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828U -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 - Google Patents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828U
KR20100008828U KR2020090002243U KR20090002243U KR20100008828U KR 20100008828 U KR20100008828 U KR 20100008828U KR 2020090002243 U KR2020090002243 U KR 2020090002243U KR 20090002243 U KR20090002243 U KR 20090002243U KR 20100008828 U KR20100008828 U KR 201000088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fruit
grain
pip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3955Y1 (ko
Inventor
문종성
Original Assignee
문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종성 filed Critical 문종성
Priority to KR2020090002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95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8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8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9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53Portable motorised fruit pic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흡입을 통해 채취된 과실 또는 곡물을 수직된 이중관(二重管)의 진공(VACUUM)과 중력(GRAVITY)의 적절한 조절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과실 또는 곡물을 단시간내에 이송 및 배출할 수 있는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용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는, 과실 또는 곡물 채취부에 각각 연결되며 채취된 과실 또는 곡물을 연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수직되게 배열되는 제 1 및 2 이송관과; 과실 또는 곡물 채취부와 제 1 및 제 2 이송관에 진공펌프를 통한 진공압에 따라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부와; 진공부에 설치되어 진공펌프로부터의 진공압을 제 1 및 제 2 이송관에 선택적 및 연속적으로 제공 및 차단하기 위한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과; 각각의 제 1 및 제 2 이송관의 저부에 연통되어 형성되는 단일의 과실 또는 곡물 배출부로 이루어지며, 진공부의 진공 펌프와 자동 진공압 개폐수단에 의한 제 1 및 제 2 이송관의 연속적인 진공압의 제공 및 차단을 통해 제 1 및 제 2 이송관 내부에 진공압과 대기압이 주기적으로 전환됨으로써, 각 이송관별로 채취된 과실 또는 곡물이 번갈아 연속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과실, 채취, 이송

Description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HARVESTER FOR FRUITS OR GRAIN}
본 고안은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흡입을 통해 채취된 과실 또는 곡물을 수직된 이중관(二重管)의 진공(VACUUM)과 중력(GRAVITY)의 적절한 조절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과실 또는 곡물을 단시간내에 이송 및 배출할 수 있는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추, 밤, 잣, 콩 등과 같은 과실이나 곡물은 그 수확시기가 정해져 있어, 그 시기에는 다량의 인력이 동원되어 작업을 요하여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마땅한 과실 수확장치가 제대로 제공되지 않아 통상적으로 일일히 과실을 수작업으로 낱개로 따서 수확하거나, 대추, 밤 등과 같은 과실은 대나무와 같은 막대기를 이용해 타설하여 땅에 떨어뜨린 후, 일일이 상기 과실을 주워서 수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수확하게 되면, 과실에 흠집이 발생하여 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다량의 인력이 요구됨에 따라, 현재의 농촌 실정에는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된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의 내부에서 진공부의 진공펌프와 댐퍼(DAMPER)로서의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에 의해 진공압과 대기압이 주기적으로 전환되어 흡입력에 의해 채취된 과실 또는 곡물이 두 개의 각 이송관별로 순차적으로 번갈아 연속배출이 가능하여 다량으로 과실 또는 곡물을 이송 및 배출할 수 있는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직된 제 1 및 제 2 이송관의 일측에 진동식 거름망을 별도 설치하여 에어 노커(air knocker)나 전동 바이브레이터(vibrator)에 의한 충격력에 의해 채취된 과실 또는 곡물의 하방 배출을 보조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는, 과실 또는 곡물을 흡입하여 채취하기 위한 단일의 과실 또는 곡물 채취부와; 상기 과실 또는 곡물 채취부에 각각 연결되며 채취된 상기 과실 또는 곡물을 연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수직되게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이송관과; 상기 과실 또는 곡물 채취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에 진공펌프를 통한 진공압에 따라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부와; 상기 진공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펌프로부터의 진공압을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에 선택적 및 연속적으로 제공 및 차단하기 위 한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과;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이송관의 저부에 연통되어 형성되는 단일의 과실 또는 곡물 배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공부의 진공 펌프와 상기 자동 진공압 개폐수단에 의한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의 연속적인 진공압의 제공 및 차단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 내부에 진공압과 대기압이 주기적으로 전환됨으로써, 각 이송관별로 상기 채취된 과실 또는 곡물이 번갈아 연속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이송관의 일측에는 제 1 및 제 2 연결관이 연통(連通)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 1 및 제 2 연결관의 말단부는 상기 진공부의 진공펌프에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진공압에 의한 강한 흡입력을 제공받도록 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관에는 진동식 거름망이 설치되어 흡입되는 과실 또는 곡물이 상기 진공부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진동식 거름망에는 충격기가 부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에 충격을 주어 하방으로의 상기 과식 또는 곡물의 배출을 보조적으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취부는, 상기 진공부의 진공압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채취하고자 하는 과실 또는 곡물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일단부가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어 작업자의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는 막대형상의 봉체와, 상기 봉체의 타단부와 연통되어 길이조정가능하도록 접철가능하며 흡입된 과실 또는 곡물을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에 공급하는 주름형상의 가요성(flexible)관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막대형상의 봉체의 일측에는 상기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의 전체적 작동을 사용자가 직접 조절하기 위한 작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 는, 상기 진공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팬의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 및 상기 채취부에 진공압에 의한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하도록 작동하는 온(on)/오프(off) 스위치와, 상기 진공팬의 회전 속도를 전기적으로 자동 조절하여 흡입되는 과실 또는 곡물의 질량에 따라 흡입력을 선별 조절하기 위한 진공팬 회전 조절 스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이 이물질에 의해 막혀있는 경우에 양압을 가하여 자동으로 퍼지(purge)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퍼지(purge) 기능 스위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는 작업자가 등에 짊어질 수 있도록 전면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지지판에 탈부착하여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에 의하면, 진공흡입을 통해 채취된 과실 또는 곡물을 수직된 이중관의 진공(VACUUM)과 중력(GRAVITY)의 적절한 조절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과실 또는 곡물을 저인력으로 단시간내에 이송 및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의 연속적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의 진동식 거름망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의 적용상태를 타내는 개략 사시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100)는 진공력을 이용한 공기의 흡입을 통해 과실 또는 곡물을 흡입하여 채취하는 채취부(10)와; 상기 채취부(10)와 연결 설치되며, 연속적인 진공압(眞空壓)과 대기압(大氣壓)의 조절을 통해 채취된 과실 또는 곡물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수직되게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과;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 및 상기 채취부(10)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부(40)와; 각각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에 제공되는 흡입력(진공압)을 선택적으로 자동 제공 및 차단하는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50)과; 각각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의 저부에 연통되어 연속적으로 자동 투하되는 과실 또는 곡물을 배출하기 위한 과실 또는 곡물 배출부(60)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채취부(10)는 상기 진공부(40)의 진공압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채취하고자 하는 과실 또는 곡물에 접근되어 흡입하는 흡입구(11)와, 일단부가 상기 흡입구(11)와 연통되어 사용자의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는 막대형상의 봉체(12)와, 상기 봉체(12)의 타단부와 연통되어 길이조정가능하도록 접철가능하며, 흡입된 과실 또는 곡물을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에 공급하는 주름형상의 가요성(flexible)관(1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주름형상의 가요성 관(13)의 타단에 연결된 다른 봉체(도면번호 미부여)의 말단부는 대략 확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으로 흡입된 과실 또는 곡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막대형상의 봉체(12)의 일측에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100)의 전체적 작동을 사용자가 직접 손쉽게 조절하기 위한 버튼 또는 스위치 형태의 작동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부(14)는 진공부(40)의 진공팬(41)의 온(on)/오프(off) 스위치(14-1)와, 진공팬(41)의 회전 속도 조절 스위치(14-2)와, 퍼지(purge) 기능 스위치(14-3)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동부(14), 진공팬(41), 구동 모터(미도시) 등은 충전식 배터리 등과 같은 전원부(90)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된다(도 3 참조).
상기한 온(on)/오프(off) 스위치(14-1)는 진공팬(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진공팬(41)의 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 및 상기 채취부(10)에 진공압에 의한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회전 조절 스위치(14-2)는 진공팬(41)의 회전 속도를 전기적으로 자동 조절하여 흡입되는 과실 또는 곡물의 질량에 따라 흡입력을 선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퍼지(purge) 기능 스위치(14-3)는 구동 모터(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자동 역회전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이 이물질에 의해 막혀있는 경우에 양압을 가하여 자동으로 퍼지(purge)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단일의 봉형상의 채취부(10)에 연결설치된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은 격벽으로 분리되어 대략 수직된 파이프 형태의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의 저부는 단일의 과실 또는 곡물 배출부(60)로 연통되어 곡물 배출부(60)에 끼워진 포대나 망상의 자루(80)를 통해 이동식 거치대(81)에 채취된 과실이나 곡물이 포집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5 참조).
이러한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의 재질로는 동파이프, 알루미늄 파이프 또는 PVC 등의 재질일 수 있으나, 본 고안에 있어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수직된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은 각각 후술하는 진공부(40)의 진공펌프(41)와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50)에 의해 진공압과 대기압이 순차적 및 선택적으로 전환되어 진공압에 의해 흡입되어 채취된 과실 또는 곡물이 두 개의 이송관별로 순차적으로 번갈아 연속배출이 가능하여 다량으로 과실 또는 곡물을 이송 및 배출할 수 있게된다.
또한, 단일의 과실 또는 곡물 배출부(60)에 연결되는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의 각 하단에는 제 1 및 제 2 개폐 수단(21)(31)이 설치되어 진공압 과 중력에 의해 각각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의 하부가 순차적으로 개방되어 과실 또는 곡물 배출부(60) 및 포대나 망상의 자루(80)로 채취한 과실 또는 곡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탄성수단(21-1)(31-1)에 의해 제 1 및 제 2 개폐 수단(21)(31)이 탄성 개폐되는 구조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을 수직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수직된 이송관의 배열 개수가 3개 이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각각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은 도시된 예에서는 원통체 형태로 되어 있으나, 사각, 육각, 또는 팔각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있어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각각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의 일측에는 제 1 및 제 2 연결관(22)(32)이 거의 밀착된 형태로 연통(連通)되어 있으며, 각 제 1 및 제 2 연결관(22)(32)의 말단부는 진공부(40)의 진공펌프(41)에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진공압에 의한 강한 흡입력을 제공받도록 되어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 연결관(22)(32)의 말단부와 진공부(40) 사이에서 진공펌프(41)의 진공압을 각각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에 순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50)이 제 1 및 제 2 연결관(22)(32)의 말단부를 각각 주기적인 반복 운동에 의해 자동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한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50)이 제 1 연결관(22)의 말단부에 위치 하여 제 1 연결관(22)이 폐쇄되고, 제 2 연결관(32)만이 진공부(40)와 연통되어 제 2 이송관(30)에 진공압이 제공되는 경우(도 2a 참조)에는, 제 1 이송관(20)의 내부는 대기압 상태가 되고, 반면에 제 2 이송관(30)의 내부는 진공상태가 된다. 이때, 제 2 이송관(2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됨으로 그 하부에 설치된 제 2 개폐 수단(31)은 진공압에 의해 폐쇄되며, 제 1 개폐 수단(21)은 탄성수단(21-1)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되어 진다.
이와 같이, 제 2 연결관(32)만이 진공부(40)와 연통된 경우에는 진공부(40)의 진공펌프(41)의 흡입력(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50)의 위치에 관계없이 과실 또는 곡물 채취부(10)에는 진공압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됨)에 의해 과실 또는 곡물 채취부(10)를 통해 채취된 과실 또는 곡물은 대기압 상태에 있는 제 1 이송관(20)내에서만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되어 과실 또는 곡물 배출부(60)로 이송되어 포대나 망상의 자루(80)로 공급하게 된다.
반면, 상기한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50)이 제 2 연결관(32)의 말단부에 위치하여 제 2 연결관(32)이 폐쇄되고, 제 1 연결관(22)만이 진공부(40)와 연통되어 제 1 이송관(20)에 진공압이 제공되는 경우(도 2b 참조)에는, 반대로 제 1 이송관(20)의 내부는 진공 상태가 되고, 제 2 이송관(30)의 내부는 대기압 상태가 된다. 물론, 제 1 이송관(1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됨으로 그 하부에 설치된 제 1 개폐 수단(21)은 진공압에 의해 폐쇄되며, 제 2 개폐 수단(31)은 탄성수단(31-1)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되어진다.
이와 같이, 제 1 연결관(22)만이 진공부(40)와 연통된 경우에는 진공부(40) 의 진공펌프(41)의 흡입력에 의해 과실 또는 곡물 채취부(10)를 통해 채취된 과실 또는 곡물은 대기압 상태에 있는 제 2 이송관(30)내에서만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되어 과실 또는 곡물 배출부(60)로 이송되어 포대나 망상의 자루(80)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50)이 제 1 연결관(22)의 말단부와 제 2 연결관(32)의 말단부를 일정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개방 및 폐쇄함으로써,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의 순차 유도 이송에 의한 연속 배출이 가능해져 단일의 이송관과 비교하여 보다 많은 과실 또는 곡물을 채취하여 포집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50)의 종류로는 공지된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한 회전식 댐퍼나 크랭크식 댐퍼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에 있어 다양한 구조의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50)을 활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의 일측에 연통되는 제 1 및 제 2 연결관에는 진동식 거름망(70)이 각각 설치되어 흡입되는 과실 또는 곡물이 진공부(40)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에어 노커(air knocker)나 전동 바이브레이터(vibrator)와 같은 충격기(71)를 부착시켜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에 탄성 역력에 의한 충격을 주어 하방으로의 배출을 보조적으로 더욱 원활히 수행 할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
또한,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100)를 작업자가 등에 짊어질 수 있도록 전면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밴드(91-1)를 구비한 지지판(91)에 소정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휴대가 간편하면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100)의 작동을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가 막대형상의 채취부(1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작동부(14)의 진공팬 온(on)/오프(off) 스위치(14-1)를 작동하게 되면, 진공팬(41)이 온(on)됨으로써, 채취부(10)의 흡입구(11)는 강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50)의 위치에 관계없이 과실 또는 곡물 채취부(10)에는 진공압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되어지며, 작업자는 채취하고자 하는 과실 또는 곡물의 질량에 부합되게 진공팬(41)의 회전 속도 조절 스위치(14-2)를 통해 진공팬의 회전수(rpm)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주름형상의 가요성관(13)을 이용해 길이를 조정하여 채취하고자하는 과실 또는 곡식이 열린 부위에 인접시켜, 흡입력을 이용하여 과실 또는 곡식을 흡입하게 되면, 주름형상의 가요성 관(13)의 타단에 연결된 다른 봉체(도면 번호 미부여) 말단부의 대략 확개된 부분에 일단 걸려 쌓이게 되고, 제 1 및 제 2 이송관(10)을 통해 수직으로 낙하될 준비가 된다.
이때, 상기한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50)이 제 1 연결관(22)의 말단부와 제 2 연결관(32)의 말단부의 어느 하나에 위치하게 되는데, 제 1 이송관(20)이 진공압 상태에 있는 경우(도 2b 참조)에는 제 2 이송관(30)이 대기압 상태에 놓여 중력과 진동식 거름망(70)의 보조 탄성력에 의해 채취된 과실 또는 곡식이 하부로 개방된 제 2 이송관(30)을 통해 자유낙하되어 과실 또는 곡물 배출부(60)로 이송되어 포대나 망상의 자루(80)에 포집되며, 반대로, 제 2 이송관(30)이 진공압 상태에 있는 경우(도 2a 참조)에는 제 1 이송관(20)이 대기압 상태에 놓여 중력과 진동식 거름망(70)의 보조 탄성력에 의해 채취된 과실 또는 곡식이 하부로 개방된 제 1 이송관(20)을 통해 자유낙하되어 자유낙하되어 과실 또는 곡물 배출부(60)로 이송되어 포대나 망상의 자루(80)에 포집된다.
이와 같이,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50)의 반복적 운동에 의해 과실 또는 곡물을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을 통해 연속 흡입 및 배출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단일의 이송관과 비교하여 보다 많은 과실 또는 곡물을 채취하여 포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도중 두 개의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 내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있는 경우에는 퍼지(purge) 기능 스위치(14-3)를 작동하여 막혀있는 제 1 및 제 2 이송관(20)(30)에 양압을 가하여 자동으로 퍼지(purge)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본 고안으로부터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임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의 연속적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의 진동식 거름망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의 적용상태를 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고안에 따른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
10: 채취부 11: 흡입구
12: 봉체 13: 가요성 관
14: 작동부 14-1: 온/오프 스위치
14-2: 진공팬 회전 속도 조절 스위치 14-3: 퍼지(purge) 기능 스위치
20, 30: 제 1 및 제 2 이송관 21, 31: 제 1 및 제 2 개폐 수단
21-1, 31-1: 탄성 수단 22, 32: 제 1 및 제 2 연결관
40: 진공부 41: 진공팬
50: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 60: 과실 또는 곡물 배출부
70: 진동식 거름망 71: 충격기
80: 포대나 망상의 자루 90: 전원부
91: (어깨) 지지판 91-1: 밴드

Claims (5)

  1. 과실 또는 곡물을 흡입하여 채취하기 위한 단일의 과실 또는 곡물 채취부와,
    상기 과실 또는 곡물 채취부에 각각 연결되며 채취된 상기 과실 또는 곡물을 연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수직되게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이송관과,
    상기 과실 또는 곡물 채취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에 진공펌프를 통한 진공압에 따라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부와,
    상기 진공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펌프로부터의 진공압을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에 선택적 및 연속적으로 제공 및 차단하기 위한 자동 진공압 개폐 수단과,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이송관의 저부에 연통되어 형성되는 단일의 과실 또는 곡물 배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공부의 진공 펌프와 상기 자동 진공압 개폐수단에 의한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의 연속적인 진공압의 제공 및 차단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 내부에 진공압과 대기압이 주기적으로 전환됨으로써, 각 이송관별로 상기 채취된 과실 또는 곡물이 번갈아 연속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이송관의 일측에는 제 1 및 제 2 연결관이 연통 (連通)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 1 및 제 2 연결관의 말단부는 상기 진공부의 진공펌프에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진공압에 의한 강한 흡입력을 제공받도록 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관에는 진동식 거름망이 설치되어 흡입되는 과실 또는 곡물이 상기 진공부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진동식 거름망에는 충격기가 부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에 충격을 주어 하방으로의 상기 과식 또는 곡물의 배출을 보조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는, 상기 진공부의 진공압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채취하고자 하는 과실 또는 곡물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일단부가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어 작업자의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는 막대형상의 봉체와, 상기 봉체의 타단부와 연통되어 길이조정가능하도록 접철가능하며 흡입된 과실 또는 곡물을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에 공급하는 주름형상의 가요성(flexible)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상의 봉체의 일측에는 상기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의 전 체적 작동을 사용자가 직접 조절하기 위한 작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진공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팬의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 및 상기 채취부에 진공압에 의한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하도록 작동하는 온(on)/오프(off) 스위치와, 상기 진공팬의 회전 속도를 전기적으로 자동 조절하여 흡입되는 과실 또는 곡물의 질량에 따라 흡입력을 선별 조절하기 위한 진공팬 회전 조절 스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관이 이물질에 의해 막혀있는 경우에 양압을 가하여 자동으로 퍼지(purge)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퍼지(purge) 기능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는 작업자가 등에 짊어질 수 있도록 전면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지지판에 탈부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
KR2020090002243U 2009-02-27 2009-02-27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 KR200453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243U KR200453955Y1 (ko) 2009-02-27 2009-02-27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243U KR200453955Y1 (ko) 2009-02-27 2009-02-27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28U true KR20100008828U (ko) 2010-09-06
KR200453955Y1 KR200453955Y1 (ko) 2011-06-13

Family

ID=4419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243U KR200453955Y1 (ko) 2009-02-27 2009-02-27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9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7425A (zh) * 2017-05-18 2017-08-11 霸州市翰马神农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红枣收获机
KR20200064299A (ko) * 2018-11-29 2020-06-08 서영춘 검불 분리 및 선별이 가능한 과실 수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246B1 (ko) * 2021-03-03 2023-07-20 김용수 과일 수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844Y1 (en) * 1983-02-22 1985-12-04 Kim Kum Ju Picking tool of fruit
KR20020083841A (ko) * 2001-04-30 2002-11-04 마츠시타 다츠야 현악기용 지판
KR200283841Y1 (ko) 2002-04-24 2002-07-27 김규 과실 수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7425A (zh) * 2017-05-18 2017-08-11 霸州市翰马神农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红枣收获机
KR20200064299A (ko) * 2018-11-29 2020-06-08 서영춘 검불 분리 및 선별이 가능한 과실 수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955Y1 (ko) 2011-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951B2 (en) Apparatus for extracting and delivering articles in amounts of uniform size
KR200453955Y1 (ko) 과실 또는 곡물 채취 및 이송기
CN103125203B (zh) 油菜、稻麦联合收割机
KR101616525B1 (ko) 분진흡입장치가 구성된 씨앗 탈망 및 알곡선별기
CN110201875A (zh) 一种面粉加工用防堵塞杂质筛分装置
CN202722062U (zh) 玉米脱粒机
US6574829B1 (en) Leaf receptacle lid
CN207756493U (zh) 一种大豆种植用种子精选设备
CN106982596B (zh) 一种茶叶采摘装置
CN206068951U (zh) 一种手推式晒场收谷机
KR102134519B1 (ko) 검불 분리 및 선별이 가능한 과실 수확장치
KR102464545B1 (ko) 진공 곡물 이송기
CN203646114U (zh) 小麦、油料作物脱粒精选机
CN112495798A (zh) 一种谷物筛选装置
CN202799670U (zh) 玉米机籽粒回收清选包装装置
CN216368917U (zh) 一种茶叶加工用筛选装置
KR20200041451A (ko) 마늘 분류를 위한 원형 선별기용 선별바 마늘 끼임 제거 진동분리유닛
CN105875058A (zh) 红枣捡拾分拣一体机
CN109197782B (zh) 一种僵蚜的采选定量分装及存储释放方法
CN209174385U (zh) 一种水稻种子比重式清选设备
CN206879707U (zh) 一种玉米花粉采集、授粉装置
CN206743919U (zh) 沙米脱粒机构以及脱粒机
CN211184976U (zh) 滚筛式油莎豆收获机清杂机构
KR102347946B1 (ko) 깨나 콩의 탈곡장치
KR200392897Y1 (ko) 콩 탈곡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