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889U -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 - Google Patents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889U
KR20100007889U KR2020090001001U KR20090001001U KR20100007889U KR 20100007889 U KR20100007889 U KR 20100007889U KR 2020090001001 U KR2020090001001 U KR 2020090001001U KR 20090001001 U KR20090001001 U KR 20090001001U KR 20100007889 U KR20100007889 U KR 201000078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hole
cover
pillar concrete
bas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선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림
Priority to KR2020090001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7889U/ko
Publication of KR201000078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8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 가로등 기초 구조물의 노출 면적이 21.5% 줄어들게 되어 활동공간이 넓어지도록 하는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통합전선관로 및 앵커볼트가 내재해 있으며, 그 상부 테두리 전체가 만곡진 형상을 갖는 상부 원형기둥 콘크리트와; 상기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의 하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합 전선관로로부터 뻗어나와 측면을 관통하는 개별전선관로용 홀과 접지선용 홀을 형성하고 있는 하부 사각기둥 콘크리트와; 상기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의 만곡진 테두리 전체를 면접하게 감싸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테두리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 기초, 스탠리스, 콘크리트, 도시 미관, 통합전선관용 구멍

Description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Foundation of the Street Lamp having the Stainless Steel-Rim}
본 고안은 야외 가로등이 세워지도록 앵커볼트의 체결로 가로등의 하부와 결합되도록 하는 매립형 가로등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 매립되어 있는 종래의 가로등 기초구조물은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 상대적으로 통행할 면적이 적어지게 되므로 보행에 불편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네 곳의 모서리가 각을 이루고 있어 통행인이 지나가다가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유발하였으며 이에 따라 네 곳의 모서리가 쉽게 파손되어 도시 미관까지 해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노출되는 부위 를 라운드형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그 라운드 테두리에 스테인레스 커버를 덮씌우도록 하는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본 고안은 통합전선관로 및 앵커볼트가 내재해 있으며, 그 상부 테두리 전체가 만곡진 형상을 갖는 상부 원형기둥 콘크리트와; 상기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의 하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합전선관로로부터 뻗어나와 측면을 관통하는 개별전선관로용 홀과 접지선용 홀을 형성하고 있는 하부 사각기둥 콘크리트와; 상기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의 만곡진 테두리 전체를 면접하게 감싸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테두리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개별전선관용 홀과 접지선용 홀은, 상기 통합전선관로 PVC 관 내부를 통과하여 하부 사각기둥 콘크리트의 옆면을 관통하는 유연성 있는 PE재질의 물호스가 이탈되어 형성되는 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앵커볼트는 'ㄴ'자로 형성되어 있으며 용융도금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고안의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 초 구조물은 기존 가로등 기초 구조물의 노출 면적이 21.5% 줄어들게 되어 활동공간이 넓어지게 된다.
또한 노출 부위의 모서리가 없이 라운드형으로 되어 있어 통행인이 걸려 넘어질 우려가 없으며, 라운드형 테두리에 스테인레스로 씌워 있어 파손될 우려가 없으며 깔끔한 구조물로써 도시미관을 살리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의 실시예들을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의 제 1실시예는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10), 하부 사각기둥 콘크리트(20), 테두리 커버(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10)와 하부 사각기둥 콘크리트(20)는 일체형이며, 그 내부형태가 상부는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하부는 사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 굳히도록 하여 형성되어진다.
상기 거푸집은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10)와 하부 사각기둥 콘크리트(20)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조립되어지며 앵커볼트(11)와 통합전선관로(14) 용 PVC 관을 거푸집 내부에 고정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통합전선관로(14) PVC 관 내부를 통과하여 하부 사각기둥 콘크리트(20)의 옆면을 관통하는 유연성 있는 PE재질의 물호스를 위치시킨 다음 PVC 관 내부를 제외한 거푸집 안으로 콘크리트를 부어 굳히게 된다.
콘크리트가 굳게 되면 PE재질의 물호스를 빼게 되고, 상기 물호스가 빠져 나간 자리에 개벌전선관용 홀(21)과 접지선용 홀(17)이 생성되는 것이다.
상기 앵커볼트(11)는 'ㄴ'자로 형성되어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10) 상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앵커볼트(11)는 용융도금된 것으로,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10) 상으로 표출된 나사산을 형성하는 끝단이 가로등 하단의 너트와 체결되어진다.
상기 접지선용 홀(17)은 직경 20mm 이내이며, 개별 전선관로 홀(21)과 별도의 위치에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 사각기둥 콘크리트(20)는 직경이 600mm 정도이며 높이가 400mm인 사각체이다.
상기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10)는 직경 400mm이며 높이가 300mm 정도이며, 그 상부 원형테두리 전체가 만곡진 모서리로 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 커버(30)는 상기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10)의 테두리형태에 대응하는 만곡진 모서리를 가진 형태를 가지며,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10)의 상면을 테두리로부터 100mm 너비로 감싸며 70mm 정도의 측면을 감싸도록 되어 있는 스테인리스, 알미늄판, FRP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 커버(30)는 그 상면에 앵커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앵커볼트관통구(33)를 앵커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통합전선관로(14)는 200m 정도의 관경을 가지게 된다.
상기 앵커볼트(11)는 50mm 정도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10)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의 제 2실시예에서는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10), 하부 사각기둥 콘크리트(20), 앵커볼트는 모두 그 형태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테두리 커버(40)는 그 상면의 원형폭이 상기 제 1실시예에서의 테두리커버(30) 상면의 원형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어서, 따라서 앵커보트를 관통시키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10)의 테두리 커버(30)만이 도로상에 노출되도록 그 나머지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10)와 하부 사각기둥 콘크리트(20)는 매립시킨 후, 앵커볼트에 가로등 지지면의 구멍을 끼워 너트로 조임으로써 가로등이 견고하게 기립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제 2실시예와 가로등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예시도.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 11 : 앵커볼트
14 : 통합전선관 17 : 접지선용 홀
20 : 하부 사각기둥 콘크리트 21 : 개별전선관용 홀
30, 40 : 테두리 커버 33 : 앵커볼트관통구

Claims (4)

  1. 가로등 기초 구조물에 있어서,
    중심에 통합전선관로 및 앵커볼트가 내재해 있는 상부 원형기둥 콘크리트와;
    상기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의 하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로부터 뻗어나온 상기 통합전선관로가 측면을 관통하도록 개별전선관로용 홀과 접지선용 홀을 형성하고 있는 하부 사각기둥 콘크리트와;
    상기 상부원형기둥 콘크리트의 상측 테두리 전체를 면접하게 감싸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원형의 테두리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전선관용 홀과 접지선용 홀은, 상기 통합전선관로 PVC 관 내부를 통과하여 하부 사각기둥 콘크리트의 옆면을 관통하는 유연성 있는 PE 재질의 물호스가 이탈되어 형성되는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커버는 그 재질이 스테인리스, 알미늄판, FRP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커버의 상면에는 앵커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앵커볼트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
KR2020090001001U 2009-01-30 2009-01-30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 KR201000078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001U KR20100007889U (ko) 2009-01-30 2009-01-30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001U KR20100007889U (ko) 2009-01-30 2009-01-30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889U true KR20100007889U (ko) 2010-08-09

Family

ID=4445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001U KR20100007889U (ko) 2009-01-30 2009-01-30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788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297B1 (ko) * 2019-05-30 2020-01-07 대화전설(주) 배전용 전신주의 매립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297B1 (ko) * 2019-05-30 2020-01-07 대화전설(주) 배전용 전신주의 매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713B2 (en) Swimming pool coping support extender
KR100775816B1 (ko) 기초 구조물과 분리 결합이 용이한 가로등주
KR100991886B1 (ko) 기둥 정착구조
KR20090017783A (ko) 기둥의 기초 연결부 마감구조
KR101114840B1 (ko) 보강 지주조립체
KR100908802B1 (ko) 지주의 기초구조물과 이로 제조된 지주기초 및 지주
KR100955424B1 (ko) 앵커 지주
KR20100007889U (ko) 테두리 커버를 형성하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
KR100948638B1 (ko) 도로 시설물 설치용 지주의 고정장치
KR101007729B1 (ko) 다목적설치대
KR20190010947A (ko)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매립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KR100906137B1 (ko) 가로등주의 기초구조물 및 기초와 이에 장착되는 가로등주
JP4459947B2 (ja) 雨水排水装置
KR200458741Y1 (ko) 길이연장이 용이한 시설물 고정구
KR20100000441U (ko) 지중 매입형 가로용 기둥
JP6301742B2 (ja) 鋼管ポール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2008002109A (ja) 金属管柱の基部構造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KR100905889B1 (ko)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
JP5816637B2 (ja) 手摺り支柱の取付方法
KR101077971B1 (ko)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JP2005098094A (ja) ソーラパネル支持金具の取付け構造及びソーラパネル支持金具
KR20090049900A (ko) 지주의 지지구조
KR101474736B1 (ko) 가로등의 기둥 고정장치
JP6877015B2 (ja) 建物への付設物支持用基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