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153U -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153U
KR20100010153U KR2020090004087U KR20090004087U KR20100010153U KR 20100010153 U KR20100010153 U KR 20100010153U KR 2020090004087 U KR2020090004087 U KR 2020090004087U KR 20090004087 U KR20090004087 U KR 20090004087U KR 20100010153 U KR20100010153 U KR 201000101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refrigerant pipe
box
clamp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영
Original Assignee
김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영 filed Critical 김환영
Priority to KR2020090004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153U/ko
Publication of KR201000101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1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등과 같은 신축 건물의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입주후 에어콘 설치를 고려하여 에어콘용 실내기,실외기를 연결하는 고,저압 냉매관을 벽체에 미리 매립시킬 경우, 냉매박스 내의 냉매관에 U자 형상의 연결관,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를 클램프에 의해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킴에 따라, 매립된 냉매관의 손상 여부를 점검하거나 실외기측 냉매관을 이음연결할 경우, 클램프를 원터치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냉매관을 이음연결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는,
건물 시공시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길이를 갖도록 매립되고, 벽체에 매립된 냉매박스의 측벽에 형성된 클램프를 통과하는 실내기측 냉매관에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 U자형 연결관중 어느 하나를 가 고정시키는 에어콘용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에 있어서,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 및 U자형 연결관중 어느 하나가 일측에 기밀상태로 연결되고, 냉매박스 내의 냉매관이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와,
클램프에 냉매관을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도록 클램프에 내설되는 오링과,
클램프의 개구부에 절취형성되는 절개부와,
클램프의 개구부 외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시 클램프에 결합되는 냉매관을 착탈가능하게 압착고정시키는 날개형 고정편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에어콘, 냉매박스, 냉매관 가설장치, 매립

Description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temporary apparatus of refrigerant pipe of refrigerant box of airconditioner}
본 고안은 아파트 등과 같은 신축 건물의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입주후 에어콘 설치를 고려하여 에어콘용 실내기,실외기를 연결하는 고,저압 냉매관을 벽체에 미리 매립시킨 후, 매립된 냉매관의 손상 여부를 점검하거나, 매립된 냉매박스 내에서 냉매관을 이음연결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박스 내의 냉매관(벽걸이형 및 스탠드형 에어콘에 각각 연결되는 고압,저압 4개의 냉매관을 말함)에 U자형 연결관,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를 클램프에 의해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킴에 따라, 벽체 콘트리트 타설시 매립된 냉매관의 손상 여부 점검하거나, 에어콘용 냉매관을 이음연결할 경우, 클램프를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냉매관을 이음연결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아파트 등의 건물에 에어콘의 설치가 보편화되고 있다. 즉 입주후 에어콘을 설치할 경우 냉매관이 벽체 외부로 노출되어 실내 미관을 해치고, 외부충격으로 인해 냉매관 손상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신축공사시 실내기,실외기를 이음연결하는 고압,저압 냉매관을 벽체에 미리 매립시킨다. 이로 인해 입주후 에어콘을 설치하는 작업성 및 외관미를 향상시키며, 냉매관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 배관 연결장치는,
아파트 등의 건물 신축공사시 콘크리트 벽체(1)에 매립되는 냉매박스(2)와,
냉매박스(2) 내의 고정시트(미 도시됨)에 날개부가 체결되고, 실내기(4)측 고압,저압 냉매관(5)과, 실외기(6)측 고압,저압 냉매관(7)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체결너트(8)에 의해 각각 이음연결하는 엘보우관(9)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는, 냉매박스(2)의 측벽에 고정되는 커넥터(10)를 통과하는 고압,저압 냉매관(벽걸이형 및 스탠드형 에어콘에 연결됨)(11,12,13,14)과,
냉매관(11,12,13,14)에 각각 산소용접되어 이음연결되는 압력게이지(15), 충진용 니쁠(16), U자형 연결관(17)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의 냉매관 가설장치는, 벽체에 매립되어 냉매박스(2)에 고정되는 냉매관(11,12,13,14)의 손상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서, 압력게이지(15), 충진용 니쁠(16), U자형 연결관(17)을 협소한 냉매박스(2) 내에서 해당 냉매관 단부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산소용접(용접부위(a)로 표기됨)에 의해 이음연결함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진다.
또한, 각각의 냉매관(11,12,13,14)을 산소용접시킴에 따라, 냉매관(11,12,13,14)의 용접부위 산화로 인해 내구성이 떨어지며, 냉매박스(2) 내에서 용접으로 발생되는 그을음으로 냉매박스(2)의 내측면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냉매관(11,12,13,14)의 손상여부 검사후, 실내기,실외기측 냉매관을 이음연결하기 위해 용접부위를 다시 절단하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많은 작업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어 공사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냉매관(11,12,13,14)에 이음연결된 후 절단되는 압력게이지(15), 충진용 니쁠(16), U자형 연결관(17)이 일회용으로서 폐기처분되므로, 불필요하게 자재가 낭비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벽체 등에 매립된 냉매박스 내의 냉매관에 U자형 연결관,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를 클램프에 의해 냉매관의 단부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킴에 따라, 매립된 냉매관의 손상 여부를 점검하거나, 에어콘용 냉매관을 이음연결할 경우, 클램프를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냉매관을 이음연결하는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있도록 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협소한 냉매박스 내에서 냉매관을 산소용접하는 작업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용접시 그을음으로 인한 냉매박스의 내측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냉매관의 용접부위 산화로 인해 내구성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냉매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램프를 재생시킴에 따라, 자재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는,
건물 시공시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길이를 갖도록 매립되고, 벽체에 매립된 냉매박스의 측벽에 형성된 클램프를 통과하는 실내기측 냉매관에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 U자형 연결관중 어느 하나를 가 고정시키는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에 있어서,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 및 U자형 연결관중 어느 하나가 일측에 기밀상태로 연결되고, 냉매박스 내의 냉매관이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와,
클램프에 냉매관을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도록 클램프에 내설되는 오링과,
클램프의 개구부에 절취형성되는 절개부와,
클램프의 개구부 외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시 클램프에 결합되는 냉매관을 착탈가능하게 압착고정시키는 날개형 고정편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는,
신축건물 시공시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길이를 갖도록 매립되고, 벽체에 매립된 냉매박스의 측벽에 형성된 클램프를 통과하는 실내기측 냉매관에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 U자형 연결관중 어느 하나를 가 고정시키는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에 있어서,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 및 U자형 연결관중 어느 하나가 일측에 기밀상태로 연결되고, 냉매박스 내의 냉매관이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와,
본체에 냉매관을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도록 본체에 내설되는 오링과,
본체로부터 냉매관 이탈을 방지하는 압축링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본체에 결합되는 냉매관을 착탈가능하게 압착고정시키는 체결너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아파트 등의 시공시, 벽체 등에 매립된 냉매박스 내의 냉매관에 U자형 연결관,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를 클램프에 의해 냉매관의 단부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킴에 따라, 매립된 냉매관의 손상 여부를 점검하거나, 에어콘용 냉매관을 이음연결할 경우, 클램프를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냉매관을 이음연결하는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있다.
또한, 협소한 냉매박스 내에서 냉매관을 산소용접하는 작업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용접시 그을음으로 인한 냉매박스의 내측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냉매관의 용접부위 산화로 인해 내구성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매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클램프를 반복사용(5∼10년 사용 가능함)함에 따라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는,
신축건물 시공시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길이를 갖도록 매립되고, 벽체에 매립된 냉매박스의 측벽에 형성된 클램프를 통과하는 실내기측 냉매관에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 U자형 연결관중 어느 하나를 가 고정시키는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에 있어서,
압력게이지(15), 충전용 니쁠(16), U자형 연결관(17)중 어느 하나가 일측에 기밀상태로 연결되고, 냉매박스(2) 내의 냉매관(11,12,13,14)이 각각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30,31,32,33)와,
클램프(30,31,32,33)에 냉매관(11,12,13,14)을 각각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도록 클램프(30,31,32,33)에 각각 내설되는 오링(34)과,
클램프(30,31,32,33)의 개구부에 절취형성되는 절개부(35)와,
클램프(30,31,32,33)의 개구부 외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체결부재(36)에 의해 고정시 클램프(30,31,32,33)에 각각 결합되는 냉매관(11,12,13,14)을 착탈가능하게 압착고정시키는 날개형 고정편(37)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클램프(30,31,32,33)와, 오링(34)과, 절개부(35)와, 날개형 고정편(37)으로 이루어진 냉매관 가설장치를 제외한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냉매관 가설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건물 시공시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길이를 갖도록 매립되고, 냉매박스 내에서 벽체에 매립된 실내기측 냉매관에 대해 실외기측 냉매관을 이음연결함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을 갖게 된다.
이때, 매립된 냉매관(11,12,13,14)의 손상 여부를 점검(test)하거나, 아파트 등의 건물에 입주후 냉매박스(2) 내에서 실내기측 냉매관(11,12,13,14)에 대해 실외기측 냉매관(미 도시됨)을 이음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냉매박스(2)의 측벽에 형성된 클램프(connector)(38)를 통과하는 실내기측 냉매관(11,12,13,14)에 압력게이지(15), 충전용 니쁠(16), U자형 연결관(17)중 어느 하나를 각각 가 고정하게 된다.
이때, 실내기측 냉매관(11,12,13,14)에 대해 각각 가 고정되는 압력게이지(15), 충전용 니쁠(16), U자형 연결관(17)의 기술내용이 동일하므로, 냉매관(11)에 대해 압력게이지(15)가 가 고정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게이지(15)가 일측에 연결된 클램 프(30)의 개구부에 냉매관(11)을 결합시킨 후, 클램프(30) 외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된 날개형 고정편(37)에 형성된 체결공(37a)에 결합되는 체결부재(36)를 체결시킴에 따라, 클램프(30)의 개구부에 절취형성된 절개부(35)에 의해 클램프(30)에 대해 냉매관(11)을 압착고정할 수 있다(종래에는 클램프에 대해 냉매관을 산소용접에 의해 이음연결함에 따라 냉매박스 내측면이 그을음으로 인해 오염됨). 즉 냉매박스(2) 내에서 냉매관(11,12,13,14) 각각에 압력게이지(15), 충전용 니쁠(16), U자형 연결관(17)을 간편하게 가 고정할 수 있다(도 5에 도시됨).
이때, 전술한 클램프(30)에 대해 냉매관(12)을 연결한 후, 냉매관(11)의 손상 여부를 점검하기 위하여 충전용 니쁠(16)을 통해 냉매를 충전시킬 경우, 클램프(30)의 내측면에 장착된 오링(34)에 의해 냉매관(11)으로부터 냉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건물에 입주후 실내기측 냉매관(11)에 대해 실외기측 냉매관을 이음연결할 경우, 전술한 날개형 고정편(37)의 체결공(37a)으로부터 체결부재(36)를 분리시킨 후, 클램프(30)로부터 냉매관(11)을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매박스(2) 내에서 실내기측 냉매관(11)에 대해 실외기측 냉매관을 간편하게 이음연결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는,
신축건물 시공시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길이를 갖도록 매립되고, 벽 체에 매립된 냉매박스의 측벽에 형성된 클램프를 통과하는 실내기측 냉매관에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 U자형 연결관중 어느 하나를 가 고정시키는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에 있어서,
압력게이지(15), 충전용 니쁠(16), U자형 연결관(17)중 어느 하나가 일측에 기밀상태로 연결되고, 냉매박스(2) 내의 냉매관(11,12,13,14)이 타측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40,41,42,43)와,
본체(40,41,42,43)에 냉매관(11,12,13,14)을 각각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도록 본체(41)에 각각 내설되는 오링(46)과,
본체(40,41,42,43)로부터 냉매관(11,12,13,14) 이탈을 방지하는 압축링(44)과,
본체(40,41,42,4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본체(40,41,42,43)에 결합되는 냉매관(11,12,13,14)을 착탈가능하게 압착고정시키는 체결너트(4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본체(40,41,42,43), 압축링(44), 체결너트(45)를 제외한 구성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매관 가설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따라서, 압력게이지(15)가 일측에 연결된 본체(40)에 냉매관(11)을 결합시킨 후, 본체(40)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대해 체결너트(45)를 결합시킴에 따라, 본체(40)에 대해 냉매관(11)을 압착고정할 수 있다. 즉 냉매박스(2) 내에서 냉매 관(11,12,13,14) 각각에 압력게이지(15), 충전용 니쁠(16), U자형 연결관(17)을 간편하게 가 고정할 수 있다(도 7에 도시됨).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에 실내기,실외기측 냉매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에서, 클램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에서, 클램프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의 요부발췌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 냉매박스
11,12,13,14; 냉매관
15; 압력게이지
16; 충전용 니쁠
17; U자형 연결관
30,31,32,33; 클램프
34; 오링
35; 절개부
36; 체결부재
37; 날개형 고정편

Claims (2)

  1. 신축건물 시공시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길이를 갖도록 매립되고, 벽체에 매립된 냉매박스의 측벽에 형성된 클램프를 통과하는 실내기측 냉매관에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 U자형 연결관중 어느 하나를 가 고정시키는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 및 U자형 연결관중 어느 하나가 일측에 기밀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냉매박스 내의 냉매관이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에 냉매관을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클램프에 내설되는 오링;
    상기 클램프의 개구부에 절취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클램프의 개구부 외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시 상기 클램프에 결합되는 냉매관을 착탈가능하게 압착고정시키는 날개형 고정편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
  2. 신축건물 시공시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길이를 갖도록 매립되고, 벽체에 매립된 냉매박스의 측벽에 형성된 클램프를 통과하는 실내기측 냉매관에 충전 용 니쁠, 압력게이지, U자형 연결관중 어느 하나를 가 고정시키는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니쁠, 압력게이지 및 U자형 연결관중 어느 하나가 일측에 기밀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냉매박스 내의 냉매관이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냉매관을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내설되는 오링;
    상기 본체로부터 냉매관 이탈을 방지하는 압축링; 및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냉매관을 착탈가능하게 압착고정시키는 체결너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
KR2020090004087U 2009-04-08 2009-04-08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 KR201000101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087U KR20100010153U (ko) 2009-04-08 2009-04-08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087U KR20100010153U (ko) 2009-04-08 2009-04-08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153U true KR20100010153U (ko) 2010-10-18

Family

ID=44200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087U KR20100010153U (ko) 2009-04-08 2009-04-08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15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386B1 (ko) * 2016-08-03 2017-01-09 (주)피앤에프테크 다기능 플러그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386B1 (ko) * 2016-08-03 2017-01-09 (주)피앤에프테크 다기능 플러그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86508A2 (en) System for detecting and sealing dry fit connections in a piping assembly
RU2013125449A (ru) Муфтовая часть труб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и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KR20070091906A (ko)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AU750924B2 (en) Versatile air test apparatus
KR20100010153U (ko)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
KR101620279B1 (ko) 기밀 테스트용 배관 연결관, 이를 결합한 스테인리스 배관 및 스테인리스 배관 형성방법
KR200437907Y1 (ko) 에어콘용 배관 연결장치
KR101089589B1 (ko) 에어컨 냉매배관 시험용 압력게이지
KR101089588B1 (ko)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KR101498237B1 (ko) 에어컨용 압력계 고정장치
EP3722650B1 (en) A leak detector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leak detector
CN210484828U (zh) 一种在线检测穿墙封装置
KR20120007452U (ko)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KR20110001616U (ko) 에어콘용 매립형 냉매박스의 냉매관 가설장치
CN101625054B (zh) 一种径向挤压式接头
KR200438741Y1 (ko) 에어컨 설치배관용 플러그
KR102131127B1 (ko) 냉매 가스 충전포트와 압력계를 구비한 에어컨용 배관 연결구
KR200421581Y1 (ko)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CN214789578U (zh) 一种空调管路连接结构
CN110631239A (zh) 风管组件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CN210832454U (zh) 便于拆卸的螺旋风管
KR102365451B1 (ko) 매립파이프 조립체
CN212430122U (zh) 一种直管式空调商检联调连接装置
CN217208265U (zh) 相同管径软硬管连接接头
KR102297742B1 (ko) 분기 배관 및 주름 배관에 의한 배관 모듈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