화번호 1)과 제2 저장영역(전화번호 2)에 모두 등록되므로 테이블 구성은 전술한 도 8과 동일하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전화 번호 등록 시 국제포맷의 전화번호가 자동 등록되므로 아웃 바운드(outbound) 또는 인바운드(inbound) 상태에서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발신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 바운드 상태에서의 호 착신 시, 발신번호가 국제관문교환기에 의해 국제포맷으로 변경되었더라도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에는 국내에 있는 가입자 K가 아웃 바운드 상태에 있는 로머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국제관문교환기에 의해 가입자 K의 전화번호 "010-2921-xxxx"가 국제포맷으로 자동 변경되어 이동통신단말에 착신되고, 이동통신단말에서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국제포맷 전화번호가 "+8210-2921-xxxx"인 가입자 K의 인명을 추출하여 발신 정보를 표시한 예가 나타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부 제공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등록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의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해외 로밍 중인 이동통신단말에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1: 국제포맷 처리부 32: 등록 처리부
33: 로밍모드 판단부 34: 전화번호 세팅 처리부
35: 발신번호표시 제어부

Claims (16)

  1.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전화번호부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한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국가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국가코드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미리 저장된 홈망의 국가코드와 비교하여 해외 로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해외 로밍 여부에 따라, 전화번호부의 각 인명항목마다 할당된 서로 다른 저장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국가코드가 상기 홈망의 국가코드와 일치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화번호부에 미리 저장된 국내포맷 전화번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국가코드가 상기 홈망의 국가코드와 불일치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화번호부에 미리 저장된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전화번호부에 미리 저장된 국제포맷 전화번호의 국제 프리픽스(prefix)를 해당 방문국에서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국제 프리픽스를 당국에서 지원하는 국제 프리픽스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망의 국가코드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저장된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에 포함된 MCC(Mobile Country Code)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
  5.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에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로부터 국내포맷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와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의 동일 인명항목 내에 할당된 서로 다른 저장영역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 등록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는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포함된 첫번째 "0"을 삭제하고, 전화번호 앞에 국제 프리픽스와 국가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 등록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한 경우에는 전화번호부 검색 시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한편,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는 숨김 처리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경우에는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한편,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는 숨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 등록방법.
  8.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통신단말로서,
    국내포맷 전화번호와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국제포맷 전화번호가 각각 저장되는 제1 저장영역과 제2 저장영역을 전화번호부의 인명항목별로 제공하는 메모리;
    국내포맷 전화번호의 입력 시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국제포맷 처리부; 및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와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각각 상기 제1 저장영역과 제2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등록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한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국가코드를 획득한 후 스마트 카드에 미리 저장된 홈망의 국가코드와 비교하여 이동통신단말의 해외 로밍 여부를 인식하는 로밍모드 판단부; 및
    상기 로밍모드 판단부에 의해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제1 저장영역에 저장된 국내포맷 전화번호를 활성화하고, 해외 로밍 중인 것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저장영역에 저장된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활성화하는 전화번호 세팅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세팅 제어부는,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부 검색 시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한편,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는 숨김 처리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부 검색 시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한편,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는 숨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경우, 국제관문교환기에 의해 국제포맷 전화번호로 변경된 발신번호의 호 착신 시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국제포맷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발신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발신번호표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2.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통신단말로서,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할 때 활성화되는 제1 저장영역과,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일 때 활성화되는 제2 저장영역을 전화번호부의 인명항목별로 제공하는 메모리; 및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한 상태에서, 국제포맷 전화번호의 입력 시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상기 제1 저장영역과 제2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등록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3.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통신단말로서,
    이동통신단말이 자국에 위치할 때 활성화되는 제1 저장영역과,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일 때 활성화되는 제2 저장영역을 전화번호부의 인명항목별로 제공하는 메모리;
    이동통신단말이 해외 로밍 중인 상태에서, 방문망의 국내포맷 전화번호의 입력 시 상기 방문망의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국제포맷 처리부; 및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상기 제1 저장영역과 제2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등록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4. 제8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국제포맷 처리부는,
    상기 국내포맷 전화번호에 포함된 첫번째 "0"을 삭제하고, 전화번호 앞에 국제 프리픽스(prefix)와 국가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국제포맷 처리부는,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한 공중이동통신망(PLMN)의 MCC(Mobile Country Code)로부터 국가코드를 자동추출하여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국제포맷 처리부는,
    사용자가 국가코드를 직접 입력하거나 메뉴 상에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국제포맷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KR20080072833A 2008-07-25 2008-07-25 로밍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과이를 위한 전화번호 등록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 KR101003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2833A KR101003642B1 (ko) 2008-07-25 2008-07-25 로밍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과이를 위한 전화번호 등록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2833A KR101003642B1 (ko) 2008-07-25 2008-07-25 로밍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과이를 위한 전화번호 등록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66A true KR20100011566A (ko) 2010-02-03
KR101003642B1 KR101003642B1 (ko) 2010-12-23

Family

ID=4208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2833A KR101003642B1 (ko) 2008-07-25 2008-07-25 로밍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과이를 위한 전화번호 등록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6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2816A1 (en) * 2012-09-28 2014-04-03 Google Inc. Number identification and tagging
CN106454789A (zh) * 2016-11-28 2017-02-22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一种国际漫游识别方法以及移动终端
KR20190133242A (ko) * 2017-04-03 2019-12-02 블랙베리 리미티드 모바일 디바이스에의 비상 코드들의 프로비저닝
KR20200095849A (ko) * 2019-02-01 2020-08-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국외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착신 전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3003120A1 (ko) * 2021-07-21 2023-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928B1 (ko) * 2006-01-04 2007-06-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국제호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2816A1 (en) * 2012-09-28 2014-04-03 Google Inc. Number identification and tagging
US8718680B2 (en) 2012-09-28 2014-05-06 Google Inc. Number identification and tagging
CN106454789A (zh) * 2016-11-28 2017-02-22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一种国际漫游识别方法以及移动终端
KR20190133242A (ko) * 2017-04-03 2019-12-02 블랙베리 리미티드 모바일 디바이스에의 비상 코드들의 프로비저닝
KR20210108503A (ko) * 2017-04-03 2021-09-02 블랙베리 리미티드 모바일 디바이스에의 비상 코드들의 프로비저닝
KR20200095849A (ko) * 2019-02-01 2020-08-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국외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착신 전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3003120A1 (ko) * 2021-07-21 2023-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642B1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059B1 (ko) 무선 네트워크용 국제 다이얼링
KR100929090B1 (ko) 국가코드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무선단말장치와 그를이용한 전화번호 저장 및 검색방법
KR100960248B1 (ko)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국제 다이얼링을 지원하는방법 및 장치
JP4059605B2 (ja) 携帯型通信機器及び自動発信処理方法
KR1014745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국제 전화 오토 다이얼링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40204117A1 (en) Roamers&#39; friendly phone book - method and device
US89140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d dialing by mobile country code/mobile network cod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093317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n emergency call from a mobile phone
US8744454B2 (en) Enabling an assisted dialing on a mobile device
CN113038400B (zh) 一种呼叫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1003642B1 (ko) 로밍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과이를 위한 전화번호 등록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
KR100778308B1 (ko) 통신 서비스 유형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EP2149205B1 (en) Method for providing roaming service of international call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JP2001119750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記憶された電話番号の変更方法、携帯電話機の発信方法、及び携帯電話機
KR100983141B1 (ko) 국제 로밍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3912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JP2006121756A (ja) 携帯型通信機器
KR20050049909A (ko) 로밍 서비스 방법
KR1014778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국제 및 로컬 전화 오토 다이얼링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0358093A (ja) 携帯型通信機器
JP2005159799A (ja) 携帯端末
KR1006060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전화번호 자동설정방법
WO2006018854A1 (en) International calling system and method
KR2005002406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응답 멘트 언어 변경 방법
KR20030012443A (ko) 셀룰러폰에 있어서의 국제호출을 동적으로 간단히 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