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476U - 항온항습기 구조 - Google Patents

항온항습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476U
KR20100009476U KR2020090003131U KR20090003131U KR20100009476U KR 20100009476 U KR20100009476 U KR 20100009476U KR 2020090003131 U KR2020090003131 U KR 2020090003131U KR 20090003131 U KR20090003131 U KR 20090003131U KR 20100009476 U KR20100009476 U KR 201000094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let
air inlet
constant temperature
humidity
therm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2781Y1 (ko
Inventor
유진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콘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콘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콘첼
Priority to KR2020090003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78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4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7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항온항습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를 압축하는 콤프레서(4)와, 냉각팬 및 응축기(10), 그리고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7), 찬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쿨링코일(3), 따뜻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히팅코일(6), 블로어모터(8)와, 실내습도를 적절히 유지하기 위한 가습기(11)로 구성되는 항온항습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이 격벽에 의해 상하 분리되어진 2층 구조로 구성되며, 상부공간에는 필터(7)와, 냉각코일(3)과, 히팅코일(6)과, 블로어모터(8)와, 가습기(11)가 위치하며, 하부공간에는 콤프레서(4)와, 응축기를 구동하는 냉각팬(10)이 위치하되,
상기 상부공간에는 정면에 내부공기 흡입구(13)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내부공기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공간에는 상기 내부공기 흡입구(13) 및 내부공기 배출구(14)와는 수직한 면에 외기 흡입구(15)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기 흡입구(13) 및 내부공기 배출구(14)와는 반대방향으로 외기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온, 항습, 일체형, 콤프레서, 냉각팬, 히팅코일, 쿨링코일, 흡입구, 배출구

Description

항온항습기 구조{The structure of airconditiner}
본 고안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항온항습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내부에 실내기와 실외기가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구조가 대폭 단순화되며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항온항습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는 실내의 온도, 습도, 세균, 냄새, 기류 등의 조건을 그 장소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여 주택, 호텔, 회관, 사무실, 전산실 및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 생활하는 실내의 사람을 쾌적한 상태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사람에게 쾌적한 공기상태는 기후 조건, 복장, 생활수준, 건강상태 등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되므로 일정한 값이 있는 것은 아니나, 여름에는 온도 26∼28℃, 상대습도 약 50%, 겨울에는 온도 20∼22℃, 상대습도 약 40%를 목표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값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공장의 작업장, 창고, 실험 실, 전산실 등의 장소가 그 기능을 충분히 달성하기 위해서는 거기서 생산되고 가공되며 저장 또는 시험되는 물건이나 해당 장소에서 운영중인 각종 기기에 가장 알맞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예컨대, 연초공장에서는 잎을 잘게 썰 때 너무 건조하여 가루가 되는 일이 없도록 비교적 습도를 높게 하고, 초콜릿 공장에서는 초콜릿이 녹아서 제모양을 잃는 일이 없도록 온도를 낮게 하며, 트랜지스터 제작공장에서는 먼지를 극도로 줄이고, 생리학 실험실에서는 바람이 생명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공기의 흐름을 느리게 하는 등, 생산되는 물품의 품질이 고르지 않거나 불량품이 많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기조화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일정한 온습도를 요구하는 제품 처리과정이라든지 보관과정 등 산업분야로의 응용을 그 목적으로 할 때에는 난방과 냉방뿐만 아니라 습도도 제어해야 하는데, 이러한 공기조화를 할 수 있는 항온항습기는, 실내 공간의 현재 온도 및 습도를 설정된 값으로 유지시켜주는 장치로서,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기 및 온기를 공급하는 온풍기와 실내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가습기로 이루어져, 증발기와 응축기 및 펌프와 밸브 등으로 구성되는 냉각기가 냉각 사이클을 형성하여 상기 증발기로부터 냉기를 발생시키고, 열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온기를 송풍 팬을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하며, 물속에 열 파이프의 가열로 물을 수증기화시키거나, 물 전도율을 이용한 전기 통전으로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기를 통해 실내 공간의 습도를 조절한다.
즉, 주지된 항온항습기는 항상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 는 기기로서 온도 및 습도에 민감한 정밀 제어기기가 설치된 방이나 고가의 통신 기기가 설치된 방, 실험실 및 전산실 등 여러 분야에 설치 사용되어 각종기기의 오동작을 예방하고 안정적인 임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기이다.
항온항습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그리고 실내의 유입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필터, 찬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쿨링코일, 따뜻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히팅코일, 송풍팬과, 실내습도를 적절히 유지하기 위한 가습기로 구성되는데,
종래의 항온항습기에서는 위 부품들이 실외기와 실내기에 분리 구성되며, 압축기, 응축기는 실외기에 위치하며, 에어필터, 쿨링코일, 히팅코일, 송풍팬, 가습기는 실내기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항온항습기는 실내기는 항온항습을 요하는 실내에 위치하지만, 실외기는 실내기로 부터 분리되어 따로 위치하게되며 이들간에는 동파이프등을 사용하여 냉매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공간을 넓게 차지하게되므로 협소한 공간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기와 실외기를 본체에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실내기와 실외기를 2층 구조로서 상하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콘테이너하우스 등의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항온항습기 본체를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진 상하 2층의 구조로 구성하고,
상부에는 실내의 유입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필터, 찬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쿨링코일, 따뜻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히팅코일, 송풍팬과, 실내습도를 적절히 유지하기 위한 가습기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구비함으로써, 종전의 실내기 와 실외기에 분리되어있던 부품들을 1개의 본체 내에 일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실내기와 실외기에 분산되어 있던 부품들을 1개의 본체내에 함께 구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냉매 공급배관이 외부에 노출되지않고 구조가 크게 단순화되어질 것이므로, 컨테이너하우스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에 의해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항온항습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콤프레서(4)와, 냉각팬 및 응축기(10), 그리고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7), 찬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쿨링코일(3), 따뜻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히팅코일(6), 블로어모터(8)와, 실내습도를 적절히 유지하기 위한 가습기(11)로 구성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에서는 케이스(1)의 내부공간이 격벽에 의해 상하 분리되어진 2층 구조로 구성되고, 상부공간에는 필터(7)와, 냉각코일(3)과, 히팅코일(6)과, 블로어모터(8)와, 가습기(11)가 구비되며, 하부공간에는 콤프레서(4)와, 응축기를 구동하는 냉각팬(10)이 구비된다.
케이스(1)의 상부공간에는 정면에 내부공기 흡입구(13)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내부공기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13)로 유입되어진 공기가 먼저 정화된 다음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도록 필터(7), 쿨링코일(3) 및 히팅코일(6)이 순서대로 위치하고, 수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가습기(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14)에 인접한 위치에는 냉각 또는 히팅된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블로어모터(8)가 위치한다.
또한, 케이스(1)의 하부공간에는 측면에 외기 흡입구(15)가 형성되고, 후방 에는 외기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콤프레서(4)가 구비되고, 상기 외기배출구(16)쪽으로는 응축기 및 냉각팬(10)이 위치한다.
상기 콤프레서(4)와, 상기 쿨링필터(3) 및 히팅필터(6) 간에는 냉매를 공급하기위해 동파이프가 연결되어있으나, 이는 내부에 위치한 격벽을 뚫고 연결되었으므로 케이스(1) 밖으로는 전혀 노출되지 않게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구조이므로 컨테이너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케이스(1)의 상부공간에 실내공기 배출구(14)와 실내공기 흡입구(13)가 동일방향을 향해 각각 상하에 위치하므로, 컨테이너와 같이 항온항습실이 협소하여 항온항습기를 그 내부에 설치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항온항습기를 외부에 위치하되 상기 배출구(14)와 흡입구(13)가 위치한 면이 항온항습실와 인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덕트의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외기 출입구(15)가 상기 배출구(14) 및 흡입구(13)와 동일한 면에 형성되어있다면, 항온항습기가 항온항습실 벽에 인접하여 설치되어질 경우 상기 외기 출입구(15)를 통한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못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겠으나, 본 고안에서는 외기 출입구(15)가 상기 배출구(14) 및 흡입구(13)와는 수직한 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간활용을 위해 항온항습기를 항온항습실 벽에 인접 설치하더라도 상기 외기 출입구(15)를 통한 공기 흐름은 전혀 방해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기 배출구(16)는 상기 배출구(14) 및 흡입구(13)와는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항온항습실과는 반대방향에 위치하게되므로, 기기 사용중에 항온항습실에 전달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항온항습실의 실내외 공간이 모두 협소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기와 실외기를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하 2층 구조로 배치함과 동시에, 실내공기 흡입 및 배출구와, 외기 흡입 및 배출구의 방향을 독특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성능 저하없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는 도 6에서와 같이 항온항습실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외기 출입구(15)가 상기 배출구(14) 및 흡입구(13)와는 수직한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기 배출구(16)는 상기 배출구(14) 및 흡입구(13)와는 반대방향에 형성되므로, 기기 사용중에 항온항습실에 전달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덕트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2: 컨트롤판넬
3: 냉각코일 4: 콤프레서
5: 압력계 6: 히팅코일
7: 필터 8: 블로어모터
9: 컨트롤박스 10: 냉각팬
11: 가습기 12: 드레인
13: 실내공기 흡입구 14: 실내공기 배출구
15: 외기 흡입구 16: 외기 배출구

Claims (4)

  1. 냉매를 압축하는 콤프레서(4)와, 냉각팬 및 응축기(10), 그리고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7), 찬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쿨링코일(3), 따뜻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히팅코일(6), 블로어모터(8)와, 실내습도를 적절히 유지하기 위한 가습기(11)로 구성되는 항온항습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이 격벽에 의해 상하 분리되어진 2층 구조로 구성되며, 상부공간에는 필터(7)와, 냉각코일(3)과, 히팅코일(6)과, 블로어모터(8)와, 가습기(11)가 위치하며, 하부공간에는 콤프레서(4)와, 응축기를 구동하는 냉각팬(10)이 위치하되,
    상기 상부공간에는 정면에 내부공기 흡입구(13)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내부공기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공간에는 상기 내부공기 흡입구(13) 및 내부공기 배출구(14)와는 수직한 면에 외기 흡입구(15)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기 흡입구(13) 및 내부공기 배출구(14)와는 반대방향으로 외기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콤프레서(4)와, 상기 쿨링필터(3) 및 히팅필터(6) 간에는 냉매를 공급하기위해 동파이프가 연결되어있으나, 이는 내부에 위치한 격벽을 뚫고 연결되었으 므로 케이스(1) 밖으로는 전혀 노출되지 않게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항온항습실의 외부공간에 벽과 인접되도록 설치되어지되, 상기 내부공기 배출구(14)와 내부공기 흡입구(13)는 동일방향으로 상하에 각각 위치하며, 덕트에 의해 항온항습실에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항온항습실의 내부공간에 벽과 인접하도록 설치되어지되, 상기 외기 흡입구(15)는 상기 내부공기 흡입구(13) 및 내부공기 배출구(14)와는 수직한 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기 배출구(16)는 상기 내부공기 흡입구(13) 및 내부공기 배출구(14)와는 반대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외기 흡입구(15)와 외기 배출구(16)는 덕트에 의해 항온항습실 밖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구조.
KR2020090003131U 2009-03-18 2009-03-18 항온항습기 구조 KR200452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31U KR200452781Y1 (ko) 2009-03-18 2009-03-18 항온항습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31U KR200452781Y1 (ko) 2009-03-18 2009-03-18 항온항습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76U true KR20100009476U (ko) 2010-09-29
KR200452781Y1 KR200452781Y1 (ko) 2011-03-21

Family

ID=4419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131U KR200452781Y1 (ko) 2009-03-18 2009-03-18 항온항습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7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4580A (zh) * 2018-09-13 2018-1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恒温恒湿机组及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590B1 (ko) 2014-01-08 2014-09-23 이옥형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KR101503025B1 (ko) * 2014-05-27 2015-03-16 정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살균유니트를 구비한 다층 구조의 자정식 공기조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715B1 (ko) * 1997-09-03 2000-08-01 구자홍 냉난방기의난방사이클
KR100791963B1 (ko) * 2006-06-16 2008-01-04 이상범 실외기일체형에어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4580A (zh) * 2018-09-13 2018-1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恒温恒湿机组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781Y1 (ko) 201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281B1 (ko) 외기도입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항온항습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519310B1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KR100519306B1 (ko) 환기일체형 공조시스템
US20190056128A1 (en) Multi-Purpose Ceiling Fan with Sensors
KR200452781Y1 (ko) 항온항습기 구조
US11193679B2 (en) Technique for denaturing of small organic items in premises
CN104791926A (zh) 一种空气处理机组及其控制方法
KR20200037787A (ko) 공기 처리 시스템
CN104089341B (zh) 室内空调设备
KR200424460Y1 (ko) 항온항습기의 전기 제어반 냉각장치
KR200408403Y1 (ko) 측면 혹은 배면에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직립형 냉난방기
KR101394373B1 (ko) 항온항습을 위한 에너지 절약형 공조시스템
KR20110006091U (ko) 항온항습기 구조
CN111288545B (zh) 一种空调式吸油烟机
KR101486509B1 (ko) 화장실 환기팬을 제습기의 송풍팬으로 겸용하는 제습장치 및 그 제습방법
KR100756018B1 (ko) 항온항습기용 실외기의 보수 및 점검시 외부공기에 의한운전상태 변화 방지장치
KR100761779B1 (ko) 하향식 항온항습기의 공기 순환량 및 냉,난방효율 증대장치
JP2011226677A5 (ko)
KR200335938Y1 (ko) 항온항습기
CN202119014U (zh) 一种毛细管网空调房间用换风、除湿机
CN105180334A (zh) 一种加湿稳定的空调
KR200335935Y1 (ko) 공기조화기
KR100628849B1 (ko) 항온항습기의 점검시 외부공기 유입방지장치
CN217004740U (zh) 一种恒温恒湿型组合式室内空气处理机组及空气处理系统
KR100653235B1 (ko) 항온항습기의 증발기 코일 적상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