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283U - The insulating sleeve for cup - Google Patents
The insulating sleeve for cu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8283U KR20100008283U KR2020090009989U KR20090009989U KR20100008283U KR 20100008283 U KR20100008283 U KR 20100008283U KR 2020090009989 U KR2020090009989 U KR 2020090009989U KR 20090009989 U KR20090009989 U KR 20090009989U KR 20100008283 U KR20100008283 U KR 2010000828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body
- cup container
- sleeve
- piece
- hollow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 용기를 감싸는 단열 슬리브(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주면에 외향(外向)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이 구비되어 컵 용기의 내용물이 뜨거운 경우에도 손의 미끄러짐이 없이 용이하게 컵 용기를 감싸 쥘 수 있는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sulating sleeve (holder) surrounding the cup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ece protruding outwardly (externally) so that even if the contents of the cup container is hot without easy slipping of the cup container It relates to a heat insulating sleeve of a cup container which can be wrapped.
본 고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는, 컵 용기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슬리브 몸체; 및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형성되는 대체로 'ㄷ' 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되거나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 상단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형성되는 대체로 'ㄴ'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벌어질 때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향(外向)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편;이 포함된다.Insulating sleeve of the cup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 body is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cup container; And a generally 'c' shaped incision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or a generally 'b' shaped incision groove formed on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sleeve body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s formed. And a locking piece protruding outwardly of the sleeve body when the hollow body is opened to form the hollow portion in a folded state of the sleeve body.
컵, 음료, 단열, 슬리브, 홀더 Cups, Beverages, Heat Insulation, Sleeves, Holders
Description
본 고안은 컵 용기를 감싸는 단열 슬리브(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주면에 외향(外向)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이 구비되어 컵 용기의 내용물이 뜨거운 경우에도 손의 미끄러짐이 없이 용이하게 컵 용기를 감싸 쥘 수 있는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sulating sleeve (holder) surrounding the cup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ece protruding outwardly (externally) so that even if the contents of the cup container is hot without easy slipping of the cup container It relates to a heat insulating sleeve of a cup container which can be wrapped.
스타벅스 등과 같은 테이크 아웃점에서는 커피 등의 음료를 담는 용기로 흔히 종이컵을 사용하며, 이러한 종이컵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특성상 종이 재질로 제조되면서 비교적 얇게 제조된다.Takeout shops such as Starbucks often use paper cups as containers for drinks such as coffee, and these paper cups are made relatively thin while being made of paper materials due to their disposable properties.
따라서 커피 등과 같은 뜨거운 음료를 담은 경우에는 음료의 온도가 종이컵의 외표면으로 쉽게 전달되어 사용자가 종이컵을 감싸 쥐는 것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Therefore, when a hot beverage such as coffee is contained,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per cup, so that the user is uncomfortable to wrap the paper cup.
더욱이 뜨거움을 견디고자 사용자가 종이컵을 손가락 끝으로 아슬하게 감싸 쥠으로써 종이컵을 놓쳐 음료를 쏟거나 쏟은 음료에 의해 화상을 입는 등의 더 큰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Furthermore, in order to endure hotness, a user may wrap a paper cup with a fingertip, and miss the paper cup, causing a problem such as spilling a drink or being burned by a spilled drink.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용기(10)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는 컵 홀더 또는 슬리브(2)가 사용되며, 컵 슬리브(2)는 컵 용기(10)의 외주면에 단열층을 형성함으로써 컵 용기의 뜨거움을 다소 완화시키게 된다.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1, a cup holder or a
종래 사용되는 컵 슬리브(2)는 흔히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컵 슬리브(2)의 외주면은 광고용 인쇄면을 형성하고자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Conventionally used cup sleeve (2) is often made of pap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p sleeve (2) is generally formed to be a smooth surface to form a printing surface for advertising.
이러한 컵 슬리브(2)는 다소간의 단열 기능을 갖기는 하나 외주면이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컵 슬리브(2) 상에서 손이 미끄러지기가 쉽다.Although the
더욱이 종이 재질의 컵 슬리브(2)는 다소의 흡습성을 보유함에도 불구하고 컵 용기(10) 내용물의 뜨거운 열 때문에 매우 건조한 상태의 외표면을 형성하게 되며, 이로써 그 외표면은 보다 더 매끄러운 면으로 되어 손의 미끄러짐이 더욱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Moreover, the paper cup sleeve 2, although retaining some hygroscopicity, forms a very dry outer surface due to the hot heat of the contents of the
그 결과, 사용자는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힘을 주어 컵 슬리브를 감싸 쥐어야 하는 불편이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컵 슬리브에도 불구하고 컵 용기의 뜨거움이 온전히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As a result, the user is inconvenient to grip the cup sleeve by giving a force so as not to slip the hand,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hotness of the cup container is completely transmitted despite the cup sleeve.
전술한 종래 컵 슬리브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은, 컵 슬리브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수단이 구비되어, 감싸 쥔 손이 상측으로 걸려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up sleeve is provided with a non-slip means protrud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sleeve, to provide a heat insulating sleeve of the cup container to prevent the gripped hands to slip upward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미끄럼 방지 수단이 별도의 조작이 필요없이 컵 슬리브를 벌리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돌출 형성되는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insulating sleeve of the cup container such that the non-slip means are naturally protruded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cup sleeve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operation.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 슬리브의 제조 후 사용처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수단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amage to the non-slip means that can occur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o the place of use after the manufacture of the insulating sleev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 슬리브 재질에 관계없이, 그리고 습한 환경에서도 미끄럼 방지 수단의 양호한 돌출성이 유지되게 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intain good projectability of the anti-slip means, regardless of the insulating sleeve material and even in a humid environment.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는, 컵 용기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슬리브 몸체; 및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에, 대체로 'ㄷ' 형상을 갖는 절개홈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컵 용기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벌어질 때,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걸림편;이 포함된다.Insulating sleeve of the cup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leeve body is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is accommodated and supported by the cup container; And a cutting groove having a generally 'c'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hollow body is formed to receive a cup container in a folded state, and the hollow body is formed. Includes; the engaging piece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또는, 컵 용기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슬리브 몸체; 및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 상단에, 대체로 'ㄴ' 형상을 갖는 절개홈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컵 용기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벌어질 때,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걸림편;이 포함된다.Or a sleeve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a cup container; And a cutout groove having a generally 'b' shape is form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t an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so that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receive a cup container in a folded state of the sleeve body. Includes; the engaging piece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ly (outside) of the body.
이때,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절개홈으로부터 하방으로 적어도 손가락의 폭 만큼 이격되면서 대체로 'ㄷ' 형상을 갖는 절개홈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컵 용기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벌어질 때,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지지편이 더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the incision groove having a generally 'c' shape while being spaced at least downward from the incision groove by the width of the finger is form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commodating the cup container in the folded state of the sleeve body When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formed, a support piec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sleeve body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걸림편 및 지지편은 상기 슬리브 몸체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iece and the support piece may be formed even at opposing position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상기 절개홈은 상기 걸림편 및 상기 지지편이 돌출되는 과정에서 마찰하지 않는 최소한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utting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 minimum width that does not rub in the process of protruding the engaging piece and the support piece.
한편, 본 고안은 컵 용기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슬리브 몸체; 및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에, 외력에 의해 쉽게 절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절개된 이음부와 상기 이음부가 절개됨으로써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대체로 'ㄷ' 형상을 이루게 되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슬리브 몸체가 벌어진 상태 또는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슬리브 몸체 내부로 컵 용기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음부의 절개에 따라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 향(外向)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걸림편;이 포함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eeve body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is accommodated and supported by the cup container; And an incision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to form a substantially 'c' shap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cutting at least one or more uncut joints and the joints which can be easily cut by an external force. A catching piec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sleeve body according to the cutting of the joint portion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a cup container into the sleeve body through the hollow body or through the hollow portion to form an additional portion; May be included.
또는 컵 용기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슬리브 몸체; 및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 상단에, 외력에 의해 쉽게 절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절개된 이음부와 상기 이음부가 절개됨으로써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대체로 'ㄴ' 형상을 이루게 되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슬리브 몸체가 벌어진 상태 또는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슬리브 몸체 내부로 컵 용기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음부의 절개에 따라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걸림편;이 포함될 수도 있다.Or a sleeve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a cup container; And at the top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at least one or more uncut joints that can be easily cut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cut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the groove is formed in a generally 'b' shap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 catching piec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sleeve body according to the cutting of the joint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sleeve body is opened to form a hollow portion or the cup container is received into the sleeve body through the hollow portion;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절개홈으로부터 하방으로 적어도 손가락의 폭 만큼 이격 형성되면서 대체로 'ㄷ'형상을 갖는 하측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측 절개홈의 길이 상에 외력에 의해 쉽게 절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절개된 이음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슬리브 몸체가 벌어진 상태 또는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슬리브 몸체 내부로 컵 용기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음부의 절개에 따라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지지편이 더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is formed in the lower incision groove having a substantially '' 'shape while being spaced apart at least by the width of the finger downward from the incision groove, is easily incision by the external force on the length of the lower incision groove At least one uncut joint may be formed, an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cup container into the sleeve body through the hollow body or through the hollow body to form the hollow portion, A support piece may be further included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sleeve body.
상기 걸림편 및 지지편은 상기 슬리브 몸체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iece and the support piece may be formed even at opposing position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상기 절개홈은 상기 걸림편 및 상기 지지편이 돌출되는 과정에서 마찰하지 않는 최소한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utting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 minimum width that does not rub in the process of protruding the engaging piece and the support piece.
한편, 본 고안은 컵 용기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슬리브 몸 체; 및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 상단에, 외력에 의해 쉽게 절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음부와 상기 이음부가 절개됨으로써 대체로 'ㅗ' 형상을 이루게 되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슬리브 몸체가 벌어진 상태 또는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슬리브 몸체 내부로 컵 용기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음부의 절개에 따라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걸림편;이 포함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innovation is a sleeve body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is accommodated and supported by the cup container; And an incision groove formed at a top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to form a generally 'ㅗ' shape by cutting at least one joint portion and the joint portion which can be easily cut by an external force, such that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 cup container into the sleeve body through the open state or the hollow portion, the engaging piec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outer) of the sleeve body according to the cutting of the joint portion; may be included.
한편, 본 고안은 컵 용기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슬리브 몸체;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 상단에, 대체로 'ㅗ' 형상을 갖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걸림편; 및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절개홈으로부터 하방으로 적어도 손가락의 폭 만큼 이격되면서 대체로 '工' 형상을 갖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편;이 포함되며 상기 걸림편 및 지지편은, 상기 슬리브 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컵 용기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벌어질 때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eeve body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is accommodated and supported by the cup container; A pair of engaging pieces provided with an incision groove having a generally 'ㅗ' shape formed at an upper end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And a pair of support piec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downwardly from the cut groove by at least a width of a finger, and having a cut groove having a generally '工' shape formed thereon. The protruding outwardly of the sleeve body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hollow body is formed to receive the cup container in the folded state, the sleeve body is folded.
또한,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 상단에, 대체로 'ㅛ' 형상을 이루게 되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슬리브 몸체가 벌어진 상태 또는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슬리브 몸체 내부로 컵 용기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걸림편;이 포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utout groove having a generally 'ㅛ' shap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to accommodate a cup container into the sleeve body through the hollow body or the hollow body to form the hollow portion. In the process, the engaging piece which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of the sleeve body;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절개홈의 길이 상에 외력에 의해 쉽게 절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절개된 이음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슬리브 몸체가 벌어진 상태 또는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슬리브 몸체 내부로 컵 용기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음부의 절개에 따라 상기 걸림편 및 지지편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at least one or more uncut joints that can be easily cut by an external force on the length of the incision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hollow body is formed through the open state or the hollow portion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 cup container into the sleeve body, the locking piece and the support piece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 accordance with the cutting of the joint portion.
또한, 상기 걸림편 및 지지편은 상기 슬리브 몸체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piece and the support piece may be formed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또한, 상기 절개홈은 상기 걸림편 및 지지편이 돌출되는 과정에서 마찰하지 않는 최소한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ting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 minimum width that does not rub in the process of protruding the engaging piece and the support piece.
한편,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서 상기 걸림편 또는 상기 걸림편 및 지지편 각각의 내측면 및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는, 상기 일측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일측면 및 상기 슬리브 몸체의 상호 경계 부위를 포함하여 경화성 용액이 도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sulating sleeve of the cup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engaging piece or the engaging piece and the support piece, the one side and the sleeve extending from the one side Curable solutions can be applied, including cross-boundary portions of the body.
또한, 상기 걸림편 또는 상기 걸림편 및 지지편 각각의 내측면 및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는, 상기 일측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일측면 및 상기 슬리브 몸체의 상호 경계 부위를 포함하여 보강테잎이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inforcing tape is attach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engaging pieces or the engaging pieces and the support pieces, including mutually boundary portions of the one side surface and the sleeve body extending from the one side surface. Can be.
또한, 상기 걸림편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편에 걸려져 접하는 손가락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곡선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urved portion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ocking pie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that is caught by and in contact with the locking piece.
본 고안에 의하면,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걸림편이 구비되어 슬리브 몸체를 감싸 쥔 손이 걸림편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body is provided so that the hand holding the sleeve body does not slip upward by the locking piece.
또한, 걸림편은 오므려진 슬리브 몸체를 벌리는 과정에서 슬리브 몸체의 외향으로 자연스럽게 돌출되기 때문에, 걸림편을 돌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 없다.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piece naturally protrudes outwardly of the sleeve body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retracted sleeve body,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operation for protruding the locking piece.
또한, 절개홈이 간편하고 단순한 절개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어서 절개홈 및 걸림편이 형성되지 않은 종래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와 비교하여 제조비용이나 제조 편의성, 제조시간 측면에서 전혀 불리하지 않다.In addition, the cutting groove can be formed by a simple and simple cutting method is not at all disadvantageous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manufacturing convenience, manufacturing time compared to the insulating sleeve of the conventional cup container is not formed with the cutting groove and the engaging piece.
또한, 걸림편에 의해 컵 용기를 들어올리듯 가볍게 감싸 쥘 수 있어서 감싸 쥠이 용이함은 물론, 이에 수반하여 손으로의 열 전달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wrap around the container by lifting the cup container by the engaging piece, it is easy to wrap and, of cour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at transfer to the hand is minimized.
또한, 절개홈의 선(線)상에 미절개된 이음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포장이나 운반, 보관시에 걸림편이 유동하지 않음으로써 걸림편의 변형이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uncut joint is formed on a line of the cutout groove, the hook piece does not flow during packaging, transportation, or storage,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catch piece.
또한, 걸림편이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슬리브 몸체를 감싸 쥔 손가락이 상, 하측으로 지지될 수 있어서 보다 더 안정적으로 컵 용기를 감싸 쥘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ngaging piece is formed of a pair formed spaced apart up and down, the fingers caught by the sleeve body can be supported up and down, it can be wrapped around the cup container more stably.
또한, 걸림편의 내,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경화성 용액이 도포되거나 보강테잎이 부착됨으로써 걸림편의 돌출성이나 돌출 정도가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In addition, the curable solution is appli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locking piece or the reinforcing tape is attached,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that the protrusion or protrusion of the locking piece can be improved.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 2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걸림편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걸림편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걸림편의 다양한 형성 방향을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b에 도시된 단열 슬리브의 사용 상태도이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ulating sleeve of the cup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ngaging piece shown in Figure 2a, Figure 3a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ocking piece shown in FIG. 3A, and FIGS. 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forming directions of the locking piece shown in FIGS. 2A to 3B. 5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heat insulating sleeve shown in FIG. 2B.
도 6은 도 3b에 도시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a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단열 슬리브의 전개도이며, 도 8a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단열 슬리브의 전개도이며, 도 9a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단열 슬리브의 전개도이며, 도 10a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단열 슬리브의 전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heat insulating sleeve of the cup container shown in FIG. 3B, and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insulating sleeve of the cup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shown in FIG. 7A. 8A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insulating sleeve of a cup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 developed view of the heat insulating sleeve shown in FIG. 8A, and FIG. 9A is a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ng sleeve of the cup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IG. 9B is an exploded view of the insulating sleeve shown in FIG. 9A, and FIG. 10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ng sleeve of the cup contain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B is an exploded view of the thermal insulation sleeve shown in FIG. 10A.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1)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몸체(100)와, 걸림편(200)이 포함된다.The
슬리브 몸체(100)는 플라스틱이나 종이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고려할 때 종이 재질, 예컨대 골판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골판지는 물결 모양으로 골이 형성된 골심지(중심지라고도 한다)에 라이너지(紙)라는 면이 반듯하고 빳빳한 판지를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로 붙여 형성된다.Corrugated cardboard is formed in a corrugated corrugated corrugated sheet (also referred to as a central corrugated sheet) with a liner paper with a smooth surface and glued to one or both sides.
슬리브 몸체(100)가 골판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골심지의 골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해 단열 기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When the
하기에서는 슬리브 몸체(100)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슬리브 몸체(100)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몸체는(100) 평판 형상에서 양 단부를 포개어 부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슬리브 몸체(100)는 컵 용기(10)가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101)가 형성된다. 중공부(101)를 통해 컵 용기(10)가 지지될 수 있는 슬리브 몸체(100)의 일 예로 슬리브 몸체(100)의 하부가 상부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 슬리브 몸체(100)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The
한편, 슬리브 몸체(100)는 마주보는 내측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접혀지는 것 이 허락되어 본 실시예의 단열 슬리브(1) 다수를 포장용기에 포장하거나 끈 등의 부재로 묶을 때 접은 상태로 포개어 포장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사용시, 즉 컵 용기(10)를 수용할 때에는 슬리브 몸체(100)를 벌림으로써 중공부(101)를 형성할 수 있다.In use, that is, when receiving the
걸림편(200)은 슬리브 몸체(100)의 외주면에서 절개홈(110)이 형성됨으로써 슬리브 몸체(100)의 외향(外向)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catching
절개홈(11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ㄷ'형상이면서 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대체로 'ㄷ'형상이면서 정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슬리브 몸체(100)의 외주면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대체로 'ㄷ'형상으로 된 절개홈(110)이 형성됨으로써, 절개 부위의 내측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걸림편(200)이 형성된다.By forming a cutting
걸림편(200)은 그 일단이 슬리브 몸체(100)에 일체를 이루어 구속되면서 가로방향으로 연장 방향이 형성되며, 이때 걸림편(200)의 타단은 슬리브 몸체(100)에 구속되지 않는 자유단(自由端)을 이루게 된다.The
따라서, 슬리브 몸체(100)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걸림편(200)이 슬리브 몸체(100)와 대략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게 되며, 슬리브 몸체(100) 내부로 컵이 수용되도록, 즉 중공부(101)가 형성되도록 슬리브 몸체(100)를 벌리게 되면 걸림편(200)의 타단이 슬리브 몸체(100)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면서 슬리브 몸체(100)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된다.Accordingly, in the folded state of the
외향 돌출된 걸림편(200)에 의해 사용자가 슬리브 몸체(100)를 감싸 쥐었을 때 손가락의 상측이 걸려질 수 있으며, 이로써 슬리브 몸체(100)를 감싸 쥔 손은 상향(上向)으로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When the user grips the
사용자가 슬리브 몸체(100)를 감싸 쥠을 고려할 때 상기한 절개홈(110)및 걸림편(200)은 슬리브 몸체(100)의 상부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a에서는 슬리브 몸체(100)의 상부이되 슬리브 몸체(100)의 최상단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예가 제시되고 있다.When the user considers to wrap the
도 2b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걸림편(20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In FIG. 2B, another example of the
도 2b에 도시된 바에서는 걸림편(200)의 하단에 걸림편(200)에 걸려져 접해지는 손가락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곡선부(201)가 형성된다.In FIG. 2B, the
걸림편(200)이 곡선부(201)에 의해 곡면을 이루는 손가락의 상면으로 감싸듯 접하게 됨으로써 감싸 쥔 손은 보다 안정적으로 슬리브 몸체(100)를 감싸 쥘 수 있다. 이 곡선부(201)는 본 실시예 뿐만이 아니라 하기에서 설명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의 걸림편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engaging
도 3a 및 도 3b에서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어 있다.3A and 3B are shown with respect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절개홈(110)이 슬리브 몸체(100) 외주면 상단에서 형성된 예가 제시된다.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구체적으로, 절개홈(11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몸체(100)의 외주면 상단에서 대체로 'ㄴ'형상이면서 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대체로 'ㄴ'형상이면서 역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이와 같은 절개홈(110)이 형성됨으로써 절개된 부위의 내측으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걸림편(200)이 형성된다.As the cutting
그리고, 도 3b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걸림편(200)의 다른 예로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곡선부(201)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3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제1 및 제2 실시예의 절개홈(110)은 공(共)히, 걸림편(200)이 슬리브 몸체(100)의 외향으로 돌출되는 과정에서 걸림편(200)의 테두리가 마찰하지 않는 최소한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utting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제1 및 제2 실시예의 절개홈(110)은 슬리브 몸체(100)의 외주면에서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슬리브 몸체(100)의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다수가 형성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The cutting
다시 말해, 슬리브 몸체(100)의 외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200)이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이격되어 다수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one of the locking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4a 내지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110)이 슬리브 몸체(100)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서도 형성되는 것이 손이 균형있게 걸려질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S. 4A to 4B, the
즉, 걸림편(200)이 슬리브 몸체(100)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서도 형성되는것이다.That is, the
이때, 각 걸림편(200)은 슬리브 몸체(100)로부터의 연장 방향이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 예로 도 4a에서는 한 쌍을 이루는 걸림편(200) 중 어느 하나가 대략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다른 하나가 대략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 방향이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engaging
그리고, 도 4b에서는 한 쌍을 이루는 걸림편(200) 각각이 대략 시계 방향으로, 도 4c에서는 각각이 대략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4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each pair of engaging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걸림편(200)의 연장 방향은 사용자의 손 크기나 컵을 쥐는 취향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4a to 4c,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air of engaging
도 5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일 예로서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를 들어 사용 상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5 shows an example of a state of use for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2b as an exam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몸체(100)를 감싸 쥔 손은 걸림편(200)에 의해 걸려짐으로써 상향으로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슬리브 몸체(100)를 들어올리듯 간편히 감싸 쥘 수 있으며, 더욱이 곡선부(201)가 형성된 예에서는 손가락이 감싸지듯 걸려지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슬리브 몸체(100)를 감싸 쥘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hand held by the
도 6은 앞서 설명된 단열 슬리브(1)의 실시예 중에서 도 3b에 도시된 단열 슬리브(1)의 일 예가 접혀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an example of the insulating
본 고안에 의한 단열 슬리브(1)가 컵 용기(10)를 수용하기 전, 즉 테이크 아웃점 등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기 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몸체(100)의 전면과 후면이 밀착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포장 내지 운반될 수 있다.Before the insulating
이 상태에서 걸림편(200)은 슬리브 몸체(100)에서 돌출되지 않고 슬리브 몸체(100)와 동일 평면을 이루어 위치하기 때문에 단열 슬리브(1)를 다수 포개어 포장하더라도 걸림편(200)에 의한 부피의 증가나 포장의 불편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즉 걸림편(200)이 없는 종래 컵 슬리브와 비교하여 포장 과정이나 운반 과정의 편의성 측면에서 차이점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In this state, since the
다만, 걸림편(200)은 단열 슬리브(1)의 포장이나 운반 과정 또는 테이크 아웃점 등의 매장 내에서 사용하기 전 보관 과정에서, 주변 물체와의 마찰이나 충돌에 의해 또는 운반시의 부주의에 의해 변형이나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However, the
따라서, 후술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개홈(110)에도 불구하고 걸림편(2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수단을 제시한다.Therefo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it provides a means that can be prevented damage of the
도 7a 및 도 7b에서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있다.7A and 7B are shown with respect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2 실시예의 단열 슬리브(1)를 일 예로 삼아, 절개홈(110) 길이 방향의 선(線)상에 이음부(130)가 형성된 예가 제시된다.In this embodiment, taking the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리브 몸체(100)의 외주면에 대체로 'ㄴ'형상의 절개홈(110)이 형성되나 절개홈(110)의 선(線) 상(上)에 미절개된 이어진 부분이 남아 있음으로써 걸림편(200)이 외향 돌출되지 않고 슬리브 몸체(100)와 동일 평면을 이루어 위치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 'b' shaped cutting
이때, 미절개된 이어진 부분이 바로 이음부(130)이며, 다시 말해 이음부(130)는 절개홈(110) 길이 상(上), 즉 길이 방향의 선상에서 슬리브 몸체(100)와 일체를 이루어 이어져 있는 부분을 말한다.At this time, the uncut portion is the
그리고, 이음부(130)는 상하방향의 폭을 최소화하거나, 이음부(130)의 두께를 최소화하고자 내, 외측면에 홈(131)을 형성(도면에서는 외측면에 홈이 형성되고 있다)하는 등의 형상적 특징에 기인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절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130 is provided with
이때, 외력은 사용자의 인위적 힘이 될 수 있다. 즉, 슬리브 몸체(100)에 컵 용기(10)를 수용한 상태이거나 수용하기 위해 슬리브 몸체(100)를 벌린 상태, 다시 말해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슬리브 몸체(100)가 벌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음부(130)를 절개함으로써 걸림편(200)의 돌출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external force may be an artificial force of the user. That is, when the user receives the
또는, 슬리브 몸체(100)에 컵 용기(10)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이음부(130)가 자연스럽게 절개될 수도 있다. 이때의 외력은, 컵 용기(10)를 슬리브 몸체(100) 내부로 수용하고자 컵 용기(10)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슬리브 몸체(100)를 이동시키는 사용자의 힘이 간접적 외력이 되며, 이 힘에 의해 슬리브 몸체(100)가 컵 용기(10)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컵 용기(10)를 지지할 즈음, 컵 용기(10) 소정 위치의 외주면과 이 소정 위치에 도달한 슬리브 몸체(100) 상단 내주 면의 상호 직경 차이에 의해 슬리브 몸체(100)의 상단이 더욱 벌어지려 하는 힘이 직접적 외력이 된다.Alternatively, the joint 130 may be naturally cut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이음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이음부(130)가 형성된 예가 제시된다. 이음부(130)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위치의 일 예로서 도시된 바에서는 걸림편(200)의 가로 방향 끝단이면서 최상단 부위가 되는 절개홈(110)의 선상에 이음부(130)가 형성된 예가 제시된다.At least one joint 130 may be formed, and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one joint 130 is formed is provided. As an example of the preferred position in which the joint 130 is formed,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joint 130 is formed on the line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2 실시예 중 도 3b에 도시된 예에서 이음부(130)가 형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제2 실시예의 모든 예에서 이음부(130)가 형성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joint 130 is formed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3B of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is provi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and second exemplary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Of course, the joint 130 may be formed in all examples of the second embodiment.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음부(130)가 절개홈(110)의 길이 상에서 둘 이상이 이격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wo or more of the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몸체(100)가 밀착되어 접혀질 수 있도록 슬리브 몸체(100)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접지선(102)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B, the
이 경우, 제조 편의성 측면이나, 슬리브 몸체(100)를 접은 상태에서 포개어 포장 또는 운반할 때 단열 슬리브(1)의 외관이나 걸림편(100)의 손상 방지 측면, 그리고 슬리브 몸체(100) 외주면 상에 인쇄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상표, 문구 등의 인쇄면을 고려하여, 걸림편(200)의 끝단 또는 걸림편(200)과 슬리브 몸 체(100)의 경계선 중 어느 하나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접지선(102)에 일치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on the side of manufacturing convenience, the appearance of the insulating
걸림편(200)이 슬리브 몸체(100)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서도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걸림편(200)은 그 끝단이 어느 한 쪽의 접지선(102)에 일치하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걸림편(200)은 이 걸림편(200)과 슬리브 몸체(100)와의 상호 경계선이 다른 한 쪽의 접지선(102)에 일치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이와 같은 바람직한 예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앞서 설명된 제1 내지 제2 실시예의 경우는 물론, 하기에서 설명될 제5 실시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도 6은 도 3b에서 참조되는 제2 실시예의 경우에, 어느 하나의 걸림편(200) 끝단과, 다른 하나의 걸림편(200)에서 슬리브 몸체(100)와의 경계선이 접지된 부위(접지선)에 일치하여 위치하고 있는 일 예로 볼 수 있다.Such a preferred example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but may be applied to the case of the first to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s well as to the case of the fifth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in particular, FIG. 6 is referred to in FIG. 3B.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it can be seen as an example that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end of one of the engaging
도 8a 및 도 8b에서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있다.8A and 8B are shown with respect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슬리브 몸체(100)의 외주면 상단에 가로 방향의 절개선(111)과 세로 방향의 절개선(112)으로 이루어지면서 대체로 'ㅗ' 형상을 갖는 절개홈(110)이 형성된다. 다만, 절개홈(110)의 길이 방향의 선상에 슬리브 몸체(100)와 일체를 이루는 이어진 부위, 즉 미절개된 이음부(130)가 형성되어, 이 이음부(130)가 절개됨으로써 비로소 대체로 'ㅗ' 형상을 갖는 절개홈(110)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음부(130)가 외력에 의해 절개되면, 절개홈(110)이 대체로 'ㅗ'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의해 걸림편(200)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When the joint 130 is cut by an external force, the cutting
그리고, 이 걸림편(200)은 이음부(130)의 절개와 동시에 슬리브 몸체(100)의 외향으로 돌출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이음부(130)의 절개 용이성을 고려하여 이음부(130)가 세로 방향의 절개선(112) 상단 부위에서 하나의 이음부(130)가 형성된 예를 제시하며, 물론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cutting of the joint 130, the joint 130 is shown an example in which one joint 130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이음부(130)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절개홈(110)의 선상에서 둘 이상 이격 형성될 수도 있다.(도시 생략)In addition, the joint 130 may be formed two or more spaced apart on the line of the cutt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선(10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편(200)의 각 끝단은 접지선(102)에 일치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바람직한 예는 하기에서 설명될 제6 실시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8B, the
도 9a 및 도 9b에서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있다.9A and 9B are shown with respect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의 걸림편(200)과 동일한 걸림편(210)이 형성되고, 이 걸림편(210)의 하측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지지편(220)이 더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9A, in this embodiment, the
최근 테이크 아웃점 등에서 사용되는 컵 용기 중 6온스(fl.oz) 등의 대체로 저용적 컵 용기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제시된 단열 슬리브가 충분히 적용될 수 있지만, 13온스 이상의 다소 고용적 컵 용기에 대해서는 내용물이 담겼을 때 컵 용기의 무게나 컵 용기 자체의 크기 등으로 인해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 제시된 단열 슬리브(1)가 컵 용기를 감싸 쥐는 것에 다소 안정적이지 못할 수 있다.Although the heat insulating sleeves shown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sufficiently applied to the generally low volume cup containers, such as 6 ounces (fl.oz), among the cup containers used at recent take-out points and the like, For the high-capacity cup container, the
따라서, 지지편(220)이 더 포함되어 걸림편(210)과 지지편(220)이 그 사이에서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면, 손가락의 상측은 상측에 형성된 걸림편(210)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걸려지고, 손가락의 하측은 하측에 형성된 지지편(2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비록 13온스 이상의 고용적 컵 용기라 하더라도 손가락의 상, 하측이 걸림편(210) 및 지지편(2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사용자가 컵 용기를 감싸 쥔 채 이동할 때 보다 더 안정적으로 컵 용기를 감싸 쥘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본 실시예는 이처럼 13온스 이상의 컵 용기에 대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can thus be effectively applied for cup containers of 13 ounces or more.
지지편(220)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도 9a 및 도 9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b에 참조되는 제2 실시예에서의 걸림편(200)과 동일한 걸림편(210)이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 상단에서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9a and 9b, the same
그리고, 이 걸림편(210)의 하방으로 적어도 손가락의 폭 만큼 이격되어 슬리브 몸체(100)의 외향으로 돌출되도도록 구비되는 지지편(220)이 더 포함된다.The
이때 지지편(220)은, 슬리브 몸체(100)의 외주면에 절개홈(110)으로부터 하방으로 적어도 손가락의 폭 만큼 이격되면서 대체로 'ㄷ'형상을 갖는 절개홈(120) 이 형성됨으로써 구비되며, 걸림편(210)과 마찬가지로 슬리브 몸체(1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중공부(101)가 형성되도록 벌어질 때 슬리브 몸체(100)의 외향으로 돌출된다.At this time, the
하방으로 이격 형성되는 절개홈(120)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의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역방향의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그리고 절개홈(120)은 지지편(220)이 돌출되는 과정에서 마찰하지 않는 최소한의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개홈(110, 120)은 걸림편(210) 및 지지편(220)의 돌출 과정에 장애가 되지 않는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술한 걸림편(210) 및 지지편(220)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몸체(100)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서도 형성됨으로써 슬리브 몸체(100)를 감싸 쥔 손이 균형있게 지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본 실시예에서도 걸림편(210)의 하단에 곡선부(20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더불어 손가락의 하면과 접할 수 있는 지지편(220)의 상단에도 손가락의 하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곡선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도시된 바에서는 걸림편(210)이 도 3b에서 참조되는 제2 실시예의 걸림편(200)과 동일하나, 이는 일 예로 제시된 것이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2a 내지 4c에 도시된 제1 및 제2 실시예의 모든 걸림편(200)의 예에서도 그 하측에 상술한 바의 지지편(220)이 함께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ngaging
뿐만 아니라,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7a 내지 7b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3 실시예의 경우에도 슬리브 몸체(100)의 외주면에 절개홈(110)의 하방으로 적어도 손가락의 폭 만큼 이격되어 대체로 'ㄷ'형상을 갖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절개홈이 형성되고, 이 하방으로 이격 형성된 절개홈의 길이 상에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이음부(13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이음부가 형성됨으로써, 이 이음부의 절개에 따라 상술한 지지편(220)과 같은 지지편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B is also spaced at least by the width of the finger below the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있다.10A and 10B are shown with respect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슬리브 몸체(100) 외주면 상단에 대체로 'ㅗ' 형상을 갖는 절개홈(110)이 형성되고, 이 절개홈(110)의 하방으로 적어도 손가락의 폭 만큼 이격되어 대체로 '工' 형상을 갖는 절개홈(120)이 형성되어, 상측에 형성된 절개홈(110) 형성 부위에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편(230)이, 그리고 하측에 형성된 절개홈(120) 형성 부위에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편(240)이 형성된다.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걸림편(230) 및 지지편(240)은 전술한 다른 실시예의 걸림편(200, 210), 지지편(220)과 마찬가지로 슬리브 몸체(1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중공부(101)가 형성되도록 벌어질 때 슬리브 몸체(100) 외향으로 돌출된다.The
본 실시예는 이처럼 한 쌍의 걸림편(230)과 한 쌍의 지지편(240)이 구비되는 점에서 전술한 각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at a pair of engaging
걸림편(230) 및 지지편(240)은 전술한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몸체(100) 외주면의 대향되는 위치에서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tching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슬리브 몸체(100)의 외주면에는 절개홈(110, 120)의 길이 상에 앞서 설명된 이음부(13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이음부가 형성되어 이 이음부의 절개에 따라 걸림편(230) 및 지지편(240)이 슬리브 몸체(100)의 외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또한, 걸림편(230)의 하단에 전술한 곡선부(201)과 동일한 곡선부(도시 생략)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절개홈(110, 120) 또한 걸림편(230) 및 지지편(240)이 돌출되는 과정에서 마찰하지 않는 최소한의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e curved portion (not shown) as the aforementioned
도 11에서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제6 실시예의 사용상태가 도시되고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을 걸림편(210)과 지지편(220)의 사이에 위치시켜 슬리브 몸체(100)를 안정적으로 감싸 쥘 수 있다.In FIG. 11, a state of use of the sixth embodiment shown in FIGS. 9A and 9B is shown, and as shown, the user places a finger between the
도 12a 와 12b는 제 7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12A and 12B show a seventh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술한 "ㅗ"자형의 변형 실시예로써 "ㅛ"자형에 근접한다. 실제로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ㅡ"에 "V"자가 겹쳐진 즉 아래가 만나는 "" 형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컵 용기를 수용할 경우 손가락등에 걸려지는 걸림편이 더 효과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이다.As shown, this embodiment is a variation of the above-described "ㅗ" shape, which is close to the "ㅛ" shape. In fact, as shown in the drawing, "V" is superimposed on "-", that is, " Mold is preferred, because the receiving piece caught on the finger or the like is more effectively produced when the cup container is accommodat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ㅛ"자 부분에 의해 또는 "" 자 부분에 의해 생성되는 걸림편은 외관 디자인을 개선한 선단부가 완곡하게 되는 "" 자 절개홈일 수도 있고, 이것 또한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사상에 벗어나지 않음은 명백하다.Also preferably by the "ㅛ" portion or " "The jam piece created by the ruler part has a curved tip that improves the appearance design." “It may be a self cutting groove, and it is obvious that this also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도 12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111)과 절개홈(113)을 통하여 버려지는 역삼각형부(119)는 실제 접착시에는 있을 수도 있고 또 아예 미리 제거되어 없을 수도 있다. 즉 골판지와 라이너지로 이루어진 원지나 기타 두꺼운 종이를 절단하는 톰슨 프레스 과정에서 아예 버려지게 되거나, 아니면 접착기(도시되지 않음)에서 절단 공정을 통하여 생성되어 제거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2A, the
아니면, 도 12b 에서과 같이, 잔류되는 역삼각형부(119')는 이음부(130)를 통해 일단 붙어 있다가(이것의 장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시나 생산 공정시 발생될 수 있는 걸림편을 보호하는 역할임) 나중에 사용자가 간단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간단히 제거하는 재미도 가미되는 효과도 있다.Otherwise, as shown in FIG. 12B, the remaining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술한 제1 내지 제6 실시예의 단열 슬리브(1)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걸림편(200), 그리고 제5 및 제6 실시예의 걸림편(210, 230) 및 지지편(220, 240)의 돌출성과 돌출 정도, 그리고 돌출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걸림편(200, 210, 230)과 지지편(220, 240)에 경화성(硬化性) 용액이 도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insulating
구체적으로, 걸림편(200, 210, 230)과 지지편(220, 240) 각각의 내측면 및 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경화성 용액이 도포될 수 있으며, 이때 경화 성 용액은 이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서 연장되는 슬리브 몸체(100)와의 경계 부위까지 포함하여 연장 도포된다.Specifically, the curable solution may be applied to any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engaging
경화성 용액으로는 주위에서 흔히 취급되는 풀이나 본드 등과 같은 경화성 접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고, 그외 경화성(硬化性)을 갖는 액체 성분의 다양한 경화성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curable solution, a curable adhesive such as glue or bond, which is commonly used in the surroundings, may be used, and various curable solutions of a liquid component having a curable property may be used.
도포된 경화성 용액이 건조하여 굳어지면 상술한 경계 부위를 포함하여 걸림편(200, 210, 230)과 지지편(220, 240) 각각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은 경화성 용액이 도포되지 않은 슬리브 몸체(100) 부위보다 다소 더 빳빳한 면을 형성하게 된다.When the applied curable solution is dried and hardened, one side or both sides of each of the engaging
이로써 걸림편(200, 210, 230)과 지지편(220, 240)은, 보다 더 확실한 돌출성을 보이면서 슬리브 몸체(100)의 외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engaging
또한 걸림편(200, 210, 230)과 지지편(220, 240)의 기능 발휘에 충분한 정도의 돌출폭(돌출 정도)를 보이게 되며, 이에 수반하여 이와 같은 돌출성 및 돌출 정도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width (protrusion degree) sufficient to exhibit the function of the engaging pieces (200, 210, 230) and the support pieces (220, 240) is shown,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uch protrusion and protrusion degree do.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술한 경화성 용액을 도포하는 대신에 보강 테잎이 부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reinforcing tape may be attached instead of applying the above-described curable solution.
부착 테잎 또한 경화된 경화성 용액과 마찬가지로 걸림편(200, 210, 230)과 지지편(220, 240)의 돌출성, 돌출 정도의 향상과 돌출의 신뢰성 향상에 도움을 주게 된다.The adhesive tape also helps to improve the protrusion, the degree of protrusion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otrusion of the locking
더불어, 걸림편(200, 210, 230)과 지지편(220, 240)에 도포되어 경화된 경화성 용액이나 부착된 보강테잎은 전술한 기능 및 이점에 수반하여 걸림편(200, 210, 230)과 지지편(220, 240)의 흡습을 방지하는 코팅층의 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urable solution or attached reinforcing tape applied to the engaging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단열 슬리브(1)가 종이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걸림편(200, 210, 230)과 지지편(220, 240) 또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습기나 물기를 쉽게 품게 되며, 이로 인해 걸림편(200, 210, 230)과 지지편(220, 240)이 쉽게 휘어지거나 손상될 수 있어서 걸림편(200, 210, 230)과 지지편(220, 240)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하지만, 전술한 경화성 용액이 도포되거나 보강테잎이 부착된 경우에는 경화된 경화성 용액이나 부착된 보강테잎이 걸림편(200, 210, 230)과 지지편(220, 240)의 면 상에서 코팅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걸림편(200, 210, 230)과 지지편(220, 240)의 흡습을 방지하게 되며, 이로써 상술한 흡습에 따른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above-mentioned curable solution is applied or the reinforcing tape is attached, the cured curable solution or the attached reinforcing tape forms a coating layer on the surfaces of the catching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그 일 예로, 상술한 바에서는 컵 용기(10)에 담아지는 내용물이 뜨거운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가운 경우에도 찬 온도가 차단되도록 본 고안이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실시예에서는 모두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ㄴ"자형,"ㄷ"자형,"ㅛ"자형, 그외 실시예등에 의해 절개된 걸림편은 그 상단부를 유선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 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음은 당연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s an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bar,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도 1은 종래 컵 슬리브가 도시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up sleeve,
도 2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사시도,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insulating sleeve of the cup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걸림편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ngaging piece shown in Figure 2a,
도 3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사시도,3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ng sleeve of a cup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걸림편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ngaging piece shown in Figure 3a,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걸림편의 다양한 형성 방향을 나타낸 횡단면도,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forming directions of the locking pieces shown in FIGS. 2A to 3B;
도 5는 도 2b에 도시된 단열 슬리브의 사용 상태도,5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insulating sleeve shown in FIG.
도 6은 도 3b에 도시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sleeve of the cup container shown in Figure 3b is folded,
도 7a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사시도,7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ng sleeve of a cup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단열 슬리브의 전개도,FIG. 7B is an exploded view of the thermal insulation sleeve shown in FIG. 7A;
도 8a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사시도,8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ng sleeve of a cup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단열 슬리브의 전개도,FIG. 8B is an exploded view of the thermal insulation sleeve shown in FIG. 8A;
도 9a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사시 도,9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ng sleeve of a cup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단열 슬리브의 전개도,FIG. 9B is an exploded view of the thermal insulation sleeve shown in FIG. 9A;
도 10a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사시도,10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ng sleeve of a cup contai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단열 슬리브의 전개도이다.FIG. 10B is an exploded view of the thermal insulation sleeve shown in FIG. 10A.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5 실시예에 의한 단열 슬리브의 사용 상태도이다.11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insulating sleev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
도 12a 및 12b는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ㅛ"자 형상의 절개홈을 적용한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에 관한 전개도이다.12A and 12B are exploded views of a heat insulating sleeve of a cup container to which a cut groove having a “ㅛ” shap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 10; 컵 용기One; Insulating
100; 슬리브 몸체 101; 중공부100;
110, 120; 절개홈 111, 112; 절개선110, 120;
130; 이음부 131; 홈130;
200, 210, 230; 걸림편 201, 202; 곡선부200, 210, 230; Locking
220, 240; 지지편220, 240; Support
Claims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9989U KR20100008283U (en) | 2009-02-10 | 2009-07-30 | The insulating sleeve for cu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1420 | 2009-02-10 | ||
KR2020090002108 | 2009-02-25 | ||
KR2020090009989U KR20100008283U (en) | 2009-02-10 | 2009-07-30 | The insulating sleeve for cup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3674U Division KR20120003443U (en) | 2009-02-10 | 2012-05-03 | The insulating sleeve for cu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8283U true KR20100008283U (en) | 2010-08-19 |
Family
ID=4445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9989U KR20100008283U (en) | 2009-02-10 | 2009-07-30 | The insulating sleeve for cu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8283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52215A (en) * | 2012-05-03 | 2012-05-23 | 최병철 | Production method for disposable cup sleeve |
KR102260487B1 (en) * | 2020-03-26 | 2021-06-21 | 주식회사 리와인드 | Functional cup holder improved assembly convenience |
-
2009
- 2009-07-30 KR KR2020090009989U patent/KR20100008283U/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52215A (en) * | 2012-05-03 | 2012-05-23 | 최병철 | Production method for disposable cup sleeve |
KR102260487B1 (en) * | 2020-03-26 | 2021-06-21 | 주식회사 리와인드 | Functional cup holder improved assembly convenien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23008B2 (en) | Insulation sleeve for cup | |
US6364151B1 (en) | Cup holder | |
US6032826A (en) | Cup holder | |
US20090200322A1 (en) | Beverage container holder | |
US9826850B2 (en) | Cup sleeve with hinged bottom | |
US20060102637A1 (en) | One-handed meal and beverage holder | |
KR101243076B1 (en) | Paper cup holder | |
KR20100008283U (en) | The insulating sleeve for cup | |
US20120160859A1 (en) | Cup Holder and Cup with Handle | |
JP2009120213A (en) | Paper-made container | |
KR20120003443U (en) | The insulating sleeve for cup | |
KR20200015366A (en) | Carrying handle | |
KR20110003713U (en) | Cup holder | |
US10376081B2 (en) | Cup holders | |
KR20100011199U (en) | Cup holder | |
KR20120001792U (en) | A Cup Holder Having Grips | |
US20040262483A1 (en) | Scald-preventive disposable cup holder | |
JP3195580U (en) | Structure of packaging container with cardboard jacket | |
KR100905739B1 (en) | Cup holder | |
KR102349203B1 (en) | Functionality Cup Holder | |
KR20110097105A (en) | The disposable cup the holder installed | |
KR20110009223U (en) | cup sleeve | |
TWI542519B (en) | A cup with a handle | |
US9603474B2 (en) | Cup holder with a handle | |
KR20150022227A (en) | Beverage container with thermal insulating grip w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U106 |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