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128A - 벤딩 스트로 - Google Patents

벤딩 스트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128A
KR20100008128A KR1020080068544A KR20080068544A KR20100008128A KR 20100008128 A KR20100008128 A KR 20100008128A KR 1020080068544 A KR1020080068544 A KR 1020080068544A KR 20080068544 A KR20080068544 A KR 20080068544A KR 20100008128 A KR20100008128 A KR 20100008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traw
elastic
beverage container
upp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제복
Original Assignee
조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제복 filed Critical 조제복
Priority to KR102008006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8128A/ko
Publication of KR2010000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관(100); 상기 상부관(100)의 하단부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관(100)과 별개의 조각을 이루는 하부관(200); 및, 상기 상부관(100)의 하부 및 상기 하부관(200)의 상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부관(100)과 상기 하부관(200)을 하나로 연결하는 탄성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관(300) 내부에서 상기 상부관(100)의 하단면부와 상기 하부관(200)의 상단면부가 서로 접촉될 정도로 밀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탄성관(300)은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관(100) 하부 및 상기 하부관(200) 상부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트로에 관한 것이다.
상부관, 하부관, 탄성관, 쐐기형상, 경사면

Description

벤딩 스트로{Bending Straw}
본 발명은 음료용 스트로(straw)에 관한 것인데, 보다 상세히는 상부관(100); 상기 상부관(100)의 하단부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관(100)과 별개의 조각을 이루는 하부관(200); 및, 상기 상부관(100)의 하부 및 상기 하부관(200)의 상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부관(100)과 상기 하부관(200)을 하나로 연결하는 탄성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관(300) 내부에서 상기 상부관(100)의 하단면부와 상기 하부관(200)의 상단면부가 서로 접촉될 정도로 밀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탄성관(300)은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관(100) 하부 및 상기 하부관(200) 상부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트로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 섭취 시 보조용 기구로 사용되는 스트로의 경우 장식적인 요소를 함께 추구하는 것과 함께 음료수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적인 요소만을 추구하는 것이 있다.
즉, 접은 종이를 사용한 장신구를 부착하여 심미감을 추구하는 장식적인 스트로가 있는 반면, 스트로의 길이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늘어나는 망원경 스트로, 상부에 벨로우즈가 구비되어 휘어지는 플랙시블 스트로, 슬러쉬 등과 같은 작은 알갱이를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도록 하단부에 스푼이 구비된 스트로 등과 같이 기능적인 스트로가 있다.
이러한 종래 방식의 스트로를 이용하여 뚜껑이 있는 음료수 용기에 들어있는 음료수를 섭취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뚜껑을 개방하고 음료수 용기의 입구에 스트로를 넣어서 음료수를 섭취하게 되는데, 음료수 섭취 도중에 뚜껑을 닫았다가 나중에 다시 마시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럴 경우 종래의 스트로의 경우 직접 손으로 스트로의 상단부를 잡고 벤딩하여 음료수 용기 내부에 밀어 넣거나, 망원경 스트로의 경우 돌출된 내부스트로를 다시 밀어 넣거나, 아니면 스트로 자체를 음료수 용기에서 제거한 후 뚜껑을 닫게 되는데, 나중에 다시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서는 뚜껑을 개방한 후 벤딩된 스트로의 상단부를 다시 손으로 잡고 음료수 용기의 외부로 돌출시켜야 하는데,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행위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스트로를 제거한 경우에는 새로운 스트로를 사용하여야만 하는데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수반되며, 여분의 스트로가 준비되지 못한 경우에는 그냥 마셔야만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필요시 사용중인 스트로를 벤딩하여 음료수 용기 내부에 수납할 수 있고, 음료수 용기의 뚜껑을 다시 개방하는 경우 벤딩된 스트로의 상단부가 자동적 으로 음료수 용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스트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음료수 용기의 뚜껑을 이용하여 스트로를 벤딩시켜 스트로 전체를 음료수 용기의 내부에 밀어 넣은 상태에서 음료수 용기의 뚜껑을 닫을 수 있고, 다시 음료수 용기의 뚜껑을 개방하는 경우 스트로 자체의 탄성력으로 벤딩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스트로의 상단부가 음료수 용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스트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상부관(100); 상기 상부관(100)의 하단부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관(100)과 별개의 조각을 이루는 하부관(200); 및, 상기 상부관(100)의 하부 및 상기 하부관(200)의 상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부관(100)과 상기 하부관(200)을 하나로 연결하는 탄성관(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관(300) 내부에서 상기 상부관(100)의 하단면부와 상기 하부관(200)의 상단면부가 서로 접촉될 정도로 밀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탄성관(300)은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관(100) 하부 및 상기 하부관(200) 상부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료수 용기의 뚜껑을 이용하여 스트로를 벤딩시켜 스트로 전체를 음료수 용기의 내부에 밀어 넣은 상태에서 음료수 용기의 뚜껑을 닫을 수 있고, 다시 음료수 용기의 뚜껑을 개방하는 경우 스트로 자체의 탄성력으로 벤딩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스트로의 상단부가 음료수 용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필요시 언제든지 스트로를 이용하여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스트로의 과도한 낭비를 방지하여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음료수 섭취 도중에 뚜껑을 닫았다가 나중에 다시 마시는 경우에도 처음 사용한 스트로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 개선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셋째, 스트로의 위생적 취급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손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음료수 용기 내부에 스트로를 보관할 수 있고 수시로 뚜껑을 개방하여 스트로를 이용할 수 있는 바, 손의 접촉에 기인한 세균 감염을 사전에 방지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부관(100), 하부 관(200) 및 탄성관(3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고, 도2는 (a)벤딩된 상태의 탄성관(300) 단면 및 (b)복원된 상태의 탄성관(300) 단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상부관(100), 하부관(200), 및 상부관(100)과 하부관(200)을 하나로 연결하는 탄성관(300)으로 구성된다.
상부관(100)과 하부관(200)은 별개의 조각을 이루고 있으며, 스트로의 본체를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가 된다.
상부관(100)은 일반적인 관 형상의 스트로와 유사하다.
하부관(200)은 상부관(100)보다 짧은 관 형상을 하고 있는데, 하부관(200)과 상부관(100)의 길이 비율이 일정 수치로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하부관(200)의 하단부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상(210)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쐐기형상(210)을 하고 있는 이유는 하부관(200)에 수직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 하부관(200)이 경사면(211)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함인데, 하부관(200)이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탄성관(300)에서 벤딩이 발생되어 스트로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탄성관(300)은 상부관(100)의 하부 및 하부관(200)의 상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부관(100)과 하부관(200)을 하나로 연결하게 되며, 탄성관(300)은 탄성력을 가지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만들어지는데,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라텍스(latex)를 사용하였다.
탄성관(300) 내부에서 상부관(100)의 하단면부와 하부관(200)의 상단면부가 서로 접촉될 정도로 밀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탄성관(300)은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관(100) 하부 및 하부관(200) 상부에 끼워진 상태(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음료수 용기에 담겨진 스트로의 상부관(100) 상단부를 누르게 되면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관(200)이 쐐기형상(210)의 경사면(211)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서로 접촉될 정도로 밀접하게 위치하고 있던 상부관(100)의 하단면부와 하부관(200)의 상단면부의 일측이 서로 이격되고 그 외측에 있는 탄성관(300)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벤딩이 일어나면서 스트로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스트로의 상부관(100) 상단부를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탄성관(300)의 탄성력에 의하여 늘어난 탄성관(300) 부위가 원상회복되고 이격되었던 상부관(100)의 하단면부와 하부관(200)의 상단면부의 일측이 다시 서로 접촉될 정도로 밀접하게 위치하면서 도2(b)와 같은 상태로 복귀된다.
도3은 음료수 용기에 담겨져 사용 중인 스트로가 뚜껑을 닫은 경우 탄성관(300)이 벤딩되어 음료수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시 뚜껑을 여는 경우 탄성관(3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회복되어 음료수 용기의 입구로 돌출되는 각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 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부관(100), 하부관(200) 및 탄성관(3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다.
도2는 (a)벤딩된 상태의 탄성관(300) 단면 및 (b)복원된 상태의 탄성관(300) 단면을 도시한다.
도3는 음료수 용기에 담겨져 사용 중인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가 뚜껑을 닫은 경우 외부탄성관(130)이 벤딩되어 음료수 용기에 내부에 수용되고, 다시 뚜껑을 여는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회복되어 음료수 용기의 입구로 돌출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상부관
200:하부관
210:쐐기형상
211:경사면
300:탄성관

Claims (3)

  1. 음료용 스트로(straw)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관(100);
    상기 상부관(100)의 하단부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관(100)과 별개의 조각을 이루는 하부관(200); 및,
    상기 상부관(100)의 하부 및 상기 하부관(200)의 상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부관(100)과 상기 하부관(200)을 하나로 연결하는 탄성관(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관(300) 내부에서 상기 상부관(100)의 하단면부와 상기 하부관(200)의 상단면부가 서로 접촉될 정도로 밀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탄성관(300)은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관(100) 하부 및 상기 하부관(200) 상부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트로.
  2. 제1항에서,
    상기 탄성관(300)은 연질의 고무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트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하부관(200)의 하단부는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절개되어 쐐 기형상(210)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트로.
KR1020080068544A 2008-07-15 2008-07-15 벤딩 스트로 KR20100008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544A KR20100008128A (ko) 2008-07-15 2008-07-15 벤딩 스트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544A KR20100008128A (ko) 2008-07-15 2008-07-15 벤딩 스트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128A true KR20100008128A (ko) 2010-01-25

Family

ID=4181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544A KR20100008128A (ko) 2008-07-15 2008-07-15 벤딩 스트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81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0258B2 (en) 2016-03-10 2020-05-0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e comprising a drinking device restricted to move in a pre-determined plane
US10703530B2 (en) 2016-03-10 2020-07-0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Hollow body to be attached to a packag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aid hollow bod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0258B2 (en) 2016-03-10 2020-05-0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e comprising a drinking device restricted to move in a pre-determined plane
US10703530B2 (en) 2016-03-10 2020-07-0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Hollow body to be attached to a packag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aid hollow bod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714B1 (ko) 탄성수단이 구비된 슬라이딩 스트로
KR200386819Y1 (ko) 빨대
KR20100008128A (ko) 벤딩 스트로
USD540449S1 (en) Toilet seat urine shield
KR101076388B1 (ko) 벤딩 스트로
US9826866B2 (en) Portable urinal
KR20210057594A (ko) 분리세척 가능한 조립식 빨대 세트
JP3064432U (ja) 飲料容器用蓋
US6505354B1 (en) Urinal
CN216602386U (zh) 一种儿童水杯
US20230399156A1 (en) Dual-purpose cup
KR200375757Y1 (ko) 빨대를 내장한 음료 저장용 팩.
JP3068268U (ja) ペットボトル用キャップ
KR200348167Y1 (ko) 내장된 스트로우가 자동으로 돌출 되는 캔 용기
KR200379689Y1 (ko) 빨대를 내장한 음료 저장용 컵.
JP2001186974A (ja) 飲料用ストロー及び該飲料用ストローを備える容器
KR200351677Y1 (ko) 빨대 상단에 돌출부를 돌출 수용케한 음료수용 병
CN104495009B (zh) 一种卫生易拉罐
KR20130012699A (ko) 일체형 연질튜브 스트로
KR200185099Y1 (ko) 빨대를 갖는 종이컵의 빨대 구조
KR200459401Y1 (ko) 음료수의 흡입공이 개폐가능한 컵뚜껑
CN201124975Y (zh) 保洁易拉罐
CN205875340U (zh) 一种坐便器连接防臭器
KR200214273Y1 (ko) 위생캔
JP3098163U (ja) ペットボトル用ストロー浮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