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321U - Box for car - Google Patents
Box for c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1321U KR20100011321U KR2020090005727U KR20090005727U KR20100011321U KR 20100011321 U KR20100011321 U KR 20100011321U KR 2020090005727 U KR2020090005727 U KR 2020090005727U KR 20090005727 U KR20090005727 U KR 20090005727U KR 20100011321 U KR20100011321 U KR 2010001132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block
- component mounting
- box
-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차량용박스의 골격은 박스몸체(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10)에는 블록장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블록장착부(12)의 내부에는 부품장착블록(30)이 설치되는 장착공간(1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13)의 내면과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의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걸이턱(15)과 걸이후크(36)가 구비되어 서로 걸어진다. 상기 장착공간(13)의 출구에 해당하는 내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걸이후크(36)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리브(38)의 상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1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걸이후크(36)와 걸이턱(15) 사이에 유격 없이 서로 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지지부(17)가 부품장착블록(30)을 탄성지지하므로, 차량이동 시 부품장착블록(30)이 박스로부터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x. The skeleton of the vehicle box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box body (10). The box mounting portion 12 is formed on the box body 10. The mounting space 13 in which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30 is installed is formed to penetrate inside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1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30 is provided with a hook jaw 15 and a hook hook 36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walked.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rib 38 formed to protrude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3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ook hook 36 that surrounds the inner surface edge corresponding to the exit of the mounting space 13. An elastic support 17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elastic support part 17 elastically supports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30 so as to keep the state hooked with each other without play between the hook hook 36 and the hook jaw 15, the vehic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30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box during movement.
차량용박스, 퓨즈박스, 부품장착블록, 탄성지지, 유격 Car box, fuse box, component mounting block, elastic support, play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이 실장되는 차량용박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box in which parts are mounted.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부품이 집적되어 구성되는 차량용박스, 예를 들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정션박스나 퓨즈박스의 경우에는, 박스의 외부로부터 전선이 연결된다. 이는 박스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 박스의 내부에 장착된 각종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퓨즈박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 junction box or fuse box installed in a vehicle, for example, a vehicle box that is formed by integra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electric wires are connected from the outside of the box. This is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of the box,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various components mounted inside the box. Hereinafter, a fuse box mounted inside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요부구성이 부분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결합상태가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fuse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of engagement of the fuse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에 따르면, 퓨즈박스는 다수개의 사출물이 결합되어 하나의 박스를 형성하게 되는데, 도 1에는 각종 전장품이 실질적으로 실장되는 박스몸체(1)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박스몸체(1)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use box, a plurality of injection moldings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box. In FIG. 1, a box body 1 in which various electrical appliances are mounted is illustrated. Although not shown,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may b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x body 1, respectively.
상기 박스몸체(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1)는 차량의 내부와 같은 장소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박스몸체(1)에는 장착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된다. The box body 1 is made by injection molding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e box body 1 is fixed at the same place as the inside of the vehicle. For this purpose, the box body 1 is provided with a mounting bracket (not shown).
상기 박스몸체(1)에는 실장부(미도시)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실장부는 전장품이 장착되는 공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장착블록(7)과는 별도로 다양한 전장품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실장부는 상기 박스몸체(1)에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box body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parts (not shown). The mounting part is a space in which the electric equipment is mounted, so that various electric appliances can be mounted separately from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7 to be described below. Of course, the mounting portion may not be provided in the box body (1).
상기 박스몸체(1)에는 블록장착부(4)가 형성된다. 상기 블록장착부(4)는 부품장착블록(7)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그 내부에는 상기 박스몸체(1)를 관통하여 장착공간(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공간(5)은 대략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되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box body 1 is formed with a block mounting portion (4).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공간(5)의 내면에는 걸이턱(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6)은 상기 장착공간(5)의 입구에 해당하는 내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블록장착부(4)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6)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장착블록(7)의 걸이후크(8)와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장착블록(7)의 걸이후크(8)가 상기 걸이턱(6)에 걸어져 고정된다. As shown in FIG. 2, the hooking jaw 6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5. The hooking jaw 6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상기 블록장착부(4)에는 부품장착블록(7)이 조립된다. 상기 부품장착블록(7)은 릴레이(미도시)와 같은 부품을 퓨즈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매개체역할을 한다. 즉, 상기 릴레이는 상기 부품장착블록(7)에 결합되고, 상기 부품장착블록(7)은 상기 퓨즈박스에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릴레이가 상기 퓨즈박스에 장착되는 것이다.In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장착블록(7)에는 걸이후크(8)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8)는 상기 부품장착블록(7)의 외면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록장착부(4)의 걸이턱(6)에 탄성변형을 통해 걸어진다.As shown in Figure 2,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7 is provided with a hook hook (8).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fuse box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부품장착블록(7)은 상기 걸이후크(8)가 상기 걸이턱(6)에 걸어짐으로써 블록삽입부(4) 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걸이후크(8)는 상기 걸이턱(6)과의 결합시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후에는 상기 걸이후크(8)와 걸이턱(6)의 사이에 소정의 유격(t)이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 이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상기 박스몸체(1)와 부품장착블록(7)이 서로 부딪치면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7 is fixed in th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장착블록이 차량용박스에 유격없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allow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to be coupled to the vehicle box without pla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블록장착부가 구비되는 박스몸체와;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부품장착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과 상기 부품장착블록의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걸이턱과 걸이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공간의 출구에 해당하는 내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걸이턱과 걸이후크가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부품장착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keleton, the box body is provided with a block mounting portion formed to penetrate the mounting space therein; A component mounting block mounted to the mounting sp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are provided with a hooking jaw and a hook hook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n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exit of the mounting space. An elastic support portion is formed at an edg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ok chin and the hook hook are in close contact.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에 그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기 장착공간에 상기 부품장착블록이 삽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상기 부품장착블록을 탄성지지한다.The elastic support has a base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and a free end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상기 탄성지지부는 선단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pair whose front ends face each other.
상기 탄성지지부의 자유단부의 선단은 상기 장착공간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front end of the free end of the elastic suppor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mounting space.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장착공간의 내부를 향해 단차지게 형성된다.The elastic support is formed stepped toward the inside of the mounting space.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걸이턱이 형성된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후크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부품장착블록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에 탄성지지되는 지지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in which the hooking jaw is formed, and the support mounting rib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are formed in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adjacent to the hook hook.
본 고안에서는 부품장착블록의 걸이후크가 블록장착부에 형성된 걸이턱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걸이후크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부품장착블록의 외면에 형성된 지지리브의 상면이 블록장착부에 형성된 탄성지지부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즉, 걸이후크와 걸이턱 사이에 유격 없이 서로 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지지부가 부품장착블록을 탄성지지하므로, 차량이동시 부품장착블록이 박스로부터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소음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hook hook of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is hooked on the hooking jaw formed in the block mounting por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rib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hook hook is formed by the elastic support portion formed in the block mounting portion. Is elastically supported. That is, since the elastic support portion elastically supports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so as to keep the state hooked with each other without play between the hook hook and the hanger,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box when the vehicle moves, thereby reducing noise.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vehicl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부분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장착블록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몸체의 블록장착부에 부품장착블록이 장착된 상태가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박스에 장착되는 전장품 중에서 릴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장착블록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Figure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is mounted on the block mounting portion of the box bod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 cross section is shown. Hereinafter, a component mounting block for fixing a relay among the electrical equipment mounted on the box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퓨즈박스는 다수개의 사출물이 결합되어 하나의 박스를 형성하게 되는데, 도 3에는 각종 전장품이 실질적으로 실장되는 박스몸체(1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박스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use box is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injection moldings to form a single box, Figure 3 shows a
상기 박스몸체(1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10)는 차량의 내부와 같은 장소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박스몸체(10)에는 장착브라켓(11)이 구비된다.The
상기 박스몸체(10)에는 블록장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블록장착부(12)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장착블록(30)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그 내부에는 상기 박스몸체(10)를 관통하여 장착공간(1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공간(13)은 대략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되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장착공간(13)의 내면에는 걸이턱(15)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턱(15)은 상기 장착공간(21)의 양측면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5)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장착블록(30)의 걸이후크(36)와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걸이후크(36)가 상기 걸이턱(15)에 걸어져 고정된다. Hanging
상기 장착공간(13)의 내면에는 탄성지지부(17)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부(17)는 상기 장착공간(13)의 출구에 해당하는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17)는 선단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부(17)는 대략 외팔보 형상으로, 그 형상 및 재질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지지부(17)는 상기 장착공간(13)에 부품장착블록(30)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부품장착블록(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탄성지지부(17)는 부품장착블록(30)의 블록몸체(31)를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An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지지부(17)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턱(15)이 형성된 상기 장착공간(13)의 내면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탄성지지부(17)의 탄성력을 상기 걸이턱(15)에 걸어지는 부품장착블록(30)의 걸이후크(36)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17)는 상기 장착공간(13)의 내면에 그 기저부가 연결되고, 부품장착블록(30)이 상기 장착공간(13)에 삽입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부(17)는 상기 장착공간(13)의 내부를 향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부(17)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장착블록(30)의 지지리브(38)의 상면에 면접촉을 이루며 밀착된다. 상기 탄성지지부(17)는 부품장착블록(30)의 블록몸체(31)가 상기 박스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As shown in FIG. 5, the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지지부(17)는 장착공간(13)의 내부를 향해 단차지게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탄성지지부(17)의 자유단부의 선단은 장착공간(13)의 내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상기 블록장착부(12)에는 부품장착블록(30)이 설치된다.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은 릴레이(미도시)와 같은 부품을 퓨즈박스에 실장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릴레이는 부품장착블록(30)에 결합되고,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은 상기 퓨즈박스에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릴레이가 상기 퓨즈박스에 실장되는 것이다.The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의 외관 및 골격은 블록몸체(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블록몸체(31)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박스몸체(10)와 마찬가지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As shown in Figure 6,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상기 블록몸체(31)에는 부품장착부(33)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33)는 도 6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블록몸체(31)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33)는 릴레이가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상기 부품장착부(33)의 외곽을 부품가이드리브(34)가 형성한다. 상기 부품가이드리브(34)는 도 6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블록몸체(31)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부품가이드리브(34)는 육면체형상의 릴레이의 외면 모서리에 인접하는 양면의 일부를 가이드하도록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블록몸체(31)의 외면에는 단차턱(35)이 형성된다. 상기 단차턱(35)은 상기 블록몸체(31)의 외면의 일부가 더 돌출되어 단차지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블록장착부(12)의 장착공간(13)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을 블록장착부(1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tepped
상기 블록몸체(31)의 외면에는 걸이후크(36)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36)는 상기 블록몸체(31)의 외면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록장착부(12)의 걸이턱(15)에 탄성변형을 통해 걸어진다. 상기 걸이후크(36)는 도 5를 기 준으로 보았을 때, 하방으로 갈수록 그 선단이 상기 블록몸체(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블록몸체(31)가 상기 블록장착부(12)의 장착공간(15)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걸이후크(36)는 상기 블록몸체(31)의 외면에 그 기저부가 연결되고, 부품장착블록(30)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36)의 자유단부와 가까운 위치의 상기 걸이후크(36)의 외면에는 걸림턱(37)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7)은 상기 블록장착부(12)의 걸이턱(15)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블록장착부(12)에 부품장착블록(30)을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The hook hook 36 has a bottom portion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상기 걸림턱(37)에는 상기 걸이후크(36)의 기저부를 향해 점차 낮아지게 안내경사면(37')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7')은 상기 블록장착부(12)의 장착공간(13)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걸이후크(36)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걸림턱(37)이 상기 걸이턱(15)에 보다 용이하게 걸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A
상기 블록몸체(31)의 외면에는 상기 걸이후크(36)를 중심으로 각각 지지리브(38)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38)는 상기 걸이후크(36)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38)는 상기 블록몸체(21)의 외면에 상기 블록몸체(31)의 삽입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38)의 상면은 상기 부품장착부(33)의 표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리브(38)는 상기 탄성지지부(17)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박스의 관한 작 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을 상기 박스몸체(10)에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을 파지하고 상기 박스몸체(10)의 블록장착부(12)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도 3을 기본으로 보았을 때,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을 상기 박스몸체(10)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끼워 넣어야 한다. First, referring to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을 상기 블록장착부(12)의 장착공간(13)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의 걸이후크(36)가 탄성변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이후크(36)는 상기 장착공간(13)의 내면과 접하여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의 외면 방향으로 탄성변형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다.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이때,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의 지지리브(38)의 상면은 상기 장착공간(13)의 탄성지지부(17)에 밀착된다. 즉,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을 삽입하는 힘에 의해 상기 탄성지지부(17)가 상기 블록장착부(12)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러한 상태로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을 계속하여 밀어넣으면, 상기 걸이후크(36)가 상기 장착공간(13)의 걸이턱에 걸어지고 원형으로 복원되어, 상기 걸이후크(36)의 걸림턱(37)이 상기 걸이턱(15)에 걸어진다. When the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17)는 원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의 지지리브(38)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걸이후크(36)와 걸이턱(15) 사이에 유격 없이 서로 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탄성지지부(17)가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을 상기 장착공간(13)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 되는 방향, 즉,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므로, 외부의 진동에 의해 상기 박스몸체(10)와 부품장착블록(30)이 서로 부딪치는 것이 방지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4, the
다음으로, 작업자는 릴레이를 상기 부품장착블록(30)의 부품장착부(33)에 조립한다.Next, the worker assembles the relay to the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지지부(17)는 부품장착블록(30)의 지지리브(38)를 탄성지지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탄성지지부(17)는 부품장착블록(30)의 걸이후크(36)의 기저부를 탄성지지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요부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fuse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fuse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장착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몸체의 블록장착부에 부품장착블록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Figure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 mounting block is mounted to the block mounting portion of the box bod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박스몸체 11: 장착브라켓10: Box body 11: Mounting bracket
12: 블록장착부 13: 장착공간12: block mounting portion 13: mounting space
15: 걸이턱 17: 탄성지지부15: hanger 17: elastic support
30: 부품장착블록 31: 블록몸체30: mounting block 31: block body
33: 부품장착부 34: 부품가이드리브33: Part mounting part 34: Part guide dribble
35: 단차턱 36: 걸이후크 35: step height 36: hook hook
37: 걸림턱 37': 안내경사면37: Jam Jaw 37 ': Guide Slope
38: 지지리브38: support rib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5727U KR20100011321U (en) | 2009-05-12 | 2009-05-12 | Box for c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5727U KR20100011321U (en) | 2009-05-12 | 2009-05-12 | Box for ca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1321U true KR20100011321U (en) | 2010-11-22 |
Family
ID=4420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5727U KR20100011321U (en) | 2009-05-12 | 2009-05-12 | Box for c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11321U (en) |
-
2009
- 2009-05-12 KR KR2020090005727U patent/KR20100011321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76511B1 (en) | Box for car | |
KR20090008655U (en) | Fixing structure of bracket for box | |
KR20110117937A (en) | Box for vehicle | |
JP5420994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KR200436537Y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bracket for box | |
KR200444213Y1 (en) | Fuse box combining structure for battery | |
KR20100011321U (en) | Box for car | |
KR20120039990A (en) | Parts block fastening apparatus for vehicle box | |
KR200441440Y1 (en) | Cover mounting structure of Junction box | |
KR100933542B1 (en) | Assembled Fuse Box | |
KR100948132B1 (en) | Box for car | |
KR200439566Y1 (en) | Cover of Junction box | |
KR100804279B1 (en) | Cover mounting structure of box | |
KR20100114366A (en) | Connector assembly | |
KR100922156B1 (en) | Box for car | |
KR200448593Y1 (en) | Connector | |
KR20100070138A (en) | Box for car | |
KR200444896Y1 (en) | Connector | |
KR200439564Y1 (en) | Cassette block fastening structure for junction box | |
KR100907539B1 (en) | Busbar fixing structure for fuse box | |
KR200449876Y1 (en) | Cover fastening apparatus of box | |
KR20100121925A (en) | Box | |
KR100998972B1 (en) | Relay socket with relay supporter mounting compatibility | |
KR20100042552A (en) | A box for vehicle | |
KR200447847Y1 (en) | Connector assembly having PCB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