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009U -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 - Google Patents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009U
KR20100009009U KR2020090002497U KR20090002497U KR20100009009U KR 20100009009 U KR20100009009 U KR 20100009009U KR 2020090002497 U KR2020090002497 U KR 2020090002497U KR 20090002497 U KR20090002497 U KR 20090002497U KR 20100009009 U KR20100009009 U KR 201000090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attachment
attachment means
decor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령
최혜지
Original Assignee
최혜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혜령 filed Critical 최혜령
Priority to KR2020090002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009U/ko
Publication of KR20100009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0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43B3/0084Arrangement of flocked decoration on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2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uppe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하면과 상면 외측부가 구두 내피와 구두 외피의 사이에 식재되어 부착수단을 구두에 결합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면 중심부에 양 끝단이 결합되고, 장식물을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구두 전면부로 돌출된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부착수단은 구두 외피와 내피 사이에 최소한의 공간만을 차지하고, 장식물이 부착되는 부착부가 구두 전면으로 돌출되어 소비자가 구두를 착용할 때 생기는 이물감이 발생하지 않고, 구두에 장식되는 장식물에 별도의 결합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부착수단에 존재하는 공간 또는 부착부를 통하여 손쉽고 간이하게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을 구두에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Shoes having ornaments}
본 고안은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하면과 상면 외측부가 구두 내피와 구두 외피의 사이에 식재되어 부착수단을 구두에 결합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면 중심부에 양 끝단이 결합되고, 장식물을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구두 전면부로 돌출된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에 관한 것이다.
구두는 발등을 덮는 폐쇄형식의 신으로 발등을 덮지 않는 짚신, 샌들 등과 같은 개방형 신과 구별된다. 구두는 표본으로 남아 있기가 어렵고 맨발의 역사도 의외로 길기 때문에 구두의 기원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 시대의 신들은 샌들을 착용하였고, 샌들 후에 구두가 나타났다는 사실은 헤게소의 묘비(BC 5세기)나 테베왕의 분묘(BC 4세기)의 그림을 보아 알 수 있으므로 구두는 기원전에 사용되어 왔다고 추정된다.
전통적으로 구두는 보행 중에 발을 보호해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였는데, 현재에는 이러한 전통적 역할뿐만 아니라 의상이나 핸드백 또는 악세사리류 등과 일체로 착용되어 단순히 발을 보호하기 위한 역할 외에도 패션으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여성용 구두의 전면부에는 구두의 외관을 돋보이고 장식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악세사리류의 장식물을 부착하게 되는데 종래의 구두에 부착되는 장식물은 구두의 외피 또는 내피에 영구적으로 고정 결합되어 구두가 소멸될 때 까지 하나의 장식물만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의상이나 핸드백 또는 악세사리류와 조화시킬 수 있는 여러 개의 구두를 구입하여 때때로 바꿔서 착용하는 소비자들이 많다.
이렇게 하나의 구두에 하나의 장식물만을 부착할 수 있는 종래 구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시도들이 있었다.
실용신안출원 제20-2004-0032819는 구두로부터 분리하여 떼어내어 다른 장식장치로 교환하여 구두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구두를 매우 다양한 형태로 변화있게 사용할 수가 있도록 하는 장탈착식 구두 장식 장치에 관한 출원으로, 상기 출원은 구두 외피와 구두 내피의 사이에 고정되며 하부에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고정핀과, 상기한 고정핀의 결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가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장식물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식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안이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구두 외피와 구두 내피의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핀을 금 속 또는 플라스틱류로 사용하여, 소비자가 구두를 착용할 때 발에 이물감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장식물을 고정핀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장식물의 하부에 고정핀과 자웅을 맞추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고정수단을 필요로 함에 따라 소비자가 용이하게 원하는 장식물을 변화있게 선택할 수 없어 하나의 구두를 다양한 형태로 변화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본래의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없었다. 또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과 자웅이 맞는 장식핀의 자웅이 헐거워지거나 하면 고정이 잘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식물을 부착시키고 있는 장식물을 본드 등의 접찹제가 떨어진 경우 장식핀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구두 내피와 구두 외피의 사이에 식재되어 부착수단을 구두에 결합시키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상면 중심부에 양 끝단이 결합되고, 장식물을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구두 전면부로 돌출된 부착부를 갖는 부착수단을 구두에 장착한 경우, 장식물이 부착되는 부위가 구두 전면부로 돌출됨으로써 소비자가 구두를 착용할 때 생기는 이물감이 없고, 끈, 리본, 핀, 집게, 클립, 또는 브로치 등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결합 수단을 사용하여 장식물을 구두에 결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소비자가 구두를 착용할 때 생기는 이물감이 없고,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결합 수단을 사용하여 장식물을 구두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갖는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은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하면과 상면 외측부가 구두 내피와 구두 외피의 사이에 식재되어 부착수단을 구두에 결합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면 중심부에 양 끝단이 결합되고, 장식물을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구두 전면부로 돌출된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를 제공한다.
상기 구두에서 상기 부착수단은 판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구두 외피와 내피 사이에 식재할 때 공간을 가장 적게 차지하게 하여 구두와 결합 강도를 최대로 할 수 있으며, 이 때 구두 외피와 내피 사이에 식재되는 상기 고정부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부의 하면과 상면의 외측부는 구두 외피와 내피 사이에 식재되는데 이들이 접촉하는 부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와 구두 외피 및 내피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정부의 최외측부 끝단을 라운딩 처리 또는 절삭처리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상면 중심부는 상기 부착부와 대응하는데, 상기 부착부의 양쪽 끝단만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부착부의 대응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 공간을 통하여 또는 상기 부착부를 관통하여 장식물을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부착부로 이루어진 부착수단은 구두에 부착시킬 때 구두 본체와 자연스럽게 융화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구두 외피와 같은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구두에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양 끝단이 결합되고, 중심은 고정부와 결합하지 않은 채로 존재함으로써 그 자체로 부착부의 중심과 고정부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통하여 장식물을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부의 전체 또는 상기 부착부의 중심을 신축 가능한 탄성소재로 하여 상기 고정부와 부착부 사이의 공간을 넓힐 수 있게 하여 장식물의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두에서, 상기 부착부는 바람직하게는 구두에 부착시킬 때 자연스럽게 융화될 수 있도록 구두 전면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두 외피와 같은 재질로 외부 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두에서, 상기 구두는 상기 부착부와 장식물이 끈, 핀, 집게, 클립, 및 브로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결합 수단에 의해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좋다. 상기 끈, 클립, 집게, 및 브로치의 경우 상기 고정부와 상기 돌출된 부착부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끈, 클립, 집게, 및 브로치를 고정시켜 장식물을 부착부에 장착할 수 있고, 상기 핀의 경우에는 상기 돌출된 부착부의 몸통에 핀을 관통시켜 장식물을 부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부착수단은 구두 외피와 내피 사이에 최소한의 공간만을 차지하고, 장식물이 부착되는 부착부가 구두 전면으로 돌출되어 소비자가 구두를 착용할 때 생기는 이물감이 발생하지 않고, 구두에 장식되는 장식물에 별도의 결합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부착수단에 존재하는 공간 또는 부착부를 통하여 손쉽고 간이하게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을 구두에 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면 및 사진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동작상의 이점 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두는 구두의 외피(1)와 내피(3) 사이에 부착수단(2)을 구비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수단(2)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하면과 상면 외측부가 구두 내피(1)와 구두 외피(2)의 사이에 식재되어 부착수단을 구두에 결합시키는 고정부(21); 및 상기 고정부(21)의 상면 중심부에 양 끝단(22a)이 결합되고, 장식물을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구두 전면부로 돌출된 부착부(22)로 구성된다. 상기 부착수단(2)은 구두에 부착시킬 때 구두 전면부로 돌출된 부착부가 구두와 자연스럽게 융화될 수 있도록 부착부의 중심(22b)을 둘러싸고 형성되는 외부 마감(23)을 할 수 있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부착수단(2)은 판상의 형태를 가진 고정부(21)에 부착부(22)를 결합시키고, 고정부만이 구두 외피(1)와 내피(2) 사이에 식재되고, 부착부는 구두 전면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부착수단과 구두의 결합 시 공간을 가장 적게 차지하게 하여 소비자가 구두를 착용할 때 이물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때 구두 외피와 내피 사이에 식재되는 상기 고정부(21)는 이물감을 느끼지 않게 하는 어떠한 두께도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고정부와 구두 외피 및 내피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강도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고정부의 최외측부 끝단(21c)을 라운딩 처리 또는 절삭처리 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21)의 상면(21a) 중심부에 상기 부착부(22)가 결합하는데, 상기 부착부(22)의 양쪽 끝단(22a)만이 상기 고정부(21)의 상면(21a)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부착부의 중심(22b)이 대응하는 면에서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 공간을 통하여 장식물을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장식물의 장착 및 탈착은 상기 공간을 통하여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상기 부착부를 관통할 수 있는 결합수단 예를 들면, 핀 등을 이용하여 장식물을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부착부(22)는 상기 고정부(21)의 상면(21a)에 양 끝단(22a)이 결합되고, 중심(22b)은 고정부와 결합하지 않은 채로 존재함으로써 그 자체로 부착부의 중심(22b)과 고정부의 상면(21a)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통하여 장식물을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부의 전체(22) 또는 상기 부착부의 중심(22a)을 신축 가능한 탄성소재로 하여 상기 고정부와 부착부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넓힐 수 있게 하여 장식물의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두에서, 상기 구두는 상기 부착부와 장식물이 끈, 핀, 집게, 클립, 및 브로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결합 수단에 의해 장착 및 탈착 가능하다. 상기 끈(도 4), 클립(도 5), 집게, 및 브로치의 경우 상기 고정부와 상기 돌출된 부착부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끈, 클립, 집게, 및 브로치를 고정시켜 장식물을 부착부에 장착할 수 있고, 상기 핀(도 6)의 경우에는 상기 돌출된 부착부의 몸통에 핀을 관통시켜 장식물을 부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부착수단은 구두 외피와 내피 사이에 최소한의 공간만을 차지하고, 장식물이 부착되는 부착부가 구두 전면으로 돌출되어 소비자가 구두를 착용할 때 생기는 이물감이 발생하지 않고, 구두에 장식되는 장식물에 별도의 결합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부착수단에 존재하는 공간 또는 부착부를 통하여 손쉽고 간이하게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을 구두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수단이 결합된 구두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의 사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에 장식물을 부착하여 장식한 구두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에 장식물을 부착하여 장식한 구두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에 장식물을 부착하여 장식한 구두의 사진이다.

Claims (4)

  1.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하면과 상면 외측부가 구두 내피와 구두 외피의 사이에 식재되어 부착수단을 구두에 결합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면 중심부에 양 끝단이 결합되고, 장식물을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구두 전면부로 돌출된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신축가능한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구두 전면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두 외피와 같은 재질로 외부 마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두는 상기 부착부와 장식물이 끈, 핀, 집게, 클립, 및 브로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결합 수단에 의해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KR2020090002497U 2009-03-05 2009-03-05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 KR201000090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497U KR20100009009U (ko) 2009-03-05 2009-03-05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497U KR20100009009U (ko) 2009-03-05 2009-03-05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09U true KR20100009009U (ko) 2010-09-15

Family

ID=4419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497U KR20100009009U (ko) 2009-03-05 2009-03-05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00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511B1 (ko) * 2019-07-25 2021-01-29 김단아 장식부 교체가 가능한 신발
WO2021182832A1 (ko) * 2020-03-11 2021-09-16 장지성 신축기능을 갖는 신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511B1 (ko) * 2019-07-25 2021-01-29 김단아 장식부 교체가 가능한 신발
WO2021182832A1 (ko) * 2020-03-11 2021-09-16 장지성 신축기능을 갖는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2436B2 (en) Customizable replacement strap converter system for flip flop sandals
US8104198B2 (en) Attachment assembly for decorative shoe accessory
US20120297647A1 (en) Shoe and foot aesthetic and circulatory enhancements
US20100184349A1 (en) Toy for mounting on a child's shoe
US10561201B1 (en) Shoe with detachable sock
US20100307026A1 (en) Thong style sandal with removable and interchangeable ornaments
KR20100009009U (ko)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을 갖는 구두
US9603409B2 (en) Customizable replacement strap converter system for flip flop sandals
CN201409542Y (zh) 鞋的装饰物
KR200425447Y1 (ko) 신발용 악세사리
KR200437192Y1 (ko) 탈부착 가능한 다양한 디자인의 하이힐
KR100959905B1 (ko) 구두
JP3159178U (ja) 多様なスタイルの変化が可能な靴の装飾物及び固定構造
US20150305441A1 (en) Interchangeable Cap-Toe Fashion-Covering-and-Adornment Shoe System
KR20130000801U (ko)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
KR200420849Y1 (ko) 손가락용 장신구
JP3230027U (ja) 鼻緒飾り
CN214016191U (zh) 一种新型旗袍固定花扣
KR20130068228A (ko) 신발 장신구
JP2009528451A (ja) 取り替え可能な外層を有する服飾
KR200472888Y1 (ko) 장식구 치환이 가능한 신발
KR200425448Y1 (ko) 신발용 악세사리
KR200388076Y1 (ko) 악세사리용 장신구
KR200271359Y1 (ko) 샌들
KR20110009789U (ko) 구두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