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830A - 무선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830A
KR20100009830A KR1020080070640A KR20080070640A KR20100009830A KR 20100009830 A KR20100009830 A KR 20100009830A KR 1020080070640 A KR1020080070640 A KR 1020080070640A KR 20080070640 A KR20080070640 A KR 20080070640A KR 20100009830 A KR20100009830 A KR 20100009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isolation
delay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형
황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주식회사 하이콤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주식회사 하이콤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Priority to KR102008007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830A/ko
Publication of KR2010000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환경에서 중계 장치에서 발생되는 발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무선 중계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중계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다운 컨버터, 주파수 다운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량에 의해 지연시키는 지연 제어부, 지연 제어부의 출력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업 컨버터, 주파수 업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격리도 분석에 사용할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신호 추출부, 신호 추출부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중계 장치의 격리도를 분석하여 주파수 다운 컨버터 또는 주파수 업 컨버터로 제공하는 발진 제어부 및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여 서비스 공간으로 방출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0070640
중계, 발진, 격리도

Description

무선 중계 장치{RF Repeater}
본 발명은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환경에서 중계 장치에서 발생되는 발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무선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환경에서 공기 중으로 방사되는 전파의 신호 세기는 거리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이를 위해 일정 거리마다 신호를 재생(regeneration)시키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무선 중계 장치를 들 수 있다.
그런데, 무선 중계 장치는 재생시켜 출력한 신호가 다시 무선 중계 장치로 입력되는 정궤환(Positive Feed-back)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입력된 신호에 정궤환 신호가 더해져 입력 신호가 무한 증가하게 되며, 이를 발진(Oscillation)이라 한다.
발진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력과 출력 신호를 격리(Isolation)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며, 현재는 양측 안테나(도너 안테나, 서비스 안테나) 간 설치 거리를 이격시켜 격리도를 확보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안테나 간 거리가 멀어질수록 격리도는 확보할 수 있지만 설치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격리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 가드 밴드(Guard band) 내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중계 장치 내부의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어느 정도의 감쇄를 갖는지 파악하고, 그 감쇄 정도를 격리도로 간주한다. 그러나 이 방식은 격리도 측정시 중계기가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따라서 실시간 측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중계 장치의 최한시에 격리도를 측정하게 되므로 발진 현상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없어 무선망의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설치 공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동일한 장비 내에 도너 안테나 및 서비스 안테나를 설치하여 정궤환 신호를 제거하는 발진 방지 기술(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ICS)이 연구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무선 중계 장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방식으로 발진 현상을 제거하는 중계기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필터(101)는 고주파 입력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LNA, 103)에서 증폭된다. 증폭된 신호는 주파수 다운 컨버터(DNC, 105)에서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되고, 제 1 SAW 필터(107)에서 필터링된 후 디지털부(109)로 입력된다.
디지털부(109)는 중계 장치에 처음 입력된 신호와 그 이후에 입력된 신호를 비교하여 궤환되어진 신호를 분석한다. 그리고 궤환된 신호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이 반대되는 신호를 발생하여 궤환된 신호를 제거한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 처리시 입력 신호에 스퓨리어스가 발생하므로 다시 제 2 SAW 필터(111)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하고, 주파수 업 컨버터(UPC, 113)에서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신호는 증폭기(115)에서 증폭하여 지정된 이득을 확보한 후, 출력 필터(117)를 거쳐 서비스 공간으로 방출된다.
이상의 구성 요소는 다운링크를 위한 구성 요소로, 업링크를 위한 구성 요소는 저잡음 증폭기(119), 주파수 다운 컨버터(121), 제 1 SAW 필터(123), 디지털부(125), 제 2 SAW 필터(127), 주파수 업 컨버터(UPC) 및 증폭기(131)를 포함한다. 업링크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은 다운링크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무선 중계 장치는 디지털부(109)에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부품이 사용되므로, 열이 많이 발생하고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궤환 신호를 이용하여 발진 현상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제거해야 하므로 고속의 부품이 필요하게 되어 장비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진에 의해 변화된 입력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격리도를 측정하기 위한 무선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날로그 상태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발진을 측정하고, 출력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중계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주파수다운 컨버터; 상기 제 1 주파수 다운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량에 의해 지연시키는 제 1 지연 제어부; 상기 제 1 지연 제어부의 출력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주파수 업 컨버터; 상기 제 2 주파수 업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증폭기; 상기 제 1 증폭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격리도 분석에 사용할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신호 추출부; 상기 신호 추출부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중계 장치의 격리도를 분석하여 상기 제 1 주파수 다운 컨버터 또는 상기 제 1 주파수 업 컨버터로 제공하는 발진 제어부; 및 상기 제 1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여 서비스 공간으로 방출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중계 장치의 격리도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아날로그 상태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격리도 측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가의 디지털 부품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무선 중계 장치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중계 장치의 다운링크 구성요소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중 중계할 신호를 선택하는 필터(201), 필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LNA, 203), 국부발진기(207)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저잡음 증폭기(203)에서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다운 컨버터(DNC, 205), 주파수 다운 컨버터(205)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량에 의해 지연시키는 지연 제어부(209), 지연 제어부(209)의 출력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업 컨버터(211), 주파수 업 컨버터(211)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13), 증폭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격리도 분석에 사용할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신호 추출부(215), 신호 추출부(215)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중계 장치의 격리도를 분석하여 주파수 다운 컨버터(205) 또는 주파수 업 컨버터(211)로 제공하는 발진 제어부(217), 증폭기(213)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여 서비스 공간으로 방출하는 필터(219)를 포함한 다.
여기에서, 주파수 다운 컨버터(205) 또는 주파수 업 컨버터(211)는 발진 제어부(217)의 출력 신호에 따라 입력 신호의 이득을 자동 조절하게 된다.
한편, 무선 중계 장치의 업링크 구성요소는 저잡음 증폭기(221), 주파수 다운 컨버터(DNC, 223), SAW 필터(225), 주파수 업 컨버터(UPC, 227) 및 증폭기(229)를 포함한다.
무선 중계 장치에서 정궤환 신호로 인한 발진을 방지하기 위해,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도너 안테나 및 서비스 안테나 간의 격리도가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수학식 1]
I > G+15
여기에서, I는 격리도를 의미하고 G는 무선 중계 장치의 이득을 의미한다.
도 3은 무선 중계 장치의 이득과 격리도에 따른 출력 전력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I-G <5인 경우 출력 신호는 발진하지 않고 일정 레벨에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출력 신호가 완전 발진하는 경우 출력 전력이 급격히 무한대로 증가하여 발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일정 레벨로 수렴하는 경우에는 출력 변화가 미비하여 발진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발진 상태는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무선 중계 장치의 격리도 및 이득 차이에 따른 입력 신호의 파형 변 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입력 신호가 발진하게 되면 스펙트럼에 산과 골이 발생하게 되며, 산과 골의 개수 및 형상을 분석하여 발진량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중계 장치는 시스템 지연으로 인해 입력 신호의 스펙트럼 형상이 변화하게 되며, 이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는 무선 중계 장치 내의 지연으로 인한 입력 신호의 파형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시스템 지연으로 인한 입력 신호의 스펙트럼 형상은 발진에 의해 변형된 스펙트럼 형상과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신호를 출력하기 전 지정된 값만큼 지연시키고, 지연된 신호에 대한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하므로써 발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아울러, 측정된 발진량을 기초로 격리도를 측정하여 이득 제어를 수행하게 되면, 무선 중계 장치의 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무선 중계 장치는 DNC(105)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지정된 값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제어부(209)를 포함한다. 지연 제어부(209)의 지연값에 따라 입력 신호의 스펙트럼 형상은 복수의 산과 골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변형되게 된다.
여기에서, 지연 제어부(209)는 지연 라인, 지연 필터, 위상 쉬프터, 능동 지연 가변 소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지연 제어부(209)의 출력 신호는 UPC(211)에서 고주파 신호로 변환되고 증폭기(213)에서 증폭된 후 신호 추출부(215)로 입력된다.
신호 추출부(215)는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분석할 신호를 필터링한 다음 스펙트럼 추출이 가능한 레벨로 이득을 제어한 후 스펙트럼을 추출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신호 추출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신호 추출부(215)는 주파수 다운 컨버터(DNC, 301), 필터(303), 증폭기(305), 이득 제어기(307) 및 스펙트럼 추출기(309)를 포함한다.
먼저, DNC(301)는 증폭기(213)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한다.
필터(303)는 예를 들어 고정(fixed) RBW(Resolution BandWidth) 필터, 또는 고정 RBW 필터 여러 개를 스위치로 제어하는 액티브 RBW 필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303)의 분해능은 신호 추출부(215)에 요구되어지는 성능에 따라 결정된다.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입력 신호는 필터(303)에 의해 분석 가능한 스펙트럼 데이터로 변형된 후 증폭된다.
그리고, 증폭기(305)의 출력 신호는 이득 제어기(307)로 입력되어 스펙트럼 데이터 추출이 가능한 레벨로 이득제어된 다음, 스펙트럼 추출기(309)를 통해 추출된다.
한편, 발진 제어부(217)는 신호 추출부(215)에서 출력되는 스펙트럼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신호를 선택하고, 산과 골의 개수, 진폭 등과 같은 형상을 분석한다. 그리고 스펙트럼 분석 결과를 정량화하여 격리도를 측정하여, DNC(205) 또는 UPC(211)로 제공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발진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발진 제어부(217)는 신호 검출기(401), 분석기(403) 및 격리도 결정기(405)를 포함한다.
신호 검출기(401)는 신호 추출부(215)로부터 입력받은 스펙트럼 데이터 중 잡음이나 스퓨리어스가 발생한 신호원을 제외시키고 유효한 신호원 중 하나를 분석 대상 신호원으로 선정한다. 즉, 무선 중계 장치로 입력되어 스펙트럼 데이터로 추출된 신호로부터 잡음, 스퓨리어스 등을 구분하고, 할당 주파수(Frequency Allocation)에 해당하는 신호 중 신호 특성이 우수한 하나의 신호원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고, 분석기(403)는 신호 검출기(401)에서 선정된 스펙트럼 데이터의 형태를 분석하여 산과 골의 개수, 진폭 등을 분석한다. 그리고 스펙트럼 데이터의 피크-투-피크(Peak-to-Peak)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신호 검출기(401)에서 선정한 신호원에 따라 분석기(403)에서 설정되는 기준값이 가변되기 때문에 무선 중계 장치의 설치 장소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외부 환경 변화에 적응적으로 격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 격리도 결정기(405)는 신호 검출기(401)에서 선정한 스펙트럼 데이터를 정량화하고, 분석기(403)에서 설정한 기준값을 기반으로 격리도를 결정한다.
스펙트럼 데이터를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통계 이론을 적용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08052192281-PAT00001
Figure 112008052192281-PAT00002
[수학식 2]에서 N은 측정 횟수를 의미하고, xi는 임의의 시간에 입력된 스펙트럼 데이터의 세기이다. 스펙트럼 데이터의 신호 세기에 대한 평균(mean) 및 분산(variance)은 복수회 측정하여 벡터 V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정량화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격리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상황의 매핑 테이블을 작성하여 비교하는 매핑 테이블 방식, 변화량을 평균하여 비교하는 평균 방식, 변화하는 양상을 수치 해석을 이용하여 기준 그래프를 계산하고 그 변화량을 예측하는 보간법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격리도 결정을 위해 보간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격리도와 분산은 다음의 관계를 만족한다.
[수학식 3]
Figure 112008052192281-PAT00003
[수학식 3]의 θ1 및 θ2는 [수학식 4]를 통해 구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08052192281-PAT00004
[수학식 4]에서 벡터 V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분산값을 의미하고, HT는 행렬 H의 전치행렬이며,
Figure 112008052192281-PAT00005
는 벡터 θ의 추정값으로, 벡터 θ에 포함되는 θ1 및 θ2로 사용된다.
즉, 복수회 측정된 분산값들로 이루어진 벡터를 이용하여 θ1 및 θ2를 추정하여 격리도(ISOTable)와 분산과의 관계를 1차 함수로 나타낸다. 그리고 최대 우도 방법(Maximum Likelyhood)을 적용하여 분석기(403)에서 설정한 기준값을 기반으로 측정된 분산(Vmeasured_value)을 [수학식 3]에 적용하여 격리도(ISOTable)와 상관시킨다.
이와 같이 격리도가 결정되면, 주파수 다운 컨버터(205) 또는 주파수 업 컨버터(211)로 격리도를 제공하여 시스템 이득과의 관계(수학식 1)를 만족하도록 이득이 제어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무선 중계 장치는 도 2와 달리 제 1 지연 제어부(231) 및 제 2 지연 제어부(233)를 포함한다.
제 1 지연 제어부(231)는 중간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큰 단위(0.5㎲)의 지연량을 조절하고, 제 2 지연 제어부(233)는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미세 단위(0.01㎲)의 지연량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미세 지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스펙트럼 분석을 위한 최적의 지연값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 1 지연 제어부(231)를 생략하고 제 2 지연부(233)만을 구비하도록 무선 중계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중계 장치는 아날로그 신호를 분석하여 중계기의 격리도를 결정하여 시스템 이득을 제어한다. 따라서, 무선 중계 장치의 발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무선 중계 장치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무선 중계 장치의 이득과 격리도에 따른 출력 전력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4는 무선 중계 장치의 격리도 및 이득 차이에 따른 입력 신호의 파형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무선 중계 장치 내의 지연으로 인한 입력 신호의 파형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신호 추출부의 상세 구성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한 발진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1, 219 : 필터 203, 221 : 저잡음 증폭기
205, 223 : 주파수 다운 컨버터 207 : 국부발진기
209 : 지연 제어부 211, 227 : 주파수 업 컨버터
213, 229 : 증폭기 215 : 신호 추출부
217 : 발진 제어부 225 : SAW 필터
231 : 제 1 지연 제어부 233 : 제 2 지연 제어부

Claims (10)

  1.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주파수다운 컨버터;
    상기 제 1 주파수 다운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량에 의해 지연시키는 제 1 지연 제어부;
    상기 제 1 지연 제어부의 출력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주파수 업 컨버터;
    상기 제 1 주파수 업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증폭기;
    상기 제 1 증폭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격리도 분석에 사용할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신호 추출부;
    상기 신호 추출부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중계 장치의 격리도를 분석하여 상기 제 1 주파수 다운 컨버터 또는 상기 제 1 주파수 업 컨버터로 제공하는 발진 제어부; 및
    상기 제 1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여 서비스 공간으로 방출하는 제 1 필터;
    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제어부는 지연 라인, 지연 필터, 위상 쉬프터, 능동 지연 가변 소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추출부는, 상기 제 1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주파수 다운 컨버터;
    상기 제 2 주파수 다운 컨버터의 출력 신호를 분석 가능한 스펙트럼 데이터로 변형하는 제 2 필터;
    상기 제 2 필터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증폭기; 및
    상기 제 2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터는, 고정(fixed) RBW(Resolution BandWidth)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터는, 복수의 고정 RBW 필터를 스위치로 제어하는 액티브 RBW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제어부는, 상기 신호 추출부로부터 스펙트럼 데이터를 입력받아 신호 특성이 우수한 하나의 신호원을 선택하는 신호 검출기;
    상기 신호 검출기에서 선정된 스펙트럼 데이터의 형태를 분석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는 분석기; 및
    상기 신호 검출기에서 선택한 신호원을 정량화하고, 상기 분석기에서 설정한 기준값을 기반으로 격리도를 결정하여, 상기 제 1 주파수 다운 컨버터 또는 상기 제 1 주파수업 컨버터로 제공하는 격리도 결정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는 상기 스펙트럼 데이터의 피크-투-피크(Peak-to-Peak)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도 결정기는, 상기 신호 검출기에서 선택한 신호원에 대한 신호 세기의 평균 및 분산을 복수회 측정하여 상기 신호원을 정량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도 결정기는, 매핑 테이블 방식, 평균 방식, 보간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격리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중계 장치는, 상기 제 1 주파수 업 컨버터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지연량을 미세 조절하기 위한 제 2 지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KR1020080070640A 2008-07-21 2008-07-21 무선 중계 장치 KR20100009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640A KR20100009830A (ko) 2008-07-21 2008-07-21 무선 중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640A KR20100009830A (ko) 2008-07-21 2008-07-21 무선 중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30A true KR20100009830A (ko) 2010-01-29

Family

ID=4181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640A KR20100009830A (ko) 2008-07-21 2008-07-21 무선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8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329B1 (ko) * 2013-01-23 2014-04-28 주식회사 엑스닐 Rf 중계기 및 이의 격리도 측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329B1 (ko) * 2013-01-23 2014-04-28 주식회사 엑스닐 Rf 중계기 및 이의 격리도 측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2409B2 (en) Uplink path integrity detect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EP3367577B1 (en) Passive intermodulation detection
US111093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terference caused by inter-modulation
US9801193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controller and network node
US9806747B1 (en) Circuits and methods for reducing interference that spectrally overlaps a desired signal based on dynamic gain control and/or equalization
EP2645797B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selective spectrum assignment and related methods
CN104883197A (zh) 无源互调干扰的保持服务的监测和消除
US200802056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ncelling echo
CN105763220A (zh) 具有非双工器隔离子系统的宽带分布式天线系统
EP3130083B1 (en) Multistage combining sub-system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
JP4846614B2 (ja) 通信装置、中継装置、伝送経路決定方法、無線伝送方法および無線伝送システム
CN101136654B (zh) 一种消除通信系统中窄带干扰的方法及装置
KR20100009830A (ko) 무선 중계 장치
KR100990908B1 (ko)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
KR20100009831A (ko) 무선 중계 장치의 발진 제어 방법
KR101291064B1 (ko) Ics 중계기의 간섭 제거 방법
KR101045788B1 (ko) Ics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
KR102098262B1 (ko) 신호 변조 모드 기반의 파고율 저감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1659518B1 (ko) 가스안전기기 성능평가용 무선모듈 테스트장치
KR101832254B1 (ko) 안테나 격리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901902B1 (ko) 이동통신 중계 장치 및 그 전력 증폭 이득 자동 설정 방법
JP2006005389A (ja) 通信中継装置
KR20210081979A (ko) 중계기, 중계기의 원격 광 유닛 및 관제 장치
KR20120128411A (ko) 이동통신용 무선 중계기 및 papr검출에 의한 제어방법
KR20070071567A (ko) 간섭신호 제거 기능을 갖는 무선 중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