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438A -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438A
KR20100007438A KR1020080068075A KR20080068075A KR20100007438A KR 20100007438 A KR20100007438 A KR 20100007438A KR 1020080068075 A KR1020080068075 A KR 1020080068075A KR 20080068075 A KR20080068075 A KR 20080068075A KR 20100007438 A KR20100007438 A KR 20100007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wall
piece
pad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일
Original Assignee
에스엔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엔에이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엔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7438A/ko
Publication of KR20100007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53Fixation of wal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30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mechanical damage or dirt, e.g. guard covers of st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내벽에 밀착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엘리베이터의 내벽에 별도의 고정구를 장착하지 않고도 조립 가능하고, 해체 및 조립이 간단한 작업으로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사각판상의 보호패드(2)와, 상기 보호패드(2)를 좌우로 결합고정하도록 양측부에 결합요홈(3)이 구비된 일자상의 몸체를 가지는 연결피스(4)와, 상기 보호패드(2)를 직각으로 연결하도록 양단부에 결합요홈(3)을 구비하며 직각상으로 절곡된 몸체를 가지는 코너피스(5)로 이루어져 보호패드(2)를 엘리베이터의 내벽(W)형태로 연결피스(4)와 코너피스(5)로 각각 연결하여 결합하여서 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를 제공한다.
엘리베이터, 보호패드 보호커버, 리프트, 승강기.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The safe-cover for a inside wall of a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물건을 옴길 때(이사 등과 같은 경우) 엘리베이터의 내벽을 보호하기 위하여 내벽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내벽에 밀착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엘리베이터의 내벽에 별도의 고정구를 장착하지 않고도 조립 가능하고, 해체 및 조립이 간단한 작업으로 빠르게 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한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elevator)는 건축물 내부의 수직통로(垂直通路) 안쪽에 설치된 한 쌍의 안내 레일을 따라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로 옮기는 장치로서, 크기 승객용과 화물운송용이 있다.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트는 운송되는 칸(내벽)이 대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평면상 정사각형 및/또는 직사각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에 화물을 실을 경우가 많으며 이때 내부 장식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모가 난 물건이나 더러운 이물질을 묻힐 염려가 있는 물건을 실을 경우 에 내부장식을 보호하기 위해 내벽에 별도의 보호패드를 설치하여 내벽을 보호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보호패드를 내벽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였는 바 이때는 내벽에 구멍을 뚫고 여기에 숫나사가 형성된 보호패드 고정구를 삽입시킨 뒤 바깥부분으로부터 와셔와 너트를 순서대로 끼워 고정하고 반대쪽인 승강차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구의 머리부분에다 보호패드에 형성된 구멍을 일치되게 끼워서 취부하였다.
그러므로 항상 고정구는 내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을 해침은 물론 승객이 측벽에 기대어 고정구 닿았을 경우 불쾌한 일이 생기는 경우도 종종 있어 왔다.
따라서 근자에는 상기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041319호(명칭: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패드 고정구)다 제안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상기한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041319호의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패드 고정구는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돌출편을 가진 앞판의 상단 절곡부에 부착된 영구자석을 뒷판의 다단절곡편으로 권취하고 앞판의 탄성누름편과 대응하는 위치에 일치하도록 뒷판의 호형탄동편을 형성하여 앞판의 하부를 뒷판의 하부 좌ㆍ우양측에 있는 절곡편로 권취하여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패드 고정구는 엘리베이터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각각 상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각각 재단하여 사용을 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자력이 보호패드의 무게를 견디지 못할 경우 보호패드가 붕괴되어 사용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해체 및 조립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물건을 옴길 때 내벽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엘리베이터의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내벽에 밀착되게 설치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내벽에 별도의 고정구를 장착하지 않고도 조립 가능하며, 해체 및 조립이 간단한 작업으로 빠르게 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도록 된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는 사각판상의 보호패드와, 상기 보호패드를 좌우로 결합고정하도록 양측부에 결합요홈이 구비된 일자상의 몸체를 가지는 연결피스와, 상기 보호패드를 직각으로 연결하도록 양단부에 결합요홈을 구비하며 직각상으로 절곡된 몸체를 가지는 코너피스로 이루어져 보호패드를 엘리베이터의 내벽형태로 연결피스와 코너피스로 각각 연결하여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연결피스의 결합요홈에 삽입고정되며 양측부에 탄지편이 형성된 삽입편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편의 일단에서 직각상으로 연장형성된 연장편을 가지는 마감피스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결합요홈은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는 엘리베이터의 내벽의 형상과 크기에 관계없이 내벽의 형태로 보호패드를 연결피스 및 코너피스로 연결하여 조립함으로서 내벽에 밀착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연결된 코너피스가 엘리베이터의 내부에서 직립하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고정구를 장착하지 않고도 설치가 되며, 단순히 보호패드를 연결피스 및 코너피스의 결합요홈에 삽입고정하는 것으로 해체 및 조립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을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축입구측 내측벽을 마감피스의 연장편으로 덧데어 커버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대한 전면적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1)는 사각판상의 보호패드(2)와, 상기 보호패드(2)를 좌우로 결합고정하도록 양측부에 결합요 홈(3)이 구비된 일자상의 몸체를 가지는 연결피스(4)와, 상기 보호패드(2)를 직각으로 연결하도록 양단부에 결합요홈(3)을 구비하며 직각상으로 절곡된 몸체를 가지는 코너피스(5)로 이루어져 보호패드(2)를 엘리베이터의 내벽(W)형태로 연결피스(4)와 코너피스(5)로 각각 연결하여 결합하여서 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보호패드(2)는 합성섬유가 압착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재판, 합성수지판, 골판지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연결피스(4)의 결합요홈(3)에 삽입고정되며 양측부에 탄지편(6)이 형성된 삽입편(7)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편(7)의 일단에서 직각상으로 연장형성된 연장편(8)을 가지는 마감피스(9)를 더욱 가지고 있어, 상기 마감피스(9)의 연장편(8)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10)측의 내측면을 덧대어 내측면(Wa)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결합요홈(3)은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되어 있어, 결합요홈(3)에 삽입고정되는 보호패드(2)가 쉽게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확고히 결합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보호커버(1)를 엘리베이터의 내벽(W)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을 별도의 바닥판으로 덮어 바닥면을 보호하도록 한 후 엘리베이터의 내벽(W) 모서리에 상기 코너피스(5)가 위치하도록 하고, 다수의 보호패드(2)를 중간에 연결피스(4)가 개재되도록 하여 코너피스(5)의 양측에 연결고정하면 사각틀상의 보호커버(1)가 완성되도록 되어 있 다.
이때 상기 보호패드(2)와 코너피스(5) 및 연결피스(4)를 서로 엇갈리게 하여 결합하면 상하로 적층하여 고정할 수 있어 내벽(W)의 바닥면부터 천정면까지 보호패드(2)로 밀착하여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벽(W)의 출입구(10)측의 내측면(Wa)은 상기 마감피스(9)를 적용하여 연장편(8)이 내측면(Wa)을 덮을 수 있도록 조립하여 설치하면 충분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내벽(W)을 보호커버(1)로 충분히 감싸도록 조립설치가 완료되면 물건 등을 운반하면 되고, 물건 등에 의해 부딪히거나 충돌이 발생하여도 보호커버(1)에 의해 보호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물건의 운반이 완료되면 상기 보호패드(2)를 상층에서부터 연결피스(4) 및 코너피스(5)로부터 분리하여 해체를 하고 해체된 보호패드(2) 및 연결피스(4)와 코너피스(5) 및 마감피스(9)는 별도의 공간 및 함에 보관 및 운반하여 재사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는 판상의 보호패드를 양단에 결합요홈이 구비된 연결피스 및 코너피스로 연결하여 조립함으로서 내벽에 밀착되게 설치하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임을 부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를 보인 사시 예시도,
도 2는 동 사용상태 평면 예시도,
도 3 및 도 5는 동 각각의 연결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도면 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호커버, 2 : 보호패드,
3 : 결합요홈, 4 : 연결피스,
5 : 코너피스, 6 : 지지편,
7 : 삽입편, 8 : 연장편,
9 : 마감피스, 10 : 출입구.

Claims (3)

  1. 사각판상의 보호패드와;
    상기 보호패드를 좌우로 결합고정하도록 양측부에 결합요홈이 구비된 일자상의 몸체를 가지는 연결피스와;
    상기 보호패드를 직각으로 연결하도록 양단부에 결합요홈을 구비하며 직각상으로 절곡된 몸체를 가지는 코너피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패드를 엘리베이터의 내벽형태로 연결피스와 코너피스로 각각 연결하여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피스의 결합요홈에 삽입고정되며 양측부에 탄지편이 형성된 삽입편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편의 일단에서 직각상으로 연장형성된 연장편을 가지는 마감피스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요홈은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
KR1020080068075A 2008-07-14 2008-07-14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 KR20100007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075A KR20100007438A (ko) 2008-07-14 2008-07-14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075A KR20100007438A (ko) 2008-07-14 2008-07-14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438A true KR20100007438A (ko) 2010-01-22

Family

ID=4181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075A KR20100007438A (ko) 2008-07-14 2008-07-14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74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670A (ko) * 2014-11-19 2016-05-27 김수현 엘리베이터 벽체용 보양재
CN106966267A (zh) * 2017-02-23 2017-07-21 上海富士电梯有限公司 便于拆卸轿壁的电梯轿厢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670A (ko) * 2014-11-19 2016-05-27 김수현 엘리베이터 벽체용 보양재
CN106966267A (zh) * 2017-02-23 2017-07-21 上海富士电梯有限公司 便于拆卸轿壁的电梯轿厢
CN106966267B (zh) * 2017-02-23 2019-03-26 上海富士电梯有限公司 便于拆卸轿壁的电梯轿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6808B2 (en) Service cart with recessed drawer handles
CA1221395A (en) Truck cargo bed liner
TWI424944B (zh) 包裝外箱結構
US8640763B1 (en) Device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delivery or moving of oversized furniture items
CA2487518C (en) Cabinet corner protector
US20170073105A1 (en) An Edge Fitting to Support and Protect a Cargo Casing
US20090020663A1 (en) Support device
KR20100007438A (ko)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커버
US8091299B2 (en) Entryway protector
KR100918569B1 (ko) 단층수직프레임을 구비한 장비수납용 랙 캐비넷
US7516864B2 (en) Built-up container
KR20110012879A (ko) 조립식 수납장
KR101068472B1 (ko) 벽체용 패널 이음 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7523588B2 (en) Entryway protector
JP5796224B2 (ja) 見切接続具
JPH0544824U (ja) 木製パレツト
CN216569286U (zh) 一种轻型货架安全护栏
JP2003329263A (ja) 空気調和機
KR100888260B1 (ko) 다용도 퍼즐박스를 이용한 퍼즐 다용도 진열대
CN215045849U (zh) 装饰件、竖梁组件以及置物系统
JP3656138B2 (ja) 梁用化粧部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20080000396A1 (en) Shipping container
JP6718421B2 (ja) 棚板及び棚板の配置構造
KR100888263B1 (ko) 다용도 퍼즐박스를 이용한 퍼즐 다용도 진열대
KR0125806Y1 (ko) 건물용 선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