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342U -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342U
KR20100007342U KR2020090000275U KR20090000275U KR20100007342U KR 20100007342 U KR20100007342 U KR 20100007342U KR 2020090000275 U KR2020090000275 U KR 2020090000275U KR 20090000275 U KR20090000275 U KR 20090000275U KR 20100007342 U KR20100007342 U KR 201000073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culpture
image
dimensio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8397Y1 (ko
Inventor
주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율
Priority to KR2020090000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39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3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a transparent mirror or other light reflecting surface transparent to transmitted light whereby a sign, symbol, picture or other is visible only when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86Special effects
    • G09F2013/189Three dimensional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상면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10)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키는 입체 조형물(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면에 형성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입체 조형물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동작시뿐만 아니라 비동작시에도 미려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조형물, 디스플레이 장치, 유리, 부조, 환조

Description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WITH MOLDING}
본 고안은 표면에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조형물(부조 또는 환조)을 설치하여 미려감을 얻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할 시에는 영상의 투과에 따른 다양한 미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형태의 정보 전달과 이러한 정보 전달의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매체의 발달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프로젝터에 의한 영상스크린 등일 수 있는데, 특정 내용의 영상을 통해 광고를 할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셋톱 박스 등을 구비함으로써 TV 방송을 송출할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외에는 사용자들에게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였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할 시에는 아름다운 영상 등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미려감을 줄 수 있으나, 동작을 하 지 않을 때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아무런 감정도 불러일으키지 못하였었다.
통상적으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한정된 공간에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서는 다양한 그림 또는 문양 등을 페인팅 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특성상 표면에 페인팅이 불가능하며, 투명 또는 불투명 안료 등으로 페인팅을 할 시에는 미적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시뿐만 아니라 비동작시에도 사용자에게 미려감을 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입체 조형물을 설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시에도 미려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할 시에는 다양한 형태의 광 투과 또는 난반사로 인해 더욱 향상된 미려감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키는 입체 조형물을 포함하는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을 덮는 투명 패널 - 상기 투명 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키는 입체 조형물이 설치됨 - 을 포함하는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프로젝터에 의한 영상 스크린일 수 있다.
상기 입체 조형물의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플라스틱, 광섬유 또는 도자기일 수 있다.
상기 입체 조형물은 부조 또는 환조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입체 조형물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영상을 난반사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시에도 표면에 형성된 입체 조형물에 의해 미려감을 느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할 시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이 입체 조형물을 투과하거나, 투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난반사로 인해 미려감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 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구성 및 그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특징은 디스플레이 장치(110) 상면에 입체 형상의 조형물(120)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특정 형태를 지니는 입체 조형물(120)의 이면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출력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프로젝터에 의한 영상 스크린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조형물(12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공예물일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은 플라스틱, 유리, 광섬유 또는 도자기 등일 수 있다.
또한, 조형물(120)의 형태는 부조 또는 환조 형태 등을 수 있다.  일례로서, 조형물(120)은 안료 또는 염료로 처리되어 소정 색상을 내는 꽃 형태의 유리 공예품일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구성 및 그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조형물(220)이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상면에 바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조형물(220)이 설치된 투명 패널(230)이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상면에 부착된다는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상면을 덮는 투명 패널(230) 상에 입체 조형물(22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현예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형성된 조형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디스플레이 장치(110, 210)의 상면에는 입체 조형물(120, 220)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입체 조형물(120, 220)은 꽃 등의 형상을 하고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유리 공예물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0, 210)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출력하는 온(on) 상태일 수도 있고 오프(off) 상태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0, 210)가 오프 상태일 때에는 입체 조형물(120, 220)이 고유의 색상을 통해 미려감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다양한 안료 또는 염료 처리가 된 입체 조형물(120, 220), 예를 들면, 유리 공예물이 자체의 색상으로서 장식품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10, 210)가 온 상태일 때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10, 210)로부터의 영상이 입체 조형물(120, 220)과 어우러지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10, 210)로부터의 영상이 다양한 색상의 정치 영상 또는 동영상이라면, 이러한 영상이 입체 조형물(120, 220)을 투과하면서 입체 조형물(120, 220)의 색상은 동적으로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입체 조형물(120, 220)이 마치 살아 움직이는 것으로 보이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10, 210)가 온 상태일 때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원래의 영상과 상기 영상이 입체 조형물(120, 220)을 투과한 영상이 동시에 어우러지면서 미려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10, 210)의 영상들이 입체 조형물(120, 220)을 투과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난반사가 발생하게 되면서 미려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10, 210)의 주변 장치에 의해 음향 효과가 함께 출력된다면 입체 조형물(120, 220)의 미려함을 더욱 불어 일으킬 수도 있다.
일례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10, 2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면서 입체 조형물(120, 220)의 색상이 시간에 따라 점차 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눈이 내리는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띄고 있는 입체 조형물(120, 220)이 점차 흰색으로 변하는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형성된 조형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110, 210: 디스플레이 장치
120, 220: 조형물
230: 투명 패널

Claims (6)

  1.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키는 입체 조형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을 덮는 투명 패널 - 상기 투명 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키는 입체 조형물이 설치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프로젝터에 의한 영상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조형물의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플라스틱, 광섬유 또 는 도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조형물은 부조 또는 환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조형물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영상을 난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90000275U 2009-01-09 2009-01-09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58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275U KR200458397Y1 (ko) 2009-01-09 2009-01-09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275U KR200458397Y1 (ko) 2009-01-09 2009-01-09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167U Division KR20110004612U (ko) 2011-03-16 2011-03-16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342U true KR20100007342U (ko) 2010-07-19
KR200458397Y1 KR200458397Y1 (ko) 2012-02-15

Family

ID=4445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275U KR200458397Y1 (ko) 2009-01-09 2009-01-09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397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7275B1 (en) * 2002-03-20 2003-08-19 The Neiman Marcus Group, Inc. Merchandise display case and system
JP2006349352A (ja) * 2005-06-13 2006-12-2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情報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397Y1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035B2 (en)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having 3D sheet
KR100996687B1 (ko) 배면에 배열된 편평한 스크린을 구비한 표면 벽 부재
CN205902240U (zh) 装饰件、电子设备外壳以及电子设备
CN205902241U (zh) 装饰膜、电子设备外壳及电子设备
CN207304637U (zh) 装饰薄膜及电子设备盖板
KR101102610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6330B1 (ko) 공중의 입체 조명 연출장치 및 그의 연출방법
JP2008213331A (ja) レリーフ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200072818A (ko) 무한 깊이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58397Y1 (ko)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CN105047101A (zh) 隐藏式显示面板
KR20110004612U (ko) 조형물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CN204995075U (zh) Led投射式画框
KR101211648B1 (ko)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JP2008078925A (ja) 電子機器及び装飾パネルの形成方法
CN104265017B (zh) 一种单舞台式特效变换剧场
CN206789237U (zh) 一种家用电器的显示操作界面结构
CN2935192Y (zh) 遥控立体动感壁画
KR20150001466U (ko) Led광고디스플레이 패널
JP2018189915A (ja) 光透過性表示パネル
CN103273795B (zh) 基于投影机的色彩可调节的沙画平台装置
KR200459223Y1 (ko) 아트글라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US11987071B2 (en) Device with backlit colored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6349918A (ja) 遊技機部品
CN203286770U (zh) 一种具有放大显示功能的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