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284U -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284U
KR20100009284U KR2020090002879U KR20090002879U KR20100009284U KR 20100009284 U KR20100009284 U KR 20100009284U KR 2020090002879 U KR2020090002879 U KR 2020090002879U KR 20090002879 U KR20090002879 U KR 20090002879U KR 20100009284 U KR20100009284 U KR 201000092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water supply
switch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섭동
Original Assignee
조섭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섭동 filed Critical 조섭동
Priority to KR2020090002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284U/ko
Publication of KR201000092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변기(1)는 수조(10), 변기(20), 시트(30), 스위치(60) 및, 솔레노이드밸브(40)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고안은 변기시트(30) 하단부에 부착스킨 스위치(60)와 솔레노이드밸브(40)를 구비하는바, 스위치(60)는 솔레노이드밸브(40)와 연결하고 솔레노이드밸브(40)는 수도공급관(100)과 양변기(1)의 급수관(50)을 상통하는데, 스위치(60)를 가압할 때에만 솔레노이드밸브(40)가 개방되어 수도 공급관(100)으로부터 급수관(50)을 따라 수조(10)로 수돗물(혹은 세정수)을 공급한다.
양변기

Description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in toilet stool}
본 고안은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양변기 시트에 착석하면 스위치가 작동되어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양변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현재 화장실에 많이 적용되는 양변기(좌변기)는 부구(浮具)를 수단으로 하여 양변기 수조 내에 물을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종래의 양변기는 양변기 수조에 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배수 레버(lever)를 작동시켜 배수마개를 개방토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기술되어진 현재 널리 통용되고 있는 양변기는 사용자가 양변기 수조에 세정수를 변기로 배수하고 나면 별도의 작업을 거치지 않고서도 급수관을 통해 양변기 수조에 물을 채울 수 있고, 부구로 적절히 조절된 수위까지 도달하게 되면 부구로 급수관을 폐쇄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양변기는 양변기 수조에 항상 물을 채워 놓고 있다. 이러한 양변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수조로부터 변기까지 세정수를 안내하는 유도 관을 개폐할 수 있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배수마개가 노후 되어 유도관을 확실하게 폐쇄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양변기 수조에 채워져 있던 세정수는 노후된 부분을 타고 또는 배수마개가 잘 맞지 않는 경우 유도관을 따라 변기로 예상치 못했던 누수증상을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세정수가 누수되므로 미리 설정되어 있던 수위에 부구가 도달하지 못하여 급수관을 통해 물이 계속 공급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노출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수돗물의 소모를 증가 시키며 수돗세를 더 내야만 하는 불편함을 가져온다.
또한, 지속적인 누수로 인하여 좁은 급수관으로 물이 공급되면서 소음이 발생할 수도 있다.
남자들이 소변을 보기 위해 전술된 종류의 양변기를 사용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시트커버와 시트를 젖혀 올려 변기에 직접 소변을 본다. 이는 변기 주변에 소변이 묻혀지고 튀겨서 위생상, 특히 냄새가 진동하여 다음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야기한다.
종래의 양변기는 사용자가 대변을 누던 소변을 보던 배수 레버의 일 작동으로 양변기 수조에 담아져 있던 세정수가 일률적으로 배수되므로 수돗물의 소모량이 많은 것도 현실적인 문제이다.
본 고안은 앞서 기술된 다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양변기 시트에 착석할 때에만 양변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은 양변기 시트하부에 스위치를 부착하여 시트를 가압하면 시트하부에 부착된 스위치를 작동시켜 스위치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어 급수관으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위생상의 이유로 해서, 다수의 남자들도 소변을 보기 위해서 양변기 시트에 착석하여 일을 보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양변기 시트에 착석할 때에만 양변기 수조에 세정수를 공급하여도 특별한 문제점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일반적인 양변기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매우 간단하게 급수관에 스위치를 연결시킨 솔레노이드밸브를 연결하는 것으로도 목적을 성취할 수 있다.
이 스위치를 연결시킨 솔레노이드밸브가 양변기 시트를 누르는 동안 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어 수도 공급관에서 양변기 급수관으로 연속적으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부구를 통해 소정의 수위에 세정수가 도달하게 되면 솔레노이드밸브의 폐쇄없이도 부구로 인해 급수관이 폐쇄되어 더 이상의 급수를 하지 않게 된다.
배수과정은, 종래의 양변기와 마찬가지로 배수 레버를 작동하여 배수마개를 개방하여 배수시킨다.
이상 본 고안의 설명에 의하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혹은 일정한 하중이 양변기 시트를 가압할 때에만 양변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는 오랜 시간 사용하여 배수마개의 노후된 상태와 배수마개가 잘 맞지않는 상태에서도 양변기시트 가압하지 않게 되면 양변기 수조에 물이 공급되지 않아 별도의 누수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양변기 시트를 누를 때에만 자동적으로 급수되므로 소변 혹은 대변과 같이 착석하는 동안 혹은 가압하는 시간에 따라 양변기 수조에 급수하는 물의 양이 달라 절수효과를 창출한다.
이제, 본 고안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자동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은 양변기 수조에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1)는 종래의 양변기와 비교하여 스위치가 연결된 솔레노이드를 제외하고는 거의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기존 설치된 양변기에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장치만을 장착하고서도 본 고안으로 달성된 목적으로 용이하게 구현할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변기(1)는 일반적인 양변기와 마찬가지로 수조(10), 변기(20), 시트(30), 스위치(60), 솔레노이드밸브(40)등으로 이루어 진다.
특히, 본 고안은 시트(30)하단부에 스위치(60)를 부착시키고 스위치(60)를 연결시킨 솔레노이드밸브(60)를 구비한다, 스위치(60)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 (40)는 수도공급관(100)과 양변기(1)의 급수관(50)과 상통하는데, 스위치(60)를 가압할 때에만 솔레노이드밸브(40)가 개방되어 수도 공급관(100)으로부터 급수관(50)을 따라 비여져 있던 양변기 수조(10)로 수돗물(혹은 세정수)를 충분히 공급한다.
스위치(60)는 시트(30)에 사용자가 착석하여 앉아 있으면 시트(30)에 가해진 하중으로 스위치(60)를 눌러 작동하도록 한다.
가압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스위치(60)는 변기(20)상단부와 시트(30)의 맞닿는 지점에 위치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사용과정을 기술하면서 본 고안의 특징으로 아래에 기술한다.
사용자가 시트커버(31)를 젖혀 올리고 시트(30)에 착석하게 되면, 시트(30)는 사용자의 몸무게로 인하여 시트(30)하단부에 부착된 스위치(60)를 가압한다.
물론, 사용자가 시트(30)에 안착될 때에만 스위치(60)를 가압할 수 있다.
시트(30)하단부에 부착된 스위치(60)를 가압하게 되면, 수도공급관(100)과 급수관(50) 사이에 놓여진 솔레노이드밸브(40)가 개방되어져 수도공급관(100)과 급수관(50)을 상호연통시킨다.
급수관(50)을 따라 양변기 수조(10)로 세정수가 채워진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부구(11)가 수조(10) 내에 설치되어 미리 세정수가 수위를 설정한다.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여 부구(11)에 열결된 밀봉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급수관(50)을 폐쇄한다.
이러한 과정은, 장시간 사용자가 시트(30)에 앉아 있어 스위치(60)를 계속해 서 눌러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도 미리 설정된 수위만큼 세정수가 채워지면 더 이상의 물 공급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가 모든 용변을 다 본 후에, 세정수를 수조(10)에서 변기(20)로 배수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배수 레버(12)를 작동하여 이 배수 레버(12)에 연결된 배수마개(13)를 들어 올려 유도관을 개방한다. 이 유도관은 수조(10)와 변기(20) 사이를 상호 연통하여 세정수의 배수경로를 확보해 준다(솔레노이드밸브의 연결확보하기 위해서 유도관의 일부만을 도시함)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적인 양변기의 구성부재들과 이들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이미 주지관용적 기술로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배제한다.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 국한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를 부분절개한 측면도이다.
도 2은 양변기 수조에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양변기,
10-----양변기수조,
11-----부구,
12-----배수레버,
13-----배수마개,
20-----변기,
21-----유도관,
30-----시트,
31-----시트커버,
40-----솔레노이드밸브,
50-----급수관,
60-----스위치,
70, 71-----전원
100-----수도공급관.

Claims (2)

  1. 배수 레버(12)와, 이 배수 레버(12)에 연결되어 유도관을 개폐하는 배수마개(13) 및, 세정수 수위를 설정하여 급수관(50)을 개폐하는 부구(11)를 갖춰, 용변을 배출하기 위한 세정수를 수용하는 수조(10)와;
    상기 수조(10)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관을 수단으로 하여 세정수를 상기 수조(10)로부터 공급받아 용변을 배출하는 변기(20);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변기(20) 위에 설치되어있는 시트(30)를 구비하여, 수도 공급관(100)으로부터 상기 수조(10)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에 있어서,
    스위치가(60)가 상기 시트(30)하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시트(30)에 가해진 하중으로 스위치(60)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40)를 개방시켜 상기 수도 공급관(100)과 상기급수관(50)을 연통하여 세정수를 상기 수조(10)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60)는 상기 변기(20)의 상단부와 상기 시트(30)하단부에 부착된 스위치(60)의 접촉지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
KR2020090002879U 2009-03-13 2009-03-13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 KR201000092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879U KR20100009284U (ko) 2009-03-13 2009-03-13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879U KR20100009284U (ko) 2009-03-13 2009-03-13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84U true KR20100009284U (ko) 2010-09-27

Family

ID=4419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879U KR20100009284U (ko) 2009-03-13 2009-03-13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28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2166A (zh) * 2018-07-21 2018-10-02 华北理工大学 智能翻转式节水防臭蹲便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2166A (zh) * 2018-07-21 2018-10-02 华北理工大学 智能翻转式节水防臭蹲便器装置
CN108612166B (zh) * 2018-07-21 2024-04-02 华北理工大学 智能翻转式节水防臭蹲便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934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of fill valve in water toilet
KR101027852B1 (ko) 물 절약형 좌변기
KR102195120B1 (ko) 발로 눌러 물을 배출시키는 변기 세척 장치
KR20100009284U (ko)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
KR20090101021A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200453734Y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KR200452788Y1 (ko)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
KR100986216B1 (ko) 양변기 급수제어밸브의 수로전환장치
KR20100071911A (ko) 양변기의 절수를 위한 소형함체 및 보조장치
KR200437292Y1 (ko) 양변기용 남성소변기
KR200466597Y1 (ko) 가정용 배뇨장치
KR19990021784A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436367Y1 (ko) 양변기용 남성소변기
KR100774850B1 (ko) 양변기용 남성소변기
KR200220360Y1 (ko) 공기 개폐장치와 공기 주입기가 부착된 배출구 마개보조장치
KR102175283B1 (ko)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KR200452869Y1 (ko) 급수제어밸브의 역류방지구조
KR102463540B1 (ko) 직수형 양변기
KR200437206Y1 (ko)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로 물공급을 안내하는 필밸브
KR200211536Y1 (ko) 양변기 절수장치
CN2379533Y (zh) 坐便器虹吸式水箱装置
KR200206146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90110549A (ko) 공기압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0436366Y1 (ko) 양변기용 남성소변기
JP2001323537A (ja) バキュームブレ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