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791A -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791A
KR20100006791A KR1020080067245A KR20080067245A KR20100006791A KR 20100006791 A KR20100006791 A KR 20100006791A KR 1020080067245 A KR1020080067245 A KR 1020080067245A KR 20080067245 A KR20080067245 A KR 20080067245A KR 20100006791 A KR20100006791 A KR 20100006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adhesive
decorative
bas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숙
Original Assignee
안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현숙 filed Critical 안현숙
Priority to KR102008006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791A/ko
Publication of KR2010000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8Uniting ornamental elements on a support, e.g. mosa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는, 합성수지 재질의 기재시트층(4); 상기 기재시트층(4)의 윗면에 부착된 표면장식필름층(3); 상기 기재시트층(4)과 상기 표면장식필름층(3)의 사이에 도포되어 경화된 접착제층(3a); 및 상기 기재시트층(4)의 밑면에 부착된 점착시트층(5);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시트층(5)의 밑면은 이형지(6)로 덮여질 수 있고, 상기 표면장식필름층(3)과 기재시트층(4)은 사각 형태의 복수 개의 조각들(10)로 연속적으로 절단되어 분할된 상태에서 상기 점착시트층(5) 위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식시트는 그 표면 부분이 다수의 사각형태 조각들로 균일하게 연속적으로 분할되어 있어서 외부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정교하고 깨끗한 시각적 미감을 제공하며, 각종 의류, 가구, 소품, 액세서리 용품 등에 쉽게 부착하여 상품의 미적 가치를 높이는 장식지로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장식지, 장식시트, 시트, 사각무늬, 분할무늬, 회전커터, PET 필름, PP시트

Description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Decoration sheet with rectangular shape pattern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티커 타입 또는 핫멜트 타입으로 된 유연한 시트지의 형태를 갖고 있으면서도 그 표면 부분이 다수의 사각형태 조각들로 균일하게 연속적으로 분할되어 있어서 외부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정교하고 깨끗한 시각적 미감을 제공하며, 각종 의류, 가구, 소품, 액세서리 용품 등에 쉽게 부착하여 상품의 미적 가치를 높이는 장식지로서 활용될 수 있고, 또한 건물의 실내공간을 장식하는 포인트 장식지 등으로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나 실내의 벽면, 창문, 문 등을 장식하기 위해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스티커 형태의 장식지들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스티커 타입의 장식지들은 부착하기 쉽다는 점에서 장점을 인정할 만은 하지만, 표면에 표현된 그림이 평면적이어서 단조로운 느낌을 준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장식지 표면이 어느 정도 돌출되도록 입체가공한 것들도 있었지만, 이들은 모두 장식지 위에 표현된 이미지 혹은 장식지의 질감을 어떻게 다르게 보이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만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을 뿐이고, 장식지 자체의 구성을 다르게 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가방, 핸드백, 다이어리 등의 각종 소품과 액세서리 용품의 표면을 장식하기 위해 스티커 타입의 장식시트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기존의 장식지들은 단순히 접착제가 도포된 스티커에 장식필름을 합지시킨 것일 뿐이어서 실제 물건의 표면에 부착되었을 때 그 물건 자체의 볼륨감 내지 굴곡된 부분의 특징을 제대로 살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티커 타입의 장식지들은 그 활용분야가 넓음에도 불구하고 소재의 구성이 단순하여 다양한 미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커 타입 또는 핫멜트 타입으로 된 유연한 시트지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그 표면 부분이 다수의 사각형태 조각들로 균일하게 연속적으로 분할되어 외부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정교하고 깨끗한 시각적 미감을 제공하는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된 공정을 통하여 상기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를 효과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는, 합성수지 재질의 기재시트층(4); 상기 기재시트층(4)의 윗면에 부착된 표면장식필름층(3); 상기 기재시트층(4)과 상기 표면장식필름층(3)의 사이에 도포되어 경화된 접착제층(3a); 및 상기 기재시트층(4)의 밑면에 부착된 점착시트층(5);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시트층(5)의 밑면은 이형지(6)로 덮여질 수 있고, 상기 표면장식필름층(3)과 기재시트층(4)은 사각 형태의 복수 개의 조각들(10)로 연속적으로 절단되어 분할된 상태에서 상기 점착시트층(5) 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는, 합성수지 재질의 기재시트층(4); 상기 기재시트층(4)의 윗면에 부착된 표 면장식필름층(3); 상기 기재시트층(4)과 상기 표면장식필름층(3)의 사이에 도포되어 경화된 접착제층(3a); 및 접착제 또는 점착제에 의해 상기 기재시트층(4)의 밑면에 부착된 핫멜트 시트층(55);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장식필름층(3)과 기재시트층(4)은 사각 형태의 복수 개의 조각들로 연속적으로 절단되어 분할된 상태에서 상기 핫멜트 시트층(55) 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 재질의 기재시트(42)의 표면에 접착제(44)를 도포하는 제1단계; 상기 기재시트(42)의 윗면에 표면장식필름(32)을 합지하는 제2단계; 상기 기재시트(42)의 밑면에 점착시트(5)를 합지하되, 상기 점착시트(5)는 합성수지 필름(5a)의 윗면과 밑면에 각각 제1점착층(5b)과 제2점착층(5c)이 부착되고 상기 제2점착층(5c)의 밑면에는 이형지(6)가 부착되어 있는, 제3단계; 및 상기 표면장식필름(32), 기재시트(42) 및 점착시트(5)가 합지되어 만들어진 합지장식시트(402)에 대해서 그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사각격자형의 칼집을 내어 상기 표면장식 필름(32)과 기재시트(42)를 사각 형태의 복수 개의 조각들로 분할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 재질의 기재시트(42)의 표면에 접착제(44)를 도포하는 제1단계; 상기 기재시트(42)의 윗면에 표면장식필름(32)을 합지하는 제2단계; 상기 기재시트(42)의 밑면에 핫멜트 시트를 부착하되, 상기 핫멜트 시트는 합성수지 필름(552)의 윗면에 접착제(551)가 도포되고 합성수지 필름(552)의 밑면에는 핫멜트 물질(553)이 도포되어 있는, 제3단계; 상기 표면장식필름(32), 기재시트(42) 및 핫멜트 시트가 합지되어 만들어진 합지장식시트(402)에 대해서 그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사각격자형의 칼집을 내어 상기 표면장식 필름(32)과 기재시트(42)를 사각 형태의 복수 개의 조각들로 분할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는 기존의 스티커형 장식지들이 단조로운 느낌을 주었던 것을 개선하여 새롭고 창의적인 미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표면의 분할된 장식조각들이 점착층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서로 벌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빛의 다양한 반사형태를 통한 아름다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는 가방, 핸드백, 다이어리, 의복, 각종 액세서리 제품들과 가구, 창문, 문, 벽면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제품의 미적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품의 미적 가치 상승으로 인한 매출증가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의 사시도이고, 도2는 상기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1과 도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는 합성수지 재질의 기재시트층(4)의 윗면에 표면장식 필름층(3)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기 재시트층(4)의 밑면에는 점착시트층(5)이 부착되어 있는 적층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 표면에는 다수의 사각무늬 칼집들(2)이 형성되어 전체 표면부분이 다수의 절단된 장식조각들(10)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의 표면장식 필름층(3)은 금속성의 광택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빛을 받아 반사하면 보는 사람에게 사이버틱한 이미지를 선사한다. 만약 사각무늬 칼집들(2)이 없다면 표면장식 필름층(3)은 종래의 장식지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하게 보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는 그 표면 부분이 사각무늬 칼집들(2)에 의해서 작은 크기들(예를 들어, 1변의 길이가 2mm~10mm 정도)로 분할되어 있고, 그 분할된 장식조각들(10)마다의 경계선들에 의해 계획적이고 정돈된 느낌을 주므로 종래의 장식지처럼 단조로운 느낌을 전혀 주지 않는다.
도2에 도시된 단면구조도를 참고하면, 표면장식 필름층(3)은 접착제층(3a)에 의해 기재시트층(4) 위에 합지되어 있으며, 기재시트층(4)의 아래에는 점착시트층(5)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기재시트층(4)은 표면장식 필름층(3)보다 큰 두께를 가지며, 합지된 상태에서 표면장식 필름층(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재시트층(4)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다양한 합성수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물질을 이용하여 0.01~5mm 정도의 두께로 압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표면장식 필름층(3)은 실제로 장식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다양한 색깔 혹은 무늬를 가지도록 제작한 것으로서, 합성수지를 0.001~1mm 정도의 얇은 두께의 필름 형태로 압출하여 만들며, 제조공정 중에 다양한 색소를 첨가하여 황색, 청색, 적색, 흑색, 녹색 등등의 다양한 색깔들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상기 표면장식 필름층(3)의 위에 별도의 색상필름 혹은 무늬필름을 부착하여 다양한 색상이나 무늬를 표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재시트층(4)의 밑면에는 점착시트층(5)이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점착시트층(5)은 합성수지재질의 필름(5a)이 중간에 위치하고 그 윗면과 밑면에 각각 제1점착층(5b)과 제2점착층(5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점착층(5b)과 제2점착층(5c)은 합성수지 필름(5a)의 양면에 점착성의 물질을 도포하고 일정 정도 경화시켜서 형성하며, 여기서 점착성 물질은 주로 아크릴계 공중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성 재료들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점착시트층(5)의 밑면에는 이형지(6)를 부착하여 장식시트(1)가 실제로 물건 등에 부착되어 사용되기 이전까지 제2점착층(5c)을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는 표면장식 필름층(3)과 기재시트층(4)에 마치 칼집이 나 있듯이 수직절단선들(2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사각 격자형태의 무늬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상기 수직절단선들(2a)은 본 발명의 장식시트(2)의 표면부분, 즉 상기 표면장식 필름층(3)과 기재시트층(4)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교차하게 절단하며, 그 결과 상기 장식시트(1)의 표면 부분들은 수직방향으로 절단되어 만들어진 복수 개의 장식조각들(10)이 점착시트(5)위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식시트(1)의 표면부분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사각모양 칼집(2)을 형성하는 작업은 회전커터를 이용할 수도 있고 혹은 톰슨 프레스기(흔히 '도무송'기계라고도 함)를 이용할 수도 있다. 회전커터를 이용할 경우에는, 우선 장식시트(1)의 표면부분에 회전커터를 대고 회전시켜서 종방향으로 칼집들을 형성한 다음 마찬가지 방식으로 횡방향으로도 회전커터를 대고 칼집들을 형성하여, 종방향 칼집들과 횡방향 칼집들이 서로 교차하여 이루어진 사각모양 칼집(2)을 형성하게 된다(도4 내지 도6 참조). 한편, 톰슨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사각 격자형의 칼집무늬를 만들 때에는 미리 사각격자형으로 칼날들이 장착된 금형을 장식시트(1)의 표면부분에 대고 눌러 찍음으로써 한꺼번에 사각모양 칼집(2)을 형성한다(도9 참조).
상기 장식시트(1)의 표면부분을 절단할 때에는 회전커터 혹은 톰슨 프레스기의 칼날이 장식시트(1) 중의 표면장식 필름층(3)과 기재시트층(4)만을 자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제로는 기재시트층(4)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점착시트층(5)에도 어느 정도 손상을 입히는 것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가능한 한 칼날이 들어가는 깊이를 미세하여 제어하여, 되도록 점착시트층(5)에는 칼집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가 실험한 바에 의하면, 점착시트층(5)의 두께의 10% 이하내로 칼날이 들어가 수직절단선(2a)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이와 같이 점착시트층(5)이 최소한도로 손상을 입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의 사용에 있어서 전혀 장해가 되지 않았다.
도3은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의 굴곡된 형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는 그 기저를 이루는 기재시트층(4)과 점착시트층(5)이 유연한 시트지 형태로 되어 있어서 쉽게 구부려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의 일부분이 구부려질 경우에는, 다수의 절단된 장식조각들(10)이 그 밑의 점착시트층(5)에 부착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는 형태를 보이게 되어 상기 절단된 장식조각들(10) 사이의 틈새가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의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가 굴곡되어 상기 절단된 장식조각들(10)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화를 받게 되면, 각 장식조각들(10) 마다의 빛의 반사각도가 서로 달라지므로, 장식시트(1)를 보는 사람에게 신비롭고 흥미로우면서도 아름다운 느낌을 주게 된다. 즉, 마치 갑옷에 장식된 비늘들이 움직이면서 서로 다른 빛을 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도 구부려지거나 움직일 때마다 그 각각의 절단된 장식조각들(10)이 서로 다른 각도로 빛을 반사시켜 생동감 있게 움직이는 인상을 주므로, 종래의 장식시트에서는 결코 얻을 수 없는 새로운 미적 감동을 줄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4를 참고하면, 기재시트(42)가 원형으로 감겨 있는 기재시트롤(41)로부터 기재시트(42)가 공급되며, 이 기재시트(42) 위에는 접착제(44)가 도포되고 그 위에 표면장식필름(32)이 합지된다. 상기 표면장식필름(32)은 표면장식필름롤(31)에 원형으로 감겨 있어서 순차적으로 풀려나와 공급된다.
기재시트(42)는 가이드롤러들(40a,40b)를 포함한 다수의 이송롤러들에 의해서 이동되며 기재시트(42)가 이송되는 경로 중에는 접착제 도포를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접착제 도포수단은, 접착제(44)가 담긴 접착제통(44a), 접착제통(44)안의 접착제를 묻혀 올리는 제1접착제 전달롤러(45a), 상기 제1접착제 전달롤러(45a)의 표면에 묻은 접착제가 균일한 양이 되도록 긁어내리는 스퀴지 칼(squeegee knife, 44b), 상기 제1접착제 전달롤러(45a)와 맞닿아 회전하면서 접착제를 이어받아 전달하는 제2접착제 전달롤러(45b), 상기 제2접착제 전달롤러(45b)의 접착제를 기재시트(42) 위에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롤러(43a), 그리고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43a)를 보조하여 기재시트(42)를 지지하는 보조롤러(43b)를 포함한다. 도4에는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의 구성에 관한 일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작업현장의 상황에 따라 이와 다르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기재시트(42)의 표면상에 접착제(44)가 소정 두께로 도포된 후에는 그 위에 표면장식필름(32)이 합지(合紙)되며, 이러한 기재시트(42)와 표면장식필름(32)의 합지과정은 제1합지롤러들(46a,46b)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기재시트(42)와 표면장식필름(32)이 합지된 후에는 히터(47)에 의해서 대략 50~90℃정도의 온도로 5분~20분 정도 가열되어 상기 접착제(44)가 경화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기재시트(42)와 표면장식필름(32)은 단단히 부착된다.
한편 점착시트롤(51)에 감겨 있는 점착시트(5)는 순차적으로 풀려나와서 제2합지롤러들(46b)에 의해 상기 기재시트(42)의 밑면에 부착된다. 상기 점착시트(5)는 중간에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5a)이 있고, 합성수지필름(5a)의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점착물질이 도포되어 어느 정도 경화됨으로써 형성된 제1점착층(5b)과 제2점착층(5c)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점착시트(5) 중의 제2점착층(5c)의 아래에는 사용시까지 제2점착층(5c)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점착시트(5)는 제1점착층(5b)이 기재시트(42)의 밑면에 부착됨으로써 서로 합지되며, 이 합지과정은 제2합지롤러들(46b)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재시트(42)와 표면장식필름(32)이 합지되어 만들어진 중간단계의 장식시트를 제1합지장식시트(401)라 하고, 제1합지장식시트(401)의 밑면에 점착시트(5)가 합지되어 만들어진 중간단계의 장식시트를 제2합지장식시트(402)라고 하며, 종방향절단 회전커터(410)와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에 의해서 사각무늬 칼집들이 형성된 후의 완성된 장식시트를 제3합지장식시트(403)라고 칭한다.
제2합지장식시트(402)는 컨베이어 벨트(500)에 의해 계속적으로 이송되며, 컨베이어 벨트(500)는 구동롤러(501)와 종동롤러(502)가 양단에서 각각 지지하여 회전함으로써 구동된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500)안에는 복수 개의 지지롤러들(503)이 배치되어 제2합지장식시트(402)를 받쳐주고 있다.
도5 및 도6은 도4에 도시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장식시트 위에 종방향 칼집무늬(200)와 횡방향 칼집무늬(210)를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도4 내지 도6을 참고하면, 종방향절단 회전커터(410)는 상기 제2합지장식시트(402)의 진행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되며, 그 회전중심축 둘레에 복수 개의 원형 회전칼날들(411)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합지장식시트(402)가 진행되는 속도에 맞춰 상기 종방향절단 회전커터(410)가 회전하면, 복수 개의 회전칼날들(411)이 상기 합지장식시트(402) 중의 표면장식필름(32)과 기재시트(42)를 그 깊이방향으로 절단하여 표면에 복수 개의 줄들(칼집들)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종방향절단 회전커터(410)의 작업공간을 지난 후에는,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가 상기 종방향절단 회전커터(4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는 기본적으로 종방향절단 회전커터(4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그 배치된 방향만 다를 뿐이다. 상기 제2합지장식시트(402)에는 이미 종방향으로 복수 개의 줄들(칼집들)(20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에 의해 횡방향의 칼집들(210)이 형성되면 결과적으로 사각격자 형태의 칼집들(220)이 만들어진다.
도5는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6은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가 작동하여 제2합지장식시트(402) 위에 횡방향 칼집무늬(210)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는 제2합지장식시트(402)의 폭을 가로질러 이동하여야 하므로 그 양쪽에 나란하게 각각 배치된 2개의 안내빔들(422a,422b)에 의해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의 중심축(426)이 상기 안내빔들(422a,422b)에 마련된 가이드홈들(422c)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는 제2합지장식시트(402)의 폭을 가로질러 왔다 갔다 할 수 있으며, 이때 회전칼날들(421)이 회전하여 합지 장식시트(402)의 표면에 횡방향 칼집무늬들(210)을 형성하게 된다.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의 중심축(426)에는 기어(427a)가 마련되고, 상기 중심축(426)은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연결봉(425)과 결합된다. 연결봉(425)은 별도의 실린더 장치 또는 기계 장치와 연결되어 전진과 후진을 반복할 수 있으므로,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는 안내빔(422a,422b)에 지지된 상태에서 합지장식시트(402)의 폭을 가로질러 왕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봉(425)의 일측에 모터(428)가 장착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기어(427b)가 회전하며, 상기 기어들(427a,427b)이 서로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가 회전 구동된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장치는 표면장식필름(32), 기재시트(42), 점착시트(5)와 같은 각 원단들을 모두 연속적으로 가공하는 것이므로,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를 이용해 횡방향 칼집무늬들(21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2합지장식시트(402)의 진행을 잠시 정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가 커버할 수 있는 1프레임의 영역만큼만 합지장식시트(401,402)를 진행하고, 잠시 진행을 정지하는 동안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를 작동시켜 사각모양 칼집무늬(220)를 완성한다.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가 커버할 수 있는 1프레임의 길이는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의 길이 및 회전칼날들(421)의 작동 범위를 고려하여 미리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1프레임씩 합지장식시트를 진행시키고 횡방향 칼집무늬(210)를 형성하더라도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연속된 패턴으로 정교하게 사각모양 칼집무 늬(220)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상술한 도4 내지 도6은 표면장식필름(32), 기재시트(42), 점착시트(5) 등의 각 원단들이 모두 연속된 롤 형태로 되어 있어서 연속된 공정으로 각 원단들을 합지하고 칼집무늬를 형성하는 과정과 그 제조장치들이 도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연속된 롤 형태가 아니라 시트(sheet) 형태의 낱장으로 만들어져 있는 원단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 장씩 합지하고 한 장씩 칼집무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7에는 이와 같이 낱장 형태의 원단을 사용하여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를 형성하는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낱장형태의 기재시트(42a)는 기재시트 적재케이스(42b)에 저장되어 있다가 축출롤러(42c)에 의해 한 장씩 축출되어 공급되며, 기재시트(42a)는 도4에 도시된 접착제 도포수단과 동일한 장치, 방법에 의해서 접착제(44)가 도포된 후 제1합지롤러들(46a)에 의해서 표면장식필름시트(32a)와 합지된다.
표면장식필름시트(32a)는 표면장식필름시트 적재케이스(32b)에 저장되어 있다가 축출롤러(32c)에 의해서 한 장씩 축출되어 공급되며, 기재시트(42a)위에 합지된다.
점착시트(52a)도 역시 마찬가지로 낱장 형태로 준비되어 있으며 점착시트 적재케이스(52b)안에 담겨 있다가 축출롤러(52c)에 의해서 한 장씩 축출되어 제2합지롤러들(46b)로 공급된다.
도8은 도7에 도시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장식시트 위에 종방향 칼집무늬(200)와 횡방향 칼집무늬(210)를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도7 및 도8을 참고하면, 낱장 형태의 장식시트는 따로 따로 이송이 가능하므로, 라인을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종방향 칼집무늬(200)와 횡방향 칼집무늬(210)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면장식필름시트(32a), 기재시트(42a) 및 점착시트(52a)가 모두 합지된 후의 제2합지장식시트(402a)를 제1컨베이어 벨트(500)에 태운 상태에서 이동시키면서 종방향절단 회전커터(410)에 의해 제2합지장식시트(402) 위에 종방향 칼집무늬(200)를 형성한 후, 이어서 그 제2합지장식시트(402)를 경사로를 따라 제2컨베이어 벨트(510)위에 이동시킨다. 제2컨베이어 벨트(510)는 앞의 제1컨베이어 벨트(5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끔 되어 있어서 횡방향절단 회전커터(420)의 밑을 곧바로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낱장 형태의 원단들을 사용하면 횡방향 칼집무늬를 형성하기 위해 라인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도7 및 도8에서 401a 및 402a는 낱장 형태로 합지된 중간단계의 합지장식시트를 가리키고, 403a는 사각형 칼집무늬가 형성된 후의 완성된 합지장식시트를 가리킨다. 이 중에서, 특히 401a는 점착시트(52a)가 합지되기 전의 장식시트를 가리키고, 402a는 점착시트(52a)가 합지된 후 종방향 칼집무늬(200)가 형성되고 아직 횡방향 칼집무늬(210)는 형성되기 이전의 합지장식시트를 가리킨다.
그리고 도면부호 410a와 410b는 각각 합지장식시트를 다음 단계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들을 가리킨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앞서서 도3 내지 도8에서는 모두 회전칼날이 장착된 2개의 회전커터들(410,420)을 이용하여 따로 따로 종방향 칼집무늬(200)와 횡방향 칼집무늬(210)를 형성하는 공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톰슨 프레스기(흔히 '도무송'기계라고 함)를 이용하면 한꺼번에 사각격자 형태의 칼집무늬들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9에 도시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은 전체적으로 도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바닥에 격자형 커터(601)가 설치된 톰슨 프레스기(600)를 이용하여 한번의 프레스 작업으로 한 프레임씩 사각 칼집무늬를 형성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톰슨 프레스기(600)의 바닥에 설치된 격자형 커터(601)는 사각 격자형의 칼날들이 일체로 조립되어 있어서 한번 찍어 누르기만 하면 그 칼날에 대응된 모양으로 장식시트의 표면부분이 절단되어 분할된다.
도10은 도4 내지 도9에 도시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들의 순서도이다
도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기재시트(42)에 접착제(44)를 도포한 후(S1 단계), 표면장식필름(32)을 상기 기재시트(42) 위에 합지시킨다(S2 단계). 이어서 기재시트(42)와 표면장식필름(32)에 50~90℃의 열을 2분~30분 정도 가하여 접착제를 경화시키 고(S3 단계), 점착시트(5)를 기재시트(42)의 밑면에 합지시킨다(S4 단계). 다음으로 종방향 절단 회전커터로 합지된 장식시트 위에 종방향 칼집무늬를 형성하고(S5 단계), 횡방향 절단 회전커터를 이용하여 다시 그 위에 횡방향 칼집무늬를 형성함으로써(S6 단계), 사각 칼집무늬 장식시트를 완성한다(S7 단계).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a)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11에 도시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a)를 도2에 도시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와 비교하면, 기재시트층(4)의 밑면에 점착시트층(5) 대신 핫멜트 시트층(55)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도1 내지 도10에서 상술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는 점착시트(5)가 부착되어 있어서 이형지(6)를 제거한 후 곧바로 유리, 가구, 액세서리 용품, 실내 벽면 등에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점착시트(5)는 의복 등 섬유류 제품에는 부착하기 어려우며, 부착하더라도 세탁을 하면 점착층이 떨어져 나갈 위험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를 의복에 부착하기 위해 점착시트 대신 핫멜트 시트(55)를 적용하였다. 핫멜트 시트(55)는 합성수지 필름(552)의 밑면에 열가소성의 합성수지 물질로 이루어진 핫멜트 물질이 도포되어 있어서, 열을 가하여 의복에 부착하면 핫멜트 물질이 장식시트와 의복 사이에서 융해되었다가 경화됨으로써 접착력을 발휘한다. 핫멜트 물질은 대략 80~100℃ 정도의 열을 가하면 융해되었다가 냉각되면서 경화되어 접착효과를 발생하는데, 핫멜트 물질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면 본 발명의 장식시트(1)를 의복, 섬유류 제 품에도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11을 참고하면, 기재시트층(4)의 밑면에 핫멜트 시트층(55)이 부착되며, 핫멜트 시트층(55)은 합성수지 필름층(552)과 그 위의 접착제층(551) 및 합성수지 필름층(552) 아래의 핫멜트 물질층(5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핫멜트 시트층(55)은 접착제층(551)에 의해서 기재시트층(4)의 아래에 부착된다.
도12는 도11에 도시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a)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12에 도시된 S11단계 내지 S17 단계는 S14단계를 제외하면 도10의 S1 단계 내지 S7 단계와 동일하다. 즉, 핫멜트 시트를 기재시트의 밑면에 접착하여 합시키는 공정(S14 단계)만이 변경되었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를 실내 장식벽지(70)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며, 도14는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를 다이어리 제품(750)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는 그 자체적으로 사각형태로 분할된 작은 장식조각들을 가지고 있지만, 또한 기재시트 자체가 칼에 의해서 쉽게 잘라질 수 있는 재질로 되어 있어서, 어떤 장식형태로도 쉽게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를 꽃 모양으로 쉽게 잘라내어 가방, 핸드백, 소품, 액세서리 제품 등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으며, 특히 필요한 색깔별로 여러 가지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를 준비하고 각 색깔에 맞는 모양을 잘라내어 조합하면 여러 가지 색깔로 어떤 그림, 디자인이건 표현할 수가 있다.
도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를 실내 공간(700)의 벽지 시트(70)에 적용하여 벽면을 재미있고 신선한 그림들로 디자인하여 표현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각 꽃무늬 마다 서로 다른 색깔의 장식무늬시트(실제로는 표면장식필름의 색깔임)를 오려서 부착하면 여러 색깔을 가진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실내 공간의 일부를 강조하는 포인트 벽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에 발맞추어 주방벽면, 욕실벽면, 거실 벽면 등에 본 발명의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를 적용하여 디자인을 표현하면 신선하고 깔끔하면서 신비로운 미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도14에는 액세서리 제품 중의 하나인 다이어리(750)의 표면을 본 발명의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를 이용하여 장식한 예를 도시하였다. 다이어리나 가방 등의 신변물품들은 굴곡된 부분을 가지고 있어서 이 부분에 본 발명의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를 적용하면 각 분할된 장식조각들이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빛의 여러 방향으로 반사하여 새롭고 아름다운 미감을 선사할 수 있게 된다.
도15 및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a)의 완성 전후의 단면도들이며, 도17은 도15 및 도16의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a)를 제조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우선 도15 및 도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는 상술한 실시예들처럼 점착시트층 또는 핫멜트층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 이외에도, 섬유원단(7) 위에 발포 합성수지층(4a)을 직접 형성하고 그 위에 표면장식필름(3)을 합지한 후 사각 칼집무늬(2)를 냄으로써도 제작할 수 있다.
도15를 참고하면, 섬유원단(7)의 위에 1차적으로 발포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발포합성수지층(4a)을 형성한다. 이때 발포 합성수지로는 PVC 또는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 가능한 합성수지 물질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발포 합성수지 물질은 섬유원단(7)위에 도포되어 피막을 형성한다. 상기 발포 합성수지층(4a)을 경화시킨 후에는 그 위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표면장식필름(3)을 합지시키는데, 접착제 도포와 표면장식필름(3)의 합지과정은 앞서 도4에 도시된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발포 합성수지층(4a)위에 표면장식필름(3)이 합지된 이후에는 도4 내지 도10에 도시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각 칼집무늬를 형성하여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a)를 완성한다(도16 참조).
도17은 도15 및 도16의 사각분할 무늬 장식시트(1a)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17을 참고하면, 우선 섬유원단의 표면에 발포 PVC 또는 발포 폴리우레탄(우레탄) 등의 발포 합성수지물질을 도포하고(S21 단계), 상기 합성수지 도포층을 경화시켜 기재 발포합성수지층을 형성한다(S22 단계). 이어서 상기 발포 합성수지층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S23 단계), 그 위에 표면장식필름을 합지시킨다(S24 단계). 발포 합성수지층과 표면장식 필름 사이의 접착층이 경화되면(S25 단계), 도4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종방향 절단 회전커터로 종방향 칼집무늬를 형성하고(S26 단계), 횡방향 절단 회전커터로 횡방향 칼집무늬를 형성하여(S27 단계), 사각 칼집무늬 장식시트를 완성한다(S28 단계).
도15 내지 도17에 도시된 장식시트(1a) 및 그 제작방법은 본 발명의 3번째 실시예라고 할 수 있는데, 옷감(섬유원단)위에 곧바로 사각 칼집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옷감 위에 직접 사각 칼집무늬가 표현되게 되면,이 옷감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용도로 의복 및 패션잡화를 만들 수 있으므로, 보다 널리 사각 분할 장식무늬 형태의 디자인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는 기존의 스티커형 장식지들이 단조로운 느낌을 주었던 것을 개선하여 새롭고 창의적인 미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표면의 분할된 장식조각들이 점착층 혹은 옷감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서로 벌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빛의 다양한 반사형태를 통한 아름다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는 가방, 핸드백, 다이어리, 의복, 각종 액세서리 제품들과 가구, 창문, 문, 벽면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제품의 미적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품의 미적 가치 상승으로 인한 매출증가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의 사시도이고, 도2는 상기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3은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의 굴곡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5 및 도6은 도4에 도시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장식시트 위에 종방향 칼집무늬(200)와 횡방향 칼집무늬(210)를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8은 도7에 도시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장식시트 위에 종방향 칼집무늬(200)와 횡방향 칼집무늬(210)를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10은 도4 내지 도9에 도시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들의 순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a)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12는 도11에 도시된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a)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를 실내 장식벽지(70)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며, 도14는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를 다이어리 제품(750)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다.
도15 및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a)의 완성 전후의 단면도들이며, 도17은 도15 및 도16의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1a)를 제조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사각칼집무늬 장식시트 2: 사각모양 칼집
2a: 수직절단선 3: 표면장식 필름층
3a: 접착제층 4: 기재층
4a: 발포 합성수지층
5: 점착시트 5a: 합성수지필름
5b: 제1점착층 5c: 제2점착층
6: 이형지 10: 절단된 장식조각
31: 표면장식 필름롤 32: 표면장식필름
32a: 표면장식 필름시트 32b: 표면장식필름시트 적재케이스
32c: 축출롤러 40a, 40b: 가이드롤러
41: 기재시트롤 42,42a: 기재시트
42b: 기재시트 적재케이스 42c: 축출롤러
43a: 접착제 도포롤러 43b: 보조롤러
44: 접착제 44a: 접착제 통
44b: 스퀴지(squeegee) 칼 45a: 제1접착제 전달롤러
45b: 제2접착제 전달롤러 46a: 제1합지롤러
46b: 제2합지롤러 47: 히터
51: 점착시트 롤 52a: 점착시트
52b: 점착시트 적재케이스 52c: 축출롤러
55: 핫멜트 시트 70: 벽지시트
200: 종방향 칼집 무늬 210: 횡방향 칼집 무늬
220: 사각모양 칼집무늬 401, 401a: 제1합지 장식시트
402, 402a: 제2합지 장식시트 403, 403a: 제3합지 장식시트
410: 종방향 절단 회전커터 410a, 410b: 이송롤러
411: 회전칼날 420: 횡방향 절단 회전커터
421: 회전칼날 422a,422b: 안내빔
422c: 가이드홈 425: 연결봉
426: 커터 중심축 427a, 427b: 기어
428: 모터 500, 510: 컨베이어 벨트
501: 구동롤러 502: 종동롤러
503: 지지롤러 551: 접착제층
552: 합성수지 필름 553: 핫멜트층
600: 톰슨 프레스기 601: 격자형 커터
700: 실내 공간 750: 다이어리 제품

Claims (7)

  1. 합성수지 재질의 기재시트층(4);
    상기 기재시트층(4)의 윗면에 부착된 표면장식필름층(3);
    상기 기재시트층(4)과 상기 표면장식필름층(3)의 사이에 도포되어 경화된 접착제층(3a); 및
    상기 기재시트층(4)의 밑면에 부착된 점착시트층(5);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시트층(5)의 밑면은 이형지(6)로 덮여질 수 있고, 상기 표면장식필름층(3)과 기재시트층(4)은 사각 형태의 복수 개의 조각들(10)로 연속적으로 절단되어 분할된 상태에서 상기 점착시트층(5) 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층(5)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층(5a); 및
    상기 합성수지 필름층(5a)의 윗면과 밑면에 각각 부착된 제1점착층(5b)과 제2점착층(5c);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점착층(5b) 및 제2점착층(5c)은 아크릴계 공중합물을 포함하는 점착 재료물질들 중에서 선택된 점착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
  3. 합성수지 재질의 기재시트층(4);
    상기 기재시트층(4)의 윗면에 부착된 표면장식필름층(3);
    상기 기재시트층(4)과 상기 표면장식필름층(3)의 사이에 도포되어 경화된 접착제층(3a); 및
    접착제 또는 점착제에 의해 상기 기재시트층(4)의 밑면에 부착된 핫멜트 시트층(55);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장식필름층(3)과 기재시트층(4)은 사각 형태의 복수 개의 조각들로 연속적으로 절단되어 분할된 상태에서 상기 핫멜트 시트층(55) 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
  4. (a) 합성수지 재질의 기재시트(42)의 표면에 접착제(44)를 도포하는 제1단계;
    (b) 상기 기재시트(42)의 윗면에 표면장식필름(32)을 합지하는 제2단계;
    (c) 상기 기재시트(42)의 밑면에 점착시트(5)를 합지하되, 상기 점착시트(5)는 합성수지 필름(5a)의 윗면과 밑면에 각각 제1점착층(5b)과 제2점착층(5c)이 부착되고 상기 제2점착층(5c)의 밑면에는 이형지(6)가 부착되어 있는, 제3단계; 및
    (d) 상기 표면장식필름(32), 기재시트(42) 및 점착시트(5)가 합지되어 만들어진 합지장식시트(402)에 대해서 그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사각격자형의 칼집을 내어 상기 표면장식 필름(32)과 기재시트(42)를 사각 형태의 복수 개의 조각들로 분할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5. (a) 합성수지 재질의 기재시트(42)의 표면에 접착제(44)를 도포하는 제1단계;
    (b) 상기 기재시트(42)의 윗면에 표면장식필름(32)을 합지하는 제2단계;
    (c) 상기 기재시트(42)의 밑면에 핫멜트 시트를 부착하되, 상기 핫멜트 시트는 합성수지 필름(552)의 윗면에 접착제(551)가 도포되고 합성수지 필름(552)의 밑면에는 핫멜트 물질(553)이 도포되어 있는, 제3단계; 및
    (d) 상기 표면장식필름(32), 기재시트(42) 및 핫멜트 시트가 합지되어 만들어진 합지장식시트(402)에 대해서 그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사각격자형의 칼집을 내어 상기 표면장식 필름(32)과 기재시트(42)를 사각 형태의 복수 개의 조각들로 분할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d-1) 상기 합지장식시트(402)의 진행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된 종방향 절단 회전커터(410)를 이용하여 상기 합지장식시트 중의 표면장식필름(32)과 기재시트(42)를 그 깊이방향으로 절단하되, 상기 종방향 절단 회전 커터(410)는 회전중심축 둘레에 복수 개의 원형 회전칼날들(411)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표면장식필름(32)과 기재시트(42)를 그 진행방향과 나란한 복수 개의 종방향 줄들(200)로 절단하는, 제4-1단계; 및
    (d-2) 상기 종방향 절단 회전커터(4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횡방향 절단 회전커터(420)를 이용하여 상기 합지장식시트 중의 표면장식필름(32)과 기재시트(42)를 그 깊이방향으로 절단하되, 상기 횡방향 절단 회전 커터(420)는 회전중심축 둘레에 복수 개의 원형 회전칼날들(421)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표면장식필름과 기재시트를 상기 종방향 줄들(200)과 직교하는 복수 개의 횡방향 줄들(210)로 절단하는, 제4-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7. 섬유원단(7);
    상기 섬유원단(7)의 위에 발포 PVC 및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는 발포 합성수지 재질들 중의 하나를 도포한 후 경화시켜 형성한 발포 합성수지층(4a);
    상기 발포 합성수지층(4a)의 윗면에 부착된 표면장식필름층(3); 및
    상기 발포 합성수지층(4a)과 상기 표면장식필름층(3)의 사이에 도포되어 경화된 접착제층(3a);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장식필름층(3)과 발포 합성수지층(4a)은 사각 형태의 복수 개의 조각들로 연속적으로 절단되어 분할된 상태에서 상기 섬유원단(7) 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
KR1020080067245A 2008-07-10 2008-07-10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6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245A KR20100006791A (ko) 2008-07-10 2008-07-10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245A KR20100006791A (ko) 2008-07-10 2008-07-10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791A true KR20100006791A (ko) 2010-01-21

Family

ID=4181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245A KR20100006791A (ko) 2008-07-10 2008-07-10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7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7541A (zh) * 2011-06-24 2012-12-26 蔡瑞安 具有水钻装饰图案的卫浴用品的制造方法
KR20190037210A (ko) * 2016-03-22 2019-04-05 (주)엘림론 실내 인테리어용 벽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6287A (ko) * 2017-12-05 2019-06-13 김대현 유압 프레스기를 이용한 입체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33322B1 (ko) * 2019-02-28 2019-10-17 최윤범 의류용 2중합지 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접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7541A (zh) * 2011-06-24 2012-12-26 蔡瑞安 具有水钻装饰图案的卫浴用品的制造方法
KR20190037210A (ko) * 2016-03-22 2019-04-05 (주)엘림론 실내 인테리어용 벽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6287A (ko) * 2017-12-05 2019-06-13 김대현 유압 프레스기를 이용한 입체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33322B1 (ko) * 2019-02-28 2019-10-17 최윤범 의류용 2중합지 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접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964B1 (en) Louver laminated with a very thin film
KR20100006791A (ko) 사각분할무늬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TW201302481A (zh) 產生具反射性之花樣並移轉該花樣至一基底的方法及反射移轉膜
CN107002350B (zh) 人造革聚氨酯复合材料的维度增强
ITMO20060410A1 (it) Metodo per realizzare composizioni ceramiche e/o lapidee pronte da posare
KR102036367B1 (ko)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의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EP2383110B1 (en) Decorative embossed sheets for covering panels, particularly for the furniture industry, and related production method
RU240121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ъем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из кожи
RU151187U1 (ru) Лента рулонная для декоративных планок карнизов
KR200461716Y1 (ko)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JPH0655496B2 (ja) 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18269Y1 (ko) 홀로그램 시트를 표면 시트에 접합한 가구용 패널
CN101297071B (zh) 用于手提袋的包括一段胶带的装饰紧固装置及其生产方法和设备
JP3381507B2 (ja) 目地模様付きフィルムラミネート鋼板
KR101069264B1 (ko) 가전제품 부착용 패널에 필름을 트리밍하여 라미네이팅하는방법
JP2869262B2 (ja) 化粧木材の製造方法及び化粧木材
KR102270994B1 (ko) 실내 인테리어용 벽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US3579398A (en) Method of curling thermoplastic resin film into pipes and constructing upholstery therewith
US20020086121A1 (en) Moisture-resistant, shape-retaining fabric, ribbon and bow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JPH07223206A (ja) 化粧単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82298A (ja) 装飾袋体及び装飾帯体
JPH07290407A (ja) 化粧単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503524A (ja) 柔軟性、耐切断性、および耐摩耗性のシート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71231A (ko) 기능성 기모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JPH07329268A (ja) 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