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237A -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힌지모듈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힌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237A
KR20100009237A KR1020080070051A KR20080070051A KR20100009237A KR 20100009237 A KR20100009237 A KR 20100009237A KR 1020080070051 A KR1020080070051 A KR 1020080070051A KR 20080070051 A KR20080070051 A KR 20080070051A KR 20100009237 A KR20100009237 A KR 20100009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using
seating groove
insertion ho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761B1 (ko
Inventor
전세환
Original Assignee
에이치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0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7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이동체가 슬라이딩되고 경사지게 틸트되어 사용자가 티브이(TV) 및 동영상의 시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본체에 결합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고, 휴대단말기이동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바디와; 상기 메인바디를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틸트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틸트힌지는, 하면이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과; 상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에 고정결합되는 브래킷과; 상기 하우징과 브래킷을 힌지결합하는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 힌지모듈, 틸트힌지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 TILT HINGE FOR PORTABLE TERMINAL AND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이동체가 슬라이딩되고 경사지게 틸트되어 사용자가 티브이(TV) 및 동영상의 시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 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휴대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휴대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휴대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휴대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휴대 단말기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휴대 단말기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휴대 단말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휴대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휴대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휴대 단말기휴대 단말기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들은 하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었다.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보기 편리하도록 별도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사용함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되었다.
실질적으로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들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경사지게 마주보아야 보기가 편리한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별도의 거치대가 구비되지 않는 한, 사용자는 손에 쥔 상태에서 본체를 경사지게 하여 마주보면서 보기도 하나, 탁상 등에서는 별도의 거치대가 없어서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보기가 불편한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슬라이딩 시킨 후 별도의 거치대 없이 디스플레이부를 틸팅시켜 소정의 각도로 세움으로써, 티브이(TV) 및 동영상의 시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본체에 결합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고, 휴대단말기이동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바디와; 상기 메인바디를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틸트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틸트힌지는, 하면이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과; 상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에 고정결합되는 브래킷과; 상기 하우징과 브래킷을 힌지결합하는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감싸고 있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또는 상기 브래킷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삽입돌기와,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공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슬라이딩되게 장착되며, 상기 삽입돌기와 안착홈 사이에는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는 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공의 지름은 상기 삽입돌기의 지름보다 작도록 형성한다.
상기 안착홈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안착홈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안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제1안착홈에 장착되는 제1삽입돌기와; 상기 제2안착홈에 장착되는 제2삽입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브래킷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삽입공과; 상기 브래킷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삽입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은 측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은 측방향으로 서로 다른 직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는 상기 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돌기가 연장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브래킷의 회전시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브래킷과;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또는 상기 브래킷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삽입돌기와,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공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삽입돌기 가 슬라이딩되게 장착되며, 상기 삽입돌기와 안착홈 사이에는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는 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공의 지름은 상기 삽입돌기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한다.
상기 안착홈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안착홈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안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제1안착홈에 장착되는 제1삽입돌기와; 상기 제2안착홈에 장착되는 제2삽입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브래킷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삽입공과; 상기 브래킷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삽입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은 측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은 측방향으로 서로 다른 직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는 상기 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돌기가 연장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브래킷의 회전시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슬라이딩시킨 후 별도의 거치대 없이 디스플레이부를 틸팅시켜 소정의 각도로 세움으로써, 티브이(TV) 및 동영상의 시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의 일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의 타방향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힌지모듈은, 메인바디(30)와, 슬라이드바디(40)와, 틸트힌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바디(30)는 휴대단말기본체(10)에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바디(40)는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2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바디(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20)를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0)로부터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20)에는 LCD 등과 같은 화면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바디(40)가 상기 메인바디(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상기 슬라이드바디(40)의 양측면이 절곡되어 상기 메인바디(30)의 양측면은 감싸도록 함으로써 구현가능하다.
이러한 슬라이딩 구조는 종래에 이미 공지된 것으로써, 이외에도 공지된 다 른 슬라이딩 구조면 충분하다.
상기 틸트힌지(50)는 상기 메인바디(30)를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틸트힌지(50)는, 하우징(51)과, 브래킷(55)과, 샤프트(58)와,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51)은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0)에 고정결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하우징(51)의 하면은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0)의 상면에 리벳 등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0)에는 상기 하우징(51)이 안착되는 홈을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55)은 상기 하우징(5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바디(30)에 리벳 등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상기 브래킷(55)은 상기 하우징(51)의 상면 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1)과 브래킷(55)은 상기 샤프트(5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브래킷(55)이 고정결합된 상기 메인바디(30)의 회전시 상기 브래킷(55)은 상기 메인바디(30)와 함께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0)에 고정결합된 상기 하우징(5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하우징(51)에 대한 상기 브래킷(55)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써, 삽입돌기(52)와, 삽입공(56)와, 스프링(5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51)의 측면에는 안착홈(5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53)에는 상기 스프링(54)과, 삽입돌기(5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54)은 상기 삽입돌기(52)에 탄성력을 부가하며, 상기 삽입돌기(52)는 상기 안착홈(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삽입돌기(52)는 볼(ball)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51)의 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브래킷(55)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돌기(52)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공(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56)의 지름은 상기 삽입돌기(52)의 지름보다 작도록 형성한다.
본 제1실시예에 달리, 상기 하우징(51)의 측면에 삽입공(56)을 형성하고, 상기 브래킷(55)의 측면에 삽입돌기(52)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제1실시예와 같은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55)의 측면 하부에는 상기 브래킷(55)의 회전각도를 일정한 각도로 제한하는 스토퍼돌기(57)가 상기 브래킷(55)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돌기(57)는 상기 브래킷(55)의 측면에서 상기 브래킷(55)의 안쪽 즉 상기 하우징(51)의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래킷(55)의 회전시 상기 스토퍼돌기(57)가 상기 하우징(51)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브래킷(55)의 회전각도를 일정한 각도까지만 제한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전의 상태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슬라이드바디(40)가 슬라이딩한 후의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슬라이드바디(40)를 틸팅시킨 후의 상태도이다.
도 6(a), 도 7(a) 및 도 8(a)는 각각 본 발명의 힌지모듈이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 도 7(b) 및 도 8(b)는 각각의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이동체(20)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및 그 상태에서의 틸트힌지(50)의 상태를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휴대단말기이동체(20)에 결합된 상기 슬라이드바디(40)가 이동하기 전 즉, 휴대단말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20)를 밀면, 상기 슬라이드바디(40)은 상기 메인바디(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메인바디(30)와 슬라이드바디(40) 사이에 탄성수단을 장착하여 상기 슬라이드바디(40)를 반자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30)는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0)에 대해 어떠한 이동됨도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슬라이드바디(40)는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20)와 함께 상기 메인바디(30)에 대하여 일정거리만큼 슬라이딩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를 개방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이동체(2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20)를 잡아당긴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20), 슬라이드바디(40) 및 메인바디(30)는 상기 틸트힌지(50)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바디(40)의 회전시 상기 메인바디(30)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메인바디(30)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상기 브래킷(55)은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0)에 고정결합된 상기 하우징(5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브래킷(55)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삽입돌기(52)는 상기 스프링(54)을 압축하면서 상기 삽입공(56)을 이탈한다.
그러다가 상기 브래킷(55)을 일정 거리만큼 회전시키면, 상기 삽입돌기(52)는 다른 삽입공(56)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 압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5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삽입돌기(52)는 삽입공(56)에 강하게 안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20)를 놓더라도, 상기 삽입돌기(52)가 상기 삽입공(56)에 상기 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20), 슬라이드바디(40) 및 메인바디(30)는 상기 휴대단말기본체(10)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의 작동과정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틸트힌지(50)가 상이한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틸트힌지(50)는, 하우징(51)과, 브래킷(55)과, 샤프트(58)와,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틸트힌지(50)는, 하우징(51)과, 브래킷(55)과, 샤프트(58)와,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의 틸트힌지(50)는, 제1실시예의 틸트힌지(50)와 비교하여 상기 각도조절부가 상이하고 나머지 구조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바, 이하 상기 각도조절부를 중점으로 설명한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제1안착홈(53a)과, 제2안착홈(53b)과, 제1삽입돌기(52a)와, 제2삽입돌기(52b)와, 제1삽입공(56a)과, 제2삽입공(56b)과, 스프링(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안착홈(53a)은 상기 하우징(51)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53a)에는 상기 스프링(54)과, 제1삽입돌기(52a)가 장착된다.
상기 제2안착홈(53b)은 상기 하우징(51)의 타측면 즉 상기 제1안착홈(53a)의 반대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홈(53b)에는 상기 스프링(54)과 제2삽입돌 기(52b)가 장착된다.
상기 브래킷(55)의 일측면 즉 상기 제1안착홈(53a)에 인접하는 상기 브래킷(55)의 측면에는 상기 제1삽입공(56a)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55)의 타측면 즉 상기 제2안착홈(53b)에 인접하는 상기 브래킷(55)의 측면에는 상기 제2삽입공(56b)이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돌기(52a) 및 제2삽입돌기(52b)가 각각 상기 제1삽입공(56a) 및 제2삽입공(56b)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브래킷(55)을 다단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안착홈(53a)과 제2안착홈(53b)은 측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삽입공(56a)과 제2삽입공(56b)은 측방향으로 서로 다른 직선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삽입공(56a)과 상기 제2삽입공(56b)은 상기 브래킷(55)의 측면에서 상호 엇갈린 높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돌기(52a)가 상기 제1삽입공(56a)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2삽입돌기(52b)는 상기 제2삽입공(56b)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제2삽입돌기(52b)가 상기 제2삽입공(56b)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1삽입돌기(52a)는 상기 제1삽입공(56a)에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다수개의 제1삽입공(56a) 사이에 상기 브래킷(55)의 회전정지단계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 다수개의 상기 제1삽입공(56a) 사이의 거리가 짧아도 상기 제1삽입공(56a)이 형성된 상기 브래킷(55)의 일측면의 반대면인 타측면에 다수개의 상기 제1삽입공(56a)들 사이에 상기 제2삽입공(56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브 래킷(55)의 정지단계를 더욱 다양화시킬 수 있다.
도 11(a)는 상기 제1삽입돌기(52a)가 상기 제1삽입공(56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b)는 상기 브래킷(55)을 회전시켜 상기 제2삽입돌기(52b)가 상기 제2삽입공(56b)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c)는 상기 브래킷(55)을 더 회전시켜 상기 제1삽입돌기(52a)가 상기 제1삽입공(56a) 중 다른 것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55)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돌기(52a)는 상기 제1삽입공(56a)에 삽입된 상태에 있고, 상기 제2삽입돌기(52b)는 상기 제2삽입공(56b)에 삽입되지 않은 채 상기 브래킷(55)의 타측면에 접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브래킷(55)을 약간 회전시키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삽입돌기(52a)는 상기 제1삽입공(56a)에 이탈되어 상기 브래킷(55)의 일측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2삽입돌기(52b)는 상기 제2삽입공(56b)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55)을 더 회전시키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삽입돌기(52a)는 다른 상기 제1삽입공(56a)에 삽입되고, 상기 제2삽입돌기(52b)는 상기 제2삽입공(56b)에서 이탈되어 상기 브래킷(55)의 타측면에 접하게 된다.
위와 같이, 다수개의 상기 제1삽입공(56a) 사이의 간격이 짧아도, 상기 제1삽입공(56a)의 반대편에 형성된 상기 제2삽입공(56b) 및 제2삽입돌기(52b)에 의해 상기 브래킷(55)을 여러 단계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힌지모듈 및 틸트힌지는 휴대전화, 전자계산기, 전자사전, PDA, 게임기 등 다양한 휴대단말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전의 상태도,
도 7은 도 6에서 슬라이드바디가 슬라이딩한 후의 상태도,
도 8은 도 7에서 슬라이드바디를 틸팅시킨 후의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의 작동과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단말기본체, 20 : 휴대단말기이동체, 30 : 메인바디, 40 : 슬라이드바디, 50 : 틸트힌지, 51 : 하우징, 52 : 삽입돌기, 52a : 제1삽입돌기, 52b : 제2삽입돌기, 53 : 안착홈, 53a : 제1안착홈, 53b : 제2안착홈, 54 : 스프링, 55 : 브래킷, 56 : 삽입공, 56a : 제1삽입공, 56b : 제2삽입공, 57 : 스토퍼돌기, 58 : 샤프트,

Claims (11)

  1. 휴대단말기본체에 결합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고, 휴대단말기이동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바디와;
    상기 메인바디를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틸트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틸트힌지는,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결합되는 브래킷과;
    상기 하우징과 브래킷을 힌지결합하는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감싸고 있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또는 상기 브래킷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삽입돌기와,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공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슬라이딩되게 장착되며,
    상기 삽입돌기와 안착홈 사이에는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공의 지름은 상기 삽입돌기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안착홈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안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제1안착홈에 장착되는 제1삽입돌기와; 상기 제2안착홈에 장착되는 제2삽입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브래킷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삽입공과; 상기 브래킷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삽입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은 측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은 측방향으로 서로 다른 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는 상기 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돌기가 연장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브래킷의 회전시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7.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브래킷과;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또는 상기 브래킷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삽입돌기와,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공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슬라이딩되게 장착되며,
    상기 삽입돌기와 안착홈 사이에는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공의 지름은 상기 삽입돌기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안착홈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안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제1안착홈에 장착되는 제1삽입돌기와; 상기 제2안착홈에 장착되는 제2삽입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브래킷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삽입공과; 상기 브래킷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삽입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은 측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은 측방향으로 서로 다른 직선상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11.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는 상기 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돌기가 연장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브래킷의 회전시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브래킷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KR1020080070051A 2008-07-18 2008-07-18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97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051A KR100971761B1 (ko) 2008-07-18 2008-07-18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051A KR100971761B1 (ko) 2008-07-18 2008-07-18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37A true KR20100009237A (ko) 2010-01-27
KR100971761B1 KR100971761B1 (ko) 2010-07-21

Family

ID=4181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051A KR100971761B1 (ko) 2008-07-18 2008-07-18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7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304A (ko) * 2009-08-05 2011-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KR101051773B1 (ko) * 2010-03-18 2011-07-26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모듈
WO2011122810A2 (ko) * 2010-04-01 2011-10-06 Lee Hansang 틸팅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KR101104194B1 (ko) * 2010-02-26 2012-01-09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모듈
KR101106145B1 (ko) * 2010-08-16 2012-01-2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오토 틸트 힌지모듈
KR101123069B1 (ko) * 2010-05-14 2012-03-16 (주)쉘라인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 힌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64B1 (ko) 2010-06-24 2012-05-18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373B1 (ko) * 2004-11-15 2007-02-15 이근주 휴대용단말기의 회동개폐장치
JP4378333B2 (ja) 2005-09-07 2009-12-02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232951B1 (ko) * 2005-11-07 201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KR20090013427A (ko) * 2007-08-01 2009-02-05 (주)에이트리 휴대용 전자기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304A (ko) * 2009-08-05 2011-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KR101104194B1 (ko) * 2010-02-26 2012-01-09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모듈
KR101051773B1 (ko) * 2010-03-18 2011-07-26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모듈
WO2011122810A2 (ko) * 2010-04-01 2011-10-06 Lee Hansang 틸팅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WO2011122810A3 (ko) * 2010-04-01 2012-03-29 Lee Han Sang 틸팅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KR101123069B1 (ko) * 2010-05-14 2012-03-16 (주)쉘라인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1106145B1 (ko) * 2010-08-16 2012-01-2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오토 틸트 힌지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761B1 (ko) 201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088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10067821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KR101232951B1 (ko)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KR100575947B1 (ko) 휴대 장치용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100576023B1 (ko) 정보 표시용 휴대 통신 단말기
KR100678189B1 (ko) 삼각 거치가 가능한 와이드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100744305B1 (ko)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KR100689468B1 (ko)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971761B1 (ko)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713433B1 (ko) 자기 거치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71347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스윙 거치 장치
EP1898606A2 (en)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KR100842626B1 (ko) 슬라이딩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락킹 장치
KR2005003617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겸용 거치대
KR100640500B1 (ko) 멀티미디어용 슬라이딩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6301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566282B1 (ko)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KR20070047948A (ko) 슬라이딩 회전 유형 휴대 단말기
KR20070021723A (ko) 광폭의 표시 영역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700567B1 (ko) 휴대 단말기
KR100689535B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
KR101058737B1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60693B1 (ko) 슬라이딩 스윙 타입 휴대 전자 장치의 힌지 장치
KR20110092018A (ko) 휴대단말기용 틸트모듈
KR100700603B1 (ko)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