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459A - 리모컨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리모컨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459A
KR20100011459A KR1020080072689A KR20080072689A KR20100011459A KR 20100011459 A KR20100011459 A KR 20100011459A KR 1020080072689 A KR1020080072689 A KR 1020080072689A KR 20080072689 A KR20080072689 A KR 20080072689A KR 20100011459 A KR20100011459 A KR 20100011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ensor
controller
hole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72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459A/ko
Publication of KR20100011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륨 또는 채널을 변경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리모컨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버튼들과 구분될 수 있는 홀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채널 또는 볼륨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리모컨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는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전면에서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홀의 내주면에 구비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된 센서의 회전방향 또는 위치를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모드에서의 상태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전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모드는, 채널모드, 볼륨모드, 화면모드, 외부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텔레비전, 리모컨, 홀, 센서, 선택버튼

Description

리모컨 및 그 제어 방법{REMOTE CONTROL AND METHOD OF CONTROLING IT}
본 발명은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륨 또는 채널을 변경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리모컨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 인터넷의 확산과 디지털화된 방송 프로그램 제작 환경의 도래 등으로 인하여 기존 텔레비전의 기능뿐만 아니라, 각종 부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전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위성, 케이블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들이 제공됨에 따라 수많은 채널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이러한 방송 프로그램들이 24시간 방송되어짐에 따라, 사용자들이 디지털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시간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텔레비전은 일반적으로 리모컨에 의해 제어될 수 있어서, 사용자들은 리모컨을 이용하여 원격에서도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또는 볼륨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의 기능이 증대됨에 따라, 텔레비전에 적용되는 기능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로인해, 리모컨에 구비되는 버튼들의 숫자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리모컨의 크기가 무한정 커질 수는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버튼들은 점점 작은 크기로 구성되고 있다.
한편, 버튼들이 상기한 바와 같이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다수의 버튼들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어떤 버튼이 볼륨을 높이는 버튼인지 또는 어떤 버튼이 채널을 아래로 변경하는 버튼인지를 쉽게 구분하지 못하는 상태가 발생되고 있다.
이를 위해 각 버튼의 주위에는 버튼의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들, 예를 들어, '볼륨+', '볼륨-', '채널UP', '채널DOWN' 등과 같은 표시들이 표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즉, 시력이 나쁘거나 상기와 같은 표시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노약자들의 경우에는, 리모컨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들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채널 또는 볼륨을 쉽게 변경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한편, 리모컨의 기능이 증대됨에 따라,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사용자가 리모컨을 손에 쥐고 있거나 주변에 놓고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리모컨을 손에 쥐고 언제라도 채널 또는 볼륨을 조절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많아 지고 있으나, 종래의 리모컨은 사용자가 손에 지속적으로 쥐고 있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리모컨은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별도의 손잡이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에 쥐고 있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버튼들과 구분될 수 있는 홀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채널 또는 볼륨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리모컨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는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전면에서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홀의 내주면에 구비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된 센서의 회전방향 또는 위치를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모드에서의 상태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전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모드는, 채널모드, 볼륨모드, 화면모드, 외부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은, 다른 버튼들과 쉽게 구분될 수 있는 홀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시킨 후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면, 손가락의 움직임 상태를 감지하여 채널 또는 볼륨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라도 쉽게 텔레비전의 채널 또는 볼륨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홀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버튼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리모컨의 하우징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홀에 손가락을 넣은 상태로 안정되게 리모컨을 쥐고 있을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102), 제어부(104), 입력부(106), 저장부(108) 및 제어홀(107)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은 텔레비전뿐만 아니라, 오디오, 비디오, 에어컨, 선풍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리모컨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텔레비전에 사용되는 리모컨이 본 발명의 일예로서 설명된다.
송신부(102)는 텔레비전과 통신을 수행하여 각종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106)는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버튼을 포함하고 있다. 즉, 입력부는 이하에서 설명될 제어홀(107)에 의해 구현될 수 없는 제어기능을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텔레비전에서 요구되는 기능들이 제어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면, 입력부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의 기능이 다양해 짐에 따라, 리모컨의 입력부에는 많은 버튼들이 구비된다.
저장부(108)는 리모컨의 기능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4)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제어홀을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거나 볼륨을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홀(107)은 리모컨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홀로 삽입된 손가락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텔레비전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홀은 홀로 삽입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볼륨 또는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륨 또는 채널을 선택받기 위한 선택버튼 및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는 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손가락의 움직임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홀(107)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의 외관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의 외관은 제어홀(107)을 구성하는 홀(107c)이 리모컨의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리모컨의 외관과 동일함으로, 이하에서는 리모컨의 외관 중 제어홀(107)에 대한 특징만이 설명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에 적용되는 제어홀(10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전면에서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홀(107c)의 내주면에 구비된 센서(107a) 및 홀 주변에 구비되어 볼륨모드 또는 채널모드로의 변경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선택버튼(107b)을 포함하고 있다.
홀(107c)은 손가락이 삽입되어 회전되거나 또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직경은 예를 들어, 3~4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홀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진 것으로서, 하우징의 두께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하우징의 전면과 후면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홀이 한정된 깊이를 가진 경우, 사용자가 홀에 손가락을 깊숙이 집어넣게 되면, 홀의 안쪽면에 손가락의 끝부분이 닿게 되어 손가락이 꺽여지거나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도 있음으로, 홀은 하우징의 전면과 후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107a)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홀의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센서로는 열을 감지할 수 있는 열 감지센서,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접촉센서 또는 적외선 감지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을 홀에 넣고 회전하는 경우, 홀의 내주면에 손가락이 접촉되므로, 열감지센서 또는 접촉센서는 이러한 접촉에 의해 열 또는 접촉 자체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적외선 감지센서의 경우에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비되어, 손가락이 접해있는 면의 반대쪽 면에 구비된 수광부에 빛이 도달하지 않는 원리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회전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손가락의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이 홀의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선택버튼(107b)은 사용자가 볼륨모드 또는 채널모드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홀의 주변에 일반적인 버튼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의 입구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택버튼은 기본적으로 볼륨제어를 위한 볼륨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홀에 넣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어부는 볼륨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로 인식하거나 그 반대로 인식하여 볼륨을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선택버튼(107b)이 눌려지면, 제어부는 선택버튼을 채널제어를 위한 채널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홀에 넣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어부는 채널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로 인식하거나 그 반대로 인식하여 채널을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선택버튼이 길게 눌려지는 경우, 예를 들어 2초 이상 눌려지는 경우에는 텔레비전의 전원을 오프 또는 온 시키는 제어신호로 인식하여 텔레비전으로 전원을 온 시키거나 오프 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외에도, 선택버튼은 외부입력을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선택버튼이 차례로 눌려지면, 제어부는 볼륨모드, 채널모드, 외부입력모드 등으로 인식하는 한편, 홀 내주면의 센서의 감지정보 수신 방향을 감지하여 볼륨 또는 채널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외부입력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선택버튼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홀(107c)에 넣고 리모컨을 잡은 상태에서 쉽게 접촉할 수 있는 부분,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의 양쪽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리모컨의 한쪽 측면에 하나의 선 택버튼이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버튼을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리모컨의 양쪽 측면에 두 개의 선택버튼이 구비된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리모컨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텔레비전이 전원 온 상태에서 구동되고 있는 동안, 제어부는 선택버튼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302). 선택버튼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없는 경우, 제어부는 선택버튼의 모드를 기 설정되어 있는 기본모드로 설정한 상태로 대기한다. 선택버튼의 기본모드는 리모컨의 제작과정에서 제작자에 의해 설정되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설정은 리모컨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설정 버튼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선택버튼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있는 경우, 제어부는 선택버튼의 모드를 다음 모드로 변경한다(304). 예를 들어, 선택버튼의 모드가 채널모드 및 볼륨모드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모드가 채널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선택버튼을 통해 신호가 전송되면, 제어부는 선택버튼의 모드를 채널모드에서 볼륨모드로 변경하게 된다. 만약, 선택버튼의 모드가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면, 선택버튼으로부터 신호가 전송될 때마다, 제어부는 선택버튼의 세 가지 모드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과정을 통해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어진 상태에서, 제어부는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게 된다(306).
모니터링 결과,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는 감지신호가 수신된 센서들의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감지신호가 홀의 내주면의 시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센서들로부터 전송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308).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홀의 내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센서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센서들은 손가락의 접촉상태, 손가락으로부터 발생된 열의 감지상태, 손가락에 의해 차단되는 빛의 감지상태에 따라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음으로, 제어부는 감지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센서들의 배열 또는 위치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손가락의 회전방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판단결과, 시계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센서들로부터 순차적으로 감지신호가 전송된 경우, 제어부는 현재 모드에서의 상태를 증가(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하게 된다(310). 예를 들어, 현재 모드가 채널모드이면, 제어부는 채널을 증가(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하게 되며, 현재의 모드가 볼륨모드이면, 볼륨을 증가(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판단결과, 반시계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센서들로부터 순차적으로 감지신호가 전송된 경우, 제어부는 현재 모드에서의 상태를 감소(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하게 된다(312). 예를 들어, 현재 모드가 채널모드이면, 제어부는 채널을 감소(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하게 되며, 현재의 모드가 볼륨모드이면, 볼륨을 감소(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다수개의 센서가 홀의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부가 센서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회전방향을 감지함으로써, 볼륨 또는 채널을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센서는 단순히 손가락과의 접촉여부만을 판단할 수 있도록 간단히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는 선택된 센서의 위치정보만을 이용하여 볼륨 또는 채널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센서가 홀 내주면의 상하좌우 네 개의 면에 구비되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 제어부는,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에 구비된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볼륨 또는 채널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방향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된 경우, 제어부는 볼륨을 높이거나 낮추는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하방향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된 경우, 제어부는 채널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가 상기와 같이 네 개의 면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은 선택버튼(107b)이 구비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센서가 상하좌우 방향에 네 개만이 구비된 경우라도, 더 많은 제어기능을 위하여 선택버튼(107b)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가 상하좌우 방향에 네 개만이 구비되어 있고, 선택버튼이 없는 경우, 제어부는 채널 또는 볼륨만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만을 텔레비전으로 전송할 수 있으나, 선택버튼이 있는 경우, 제어부는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모드를 바꾸어 줌으로써, 네 개 또는 여섯 개의 제어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선택버튼이 선택되지 않은 기본모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의 센서는 볼륨제어용으로, 상하방향의 센서는 채널제어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선택버튼이 선택되어 모드가 변경된 경우에는, 좌우방향의 센서는 외부입력제어용으로, 상하방향의 센서는 화면제어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의 외관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410 : 채널튜닝부 420 : 신호처리부
430 : 디스플레이부 440 : 스피커
450 : 데이터 저장부 460 : 인터페이스
471 : 사용자 선택부 472 : 원격신호 수신부
107 : 제어홀 490 : 제어부

Claims (9)

  1. 전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홀;
    상기 홀의 내주면에 구비된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된 센서의 회전방향 또는 위치를 분석함으로써, 모드의 상태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모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채널모드, 볼륨모드, 화면모드, 외부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모드에 대한 변경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선택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버튼을 통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모드를, 상기 모드들 중 어느 하나로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버튼은,
    상기 홀의 입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5. 리모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의 제어부가, 상기 리모컨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홀의 내주면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된 센서의 위치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결과, 상기 센서의 위치가 모드의 상태를 증가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위치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드의 상태를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리모컨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결과, 상기 센서의 위치가 상기 모드의 상태를 감소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위치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드의 상태를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모컨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주변에 구비되어 있는 선택버튼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모드를, 다른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리모컨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의 상기 센서의 위치는,
    상기 홀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에 놓여져 있는 센서들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의 상기 센서의 위치는,
    상기 홀의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놓여져 있는 센서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제어 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채널모드, 볼륨모드, 화면모드, 외부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제어 방법.
KR1020080072689A 2008-07-25 2008-07-25 리모컨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11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689A KR20100011459A (ko) 2008-07-25 2008-07-25 리모컨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689A KR20100011459A (ko) 2008-07-25 2008-07-25 리모컨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459A true KR20100011459A (ko) 2010-02-03

Family

ID=4208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689A KR20100011459A (ko) 2008-07-25 2008-07-25 리모컨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4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6362A3 (en) * 2010-05-17 2012-01-19 Kelsey-Hayes Company Control dial method and apparatus
WO2012111904A1 (ko) * 2011-02-16 2012-08-23 Yoon Il Shik 비접촉 선택 스위치
KR101506076B1 (ko) * 2013-05-20 2015-03-26 (주)아이티버스 관통홀이 형성된 버튼부가 구비된 리모트콘트롤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6362A3 (en) * 2010-05-17 2012-01-19 Kelsey-Hayes Company Control dial method and apparatus
WO2012111904A1 (ko) * 2011-02-16 2012-08-23 Yoon Il Shik 비접촉 선택 스위치
AU2011359462B2 (en) * 2011-02-16 2015-05-07 Il Shik Yoon Non-contact selection switch
KR101506076B1 (ko) * 2013-05-20 2015-03-26 (주)아이티버스 관통홀이 형성된 버튼부가 구비된 리모트콘트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3769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350820B2 (e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operation accuracy enhancement
JP6129214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デバイス
TWI377848B (en)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US8638306B2 (en) Touch-based user interface corner conductive pad
CA2755324C (en) Backlighting remote controls
US20080084389A1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with functions of intelligent remote control
US8692815B2 (e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selection accuracy enhancement
US20110113371A1 (e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Error Handling
US11221678B2 (en) Haptic feedback remo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EP2793395A2 (en) Multi-mode poin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ulti-mode pointing device
US8669949B2 (en) Touch-based user interface touch sensor power
US20110037608A1 (en) Multi-dimensional controlling device
US8686957B2 (en) Touch-based user interface conductive rings
US98868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remote control to control multiple devices
KR20100011459A (ko) 리모컨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12835A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414660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遠隔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2064074A (ja) 入力装置
JP5001893B2 (ja) リモコン装置
JP4996526B2 (ja) リモコン装置
KR101674939B1 (ko)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00011458A (ko) 텔레비전 및 그 제어 방법
EP2497017A1 (en) Audio/visual device touch-based user interface
KR100793631B1 (ko) Tv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tv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