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253U - 전력 절감용 스위치를 구비하는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절감용 스위치를 구비하는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253U
KR20100006253U KR2020080016457U KR20080016457U KR20100006253U KR 20100006253 U KR20100006253 U KR 20100006253U KR 2020080016457 U KR2020080016457 U KR 2020080016457U KR 20080016457 U KR20080016457 U KR 20080016457U KR 20100006253 U KR20100006253 U KR 201000062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ignal
state
power
trans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379Y1 (ko
Inventor
박영석
김필기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6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37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2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2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3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송수신 장치는 전력 소비 소자; 상기 송수신 장치가 웨이크업 모드 또는 수면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지시하는 제1 신호 및 상기 송수신 장치가 송신 모드 또는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장치; 및 전원 신호와 상기 제어 장치에 결합되어 있고 제1 상태와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를 취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를 취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전원 신호가 상기 전력 소비 소자로 전달되며,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전원 신호가 상기 전력 소비 소자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무선 랜 단말, 저잡음 증폭기, 전원, 스위치

Description

전력 절감용 스위치를 구비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 WITH POWER SAVING SWITCH}
본 고안은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신호를 전력 소비 소자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은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AP)가 설치된 곳의 일정한 거리 안에서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통신 등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이다. 무선 랜 중 WiFi가 표준으로 정한 IEEE(Institute of Electronic and Electric Engineers) 802.11 b/g과 호환되는 무선 랜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무선 랜의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와 같은 다양한 전력 소비 소자들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무선 통신용 전력 소비 소자들은 무선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불가결한 구성요소들이지만, 상당한 전력을 소비하여 많은 열을 방출함과 동시에, 배터리로 구동되는 무선 랜 단말기의 사용시간을 단축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용 전력 소비 소자들의 전력 소비량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키도록 고안된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가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송수신 장치는 전력 소비 소자; 상기 송수신 장치가 웨이크업 모드 또는 수면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지시하는 제1 신호 및 상기 송수신 장치가 송신 모드 또는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장치; 및 전원 신호와 상기 제어 장치에 결합되어 있고 제1 상태와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를 취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를 취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전원 신호가 상기 전력 소비 소자로 전달되며,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전원 신호가 상기 전력 소비 소자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 장치는 안테나, 송신부 및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를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스위칭하는 RF 스위치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RF 스위치는 제2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소비 소자는 저잡음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기는 논리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실시예의 요약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의 단순화된 형태의 개념 중 일부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요약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 대상의 필수적인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 대상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한 것도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통신용 전력 소비 소자들의 전력 소비량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키도록 고안된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 도면이 참조된다. 도면에 있어서, 유사한 부호들은 문맥상 달리 해석되지 않는 이상 유사한 구성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항에 서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나타난 대상의 사상 또는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일반적으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본 개시의 구성들은 다른 다양한 구성들로 배치되거나, 대체되거나 결합될 수 있음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며, 그 모든 것들은 명백하게 고려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랜 단말기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랜 단말기(1)는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AP)(미도시)와 고주파(Radio Frequency:RF) 대역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RF부(100), 기저대역(Base Band:BB)에서 변복조 및 확산/역확산(despreading) 처리를 수행하는 BB부(200), 그리고 RF부(100) 및 BB부(200)를 포함하여 무선 랜 단말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00)을 포함한다.
RF부(100)는 송신부(110), 수신부(120), PLL(Phase Locked Loop)(130), RF 스위치(140) 및 안테나(150)를 포함할 수 있다. RF 스위치(140)는 CPU(3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송신부(110) 및 수신부(120) 중 하나가 안테나(150)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 제어 신호는 무선 랜 단말기(1) 및 RF부(100)가 송신 모드 또는 수신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RF 스위치(140)는 무선 랜 단말기(1)가 무선 통신용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송신부(110)가 안테나(150)와 연결되도록 스위칭되고, 무선 랜 단말기(1)가 무선 통신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부(120)가 안테나(150)와 연결되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송신부(110)는 BB부(200)로부터 기저대역의 송신용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고주파 대역의 송신용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부(110)는 BB부(200)로부터 기저대역의 송신용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111), PLL(130)과 연동하여 기저대역 의 송신용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대역의 송신용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112), 고주파 대역의 송신용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 배율로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PA)(113), 증폭된 송신용 아날로그 신호에 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BPF)(114)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110)에서 출력된 고주파 대역의 송신용 아날로그 신호는 RF 스위치(140)를 거쳐 안테나(150)를 통하여 무선으로 송신된다.
수신부(120)는 안테나(150)로부터 RF 스위치(140)를 통하여 고주파 대역의 수신용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기적대역의 수신용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120)는 안테나(150)로부터 RF 스위치(140)를 통하여 고주파 대역의 수신용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배율로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LNA)(121), PLL(130)과 연동하여 고주파대역의 수신용 아날로그 신호를 기저대역의 수신용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122), 그리고 기저대역의 수신용 아날로그 신호를 기저대역의 수신용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2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20)에서 출력된 기저대역의 수신용 디지털 신호는 BB부(200)로 제공될 수 있다.
BB부(200)는 송신용 디지털 신호에는 DBPSK, DQPSK, CCK, 64QAM 등의 변조 처리를 수행하고, 복조된 신호에 Barker 코드 등을 이용하여 확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BB부(200)는 수신용 디지털 신호에는 Barker 코드 등을 이용하여 역확산 처리를 수행하고, 역환산된 신호에 DBPSK, DQPSK, CCK, 64QAM 등의 복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RF부(100)의 LNA(121)는 전원(124)으로부터 전원 신호를 제공받아 동작하는 전력 소비 소자로서, LNA(121)가 동작할 필요가 없는 때에는 LNA(121)로 제공되는 전원 신호를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RF부(100)의 송신부(110) 및 수신부(120)는 각각 RF부(100)가 송신 모드 및 수신 모드인때에만 동작하며, 따라서 RF부(100)가 송신 모드인때에는 수신부(120)의 LNA(121)로 제공되는 전원 신호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랜 단말기(1)는 무선 랜 단말기(1)의 전체적인 전력 소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 및 수면 모드(Sleep Mode)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랜 단말기(1)는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AP)(미도시)로 소정의 메시지(예를 들어, 메시지의 데이터 헤더 필드 내의 802.11 플래그의 PS(Power Save) 비트를 0으로 표시한 메시지)를 전송하여 무선 랜 단말기(1)가 웨이크업 모드로 동작하고 있음을 AP에 알려준다. AP는 무선 랜 단말기(1)에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알리는 비트맵(bitmap)을 포함하는 비컨(beacon)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무선 랜 단말기(1)는 비컨 신호 내의 비트맵을 확인하여, 무선 랜 단말기(1)가 수신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수면 모드로 진입하고, AP가 비컨 신호를 송신한때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하여 무선 랜 단말기(1)가 수신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무선 랜 단말기(1)는 수신모드에서는 LNA(121)로 제공되는 전원 신호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CPU(300)는 무선 랜 단말기(1) 및 RF부(100)가 송신 모 드 또는 수신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신호로서, RF 스위치(140)의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CPU(300)는 무선 랜 단말기(1)가 웨이크업 모드 또는 수면 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RF부(100)는 CPU(300)가 생성하는 위 두 신호에 기초하여 LNA(121)로 제공되는 전원 신호를 차단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RF부(100)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는 전원(124)으로부터 전원 신호를 수신하여 LNA(121)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 소자(125)와 스위치 소자(125)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126)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제어기(126)는 CPU(300)가 생성하는 위 두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신호를 LNA(121)로 전달 또는 차단하도록 스위치 소자(12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 소자(125)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이고, 스위치 제어기(126)는 AND 게이트일 수 있다. AND 게이트는 CPU(300)로부터 RF 스위치(140)의 제어신호 및 웨이크업 모드/수면 모드 지시 신호를 입력받아, 두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ON (즉, RF 스위치(140)가 송신부(110) 및 안테나(150)를 연결하도록 스위칭되거나, 무선 랜 단말기(1)가 수면 모드로 동작하거나, 아니면 둘 다)인 경우에 MOSFET에 OFF 신호를 출력하여 MOSFET를 통하여 LNA(121)로 전달되던 전원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는, 수신부(120)의 LNA(121)를 중심으로 설명했으나, 무선 랜 단말(1)의 다른 전력 소비 소자에 대하여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무선 랜 단말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 다.
상술된 사항으로부터,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진정한 범위 및 취지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랜 단말기의 개념도.

Claims (6)

  1. 송수신 장치로서,
    전력 소비 소자;
    상기 송수신 장치가 웨이크업 모드 또는 수면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지시하는 제1 신호 및 상기 송수신 장치가 송신 모드 또는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장치; 및
    전원 신호와 상기 제어 장치에 결합되어 있고 제1 상태와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를 취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를 취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전원 신호가 상기 전력 소비 소자로 전달되며,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전원 신호가 상기 전력 소비 소자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는, 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장치는 안테나, 송신부 및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를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스위칭하는 RF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F 스위치는 상기 제2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송수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비 소자는 저잡음 증폭기인, 송수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기는 논리 게이트를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KR2020080016457U 2008-12-11 2008-12-11 전력 절감용 스위치를 구비하는 송수신 장치 KR200451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457U KR200451379Y1 (ko) 2008-12-11 2008-12-11 전력 절감용 스위치를 구비하는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457U KR200451379Y1 (ko) 2008-12-11 2008-12-11 전력 절감용 스위치를 구비하는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253U true KR20100006253U (ko) 2010-06-21
KR200451379Y1 KR200451379Y1 (ko) 2010-12-10

Family

ID=4445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457U KR200451379Y1 (ko) 2008-12-11 2008-12-11 전력 절감용 스위치를 구비하는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3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8213A2 (en) * 2010-08-03 2012-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dd switch with isolat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991849B2 (en) 2014-09-29 2018-06-0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power sourc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219B1 (ko) 2004-08-26 2006-10-13 이종명 다기능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전력 소모 방지 장치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8213A2 (en) * 2010-08-03 2012-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dd switch with isolat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2018213A3 (en) * 2010-08-03 201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dd switch with isolat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002296B2 (en) 2010-08-03 201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DD switch with isolat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991849B2 (en) 2014-09-29 2018-06-0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power sour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379Y1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5944B2 (en) Wake-up receiver band and channel negotiation
US10111173B2 (en) Fully integrated wake-up receiver
US88676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 wireless network
WO2012114968A1 (ja) 無線基地局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US11743834B2 (en) Enhanced multi-band power sav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2006191310A (ja) 無線集積回路
US6661999B1 (en) System for increasing RF power as a constant over a temperature range and employing reduced transmitter current drain during low power output periods
US73052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RF systems
US9402231B2 (en)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using multiple MAC protocols
JP200617369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EP3649757A1 (en) Controlling connectivity for dozing of wireless device
US20200008149A1 (en) Power management mode transition for wake up receiver
US20170325169A1 (en) Power fallback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eceiver
CN104348512A (zh) 多系统整合的调制模块及其通讯装置
CN105099492A (zh) 一种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60031311A (ko) 트랜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0451379Y1 (ko) 전력 절감용 스위치를 구비하는 송수신 장치
KR101118487B1 (ko)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이득 제어
JP6250688B2 (ja) マルチモード受信機及びその受信方法
EP3994919B1 (en) Wireless device
CN104682994A (zh) 局域无线网络与广播融合传输射频芯片及系统
US20070286115A1 (en) Radio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605039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40328233A1 (en) Portable device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JP2003110454A (ja) マルチモード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