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353A -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353A
KR20100006353A KR1020080066550A KR20080066550A KR20100006353A KR 20100006353 A KR20100006353 A KR 20100006353A KR 1020080066550 A KR1020080066550 A KR 1020080066550A KR 20080066550 A KR20080066550 A KR 20080066550A KR 20100006353 A KR20100006353 A KR 20100006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poi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종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6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353A/ko
Priority to US12/459,894 priority patent/US20100010737A1/en
Publication of KR2010000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01C21/3682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output of POI information on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1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character input or menus, e.g. menus of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11Point data, e.g. Point of Interest [POI]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1Determining conditions which influence positioning, e.g. radio environment, state of motion or energy consumption
    • G01S5/011Identifying the radio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위치 파악 요청이 발생하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분할된 다수의 셀 중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현재 위치한 셀인 서비스 셀의 셀 ID(Identification)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셀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도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셀의 셀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POI(Point of Interest)를 로딩하고, 상기 로딩된 지도 정보 및 POI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출력한다.
위치 안내, 셀 ID, GPS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LO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과 네비게이션 단말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GPS 모듈을 탑재한 이동 통신 단말 또한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GPS 모듈을 탑재한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과정은 일반적으로 도1과 같다.
도1은 GPS 모듈을 탑재한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1을 참조하여, 이동 통신 단말은 1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네비게이션 기능의 실행 요청이 있으면, GPS 위치 요청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13단계에서 GPS 수신기를 동작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13단계에서 현재 위치 파악이 완료되면, 15단계에서 파악된 현재 위치를 이용해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현지 위치에 대한 구역 지도 및 관련 POI(Point of Interest)를 로딩하고 21단계로 진행하여, 로딩된 구역 지도 및 관련 PO를 화면에 출력한다. 한편, 17단계에서 사 용자로부터 특정 POI 입력이 있으면, 19단계로 진행하여 현지 위치에 대한 구역 내에서 상기 특정 POI를 검색하여, 21단계에서 로딩된 지도 및 관련 POI와 함께 검색된 결과를 화면에 출력한다.
상기 특정 POI의 입력은 상기 11단계에서 네비게이션 기능 실행 요청 이후에 발생할 수도 있고, 15단계의 진행 중에도 발생할 수 있고, 로딩된 지도 및 관련 POI의 화면 출력이 완료된 다음에 발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정 POI에 대한 검색은 현재 위치에 대한 구역 지도 및 관련 POI가 로딩된 다음에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정 POI에 대한 검색은, 검색 요청 발생 시점과 상관없이, 현재 위치에 대한 구역 지도 및 관련 POI가 로딩된 다음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현재 위치에 대한 구역 지도 및 관련 POI의 로딩은 GPS 수신기가 동작하여 현재 위치가 파악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정 POI에 대한 검색은 GPS 수신기를 통한 현지 위치 파악에 소요되는 시간과 현재 위치에 대한 구역 지도 및 관련 POI가 로딩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각 단계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도2에 도시하였다.
도2에서 딜레이 a는 13단계에서 GPS 위치 결정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일반적으로 5초에서 3분 정도이다. 그리고 딜레이 b는 상기 15단계에서 현재 위치에 대한 구역 지도 및 관련 POI로딩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일반적으로 1초에서 2초이다. 마지막으로 딜레이 c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POI 검색 및 조건 비교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일반적으로 1초에서 2초이다.
도2에서와 같이, 각 단계들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현재 위치에 대한 구역 지도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POI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여러 가지 이유로 GPS 신호 수신이 어렵거나, 사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에 유동인구가 많은 경우, 초기 GPS 위성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함은 더욱 증가한다.
한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지역을 다수의 셀로 분할하고, 각 셀에 포함되는 구역에 이동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기지국을 구비함으로써, 이동 통신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에게 현재 위치한 셀의 셀 ID(Identification)와 인접 셀의 셀 ID를 통지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해 통지되는 셀 ID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영역을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을 즉시 파악한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영역의 POI들을 거리 계산을 위한 연산 없이 로딩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을 즉시 파악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정 POI에 대한 검색 결과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위치 파악 요청이 발생하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분할된 다수의 셀 중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현재 위치한 셀인 서비스 셀의 셀 ID(Identification)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셀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도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셀의 셀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POI(Point of Interest)를 로딩하는 로딩 과정과, 상기 로딩된 지도 정보 및 POI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로딩 과정은 상기 서비스 셀에 인접한 셀의 셀 ID를 이용해 상기 인접한 셀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도 정보 및 상기 인접한 셀의 셀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POI를 로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로딩 과정과 병행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계산 과정과, 상기 위치 좌표의 계산이 완료되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지도 정보 상에 상기 위치 좌표를 표시하는 표시 과정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특정 POI에 대한 검색 요청이 있으면, 상기 로딩된 POI에서 상기 특정 POI를 검색하는 제1검색 과정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특정 POI가 상기 로딩된 POI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셀과 상기 인접한 셀에 대응하는 지역의 주변 지역에 위치하는 POI에서 상기 특정 POI를 검색하는 제2검색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로딩된 지도 정보 및 POI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아이들 모드일 때 대기 화면으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해 통지되는 셀 ID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영역을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을 즉시 파악한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영역의 POI들을 거리 계산을 위한 연산 없이 로딩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정 POI에 대한 검색 결과 또한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동 통신 단말(10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110), 제어부(120), 이동 통신부(130), 메모리(140), 키입력부(150),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부(160)는 각종 화상 정보와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및 화상을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키 입력부(150)는 *, #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이 구비하는 여러 가지 기능에 대응되게 메뉴(menu), 선택, 통화, 지움, 전원/종료, 볼륨(volume), 촬영 등 다수 기능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그리고 키 입력부(150)는 0 ~ 9의 각 숫자가 할당되고, 각 숫자가 할당된 키에 다수의 한글 또는 영문자가 할당된 문자키를 구비한다.
GPS 모듈(110)은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GPS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부(120), 메모리(140)와 연동하여,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해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네비게이션 기능 수행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연산한다.
이동 통신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이동 통신에 필요한 동작 및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이동 통신부(130)는 안테나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200)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부(130)는 베이스밴드 처리부를 통해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를 통해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는 제어부(120)로부터 송,수신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처리 한다. 또한 이동 통신부(130)는 항상 기지국(200)과 다운/업 링크(Down/Up Link)로 상태를 변경하게 되며 이때의 상태를 제어부(120)에 전달하여 상태가 제어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부(130)에 연결된 기지국(200), 즉, 서비스 셀의 기지국에 대한 정보와 인접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보유한다. 상기 정보는 기지국 ID에 해당하는 셀(Cell) ID정보를 의미하며, 서비스 셀의 셀 ID와 인접 셀의 셀 ID는 서비스 셀의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재 이동 통신 단말(100)이 위치한 지점을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을 가지는 셀을 서비스 셀이라 한다.
이러한 셀 ID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지역별 커버리지(Coverage)를 조절하기 위하여, 셀 플랜(Cell Planning)한 결과로 할당되며, 도시 및 국가 전체를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하나의 셀의 서비스 영역은 기지국의 통신 반경은, 예를 들어, 도심 1~ 2Km, 외곽 3K~5Km 정도가 된다. 때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위해 나누어진 지도상의 단위구역(Map Tile) 내에 다수의 셀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Cell ID가 여러 개 존재할 수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단위 구역은 물론 하나의 셀 내에 다수의 POI가 존재 할 수 있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사용자, 즉, 이동 통신 단말(100)은 제1셀(200)에 위치하며, 제1셀(301)은 제5단위구역(Map tile 5)에 포함된다. 그리고 제2셀(303), 제3셀(305), 제4셀(307), 제5셀(309), 제6셀(311), 제7셀(313)은 제1셀(301)과 인접하고, 해당 셀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이 제5단위구역(Map tile 5)에 포함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현재 이동 통신 단말(100)이 위치하는 서비스 셀의 셀 ID를 기본으로 활용하고, 추가적으로 인접 셀의 셀 ID를 활용한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20)의 동작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제어부(12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제공된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맵/POI(Map/Point of Interest)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맵/POI 데이터베이스는 각 POI가 위치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셀의 셀 ID를 각 POI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지도상에서 각 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 셀의 위치 정보는 해당 셀 ID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고, 관리되어진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셀 간의 인접관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POI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포맷의 일예를 도7에 도시하였다. 도7을 참조하여, 맵/POI 데이터베이스 포맷(510)은 인덱스 필드, POI 이름 필드, POI 카테고리 필드, 위치 필드, 전화번호 필드와 함께, 본 발명에 따라, 셀 ID 필드(501)를 포함한다. 또한 셀 ID는 네비게이션 기능 실행시 지도상에 표시되는 각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맵/POI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일예로, 도7에서 도로 선형 정보에 대한 맵 데이터베이스 포맷(520)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100)이 본 발명에 따라 위치를 안내하는 과정을 도5에 도시하였다. 도5를 참조하여, 40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네비게이션 기능의 실행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120)는 위치 파악 요청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한다. 상기 위치 파악 요청은 네비게이션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발생할 수도 있고, 이동 통신 단말에 구비된 다른 기능 중 위치 정보가 필요한 기능이 실행될 때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위치 파악 요청을 감지하면, GPS 위치 좌표 계산을 수행하기 위해 411단계로 진행하는 동시에, 403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 셀의 셀 ID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100)이 위치한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지역, 즉, 현재 지역을 파악한다.
다시 말해, 411단계에서 제어부(120)는 GPS 모듈(110)을 동작시켜, 이동 통신 단말(100)이 현재 위치한 지점 및 그 주변 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신호 처리 및 연산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411단계와 병행하여 403단계에서 서비스 셀의 셀 ID를 이용해 맵/POI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셀 ID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도 및 상기 지역에 존재하는 관련 POI를 로딩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서비스 셀과 인접한 셀들, 즉, 인접 셀의 셀 ID를 파악하여, 각 인접 셀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도 및 관련 POI도 함께 로딩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 셀의 개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셀 맵핑에 따라 달라지며, 서비스 셀과 인접 셀에 대응하는 지역이 현재 지역으로 파악되는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100)이 제1셀(301)에 위치함에 따라, 제어부(120)는 셀 ID 0x120012를 이용하여 제1셀(301)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도와 상기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POI를 로딩하거나, 이와 함께 인접 셀인 제2셀(303), 제3셀(305), 제4셀(307), 제5셀(309), 제6셀(311), 제7셀(313) 각각의 셀 ID를 이용하여 각 인접 셀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도와 관련 POI를 로딩한다.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100)의 서비스 셀을 중심으로 현재 이동 통신 단말이 위치한 현재 지역을 검출하는 것은, 비록, 이동 통신 단말(100)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동 통신 단말(100)의 위치한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지역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현재 지역에 대한 지도 및 주변 지역에 존재하는 POI를 추출하는 시간도 단축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특정 POI에 대한 검색 요청이 없으면, 제어부(120)는 413단계에서 로딩된 현재 지역에 대한 지도와 관련 POI를 409단계에서 화면에 출력한다. 만약, 사용자가 특정 POI에 대한 검색을 요청한다면, 요청 시점과 상관없이 403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403단계에서 로딩된 현재 지역에 대한 지도 및 관련 POI 내에서 특정 POI에 대한 검색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409단계에서 화면에 출력한다. 이 경우 특정 POI 검색을 위한 검색 대상이 현재 지역에 존재하는 POI로 축소되기 때문에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그리고 411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100)의 위치 좌표 계산이 완료되면, 제어부(120)는 그 결과를 403 단계에 서 로딩된 결과에 반영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GPS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120)의 위치 파악을 하지 않거나, 또는 위치 파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100)에 대한 서비스 셀의 셀 ID를 이용하여 단 시간 내에 사용자에게 현재 지역을 파악하여 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POI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각 단계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도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GPS 신호를 이용한 위치 결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딜레이 a라 하고, 현재 지역에 대한 지도 및 관련 POI 로딩에 소요되는 시간을 딜레이 b라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POI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이 딜레이 c라 하였을 때, 딜레이 b와 딜레이 c는 순차적으로 진행되지만, 딜레이 a는 딜레이 b 또는 딜레이 c와 동시에 병행되어 진행되기 때문에, 최종 적인 검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따라 GPS 신호를 이용한 위치 계산은 실행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의 아이들 모드(Idle mode)의 화면, 즉, 대기 화면에 상기한 도5의 과정 중 403단계 및 409단계만을 수행하여 파악한 현재 지역에 대한 지도 및 POI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대기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현재 지역은 서비스 셀에 대응하는 지역으로 한정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이동 통신 단말이 인접 셀로 핸드오버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지도 및 POI 정보도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 시간으로 자신이 위치한 지역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서비스 셀 또는 서비스 셀에 인접한 셀들의 셀 ID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이 현재 위치한 지역을 파악하는 기능은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동하도록 구성하여, 위치 기능 서비스 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범위의 지역에 위치하게 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위치 기반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으면, 이동 통신 단말(100)은 상기한 과정으로 현재 지역을 파악하여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POI 검색시, 먼저 현재 지역에 위치하는 POI 내에서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결과 특정 POI가 검색되지 않으면, 현재 지역의 주변 지역에 위치하는 POI 내에서 검색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현지 지역에서 먼저 특정 POI를 검색하고, 검색 지역을 점차적으로 주변 지역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주변 지역의 POI를 파악하는 것은, 각 POI가 해당 위치 좌표와 함께 저장되기 때문에, 현재 지역의 POI와 위치 좌표와의 비교 연산과정을 통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확대되는 주변 지역의 지리적 면적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도1은 종래의 위치 안내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2는 종래의 위치 안내 소요 시간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4는 이동 통신 서비스의 셀 구성 및 지도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소요 시간을 나타내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포맷을 나타낸 도면.

Claims (12)

  1.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에 있어서,
    위치 파악 요청이 발생하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분할된 다수의 셀 중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현재 위치한 셀인 서비스 셀의 셀 ID(Identification)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셀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도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셀의 셀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POI(Point of Interest)를 로딩하는 로딩 과정과,
    상기 로딩된 지도 정보 및 POI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과정은 상기 서비스 셀에 인접한 셀의 셀 ID를 이용해 상기 인접한 셀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도 정보 및 상기 인접한 셀의 셀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POI를 로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과정과 병행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계산 과정과,
    상기 위치 좌표의 계산이 완료되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지도 정보 상에 상 기 위치 좌표를 표시하는 표시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POI에 대한 검색 요청이 있으면, 상기 로딩된 POI에서 상기 특정 POI를 검색하는 제1검색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POI가 상기 로딩된 POI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셀과 상기 인접한 셀에 대응하는 지역의 주변 지역에 위치하는 POI에서 상기 특정 POI를 검색하는 제2검색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된 지도 정보 및 POI 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아이들 모드일 때 대기 화면으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7.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맵/POI(Map/Point of Interest)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분할된 다수의 셀 중에서, 각 POI가 위치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셀의 셀 ID를 상기 각 POI(Point of Interest)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지도상에서 각 셀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위치 파악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현재 위치한 셀인 서비스 셀의 셀 ID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셀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도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셀의 셀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POI를 상기 메모리에서 로딩하고, 상기 로딩된 지도 정보 및 POI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셀에 인접한 셀의 셀 ID를 이용해 상기 인접한 셀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도 정보 및 상기 인접한 셀의 셀 ID에 대응하여 저장된 POI를 로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딩 과정과 병행하여 상기 GPS 모듈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좌표를 계산하도록, 상기 GPS 모듈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POI에 대한 검색 요청이 있으면, 상기 로딩된 POI에서 상기 특정 POI를 검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POI가 상기 로딩된 POI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셀과 상기 인접한 셀에 대응하는 지역의 주변 지역에 위치하는 POI에서 상기 특정 POI를 검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된 지도 정보 및 POI 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아이들 모드일 때 대기 화면으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장치.
KR1020080066550A 2008-07-09 2008-07-09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100006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550A KR20100006353A (ko) 2008-07-09 2008-07-09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US12/459,894 US20100010737A1 (en) 2008-07-09 2009-07-09 Position gu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550A KR20100006353A (ko) 2008-07-09 2008-07-09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53A true KR20100006353A (ko) 2010-01-19

Family

ID=4150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550A KR20100006353A (ko) 2008-07-09 2008-07-09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10737A1 (ko)
KR (1) KR201000063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280B1 (ko) * 2010-06-23 2012-04-02 주식회사 마인드웨어코퍼레이션즈 디지탈 맵을 기반으로 하는 광고 및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 통신기기
KR20130030378A (ko) * 2011-09-19 2013-03-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측위 방법 및 장치
KR20140050209A (ko) * 2012-10-18 2014-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내지도 및 측위 인프라에 기반한 실내 이동객체 관리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3143B2 (en) 2009-12-23 2013-09-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ing points-of-interest according to area names
BR112014009652B1 (pt) 2011-11-01 2021-06-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 executado em um servidor de mapas para habilitar seleção de mapas em um dispositivo de usuário e recuperar mapas a partir de um servidor de mapas, servidor de mapas, dispositivo de usuário, meio de armazenamento não transitório legível por computador
US10533872B2 (en) * 2017-07-14 2020-01-14 Uber Technologies, Inc. Displaying visible points of interest with a navigating system
US11379502B2 (en) 2018-11-09 2022-07-05 Uber Technologies, Inc. Place visibility sco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2027A1 (en) * 2004-12-29 2006-06-29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enhanced location-based services for mobile users
US7321305B2 (en) * 2005-07-05 2008-01-22 Pinc Solu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n object
US7730309B2 (en) * 2005-07-27 2010-06-01 Zimmermann Philip R Method and system for key management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ATE416362T1 (de) * 2006-03-28 2008-12-15 Harman Becker Automotive Sys Speicherung und interessensbezogene ansicht in einem navigationssystem
US20090144247A1 (en) * 2007-11-09 2009-06-04 Eric Wistrand Point-of-interest panning on a displayed map with a persistent search on a wireless phone using persistent point-of-interest criterion
KR101430467B1 (ko) * 2007-12-18 201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기기 및 이것의 동작 제어 방법
WO2009127242A1 (en) * 2008-04-14 2009-10-22 Nokia Corporation Providing positioning assistance dat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280B1 (ko) * 2010-06-23 2012-04-02 주식회사 마인드웨어코퍼레이션즈 디지탈 맵을 기반으로 하는 광고 및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 통신기기
KR20130030378A (ko) * 2011-09-19 2013-03-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측위 방법 및 장치
KR20140050209A (ko) * 2012-10-18 2014-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내지도 및 측위 인프라에 기반한 실내 이동객체 관리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10737A1 (en)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86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estination in navigation terminal
US6462676B1 (en) Map displaying apparatus and map displaying method
JP455946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20100006353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CN1808178A (zh) 使用移动终端检测运动体的位置的方法和系统
KR20040105199A (ko) 차량정보단말기의 정보저장장치 및 방법
US20060167632A1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method, and program
US20090112459A1 (en) Waypoint code establishing method, navigation start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JP6034810B2 (ja) 行き先候補表示システム、行き先候補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3199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5939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목적지 정보 전송 방법
JP2005017218A (ja) 施設情報検索システム
JP2006228149A (ja) 地域検索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70195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의 동작방법
KR101483766B1 (ko) 목적지 거리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0803703B1 (ko) 무선통신 휴대 단말기, 무선통신 실행 방법 및 위치 기반서비스 실행 방법
KR20090023976A (ko) 네비게이션 장치 및 목적지 설정방법
JP2009210518A (ja) 地図表示装置
KR100201296B1 (ko) 무선 호출 상대방의 위치경로를 자동 탐색하는기능을 갖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476007B1 (ko) 지피에스 차량 주행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이동통신기지국을 이용하여 출발위치를 파악하는 방법
KR200291353Y1 (ko) 휴대폰을 이용한 자동 목적지 표시장치
KR100476412B1 (ko) 정보단말기의 경로안내장치 및 방법
JP2001264095A (ja) 経路情報設定方式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9288168A (ja) 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当該経路案内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経路探索サーバ
JP200900268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