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067A -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067A
KR20100008067A KR1020080068463A KR20080068463A KR20100008067A KR 20100008067 A KR20100008067 A KR 20100008067A KR 1020080068463 A KR1020080068463 A KR 1020080068463A KR 20080068463 A KR20080068463 A KR 20080068463A KR 20100008067 A KR20100008067 A KR 20100008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master
synchronization
cable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7022B1 (ko
Inventor
강승우
박진수
김치돈
고영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0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66C23/525Double slewing cranes on shi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5Control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8Remote control of electric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상선블록이나 해양구조물 등 해상크레인 2대 이상을 이용하여 인양 후 탑재 또는 이동함에 있어서, 1대의 해상크레인에서 적어도 2대 이상의 해상크레인을 동기화 작업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해상작업을 할 수 있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 크레인의 전기실에 설치되며 CPU(114),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116), 이더넷 모듈(118)을 구비하여 프로그램 로직 제어기능을 하는 마스터 PLC(110); 상기 마스터 PLC(110)의 CPU(114)와 연결되며, 우현에 각각 설치되어 동기화 작업을 위한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a)(120b); 상기 마스터 PLC(110)의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116)와 연결되며, 인버터(132)를 통하여 발라스트를 제어하기 위한 발라스트 컨트롤 데크(130); 상기 마스터 PLC(110)의 이더넷 모듈(118)과 연결되며, 허브(142)를 통하여 컴퓨터를 로딩시키기 위한 로딩 컴퓨터(140); 슬레이브 크레인의 전기실에 설치되며 CPU(214),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216), 이더넷 모듈(218)을 구비하여 프로그램 로직 제어기능을 하는 마스터 PLC(210); 상기 마스터 PLC(210)의 CPU(214)와 연결되며, 좌현에 각각 설치되어 동기화 작업을 위한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220a)(220b); 상기 마스터 PLC(210)의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216)와 연결되며, 인버터(232)를 통하여 발라스트 데크를 제어하기 위한 발라스트 컨트롤 데크(230); 상기 마스터 PLC(210)의 이더넷 모듈(218)과 연결되며, 허브(242)를 통하여 컴퓨터를 로딩시키기 위한 로딩 컴퓨터(240); 및 상기 마스터 크레인의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b)와 상기 슬레이브 크레인의 제1 동기화 로컬박스(220a) 간을 상호 동조화하기 위해 연결되며, 동기 대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을 제시한다.
Figure P1020080068463
해상크레인, 마스터 크레인, 슬레이브 크레인, 동기화 작업

Description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Synchronized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상선블록이나 해양구조물 등 해상크레인 2대 이상을 이용하여 인양 후 탑재 또는 이동함에 있어서, 1대의 해상크레인에서 적어도 2대 이상의 해상크레인을 동기화 작업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해상작업을 할 수 있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주문으로 시작하여 설계, 건조, 인도로 이루어지는 조선공업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업상의 채산성에 의해 그 산업의 생존 및 성공이 판가름 지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채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한가지는 선박의 건조 방식에서 나타나는 생산성이며, 모든 조선공업은 선박 건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블록건조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상기 블록 건조법은 우선 선체를 수십 개 혹은 수백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그 개개의 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 제작하고, 제작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드라이 도크 또는 육상 선대 위에 탑재하여 하나의 선체로 조립해 내는 방법이다.
블록의 형상에 따라 가장 적합한 공장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법으로 만들어 완성된 블록들은 도장이 이루어진다.
이후, 도장까지 마친 블록들은 탑재기간을 줄이기 위하여 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중량범위까지 몇 개의 블록씩 결합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블록을 하나로 결합시키는 작업을 PE(Pre-Erection)라 한다.
상기 PE 작업은 여러 개의 소형 블록들을 하나의 큰 블록으로 뭉쳐서, 한번에 탑재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선박의 생산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PE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대형 선체 블록을 운반 및 탑재할 수 있는 크레인의 작업 용량이 커야 한다.
이러한 종래의 해상 크레인 구조는 해수면에 떠있는 크레인의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 상향으로 뻗어 있는 붐(boom); 선체 블록을 끌어 올리는데 사용하는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선체 블록과 와이어 로프를 고정시키는 새클(shackle)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운반할 선체 블록을 상기 새클에 걸고, 상기 새클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를 끌어 올리면, 선체 블록은 상기 해상 크레인의 붐 방향으로 상향 이동된다.
이후, 선체 블록을 인양한 상기 해상 크레인은 선체 블록이 탑재되어야 할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선체 블록이 탑재되어야 할 위치로 이동한 해상 크레인은 다시 상기 와이어 로프를 풀어 내려서, 선체 블록을 정해진 위치에 안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해상 크레인은 운반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허용 중량이 정해져 있어 정해진 중량을 초과한 대형블록의 운반작업에는 사용되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예컨대 4000톤 이상의 기가 블록을 이용한 블록 건조법을 도입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종래의 해상 크레인 2대 이상을 연결한 작업에서는 단순히 크레인 바지(barge) 간의 연결한 후 각각의 제어실에서 따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즉, 하드웨어적으로 와이어(Wire) 또는 핀(Pin) 간의 연결로 고정하고, 각각의 크레인은 통신장비를 이용하여 각자 제어실에서 조작하였다.
또한, 해상 작업 시 물건을 인양 후 계선설비(mooring) 또는 앵커윈치(anchoring winch)를 이용하여 전/후진 기능만 가능(회전이동 불가)함으로써 불안전한 요소가 항상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마스터 크레인에서 슬레이브 크레인의 훅(hook) 인양과 붐(boom) 각도 조절 및 동시 조작 기능을 확보함으로써 인양물의 하중 이동, 외부환경의 변화 및 특이 사항 시 2대 이상의 크레인을 1대에서 동시 조작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해상크레인의 연동작업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 크레인의 전기실에 설치되며 CPU(114),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116), 이더넷 모듈(118)을 구비하여 프로그램 로직 제어기능을 하는 마스터 PLC(110); 상기 마스터 PLC(110)의 CPU(114)와 연결되며, 우현에 각각 설치되어 동기화 작업을 위한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a)(120b); 상기 마스터 PLC(110)의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116)와 연결되며, 인버터(132)를 통하여 발라스트를 제어하기 위한 발라스트 컨트롤 데크(130); 상기 마스터 PLC(110)의 이더넷 모듈(118)과 연결되며, 허브(142)를 통하여 컴퓨터를 로딩시키기 위한 로딩 컴퓨터(140);
슬레이브 크레인의 전기실에 설치되며 CPU(214),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216), 이더넷 모듈(218)을 구비하여 프로그램 로직 제어기능을 하는 마스터 PLC(210); 상기 마스터 PLC(210)의 CPU(214)와 연결되며, 좌현에 각각 설치되어 동기화 작업을 위한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220a)(220b); 상기 마스터 PLC(210)의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216)와 연결되며, 인버터(232)를 통하여 발라스트 데크를 제어하기 위한 발라스트 컨트롤 데크(230); 상기 마스터 PLC(210)의 이더넷 모듈(218)과 연결되며, 허브(242)를 통하여 컴퓨터를 로딩시키기 위한 로딩 컴퓨터(240); 및 상기 마스터 크레인의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b)와 상기 슬레이브 크 레인의 제1 동기화 로컬박스(220a) 간을 상호 동조화하기 위해 연결되며, 동기 대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 크레인에서 슬레이브 크레인의 훅(hook) 인양과 붐(boom) 각도 조절 및 동시 조작 기능을 확보함으로써 하드웨어적 시스템 연결 상태로 전/후진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마스터 크레인(master crane)에서 슬레이브 크레인(slave crane)을 단독운전 함으로써 기존 통신장비를 이용하는 방법에서 유발될 수 있는 위험 요소가 제거 가능하므로 안전한 해상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동기화 작업 시스템은 마스터 크레인의 전기실 에 설치되며 CPU(114),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Profi-Bus Communicator)(116), 이더넷 모듈(Ethernet Module)(118)을 구비하여 프로그램 로직 제어기능을 하는 마스터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110); 상기 마스터 PLC(110)의 CPU(114)와 연결되며, 우현에 각각 설치되어 동기화 작업을 위한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a)(120b); 상기 마스터 PLC(110)의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116)와 연결되며, 인버터(INV)(132)를 통하여 발라스트를 제어하기 위한 발라스트 컨트롤 데크(Ballast Control Deck)(130); 상기 마스터 PLC(110)의 이더넷 모듈(118)과 연결되며, 허브(HUB)(142)를 통하여 컴퓨터를 로딩시키기 위한 로딩 컴퓨터(Loading Computer)(140); 슬레이브 크레인의 전기실에 설치되며 PC(212), CPU(214),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Profi-Bus Communicator)(216), 이더넷 모듈(Ethernet Module)(218)을 구비하여 프로그램 로직 제어기능을 하는 마스터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210); 상기 마스터 PLC(210)의 CPU(214)와 연결되며, 좌현에 각각 설치되어 동기화 작업을 위한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220a)(220b); 상기 마스터 PLC(210)의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216)와 연결되며, 인버터(INV)(232)를 통하여 발라스트 데크를 제어하기 위한 발라스트 컨트롤 데크(Ballast Control Deck)(230); 상기 마스터 PLC(210)의 이더넷 모듈(218)과 연결되며, 허브(HUB)(242)를 통하여 컴퓨터를 로딩시키기 위한 로딩 컴퓨터(Loading Computer)(240); 및 상기 마스터 크레인의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b)와 상기 슬레이브 크레인의 제1 동기화 로컬박스(220a) 간을 상호 동조화하기 위해 연결되며, 동기 대기신호(Synchro Ready Signal)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Communication Cable)(3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2대의 마스터와 슬레이브 해상크레인 제어는 마스터 크레인(Master Crane)에서 제어하며, 필요 시 2대의 해상크레인이 개별적으로도 작동이 가능하다.
상기 마스터 크레인의 전기실에 설치된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Profi-Bus Communicator)(116)는 자동 및 공정 처리를 위한 네트워크 통기기기를 나타내며, 이더넷 모듈(Ethernet Module)(118)은 컴퓨터 네트워크 신호를 근거리에서 처리하기 위한 통신기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상기 해상크레인은 적어도 2대 이상이 통신 케이블(300)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기화 작업 시스템의 마스터 크레인의 전기실 내부 상세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마스터 크레인의 전기실에 구성된 마스터 컨트롤 패널(Master Control Panel)로부터 동기화 로컬박스(Synchro Local Box) 및 케이블 릴(Cable Reel)에 연결되는 신호전송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마스터 크레인의 전기실에 설치되며 AC110V 전원, 중앙처리장치(CPU MPI) 및 입출력 접속부(I/O Interconnection)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마스터 컨트롤 패널(Master Control Panel)(100);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10)의 제어신호를 각각 여러 종류의 케이블(Cable)을 통하여 전송 받으며, 슬레이브 크레인과의 동조화 작업을 위한 제1 동기화 로컬박스(Synchro Local Box)(120a);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00)의 AC110V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AC110V 전원을 제1 리피터(Repeater)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제1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Unit)(122a);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00)의 중앙처리장치(CPU MPI)과 연결되며, 네트워크 케이블로 사용되는 프로피-버스 케이블(Profi-bus cable)에 의해 전송되는 크레인의 작동 신호를 증폭하는 제1 리피터(Repeater)(124a);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00)의 입출력 접속부(I/O Interconnection)와 연결되며, 크레인 동조 운행에 필요한 입출력(I/O) 신호 및 크레인 제어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케이블을 한 개의 케이블에 연결하는 제1 케이블 컨넥터(Cable Connector)(126a); 상기 동기화 로컬박스(120)와 연결되며, 슬레이브 크레인으로 복수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을 감아 놓은 제1 케이블 릴(Cable Reel)(150a);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10)의 제어신호를 각각 여러 종류의 케이블(Cable)을 통하여 전송 받으며, 슬레이브 크레인과의 동조화 작업을 위한 제2 동기화 로컬박스(Synchro Local Box)(120b);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00)의 AC110V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AC110V 전원을 제2 리피터(Repeater)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제2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Unit)(122b);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00)의 중앙처리장치(CPU MPI)과 연결되며, 네트워크 케이블로 사용되는 프로피-버스 케이블(Profi-bus cable)에 의해 전송되는 크레인의 작동 신호를 증폭하는 제2 리피터(Repeater)(124b);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00)의 입출력 접속부(I/O Interconnection)와 연결되며, 크레인 동조 운행에 필요한 입출력(I/O) 신호 및 크레인 제어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케이블을 한 개의 케이블에 연결하는 제2 케이블 컨넥터(Cable Connector)(126b); 상기 동기화 로컬박스(120)와 연결되며, 슬레이브 크레인으로 복수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을 감아 놓은 제2 케이블 릴(Cable Reel)(150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크레인에서도 마스터 크레인에서의 행위를 볼 수 있도록 슬레이브 컨트롤 패널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마스터 크레인과 슬레이브 크레인을 하드 와이어(Hard Wire)로 연결 후 마스터 크레인의 전기실에 마스터 컨트롤 패널을 설치하고, 마스터 크레인에서 슬레이브 크레인의 훅 리프팅(Hook Lifting), 붐 데릭킹(Boom Derricking) 작동의 개별 및 동시 운전에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마스터 크레인에서 슬레이브 크레인의 훅(hook) 인양과 붐(boom) 각도 조절 및 동시 조작 기능을 확보함으로써 인양물의 하중 이동, 외부환경의 변화 및 특이 사항 시 2대 이상의 크레인을 1대에서 동시 조작이 가능함으로써 해상크레인의 연동작업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식으로 구현된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에 제시된 동기화 작업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지만, 다른 점은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된 것이 다.
즉, 제1 실시 예에 제시된 통신 케이블(300)의 유선통신 방식 대신에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된 것으로서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a)(120b)(220a)(220b) 대신에 무선 송수신기(160a)(160b)(260a)(260b)가 적용되었다. 물론, 상기 무선 송수신기(160a)(160b)(260a)(260b)는 무선 데이터신호를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기기이다.
다시 말해, 도 1과 비교할 때 도 3에서는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a)(120b)(220a)(220b)가 없어지고, 그 대신에 무선 송수신기(160a)(160b)(260a)(260b)가 적용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된 동기화 작업 시스템의 마스터 크레인의 전기실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도 3과 마찬가지로 제2 실시 예에서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a)(120b) 대신에 무선 송수신기(160a)(160b)가 적용된다. 물론, 상기 무선 송수신기(160a)(160b)는 무선 데이터신호를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기기이다.
다시 말해, 도 2와 비교할 때 도 4에서는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a)(120b)(220a)(220b), 제1 및 제2 전원공급장치(122a)(122b); 제1 및 제2 리피터(124a)(124b); 제1 및 제2 케이블 컨넥터(126a)(126b); 제1 케이블 릴(150a) (150b) 가 없어지고, 그 대신에 무선 송수신기(160a)(160b)가 적용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기화 작업 시스템의 마스터 크레인의 전기실 내부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식으로 구현된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된 동기화 작업 시스템의 마스터 크레인의 전기실 내부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210: 마스터 PLC 114,214: CPU
116,216: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 118,218: 이더넷 모듈
120a,120b,220a,220b: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
130,230: 발라스트 컨트롤 데크 132,232: 인버터
140,240: 로딩 컴퓨터 142,242: 허브
160a,160b: 무선송수신기 300: 통신 케이블

Claims (8)

  1. 마스터 크레인의 전기실에 설치되며 CPU(114),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116), 이더넷 모듈(118)을 구비하여 프로그램 로직 제어기능을 하는 마스터 PLC(110); 상기 마스터 PLC(110)의 CPU(114)와 연결되며, 우현에 각각 설치되어 동기화 작업을 위한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a)(120b); 상기 마스터 PLC(110)의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116)와 연결되며, 인버터(132)를 통하여 발라스트를 제어하기 위한 발라스트 컨트롤 데크(130); 상기 마스터 PLC(110)의 이더넷 모듈(118)과 연결되며, 허브(142)를 통하여 컴퓨터를 로딩시키기 위한 로딩 컴퓨터(140);
    슬레이브 크레인의 전기실에 설치되며 CPU(214),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216), 이더넷 모듈(218)을 구비하여 프로그램 로직 제어기능을 하는 마스터 PLC(210); 상기 마스터 PLC(210)의 CPU(214)와 연결되며, 좌현에 각각 설치되어 동기화 작업을 위한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220a)(220b); 상기 마스터 PLC(210)의 프로피-버스 커뮤니케이터(216)와 연결되며, 인버터(232)를 통하여 발라스트 데크를 제어하기 위한 발라스트 컨트롤 데크(230); 상기 마스터 PLC(210)의 이더넷 모듈(218)과 연결되며, 허브(242)를 통하여 컴퓨터를 로딩시키기 위한 로딩 컴퓨터(240); 및 상기 마스터 크레인의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b)와 상기 슬레이브 크레인의 제1 동기화 로컬박스(220a) 간을 상호 동조화하기 위해 연결되며, 동기 대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작 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적어도 2대 이상이 통신케이블(300)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적어도 2대 이상의 마스터와 슬레이브 해상크레인 제어는 마스터 크레인에서 제어하며, 2대 이상의 해상크레인이 개별적으로 각각 작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케이블(300)의 유선통신 방식 대신에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a)(120b)(220a)(220b) 대신에 무선 송수신기(160a)(160b)(260a)(260b)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크레인에는
    마스터 크레인의 전기실에 설치되며 AC110V 전원, 중앙처리장치 및 입출력 접속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마스터 컨트롤 패널(100);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10)의 제어신호를 각각의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 받으며, 슬레이브 크레인과의 동조화 작업을 위한 제1 동기화 로컬박스(120a);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00)의 AC110V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AC110V 전원을 제1 리피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제1 전원공급장치(122a);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00)의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며, 네트워크 케이블로 사용되는 프로피-버스 케이블에 의해 전송되는 크레인의 작동 신호를 증폭하는 제1 리피터(124a);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00)의 입출력 접속부와 연결되며, 크레인 동조 운행에 필요한 입출력 신호 및 크레인 제어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한 개의 케이블에 연결하는 제1 케이블 컨넥터(126a); 상기 동기화 로컬박스(120)와 연결되며, 슬레이브 크레인으로 복수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을 감아 놓은 제1 케이블 릴(150a);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10)의 제어신호를 각각의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 받으며, 슬레이브 크레인과의 동조화 작업을 위한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b);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00)의 AC110V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AC110V 전원을 제2 리피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제2 전원공급장치(122b);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00)의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며, 네트워크 케이블로 사용되는 프 로피-버스 케이블에 의해 전송되는 크레인의 작동 신호를 증폭하는 제2 리피터(124b); 상기 마스터 컨트롤 패널(100)의 입출력 접속부와 연결되며, 크레인 동조 운행에 필요한 입출력 신호 및 크레인 제어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한 개의 케이블에 연결하는 제2 케이블 컨넥터(126b); 상기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b)와 연결되며, 슬레이브 크레인으로 복수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을 감아 놓은 제2 케이블 릴(150b)로 구성되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크레인에서도 마스터 크레인에서의 작업과정을 볼 수 있도록 슬레이브 컨트롤 패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제1 및 제2 동기화 로컬박스(120a)(120b) 대신에 무선 송수신기(160a)(160b)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
KR1020080068463A 2008-07-15 2008-07-15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 KR100987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463A KR100987022B1 (ko) 2008-07-15 2008-07-15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463A KR100987022B1 (ko) 2008-07-15 2008-07-15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067A true KR20100008067A (ko) 2010-01-25
KR100987022B1 KR100987022B1 (ko) 2010-10-12

Family

ID=4181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463A KR100987022B1 (ko) 2008-07-15 2008-07-15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110B1 (ko) * 2008-12-11 2011-01-10 한화테크엠주식회사 광리피터를 이용한 스태커 크레인의 원격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20465B1 (no) * 2004-02-16 2005-12-12 Egeland Olav Fremgangsmate og system for testing av et reguleringssystem tilhorende et marint fartoy
US7860609B2 (en) 2005-05-06 2010-12-28 Fanuc Robotics America, Inc. Robot multi-arm contro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110B1 (ko) * 2008-12-11 2011-01-10 한화테크엠주식회사 광리피터를 이용한 스태커 크레인의 원격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022B1 (ko) 201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9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load
US7461832B2 (en) Twin lifting machinery for two 40 feet container shore crane
US8882427B2 (en) Method and device for hoisting an item by means of a crane
EP3345823B1 (en) Coupling device for recovering unmanned ship and coupling control method using same
US11498816B2 (en) Method for loading equipment and/or personnel onto a wind turbine platform
KR20070085055A (ko) 2개의 40피트 컨테이너용 육상크레인를 위한 차동식 4개릴의 승강기구
KR20070085056A (ko) 2개의 40피트 컨테이너용 육상크레인를 위한 차동식 2개릴의 승강기구
US20180037301A1 (en) Systems, devices, controllers, and methods for use in a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
US3945508A (en) Devices for transferring heavy loads at sea
KR100987022B1 (ko) 복수의 해상크레인을 연결하는 동기화 작업 시스템
CN112224344A (zh) 一种潜水器吊放系统
WO2015024988A1 (en) Communications between an elevator car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CN109835807A (zh) 自动定位搭载浮体的无人收放装置及实现方法
CN105015738A (zh) 升降式海底接驳盒
GB2584659A (en) Deployment of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CN103885399A (zh) 铺管船用多台恒张力锚机的平稳刹车控制系统
KR20110130018A (ko) 선박 건조방법
KR20090101989A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장착 방법
US20230070015A1 (en) Method and Hoisting Yoke for Taking Up an Elongate Object
KR102662433B1 (ko) 웨더베이닝 다점계류 방법
CN112623148A (zh) 船舶生活区建造及合拢工艺方法
CN213735444U (zh) 一种潜水器吊放系统
KR20210003569A (ko) Amp 장치와 선박 간 무선 통신 시스템
CN107355351A (zh) 一种用于海上风机塔筒安装的减摇装置
CN109441734A (zh) 导管架吊运一体式施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