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290A -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 Google Patents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290A
KR20100010290A KR1020080071207A KR20080071207A KR20100010290A KR 20100010290 A KR20100010290 A KR 20100010290A KR 1020080071207 A KR1020080071207 A KR 1020080071207A KR 20080071207 A KR20080071207 A KR 20080071207A KR 20100010290 A KR20100010290 A KR 20100010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mode switching
casing
accumulato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545B1 (ko
Inventor
변상명
김상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545B1/ko
Priority to CN2009801290210A priority patent/CN102105693A/zh
Priority to US13/054,874 priority patent/US8579597B2/en
Priority to PCT/KR2009/004061 priority patent/WO2010011082A2/ko
Publication of KR20100010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08Rotary pistons
    • F01C21/0809Construction of vanes or vane holders
    • F01C21/0818Vane tracking; control therefor
    • F01C21/0854Vane tracking; control therefor by fluid means
    • F01C21/0863Vane tracking; control therefor by fluid means the fluid being the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06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stopping, starting, idling or no-load operation
    • F04C28/065Capacity control using a multiplicity of units or pumping capacities, e.g. multiple chambers, individually switchable or controll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4C18/356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working space, being surface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4Accumulators for refrigerant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56Number of pump/machine units in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는, 한 개의 흡입관으로 흡입되는 냉매가 복수 개의 실린더들 사이의 연통유로를 통해 각각의 압축공간으로 번갈아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수와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어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공회전하는 실린더에서의 냉매가 다른쪽 실린더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결관들을 연결할 때 용접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또, 모드전환밸브가 적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모드전환밸브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이를 통해 압축기의 진동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용량 가변, 로터리 압축기, 베인챔버, 모드전환, 지지브라켓

Description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MODULATION TYPE ROTARY COMPRESSOR}
본 발명은 파워운전과 세이빙운전을 선택할 수 있는 용량가변형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매 압축기는 냉장고나 에어콘과 같은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이하, 냉동사이클로 약칭함)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 냉매 압축기는 일정한 속도로 구동되는 등속형 압축기 또는 회전 속도가 제어되는 인버터형 압축기가 소개되고 있다.
상기 냉매 압축기는 통상 전동기인 구동모터와 그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압축부가 밀폐된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함께 설치되는 경우를 밀폐형 압축기라고 하고, 상기 구동모터가 케이싱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를 개방형 압축기라고 할 수 있다. 가정용 또는 업소용 냉동기기는 대부분 밀폐형 압축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스크롤식, 로터리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의 압축공간에서 편심 회전운동을 하는 롤링피스톤과 그 롤링피스톤에 접하여 상기 실린더의 압축공간을 흡입실과 토출실로 구획 하는 베인을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이다. 근래에는 부하의 변화에 따라 압축기의 냉동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가 소개되고 있다. 압축기의 냉동용량을 가변하기 위한 기술로는 인버터 모터를 적용하는 기술과, 압축되는 냉매의 일부를 실린더의 외부로 바이패스시켜 압축실의 용적을 가변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인버터 모터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 인버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의 가격이 통상 정속모터의 드라이버에 비해 10배 정도로 매우 비싸 압축기의 생산원가를 높이게 되는 반면, 냉매를 바이패스시키는 경우에는 배관시스템이 복잡하게 되어 냉매의 유동 저항이 증가됨에 따라 압축기의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복수 개의 실린더를 구비하고 그 복수 개의 실린더중에서 적어도 한 개의 실린더는 공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소위 독립 흡입식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이하, 독립 흡입식 로터리 압축기로 약칭함)가 소개되고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실린더에는 흡입관이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양측 실린더가 독립적으로 운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독립 흡입식 로터리 압축기의 경우는, 양측 실린더에 각각 흡입관이 독립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그만큼 조립공수가 크게 증가하면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양측 실린더가 양측 흡입관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공회전을 하는 실린더에서 고온의 냉매가 역류하여 압축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복수 개의 흡입관이 연결될 경우 다른 부재와 근접되어 용접공간이 확보되지 못하면서 조립공정을 자동화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제조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압축기의 용량이 가변되도록 하기 위한 모드전환장치가 상기 케이싱의 외곽에 설치되어 압축기의 진동시 함께 진동하면서 압축기 진동을 가진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절약운전시 냉동능력저하율을 높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 압축기의 용량을 용이하면서도 간소하게 가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부품수를 줄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 압축기의 용량을 가변시키기 위한 모드전환장치에 의해 압축기 진동이 가중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는,
압축기의 용량가변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배관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압축기를 에어콘에 적용할 때 모드전환이 용이하여 쾌적성과 에너지 절감성을 높일 수 있고 다른 배관과의 간섭을 줄여 에어콘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밸브의 개수를 줄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밸브를 모듈화하여 케이싱이나 어큐뮬레이터에 고정 설치함에 따라 밸브로 인한 압축기 진동의 증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배관 조립을 규격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각각의 압축공간이 서로 분리되는 복수 개의 실린더들;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실린더들의 압축공간으로 냉매가 분배 공급되도록 하는 한 개의 흡입관; 상기 실린더들의 압축공간에서 선회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 개의 롤링피스톤들; 상기 롤링피스톤들과 함께 각 실린더들의 압축공간들을 각각 흡입공간과 토출공간으로 분리하는 복수 개의 베인들; 및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인에 흡입압 또는 토출압의 냉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모드전 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전환유닛은 상기 베인에 공급될 냉매의 압력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드전환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모드전환밸브는 어큐뮬레이터에 고정되고, 상기 모드전환밸브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1)는, 응축기(2), 팽창변(3), 그리고 증발기(4)로 이어지는 폐루프 냉동사이클의 일부를 이루도록 상기 증발기(4)의 출구측에 흡입측이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응축기(2)의 입구측에 토출측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4)의 출구측과 압축기(1)의 입구측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4)에서 압축기(1)로 전달되는 냉매에서 가스냉매와 액냉매를 분리할 수 있도록 어큐뮬레이터(5)가 연결된다.
상기 압축기(1)는 도 2에서와 같이 밀폐된 케이싱(100)의 내부공간 상측에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동부(20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공간 하측에는 상기 전동부(200)에서 발생된 동력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제1 압축부(300)와 제2 압축부(4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에는 상기 제2 압축부(400)가 필요에 따라 공회전을 하도록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유닛(500)이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100)은 그 내부공간이 상기 제1 압축부(300)와 제2 압축부(400) 또는 제1 압축부(300)에서 토출되는 냉매에 의해 토출압의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케이싱(100)의 하반부 주면에는 제1 압축부(300)와 제2 압축부(400)의 사이로 냉매가 흡입되도록 한 개의 가스흡입관(140)이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100)의 상단에는 제1 압축부(300)와 제2 압축부(400)에서 압축되어 토출된 냉매가 냉동시스템으로 전달되도록 한 개의 가스토출관(150)이 연결된다. 상기 가스흡입관(140)은 후술할 중간베어링(130)의 연통유로(131)에 삽입되는 중간연결관(미도시)에 삽입되어 용접 결합된다.
상기 전동부(200)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자(210)와, 상기 고정자(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자(220)와, 상기 회전자(220)에 열박음 되어 함께 회전을 하는 회전축(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동부(200)는 정속모터일 수도 있고 인버터모터일 수도 있다. 하지만, 비용을 고려하면 상기 전동부(200)는 정속모터를 이용하면서도 상기 제1 압축부(300)와 제2 압축부(400) 중에서 어느 한 쪽을 필요시 공회전시켜 압축기의 운전모드를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30)은 회전자(220)에 결합되는 축부(231)와, 그 축부(231)의 하단부에 좌우 양측으로 편심지게 형성되는 제1 편심부(232)와 제2 편심부(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편심부(232)와 제2 편심부(233)는 대략 180°의 위상차를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고 후술할 제1 롤링피스톤(340)과 제2 롤링피스톤(430)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압축부(300)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실린더(310)와, 상기 회전축(230)의 제1 편심부(232)에 회전 가능하게 결 합되고 상기 제1 실린더(310)의 제1 압축공간(V1)에서 선회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제1 롤링피스톤(320)과, 상기 제1 실린더(310)에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일측의 실링면이 상기 제1 롤링피스톤(320)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실린더(310)의 제1 압축공간(V1)을 제1 흡입실과 제1 토출실로 각각 구획하는 제1 베인(330)과, 상기 제1 베인(330)의 후방측을 탄력 지지하도록 압축스프링으로 된 베인스프링(340)을 포함한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인 350은 제1 토출밸브이고, 360은 제1 머플러이다.
상기 제2 압축부(400)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서 상기 제1 실린더(310)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실린더(410)와, 상기 회전축(230)의 제2 편심부(2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실린더(410)의 제2 압축공간(V2)에서 선회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제2 롤링피스톤(420)과, 상기 제2 실린더(410)에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롤링피스톤(42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실린더(410)의 제2 압축공간(V2)이 제2 흡입실과 제2 토출실로 각각 구획되거나 또는 상기 제2 롤링피스톤(420)의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2 흡입실과 제2 토출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2 베인(430)을 포함한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인 440은 제2 토출밸브이고, 450은 제2 머플러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실린더(310)의 상측에는 상부베어링플레이트(이하,상부베어링)(110)가 복개되고, 상기 제2 실린더(410)의 하측에는 하부베어링플레이트(이하, 하부베어링)(120)가 복개되며, 상기 제1 실린더(310)의 하측과 제2 실린더(410)의 상측 사이에는 중간베어링플레이트(이하, 중간베어링)(130)가 개재되어 함께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압축공간(V2)을 형성하면서 상기 회전축(230)을 축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베어링(110)과 하부베어링(120)은 원판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각각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230)의 축부(231)가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축구멍(111)(121)을 갖는 축수부(112)(12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베어링(130)은 상기 회전축(230)의 편심부가 관통하는 정도의 내경을 가지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가스흡입관(140)이 후술할 제1 흡입구(312)와 제2 흡입구(412)에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유로(131)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베어링(130)의 연통유로(131)는 상기 가스흡입관(140)과 연통되도록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로(132)와, 상기 수평로(132)의 끝단에는 상기 제1 흡입구(312)와 제2 흡입구(412)가 상기 수평로(132)와 연통되도록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수직로(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로(132)는 중간베어링(13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향해 일정 깊이, 즉 완전히 내주면으로 관통되지 않는 깊이까지 홈파기 형성된다.
상기 제1 실린더(310)는 제1 압축공간(V1)을 이루는 내주면의 일측에 상기 제1 베인(330)이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제1 베인슬롯(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인슬롯(311)의 일측에는 냉매를 제1 압축공간(V1)으로 유도하는 제1 흡입구(3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인슬롯(311)의 타측에는 냉매를 상기 제2 머플러(360)의 내부공간으로 토출하는 제1 토출안내홈(미도시)이 상기 제1 흡입구(312)와 반대쪽 모서리에서 모따기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실린더(410)는 제2 압축공간(V2)을 이루는 내주면의 일측에 상기 제2 베인(430)이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제2 베인슬롯(4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인슬롯(411)의 일측에는 냉매를 제2 압축공간(V2)으로 유도하는 제2 흡입구(41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베인슬롯(411)의 타측에는 냉매를 상기 제2 머플러(450)의 내부공간으로 토출하는 제2 토출안내홈(미도시)이 상기 제2 흡입구(412)와 반대쪽 모서리에서 모따기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흡입구(312)는 상기 중간베어링(130)의 수직로(133)의 상측 끝단에 접하는 제1 실린더(310)의 하면 모서리에서 상기 제1 실린더(310)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모따기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 흡입구(412)는 상기 중간베어링(130)의 수직로(133)의 하측 끝단에 접하는 상기 제2 실린더(410)의 상면 모서리에서 상기 제2 실린더(410)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모따기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흡입구(312)와 제2 흡입구(412)는 평면투영시 반경방향 중심선들(L1)L2)이 그 흡입구들(312)(412)을 갖는 각 실린더들(310)(410)의 축중심(O)과 각각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흡입구(312)와 제2 흡입구(412)는 축방향으로 일직선상에서 상기 연통유로(131)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베인슬롯(311)은 상기 제1 베인(330)이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절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인슬롯(311)의 후방측, 즉 외곽측 끝단측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 싱(10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멍(3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실린더(310)의 관통구멍(313)에는 베인스프링(340)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베인슬롯(411)은 상기 제2 베인(430)이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절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인슬롯(411)의 후방측, 즉 외곽측 끝단측에는 후술할 공용측 연결관(530)과 연통되도록 베인챔버(41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인챔버(413)는 그 상면과 하면에 접하는 중간베어링(130)과 하부베어링(120)에 의해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공간과 분리되도록 밀봉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인챔버(413)는 그 전방측은 상기 베인챔버(413)와 연통되는 반면 그 후방측은 상기 공용측 연결관(530))과 용접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중간연결관(미도시)이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인챔버(413)는 상기 제2 베인(430)이 완전히 후진하여 상기 제2 베인슬롯(411)의 안쪽에 수납되더라도 그 제2 베인(430)의 후면이 상기 공용측 연결관(530)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에 대해 가압면을 이룰 수 있도록 소정의 내부체적을 갖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베인(430)은 도 6에서와 같이 그 실링면(431)이 압축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제2 롤링피스톤(420)과 접하거나 또는 이격되도록 그 가압면(432)이 상기 베인챔버(413)에 채워지는 흡입압의 냉매 또는 토출압의 냉매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제2 베인(430)이 압축기의 어떤 운전모드, 즉 세이빙모드에서 상기 제2 베인슬롯(411)의 안쪽에서 구속되어야 그 제2 베인(430)의 떨림에 의한 압축기 소음이나 효율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서와 같은 케이싱의 내부압력을 이용한 제2 베인의 구속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실린더(410)에는 제2 베인(430)의 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거나 또는 적어도 엇갈림각을 갖는 방향으로 고압측 베인구속유로(이하, '제1 구속유로'라고도 한다)(4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구속유로(414)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와 제2 베인슬롯(411)이 연통되도록 하여 그 케이싱(10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토출압의 냉매가 상기 제2 베인(430)을 반대쪽 베인슬롯면으로 밀어내 구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구속유로(414)의 맞은편에는 상기 제2 베인슬롯(411)과 제2 흡입구(412)가 연통되는 저압측 베인구속유로(이하, '제2 구속유로'라고도 한다)(4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속유로(415)는 상기 제1 구속유로(414)와 압력차가 유발되면서 상기 제1 구속유로(414)를 통해 유입되는 토출압의 냉매가 상기 제2 구속유로(415)로 빠져나가면서 상기 제2 베인(430)이 신속하게 구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속유로(414)는 제2 베인(430)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실린더(410)의 토출안내홈(미부호)쪽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실린더(410)의 외주면에서 제2 베인슬롯(411)의 중심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구속유로(414)는 2단 드릴을 이용하여 제2 베인슬롯(411)쪽이 좁게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인(430)의 직선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출구단이 상기 제2 베인슬롯(411)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구속유로(414)는 상기 압축기의 파워운전시 상기 제2 베인(430)과 제2 베인슬롯(41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베인챔버(413)와 연통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상기 제1 구속유로(414)를 통해 유입되는 토출압의 냉매가 상기 베인챔버(413)로 유입되어 제2 베인(430)의 후면압을 높일 수 있으나, 상기 압축기의 세이빙운전시 상기 제2 베인(430)이 구속될 때 상기 제1 구속유로(414)가 베인챔버(413)와 연통되면 그 베인챔버(413)의 압력이 높아져 상기 제2 베인(430)을 밀어내면서 제2 베인(430)의 떨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구속유로(414)는 제2 베인(430)의 왕복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구속유로(414)는 그 단면적이 상기 베인챔버(413)를 통해 제2 베인(430)의 가압면(432)의 단면적 보다 같거나 좁게 형성되는 것이 상기 제2 베인(430)을 과도하게 구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구속유로(414)의 단면적은 그 제1 구속유로의 단면적을 상기 제2 베인(430)의 베인면적, 즉 상기 제2 베인(40)이 구속압력을 받는 측면의 베인면적으로 나눌 때 특정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모드전환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구속유로(414)는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실린더(410)의 상하 양면에 소정의 깊이로 음형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2 실린더(410)의 상하 양면에 결합되는 중간베어링(130)이나 하부베어링(120)에 소정의 깊이로 음형지거나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구속유로(415)가 하부베어링(120)의 상면이나 중간베어링(130)의 저면에 음형지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실린더(410)나 각 베어링(120)(130)을 소결 가공할 때 함께 형성하는 것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속유로(415)는 제2 베인(430)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양 측면에 토 출압과 흡입압의 압력차를 유발시켜 그 압력차에 의해 상기 제2 베인(430)이 제2 베인슬롯(411)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급적 상기 제1 구속유로(414)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2 흡입구(412)가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그 제2 흡입구(412)에 연통될 수 있도록 경사지거나 절곡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구속유로(415)는 상기 압축기의 세이빙운전시 상기 제2 베인(430)과 제2 베인슬롯(41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베인챔버(413)와 연통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압축기의 파워운전시 상기 제2 베인(430)이 전진운동을 할 때 상기 제2 구속유로(415)가 베인챔버(413)와 연통되면 그 베인챔버(413)에 채워지는 토출압(Pd)의 냉매가 제2 흡입구(412)로 누설되면서 상기 제2 베인(430)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유로(415)는 제2 베인(430)의 왕복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모드전환유닛(500)은 그 일단이 상기 가스흡입관(140)에서 분관되는 저압측 연결관(510)과,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공간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고압측 연결관(520)과, 상기 제2 실린더(410)의 베인챔버(413)에 그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저압측 연결관(510)과 고압측 연결관(520)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공용측 연결관(530)과, 상기 공용측 연결관(530)을 통해 제2 실린더(410)의 베인챔버(413)에 연결되는 제1 모드전환밸브(540)와,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에 연결되어 그 제1 모드전환밸브(540)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2 모드전환밸브(5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압측 연결관(510)은 그 타단이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의 제1 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고압측 연결관(520)은 그 타단이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의 제2 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공용측 연결관(530)은 그 타단이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의 출구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저압측 연결관(510)의 양단은 각각 가스흡입관(140)과 제1 모드전환밸브(540)에 용접 연결되고, 상기 고압측 연결관(520)의 양단은 각각 케이싱(보다 정확하게는, 그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실링 결합되는 중간연결관)(100)과 제1 모드전환밸브(540)에 용접 결합되며, 상기 공용측 연결관(530)의 양단은 각각 중간베어링(보다 정확하게는, 그 중간베어링에 실링 결합되는 중간연결관)(130)과 제1 모드전환밸브(540)에 용접 결합된다. 여기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가스흡입관(140)이 케이싱(100)에 연결되는 제1 지점(A)에서 상기 공용측 연결관(530)이 케이싱(100)에 연결되는 제2 지점(B)까지의 거리(L1)가 상기 지점(A)에서 상기 고압측 연결관(520)이 케이싱에 연결되는 제3 지점(C)까지의 거리(L2)보다 길지 않게, 보다 바람직하게는 짧게 배치되는 것이 상기 제2 흡입구(412)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면서도 상기 제2 베인슬롯(411)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어 압축공간의 체적을 늘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점들, 즉 제1 지점(A)과 제2 지점(B) 그리고 제3 지점(C)은 모두 평면공간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즉 각 지점들(A)(B)(C)이 서로 다른 종방향 거리(△H1,△H2)와 서로 다른 횡방향 거리(△S1,△S2)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것이 상기 가스흡입관(140)과 각 연결관들(520)(530)을 용접할 때 스폿용접 로봇이 용접할 수 있는 간격을 갖게 되어 상기한 용접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특히, 이 를 위해서는 상기 제1 지점(A)과 제2 지점(B)은 근접되게 위치할 수 있어 그 두 지점들(A)(B) 사이의 간격 여부가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상기 고압측 연결관(520)은 케이싱(100)의 하반부, 즉 상기 제2 압축부(400)보다 하측에 연통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케이싱(100)의 오일이 상기 베인챔버(413)로 과도하게 유입되어 압축기의 모드전환시 베인챔버(413)의 압력변화를 지연시켜 베인떨림음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베인슬롯(411)과 제2 베인(430) 사이에서의 점성지수를 높여 상기 베인의 원활한 동작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압측 연결관(520)은 케이싱(100)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토출압의 냉매가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오일에 잠기지 않는 높이, 즉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전동부(200)의 하단과 제1 압축부(300)의 상단 사이에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베인챔버(413)로 소정량의 오일이 공급되어야 제2 베인슬롯(411)과 제2 베인(430) 사이를 윤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부베어링(120)에 미세한 오일공급구멍(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제2 베인(430)이 왕복운동을 할 때 오일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의 제1 입구가 상기 저압측 연결관(510)을 통해 상기 흡입관(140)의 중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의 제2 입구가 상기 고압측 연결관(520)을 통해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20)의 출구가 공용측 연결관(530)을 통해 상기 제2 실린더(410)의 베인챔버(413)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그 길이방향 중심선이 상기 케이싱(100)의 길이방향 중심선 또는 어큐뮬레 이터(5)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의 중심선이 상기 케이싱(100)의 길이방향 중심선 또는 어큐뮬레이터(5)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대략 평행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는 도 10에서와 같이 그 일단이 상기 케이싱(100) 또는 어큐뮬레이터(5)의 외주면에 지지브라켓(560)을 이용하여 용접이나 볼팅 등으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브라켓(560)은 한 개로 고정될 수도 있고, 복수 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560)은 그 폭길이가 적정 길이 이상을 유지하여야 상기 모드전환밸브(540)(550)에 의해 압축기 진동이 가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브라켓(560)은 그 폭길이(L1)가 적어도 어큐뮬레이터의 외경보다는 작고 제1 모드전환밸브의 길이(L2)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폭길이(L1)가 적어도 8mm 이상은 되는 것이 압축기 진동을 줄이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560)은 그 길이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브라켓(560)의 폭방향 중심과 어큐뮬레이터(5)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를 배치하고, 상기 지지브라켓(560)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되도록 고정하는 것이 압축기의 진동을 줄이는데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의 고정위치는 압축기(1)의 진동과 연관이 있다. 즉,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는 앞에서와 같이 케이싱(100)이나 어큐뮬레 이터(5)에 용접하거나 또는 볼트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는 어큐뮬레이터(5)를 포함하는 압축기(1)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이격되어 질량체로 작용하게 되므로 압축기 진동을 가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에 의한 압축기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하여는 압축기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 즉 상기 어큐뮬레이터(5)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서 그 어큐뮬레이터(5)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어큐뮬레이터(5)가 상기 압축기(1)의 케이싱(100)에 고정되는 양측 고정점 사이에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가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흡입관이 케이싱에 고정되는 기준높이(CL)에서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의 중심까지의 거리(L2)는 상기 기준높이(CL)에서 어큐뮬레이터의 상단까지의 거리(L1)보다는 작고 상기 기준높이(CL)에서 어큐뮬레이터(5)의 하단까지의 거리(L3)보다는 큰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큐뮬레이터(5)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실린더(310)의 중심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의 제1 입구와 상기 흡입관(140) 사이를 연결하는 저압측 연결관(510)은 상기 흡입관(140)의 수직부(141)에 연결하는 것이 상기 어큐뮬레이터(5)로 인한 압축기 진동을 더욱 감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흡입관(140)은 통상 수직부(141)와 수평부(142) 그리고 절곡부(143)를 갖는 니은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141)의 끝단은 어큐뮬레이터(5)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수평부(142)의 끝단은 상기 케이싱(100)의 측 벽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41)에 상기 저압측 연결관(510)이 연결된다. 이는, 상기 흡입관(140)과 같이 절곡부(143)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절곡부(143)로부터 일정한 안전거리 이상 간격을 두고 다른 부재를 용접하여야 상기 절곡부(14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흡입관(140)의 수평부(142)에 저압측 연결관(510)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경우에는 그 안전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부(142)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어큐뮬레이터(5)가 케이싱(100)으로부터 너무 멀리 위치하게 되므로 그만큼 모멘트 아암이 길어지면서 압축기 진동이 더욱 가진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흡입관(140)의 수직부(141)에 저압측 연결관(510)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이 안전거리를 감안하더라도 상기 어큐뮬레이터(5)가 케이싱(100)과의 거리를 줄일 수 있어 그만큼 압축기의 진동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의 기본적인 압축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전동부(200)의 고정자(21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회전자(220)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230)이 상기 회전자(220)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전동부(200)의 회전력을 상기 제1 압축부(300)와 제2 압축부(400)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압축부(300)와 제2 압축부(400)에서는 각각 제1 롤링피스톤(320)과 제2 롤링피스톤(420)이 상기 각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압축공간(V2)에서 편심 회전운동을 하 며, 상기 제1 베인(330)과 제2 베인(430)이 상기 제1 및 제2 롤링피스톤(320)(420)과 함께 180°의 위상차를 가지는 압축공간들(V1)(V2)을 각각 형성하면서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제1 압축공간(V1)이 흡입행정을 시작하면, 냉매가 어큐뮬레이터(5)와 흡입관(140)을 통해 상기 중간베어링(130)의 연통유로(131)로 유입되고, 이 냉매는 상기 제1 실린더(310)의 제1 흡입구(312)를 통해 제1 압축공간(V1)으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압축공간(V1)이 압축행정을 진행하는 동안에 그 제1 압축공간(V1)과 180°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제2 실린더(410)의 제2 압축공간(V2)은 흡입행정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실린더(410)의 제2 흡입구(412)가 상기 연통유로(131)와 연통되면서 냉매가 상기 제2 실린더(410)의 제2 흡입구(412)를 통해 상기 제2 압축공간(V2)으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에서 용량이 가변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압축기 또는 이를 적용한 에어콘이 파워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저압측 연결관(510)은 차단되는 반면 상기 고압측 연결관(520)이 공용측 연결관(530)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싱(100) 내부의 고압 가스가 고압측 연결관(520)을 통해 상기 제2 실린더(410)의 베인챔버(413)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제2 베인(430)이 베인챔버(413)의 내부에 채워진 고압의 냉매에 밀려 상기 제2 롤링피스톤(420)에 압접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압축공간(V2)으로 유입되는 냉매가스를 정상적으로 압축하여 토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실린더(410)에 구비된 제1 구속유로(414)로 고압의 냉매가스 또는 오일이 공급되어 상기 제2 베인(430)의 일측면을 가세하게 되나, 이 제1 구속유로(414)의 단면적이 제2 베인슬롯(411)의 단면적보다 좁게 형성됨에 따라 측면에서의 가압력이 상기 베인챔버(413)에서의 전후방향 가압력보다 작게 되어 상기 제2 베인(430)을 구속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베인(430)이 제2 롤링피스톤(420)에 압접되어 상기 제2 압축공간(V2)을 흡입실과 토출실로 구획하면서 상기 제2 압축공간(V2)으로 흡입되는 냉매 전체를 압축하여 토출하게 된다. 이로써 압축기 또는 이를 적용한 에어콘은 100% 운전을 하게 된다.
반면, 상기 압축기 또는 이를 적용한 에어콘이 기동할 때와 같이 세이빙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모드전환밸브(540)에 전원이 오프되어 파워운전때와는 반대로 상기 저압측 연결관(510)과 공용측 연결관(530)이 연통되고, 상기 제2 실린더(410)로 흡입되는 저압의 냉매가스 일부가 상기 베인챔버(413)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베인(430)이 제2 압축공간(V2)에서 압축되는 냉매에 밀려 제2 베인슬롯(411)의 안쪽으로 수납되면서 제2 압축공간(V2)의 흡입실과 토출실이 연통되어 상기 제2 압축공간(V2)으로 흡입되는 냉매가스는 압축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실린더(410)에 구비되는 제1 구속유로(414)에 의해 상기 제2 베인(430)의 일측면에 가세되는 압력과 상기 제2 구속유로(415)에 의해 상기 제2 베인(430)의 타측면에 가세되는 압력 사이에는 큰 압력차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제1 구속유로(414)를 통해 가세되는 압력이 제2 구속유로(415)쪽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발생되면서 상기 제2 베인(430)의 떨림현상 없이 신속하면서도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베인챔버(413)의 압력이 토출압에서 흡입압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는 그 베인챔버(413)에 토출압이 잔류하여 일종의 중간압(Pm)을 형성하게 되나, 이 베인챔버(413)의 중간압(Pm)이 그보다 압력이 낮은 제2 구속유로(415)를 통해 누설됨에 따라 상기 베인챔버(413)의 압력이 신속하게 흡입압(Ps)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제2 베인(430)의 떨림 현상을 더욱 신속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2 베인(430)이 신속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구속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실린더(410)의 제2 압축공간이 한 개의 공간으로 연통됨에 따라 상기 제2 실린더(410)의 제2 압축공간으로 흡입되는 냉매 전체가 압축되지 않고 상기 제2 롤링피스톤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 냉매의 일부는 압력차에 의해 상기 연통유로(131)와 제1 흡입구(312)를 통해 상기 제1 압축공간(V1)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2 압축부(400)는 일을 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압축기 또는 이를 적용한 에어콘은 제1 압축부의 용량만큼만 운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2 압축공간(V2)의 냉매가 어큐뮬레이터(5)로 역류하지 않고 제1 압축공간(V1)으로 이동함에 따라 어큐뮬레이터(5)의 과열을 방지하여 흡입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한 개의 흡입관으로 흡입되는 냉매가 복수 개의 실린더들 사이의 연통유로를 통해 각각의 압축공간으로 번갈아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각 실린더들에 흡입관을 독립적으로 결합하는 것에 비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관을 케이싱과 어큐뮬레이터에 연결하기 위한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어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 개의 실린더들이 서로 직접 연통되고 그 사이에 한 개의 흡입관이 연결됨에 따라 공회전하는 실린더에서의 냉매가 다른쪽 실린더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가 어큐뮬레이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압축기의 세이빙운전시 공회전을 하는 제2 실린더의 제2 압축공간이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연통됨에 따라 그 제2 압축공간에서 일정정도 압축되는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역류하였다가 상기 제1 실린더의 제1 압축공간으로 흡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냉매의 비체적이 증가하면서 제1 압축공간으로 흡입되는 냉매량이 감소하여 압축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가 어큐뮬레이터를 통하지 않고 중간베어링의 연통유로를 통해 곧바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압축기의 세이빙운전시 상기 제2 압축공간으로는 냉매가 거의 유입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저압인 제1 압축공간으로만 대부분의 냉매가 흡입됨에 따라 제1 압축공간으로 흡입되는 냉매의 비체적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실제 세이빙운전시 어큐뮬레이터의 내부온도를 측정한 결과, 양측 실린더가 어큐뮬레이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어큐뮬레이터의 내부온도가 대략 50℃정도로 검출되는 반면, 양쪽 실린더가 어큐뮬레이터를 통하지 않고 연결되는 경우에는 어큐뮬레이터의 내부온도가 대략 35℃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양측 실린더가 각각의 흡입관으로 연결되고 그 복수 개의 흡입관들이 한 개의 어큐뮬레이터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세이빙운전시 공회전을 하는 실린더에 연결된 흡입관을 통해 냉매가 어큐뮬레이터로 역류하고 이에 따라 어큐뮬레이터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양측 실린더의 사이가 한 개의 흡입관으로 연결되고 그 양측 실린더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는 양측 실린더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상태를 유지하는 실린더쪽으로만 냉매가 지속적으로 흡입되어 공회전되는 실린더에서의 냉매가 역류하는 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압축기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상기 흡입관이 한 개만 연결됨에 따라 그 흡입관은 물론 모드전환유닛을 이루는 다른 연결관들(특히, 공용측 연결관)을 연결할 때 용접로봇의 작동에 필요한 용접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예와 같이 상기 흡입관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그 복수 개의 흡입관들중에서 어느 한 개의 흡입관은 상기 공용측 연결관이 근접되게 배치됨에 따라 통상 3~4개의 토치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스폿용접 로봇의 용접공간이 확보되지 못하면서 용접작업의 자동화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각 흡입관들과 연결관들을 용접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작업속도가 늦어져 제조비용이 과다하게 상승하게 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흡입관을 한 개만 적용하는 경우에는 스폿용접 로봇의 용접공간이 확보되면서 흡입관과 연결관들에 대한 용접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의 제작시 모드전환유닛을 조립하는 조립공정이 간소화되고 신 속하게 되어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 상기 모드전환밸브가 지지브라켓으로 어큐뮬레이터에 결합되어 지지됨에 따라 상기 모드전환밸브에 의해 압축기 진동이 가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브라켓이 일정 규격이상의 폭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모드전환밸브를 지지함에 따라 압축기 진동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어큐뮬레이터가 압축기 진동을 증폭시키지 않는 위치, 즉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진폭이 가장 낮을 수 있는 양쪽 고정점 사이에서 상기 모드전환밸브가 고정됨에 따라 그 모드전환밸브로 인한 압축기 진동을 낮출 수 있다.
또, 상기 모드전환밸브가 흡입관의 수직부에 연결됨에 따라 어큐뮬레이터가 압축기의 무게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 진동을 낮출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인챔버가 제2 베인슬롯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베인을 구속하거나 또는 구속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베인챔버가 제1 베인슬롯의 바깥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인슬롯의 바깥쪽에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베인이 그 가압면에 가해지는 압력차에 따라 상기 제1 롤링피스톤과 압접되거나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제1 압축부가 정상적으로 냉매를 압축하도록 하거나 또는 공회전되도록 하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상기 가스흡입관이 한 개만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공용측 연결관과 가스흡입관은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 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한편, 상기 모드전환밸브에 대한 고정방법과 고정위치는 그 모드전환밸브가 어큐뮬레이터 외에 케이싱에 고정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는 가정용 또는 산업용 에어콘과 같은 냉동기기에 고르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를 포함한 냉동사이클을 개략적으로 보인 계통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를 베인을 중심으로 종단면하여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를 흡입구를 중심으로 종단면하여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압축부를 파단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서 흡입구의 적정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서 제2 베인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횡단면도,
도 7은 도 1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서 제2 베인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의 Ⅰ-Ⅰ선단면도,
도 8은 도 1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서 흡입관과 각 연결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서 흡입관과 각 연결관의 용접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1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서 어큐뮬레이터와 모드전환밸브의 고정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도 1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서 어큐뮬레이터와 모드전환밸브의 조립높이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흡입측 연결관과 흡입관의 조립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확대도,
도 13 및 도 14는 도 1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파워운전모드를 보인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도 1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세이빙운전모드를 보인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싱 130 : 중간베어링
131 : 연통유로 140 : 가스흡입관
310 : 제1 실린더 312 : 제1 흡입구
320 : 제1 롤링피스톤 330 : 제1 베인
410 : 제2 실린더 412 : 제2 흡입구
413 : 베인챔버 414,415 : 구속유로
510 : 저압측 연결관 520 : 고압측 연결관
530 : 공용측 연결관 540,550 : 모드전환밸브
560 : 지지브라켓

Claims (9)

  1.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각각의 압축공간이 서로 분리되는 복수 개의 실린더들;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실린더들의 압축공간으로 냉매가 분배 공급되도록 하는 한 개의 흡입관;
    상기 실린더들의 압축공간에서 선회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 개의 롤링피스톤들;
    상기 롤링피스톤들과 함께 각 실린더들의 압축공간들을 각각 흡입공간과 토출공간으로 분리하는 복수 개의 베인들; 및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인에 흡입압 또는 토출압의 냉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모드전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전환유닛은 상기 베인에 공급될 냉매의 압력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드전환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모드전환밸브는 어큐뮬레이터에 고정되고, 상기 모드전환밸브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적어도 2점 이상에서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고, 상기 모드전환밸브는 어큐뮬레이터의 고정점들 사이에서 고정되는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밸브의 제1 입구는 저압측 연결관으로 흡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모드전환밸브의 제2 입구는 고압측 연결관으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며, 상기 모드전환밸브의 출구는 공용측 연결관으로 상기 베인의 가압면쪽에 연결되는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수직부와 수평부를 갖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압측 연결관은 상기 흡입관의 수직부에 연결되는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들 중에서 어느 한 쪽 실린더에는 흡입압 또는 토출압의 냉매가 채워져 베인을 지지하도록 하는 챔버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들 중에서 적어도 한 개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의 압력에 의해 구속되는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실린더에는 각각 흡입구가 형성되고, 그 복수 개의 흡입구는 연통유로를 통해 서로 연통되며, 그 연통유로에 상기 흡입관이 연결되는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밸브는 그 길이방향 중심선이 상기 케이싱의 중심과 어큐뮬레이터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9.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밸브는 그 길이방향 중심선이 상기 케이싱의 중심과 어큐뮬레이터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과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1020080071207A 2008-07-22 2008-07-22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101442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207A KR101442545B1 (ko) 2008-07-22 2008-07-22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CN2009801290210A CN102105693A (zh) 2008-07-22 2009-07-22 容量可变型旋转式压缩机
US13/054,874 US8579597B2 (en) 2008-07-22 2009-07-22 Variable capacity type rotary compressor
PCT/KR2009/004061 WO2010011082A2 (ko) 2008-07-22 2009-07-22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207A KR101442545B1 (ko) 2008-07-22 2008-07-22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90A true KR20100010290A (ko) 2010-02-01
KR101442545B1 KR101442545B1 (ko) 2014-09-22

Family

ID=4157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207A KR101442545B1 (ko) 2008-07-22 2008-07-22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79597B2 (ko)
KR (1) KR101442545B1 (ko)
CN (1) CN102105693A (ko)
WO (1) WO20100110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545B1 (ko) * 2008-07-22 2014-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CN102338514B (zh) * 2010-07-15 2013-10-16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及其气液分离器
KR101586540B1 (ko) * 2013-11-21 2016-01-1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
KR102148716B1 (ko) * 2014-01-23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동장치 및 압축기
CN105841409A (zh) * 2016-03-21 2016-08-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媒循环系统及具有其的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665B2 (ja) * 1996-11-08 2000-09-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ロータリー圧縮機
JPH11182434A (ja) * 1997-12-16 1999-07-06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媒圧縮機
JP3490950B2 (ja) * 2000-03-15 2004-01-26 三洋電機株式会社 2シリンダ型2段圧縮式ロータリーコンプレッサ
JP3869705B2 (ja) * 2001-11-22 2007-0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密閉形ロータリ圧縮機
KR100466620B1 (ko) * 2002-07-09 2005-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형 회전압축기
KR100500985B1 (ko) * 2003-03-06 2005-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KR20040100078A (ko) * 2003-05-21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JP4523548B2 (ja) * 2003-12-03 2010-08-1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565338B1 (ko) * 2004-08-12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가변형 복식 로터리 압축기 및 그 운전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에어콘 및 그 운전 방법
KR100631726B1 (ko) * 2004-10-22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가변형 복식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 공급 구조
US7665973B2 (en) * 2004-11-01 2010-02-2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changing capacity of multi-stage rotary compressor
KR100585807B1 (ko) * 2004-12-21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가변형 복식 로터리 압축기 및 그 운전 방법
WO2006090979A1 (en) * 2005-02-23 2006-08-31 Lg Electronics Inc. Capacity varying type rotary compressor
WO2006090978A1 (en) * 2005-02-23 2006-08-31 Lg Electronics Inc. Capacity varying type rotary compressor
KR100724452B1 (ko) * 2005-12-30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US7798791B2 (en) * 2005-02-23 2010-09-21 Lg Electronics Inc. Capacity varying type rotary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system having the same
WO2008023962A1 (en) 2006-08-25 2008-02-28 Lg Electronics Inc. Variable capacity type rotary compressor
KR100816656B1 (ko) * 2006-12-27 200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20080068441A (ko) * 2007-01-19 200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CN101169117A (zh) * 2007-11-17 2008-04-30 美的集团有限公司 容量控制旋转式压缩机的吸气装置
KR101067550B1 (ko) * 2008-07-16 201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2545B1 (ko) * 2008-07-22 2014-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79597B2 (en) 2013-11-12
CN102105693A (zh) 2011-06-22
WO2010011082A3 (ko) 2010-03-18
KR101442545B1 (ko) 2014-09-22
US20110123361A1 (en) 2011-05-26
WO2010011082A2 (ko) 201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3610A (ko) 다기통 회전 압축기 및 그를 구비한 압축 시스템 및 냉동장치
US8517702B2 (en) Rotary compressor with enhanced sealing between mode switching device and chamber thereof
KR101409876B1 (ko) 용량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100010290A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100620044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KR101667710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1463820B1 (ko) 용량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101418289B1 (ko) 용량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101587174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1409875B1 (ko) 용량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101487821B1 (ko) 용량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101418290B1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101442550B1 (ko) 로터리 압축기
US8651841B2 (en) Rotary compressor with improved connection
KR101463826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1442546B1 (ko) 용량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101462933B1 (ko) 로터리 압축기
KR20100096794A (ko)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KR101474445B1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101587165B1 (ko)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KR101587168B1 (ko) 로터리 압축기
KR20070000329A (ko) 밸브조립체 및 이를 적용한 로터리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