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994A - 스크류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모듈 - Google Patents

스크류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994A
KR20100005994A KR1020080066135A KR20080066135A KR20100005994A KR 20100005994 A KR20100005994 A KR 20100005994A KR 1020080066135 A KR1020080066135 A KR 1020080066135A KR 20080066135 A KR20080066135 A KR 20080066135A KR 20100005994 A KR20100005994 A KR 20100005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lamp
liquid crystal
common electrode
suppor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6892B1 (ko
Inventor
이재호
오석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892B1/ko
Priority to US12/314,693 priority patent/US7944519B2/en
Priority to GB0822844A priority patent/GB2461737B/en
Priority to DE102008062481.0A priority patent/DE102008062481B4/de
Priority to CN2008101856644A priority patent/CN101625479B/zh
Publication of KR20100005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EFL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직하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EEFL 공통전극의 스크류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서포트사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EEFL 램프에 일괄적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전극을 커버버툼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에 대응하여 서포트사이드에 보스(boss) 또는 리브(rib)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스크류의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스크류는 서포트사이드의 보스 또는 리브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빠지지 못하게 되어, 스크류에 의해 램프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스크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산에 레진(resin)을 도포하거나, 가스겟(gasket)을 더욱 추가함으로써 공정비용이 향상되었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서포트사이드, 스크류, 액정표시장치

Description

스크류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모듈{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having function not-loosen screw}
본 발명은 EEFL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직하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EEFL 공통전극의 스크류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서포트사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해서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 FPD)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등이 소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며 각광받고 있다.
이중에서도 액정표시장치는 동화상 표시에 우수하고 높은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로 인해 노트북, 모니터, TV 등의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액정표시장치는 자체 발광요소를 갖지 못하는 소자로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면으로는 램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마련되어 액정패널 전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서 비로소 식별 가능한 휘도의 화상이 구현된다.
한편, 일반적인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의 배열구조에 따라 에지형(edge type)과 직하형(direct type)으로 구분되는데, 에지형은 하나 또는 한쌍의 램프가 도광판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두개 또는 두쌍의 램프가 도광판의 양측부 각각에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직하형은 수개의 램프가 광학시트의 하부에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모듈은 제 1 및 제 2 기판(12, 14)으로 구성되는 액정패널(10)과 이의 후방으로 백라이트 유닛(20)이 구비되며, 이들 가장자리를 사각테 형상의 서포트메인(30)이 두른 상태로 액정패널(10) 전면 가장자리를 두르는 탑커버(40)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20) 배면을 덮는 커버버툼(50)이 각각 전후방에서 결합되어 서포트메인(30)을 매개로 일체화된다.
백라이트 유닛(20)은 반사판(22)을 포함하며, 이의 상부면에 일정하게 배열된 다수개의 램프(24) 및 이들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램프(24)의 양단을 가로지르는 한쌍의 서포트사이드(28)를 포함한다.
이들 램프(24)와 한쌍의 서포트사이드(28) 상부로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시트와 프리즘 시트 그리고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광학시트(26)가 안착된다.
이때, 램프(24)로는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CCFL) 또는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 EEFL) 그리고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 등이 사용된다.
요즘에는 대형화 추세의 디스플레이의 고휘도와 고효율을 보장하면서, 이와 동시에 장수명과 경량화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외부전극형광램프(이하, EEFL이라 함)를 더욱 사용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램프(24)는 유리관의 양단부 외면에 외부전극(미도시)이 구성되며, 이러한 램프(24)는 외부전극(미도시)을 일괄적으로 연결시켜 복수개의 램프(24)에 외부전압을 동시에 인가하는 공통전극(미도시)에 의해 전압이 인가된다.
한편, 다수의 램프(24)에 외부전압을 동시에 인가하는 공통전극(미도시)은 스크류(미도시)를 통해 커버버툼(50)에 고정되는데,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공통전극이 커버버툼 상에 고정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24)는 외부전극(24b)이 유리관(24a)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램프(24)의 외부전극(24b)과 접촉되어 램프(24)로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전극(60)이 구성된다.
공통전극(60)은 제 1 및 제 2 공통전극라인(61a, 61b)과, 제 1 및 제 2 공통전극라인(61a, 61b)과 연결된 다수개의 홀더(63)로 구성된다.
또한, 공통전극(60)은 램프(24)의 좌, 우 수평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램프(24)의 일단이 안착되는 제 2 공통전극라인(61b)의 외측 일단에 상향 수직하게 형성되는 스토퍼(stopper : 65)를 더욱 포함한다.
따라서, 다수의 램프(24)는 액정표시장치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한 각 공통전극(60)의 홀더(63)에 의해 일단이 고정 및 지지되는 동시에 램프(24) 구동을 위한 전압을 인가받게 된다.
이러한 공통전극(60)은 스크류(screw : 70)를 통해 커버버툼(50)에 고정되는데, 일반적으로 스크류(70)는 크게 헤드(71) 부분과 이의 저면으로 돌출된 환봉(丸棒) 형상의 샤프트(73)로 구분될 수 있다.
헤드(71)의 상면에는 일자 또는 열십자 등의 체결홈이 파여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스크류 드라이버로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샤프트(73) 외면을 따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형상 홈이 파여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스크류(70)는 공통전극(60)의 일면으로 스크류(70)의 샤프트(73)를 말단부터 삽입되도록 하여 공통전극(60)과 커버버툼(50)의 나사공(80)에 관통 삽입되어, 공통전극(60)과 커버버툼(50)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 경우 공통전극(60) 및 커버버툼(50)에 관통된 나사공(80) 내면을 따라서는 스크류(70)의 샤프트(73)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70)의 샤프트(73)는 공통전극(60) 및 커버버툼(50)의 나사공(80) 길이방향에 나란하도록 곧게 삽입되는 것이 올바른 체결이라 할 수 있는데, 이에 불구하고 협소한 작업환경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체결 시 힘이 불균일한 방향으로 가해져 샤프트(73)가 곧바르게 삽입되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 같은 경우에는 샤프트(73) 외면의 나사산과 공통전극(60)과 커버버툼(50)의 나사공(80) 내면에 형성된 나사홈이 서로 맞물리지 못한 상태에서 무리한 압력이 가해지므로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마모되는 등의 파손이 나타날 수 있게 된다.
이에, 스크류(70)와 나사공(80)은 서로 느슨하게 결합되어 외부 압력에 의해 스크류(70)가 쉽게 풀려 헐거워 질 수 있다.
또한, 비록 스크류(70)가 올바르게 체결되었다 할지라도 운반 등에 의한 외압이 가해져 흔들림에 따라 스크류(70)가 풀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공통전극(60)을 커버버툼(50)에 결합하는 스크류(70)의 풀림이 발생되면, 스크류(70)에 의해 램프(24)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샤프트(70)의 나사산에 레진(resin)을 도포하거나, 가스겟(gasket)을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공정비용을 향상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EEFL 램프에 일괄적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전극을 커버버툼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의 빠짐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정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커버버툼과; 상기 커버버툼 상에 안착된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부에 위치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 외부전압을 인가하며, 스크류를 통해 상기 커버버툼과 체결되는 전압공급부와; 상기 램프의 양 말단을 가로질러 덮는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를 포함하는 서포트사이드와; 상기 서포트사이드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광학시트와; 상기 다수의 광학시트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다수의 광학시트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서포트메인과;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 가장자리를 두르는 탑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공급부 상부로 상기 스크류의 헤드가 노출되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크류의 헤드와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서포트사이드는 기울어져 구성되는 제 1 면과 이에 마주보며 수직한 제 2 면 그리고 제 1 및 제 2 면을 연결하는 상부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면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는 원기둥 또는 사 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면 그리고 상부면의 각 내측을 연결하는 벽판상으로, 이의 중심부의 양측으로 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면의 높이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는 체결홈이 형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저면으로 돌출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램프는 유리관의 양단부 외면에 외부전극이 구성되는 외부전극형광램프로, 전압공급부를 통해 외부전극을 일괄적으로 연결시켜 복수개의 램프에 외부전압을 동시에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압공급부는 제 1 및 제 2 전원공급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공급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구성되는 다수의 홀더가 도전성 금속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압공급부는 제 1 및 제 2 전원공급배선이 패턴된 판 형상의 절연성기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공급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구성되는 다수의 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EEFL 램프에 일괄적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전극을 커버버툼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에 대응하여 서포트사이드에 보스(boss) 또는 리브(rib)를 구성함으로써, 스크류의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스크류는 서포트사이드의 보스 또는 리브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빠지지 못하게 되어, 스크류가 램프의 전극부에 닿아 램프의 단락을 발생시키거나 램프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스크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산에 레진(resin)을 도포하거나, 가스겟(serration)을 더욱 추가함으로써 공정비용이 향상되었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모듈은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그리고 서포트메인(130)과 커버버툼(150), 탑커버(140)로 구성된다.
먼저 액정패널(110)은 화상표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 합착된 제 1 및 제 2 기판(112, 114)을 포함한다.
이때, 능동행렬 방식이라는 전제 하에 비록 도면상에 명확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통상 하부기판 또는 어레이기판이라 불리는 제 1 기판(112) 내면에는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교차하여 화소(pixel)가 정의되고, 각각의 교차점마다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가 구비되어 각 화소에 형성된 투명 화소전극과 일대일 대응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기판 또는 컬러필터기판이라 불리는 제 2 기판(114) 내면으로는 각 화소에 대응되는 일례로 R, G, B 컬러의 컬러필터(color filter) 및 이들 각각을 두르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비표시요소를 가리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가 구비된다. 또한, 이들을 덮는 투명 공통전극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같은 액정패널(110)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 같은 연결부재(118)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116)이 연결되어 모듈화 과정에서 서포트메인(130)의 측면 내지는 커버버툼(150) 배면으로 젖혀 밀착된다.
이에 상술한 구조의 액정패널(110)은 스캔 전달되는 온/오프 신호에 의해 각 게이트라인 별로 선택된 박막트랜지스터가 온(on) 되면 신호전압이 데이터라인을 통해서 해당 화소전극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른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이 변화되어 투과율 차이를 나타낸다.
이때, 제 1 및 제 2 기판(112, 114)의 외면으로는 특정 편광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판(119a, 119b)이 부착된다.
아울러 비록 도면상에 명확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액정패널(110)의 두 기판(112, 114)과 액정층의 경계부분에는 액정의 초기 분자배열 방향을 결정하는 상, 하부 배향막이 개재되고, 그 사이로 충진되는 액정층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양 기판(112, 114)의 가장자리를 따라 씰패턴(seal pattern)이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패널(110)이 나타내는 투과율의 차이가 외부로 발현되도록 이의 배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구비된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반사판(122)과, 다수의 램프(124) 그리고 다수의 광학시트(126)로 이뤄지는데, 반사판(122) 상에 다수의 램프(124)가 나란하게 배열하며, 이들 램프(124) 상부로 다수의 광학시트(126)가 위치한다.
이때,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램프(124)는 유리관의 양단 외면에 외부전극이 구성되는 EEFL로써, 이러한 램프(124)는 반사판(122) 상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열되며, 외부전극을 일괄적으로 연결시켜, 복수개의 램프(124)에 외부전압을 동시에 인가하는 공통전극(160)에 의해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다수의 램프(124)를 고정/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서포트사이드(200)가 다수의 램프(124)의 양 말단을 각각 가로질러 구비되어 커버버툼(150)과 체결된다.
이러한 서포트사이드(200)는 다수의 램프(124)를 고정하는 역할 외에도, 램프(124)와 다수의 광학시트(126)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공통전극(160)을 커버버툼(150)에 고정하는 스크류(미도시)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하여 차후 좀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여기서, 반사판(122)은 다수의 램프(124) 배면에 위치하여, 램프(124)의 배면으로 발산되는 빛을 액정패널(110)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빛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램프(124)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광학시트(126)는 확산시트와 적어도 하나의 집광시트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다수의 램프(124)로부터 출사된 빛은 광학시트(126)를 통과하는 동 안 균일한 고품위로 가공된 후 액정패널(110)로 입사되고, 이를 이용하여 액정패널(110)은 비로소 고휘도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은 탑커버(140)와 서포트메인(130) 그리고 커버버툼(150)을 통해 모듈화 되는데, 탑커버(140)는 액정패널(110)의 상면 및 측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단면이"ㄱ"형태로 절곡된 사각테 형상으로, 탑커버(140)의 전면을 개구하여 액정패널(110)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액정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사각테 형상의 서포트메인(130)이 구비되며, 액정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이 안착하여 액정표시장치모듈 전체 기구물 조립에 기초가 되는 금속재질의 커버버툼(150)은 판 형상의 밑면 및 이의 네 가장자리가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측면으로 구성된다.
한편, 다수의 램프(124)에 외부전압을 동시에 인가하는 공통전극(160)은 스크류(미도시)를 통해 커버버툼(150)에 고정되며, 스크류(미도시)는 서포트사이드(200)에 의해 풀림이 방지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사이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사이드(200)의 전체적인 형상은 긴 바(bar) 형상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져 구성되는 제 1 면(201)과 이에 마주보며 수직한 제 2 면(203) 그리고 제 1 및 제 2 면(201, 203)을 연결하는 상부면(205)으 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포트사이드(200)의 길이방향의 양단은 제 1 및 제 2 면(201, 203) 그리고 상부면(205)을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측면이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면(201)에는 다수의 램프(도 3의 124)가 끼워질 수 있는 홈(207)이 구성되어, 램프(도 3의 124)가 수납되는 공간을 마련함과 아울러 서포트사이드(200)의 상부면(205)으로는 다수의 광학시트(도 3의 126)가 안착될 영역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사이드(200)의 상부면(205) 내측으로는 보스(boss : 210)가 돌출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보스(210)는 서포트사이드(200)가 차후 체결되는 커버버툼(도3의 150)의 밑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부면(205)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보스(210)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등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가능하다.
그리고, 보스(210)는 서포트사이드(200)와 동일물질로 이루어지며, 서포트사이드(200)의 제 2 면(203)의 높이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성한다.
이때, 보스(210)의 높이를 서포트사이드(200)의 제 2 면(203)의 높이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도록 하는 것은 서포트사이드(200)의 제 2 면(203)은 커버버툼(도 3의 150) 상에 바로 안착되나, 보스(210)가 위치하는 곳은 스크류(미도시)의 헤드(미도시)와 공통전극(도 3의 160)의 제 1 및 제 2 공통전극라인(미도시)이 위치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즉, 보스(210)는 이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크류(미도시)의 헤드(미도시)와 공통전극(도 3의 160)의 제 1 및 제 2 공통전극라인(미도시)의 두께를 감안하기 위함이다.
또한, 보스(210)는 서포트사이드(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포트사이드(200)는 보스(210)를 통해 공통전극(도 3의 160)과 커버버툼(도 3의 150)을 체결하는 스크류(미도시)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5는 공통전극과 서포트사이드의 체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a ~ 6b는 서포트사이드의 보스에 의해 스크류의 풀림을 방지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124)는 외부전극(124b)이 유리관(124a)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램프(124)의 외부전극(124b)과 접촉되어 램프(124)로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전극(160)이 구성된다.
공통전극(160)은 제 1 및 제 2 공통전극라인(161a, 161b)과, 제 1 및 제 2 공통전극라인(161a, 161b)과 연결된 다수개의 홀더(163)로 구성된다.
또한, 공통전극(160)은 램프(124)의 좌, 우 수평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램프(124)의 일단이 안착되는 제 2 공통전극라인(161b)의 외측 일단에 상향 수직하게 형성되는 스토퍼(165)를 더욱 포함한다.
따라서, 다수의 램프(124)는 액정표시장치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한 각 공통전극(160)의 홀더(163)에 의해 일단이 고정 및 지지되는 동시에 램프(124) 구동을 위한 전압을 인가받게 된다.
이러한 공통전극(160)은 스크류(170)를 통해 커버버툼(150)에 고정된다.
공통전극(160)의 상부로는 서포트사이드(200)가 위치하는데, 다수의 램프(124)는 서포트사이드(200)의 제 1 면(201)에 구성된 홈(207)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다수의 램프(124)의 일단에 구비된 외부전극(124b)은 서포트사이드(200)에 의해 가려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여기서, 서포트사이드(200)가 상술한 형상을 갖는 이유는 다수의 램프(124) 양단을 가로질러 덮는 경우, 이의 하부로 램프(124)의 비발광부분인 전극부위를 완전히 가려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는 가급적 표시화면의 면적을 확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서포트사이드(200)를 이용하면 액정패널(도 3의 110) 가장자리를 비롯한 탑커버(도 3의 140)를 덮는 베젤(bezel)의 폭이 줄어들 수 있어 이른바 좁은 베젤(narrow bezel) 방식이라 불린다.
이때, 서포트사이드(200)의 상부면(205) 내측으로 돌출된 보스(210)는 스크류(170)의 상부로 대응되어 위치한다.
이에, 스크류(170)의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스크류(170)는 서포트사이드(200)의 보스(210)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빠지지 못하게 된다.
즉,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전극(160)은 스크류(170)를 통해 커버버 툼(150)에 고정되는데, 스크류(170)는 일단의 헤드(171) 그리고 이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막대 형상의 샤프트(173)로 구분 가능하고, 이중에서 헤드(171) 상면에는 스크류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일자 또는 십자 형상의 체결홈이 파여질 수 있으며 샤프트(173) 외면을 따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산이 나선형태로 파여져 있다.
이러한 스크류(170)는 공통전극(160)의 일면으로 스크류(170)의 샤프트(173)를 말단부터 삽입되도록 하여 공통전극(160)과 커버버툼(150)의 나사공(180)에 관통 삽입되어, 공통전극(160)과 커버버툼(150)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 경우 공통전극(160) 및 커버버툼(150)에 관통된 나사공(180) 내면을 따라서는 스크류(170)의 샤프트(173)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류(170)는 헤드(171)의 저면이 공통전극(160)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체결되어, 공통전극(160) 일면의 상부로 스크류(170)의 헤드(171)가 돌출된다.
이때, 이러한 스크류(170)의 헤드(171) 상부에는 서포트사이드(200)의 상부면(205) 내측으로 돌출된 보스(210)가 대응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스크류(170)는 협소한 작업환경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체결 시 힘이 불균일한 방향으로 가해져 스크류(170)의 샤프트(173)가 곧바르게 삽입되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 비스듬하게 삽입되거나, 운반 등에 의한 외압이 가해져 흔들림에 따라 스크류(170)의 풀림이 발생한다.
이러한 스크류(170)는 공통전극(160)과 커버버툼(150)의 나사공(180) 내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홈에 의해 스크류(170)의 헤드(171) 방향으로 돌출되어 빠지게 된다.
이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170)의 헤드(171) 방향으로 돌출되어 빠지는 스크류(170)는 서포트사이드(200)의 보스(210)에 의해 빠짐이 저지되어 더 이상 빠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크류(170)에 의해 램프(124)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보스(210)의 돌출된 높이(d2)는 서포트사이드(200)의 제 2 면(203)의 높이(d1)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는데, 이는 램프(124)에 공통전극(160)의 두께와 스크류(170)의 헤드(171)의 두께만큼 서포트사이드(200)의 제 2 면(203)의 높이(d1) 보다 낮은 높이(d2)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사이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때, 여기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도 4a 및 도 4b의 설명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전술하고자 하는 특징적인 내용만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사이드(200)의 상부면(205) 내측으로는 서포트사이드(200)의 제 1 및 제 2 면(201, 203) 그리고 상부면(205)의 각 내측과 연결되는 벽판상(壁板狀)의 리브(rib : 220)가 돌출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브(220)는 벽판상의 중심부의 양측으로 돌출부가 구비되어 서포트사이 드(200)의 저면을 평면적으로 보면 십자 형태이다.
이때, 리브(220)의 돌출부는 차후 서포트사이드(200)를 커버버툼(도 3의 150)에 체결하기 위한 스크류(미도시)의 헤드(미도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리브(220) 또한 서포트사이드(200)와 동일물질로 이루어지며, 서포트사이드(200)의 제 2 면(203)의 높이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성한다.
이는 앞서 보스(도 4a의 210)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서포트사이드(200)의 제 2 면(203)은 커버버툼(도 3의 150) 상에 바로 안착되나, 리브(220)는 이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크류(미도시)의 헤드(미도시)와 공통전극(도 3의 160)의 제 1 및 제 2 공통전극라인(미도시)의 두께를 감안하기 위함이다.
또한, 리브(220) 역시 서포트사이드(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된다.
도 8은 도 7a ~ 7b의 리브를 포함하는 서포트사이드와 공통전극의 체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때, 다수의 램프(124)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구비되는 공통전극(160)은 제 1 및 제 2 공통전극라인(161a, 161b)과, 제 1 및 제 2 공통전극라인(161a, 161b)과 연결된 다수개의 홀더(163) 모두 프레스가공을 통해 구성되는데, 그 제작 공정이 까다롭고 전압이 흐를 수 있도록 도전성 금속재질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생산비용이 높은 단점을 갖는다.
이에,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공통전극인쇄회로기판이 제 안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124)는 외부전극(124b)이 유리관(124a)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램프(124)의 외부전극(124b)과 접촉되어 램프(124)로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전극인쇄회로기판(260)이 구성된다.
공통전극인쇄회로기판(260)은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압 인가를 위한 도전성 박막패턴인 제 1 및 제 2 공통전극패턴(263a, 263b)이 형성된 판 형상의 절연성기판(261)과, 제 1 및 제 2 공통전극패턴(263a, 263b)과 연결된 다수개의 홀더(265)로 구성된다.
이때, 홀더(265)는 램프(124)를 직접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홀더(265)는 제 1 및 제 2 공통전극패턴(263a, 263b)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램프(124)의 개수만큼 구성한다.
또한, 공통전극인쇄회로기판(260)에는 램프(124) 길이방향을 따라 좌, 우 수평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램프(124)의 일단이 안착되는 제 2 공통전극패턴(263b)의 외측 일단에 상향 수직하게 형성되는 스토퍼(267)를 더욱 구비한다.
따라서, 다수의 램프(124)는 액정표시장치의 일측 및 타측에 구성한 각 공통전극인쇄회로기판(260)의 홀더(265)에 의해 양단이 고정 및 지지되어 외부와의 충격에 의해 유동 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공통전극인쇄회로기판(260)을 절연성기판(261)으로 구성하고, 절연성기판(261) 상에 제 1 및 제 2 공통전극패턴(263a, 263b)을 형성함으로써, 제 1 및 제 2 공통전극패턴(263a, 26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홀더(265)를 통해 다수의 램프(124)에 일괄적으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공통전극인쇄회로기판(260)의 절연성기판(261)은 스크류(170)를 통해 커버버툼(150)에 고정된다.
이러한, 공통전극인쇄회로기판(260)의 상부로는 서포트사이드(200)가 위치하는데, 서포트사이드(200)의 상부면(205) 내측으로 돌출된 리브(220)는 스크류(170)의 상부로 대응되어 위치한다.
이에, 스크류(170)의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스크류(170)는 서포트사이드(200)의 리브(220)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빠지지 못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램프(124)에 일괄적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전극(160)을 커버버툼(150)에 고정하는 스크류(170)에 대응하여 서포트사이드(200)에 보스(210) 또는 리브(220)를 구성함으로써, 스크류(170)의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스크류(170)는 서포트사이드(200)의 보스(210) 또는 리브(220)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빠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스크류(170)에 의해 램프(124)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스크류(170)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류(170) 샤프트(173)의 나사산에 레진(resin)을 도포하거나, 가스겟(gasket)을 더욱 추가함으로써 공정비용이 향상되었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으로 EEFL을 사용하였으나, 램프접지부와 램프접지부가 고정되는 소켓 몰드물로 이루어 진 램프홀더가 실장된 공통전극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음극전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를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공통전극이 커버버툼 상에 고정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사이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공통전극과 서포트사이드의 체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a ~ 6b는 서포트사이드의 보스에 의해 스크류의 풀림을 방지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사이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a ~ 7b의 리브를 포함하는 서포트사이드와 공통전극의 체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Claims (10)

  1. 커버버툼과;
    상기 커버버툼 상에 안착된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부에 위치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 외부전압을 인가하며, 스크류를 통해 상기 커버버툼과 체결되는 전압공급부와;
    상기 램프의 양 말단을 가로질러 덮는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를 포함하는 서포트사이드와;
    상기 서포트사이드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광학시트와;
    상기 다수의 광학시트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다수의 광학시트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서포트메인과;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 가장자리를 두르는 탑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공급부 상부로 상기 스크류의 헤드가 노출되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크류의 헤드와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사이드는 기울어져 구성되는 제 1 면과 이에 마주보며 수직한 제 2 면 그리고 제 1 및 제 2 면을 연결하는 상부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액정표시장치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면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면 그리고 상부면의 각 내측을 연결하는 벽판상으로, 이의 중심부의 양측으로 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면의 높이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체결홈이 형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저면으로 돌출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유리관의 양단부 외면에 외부전극이 구성되는 외부전극형광램프로, 전압공급부를 통해 외부전극을 일괄적으로 연결시켜 복수개의 램프에 외부전압을 동시에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공급부는 제 1 및 제 2 전원공급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공급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구성되는 다수의 홀더가 도전성 금속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공급부는 제 1 및 제 2 전원공급배선이 패턴된 판 형상의 절연성기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공급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구성되는 다수의 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20080066135A 2008-07-08 2008-07-08 스크류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236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135A KR101236892B1 (ko) 2008-07-08 2008-07-08 스크류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모듈
US12/314,693 US7944519B2 (en) 2008-07-08 2008-12-15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GB0822844A GB2461737B (en) 2008-07-08 2008-12-15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DE102008062481.0A DE102008062481B4 (de) 2008-07-08 2008-12-16 LCD-Modul
CN2008101856644A CN101625479B (zh) 2008-07-08 2008-12-19 液晶显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135A KR101236892B1 (ko) 2008-07-08 2008-07-08 스크류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994A true KR20100005994A (ko) 2010-01-18
KR101236892B1 KR101236892B1 (ko) 2013-02-28

Family

ID=4032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135A KR101236892B1 (ko) 2008-07-08 2008-07-08 스크류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44519B2 (ko)
KR (1) KR101236892B1 (ko)
CN (1) CN101625479B (ko)
DE (1) DE102008062481B4 (ko)
GB (1) GB24617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54834B (en) * 2006-11-10 2011-12-21 Chimei Innolux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RPI0924290A2 (pt) * 2009-02-02 2016-01-26 Sharp Kk dispositivo de iluminação e dispositivo de vídeo de cristal líquido
BR112012000651A2 (pt) * 2009-07-10 2016-02-10 Sharp Kk dispositivo de iluminação, dispositivo de exibição, e receptor de televisão
WO2012067007A1 (ja) * 2010-11-17 2012-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6220463B2 (ja) * 2014-10-21 2017-10-25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00523U1 (ko) * 1989-01-18 1989-03-0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JP3578536B2 (ja) * 1995-03-14 2004-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Led表示装置およびその取り付け構造
KR100656549B1 (ko) * 2000-11-07 2006-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모듈,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장치의 실장방법
KR100731304B1 (ko) * 2001-12-19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 이를 갖는 수납용기 및 이를 갖는액정표시장치
JP2004095377A (ja) * 2002-08-30 2004-03-25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ソケット、外部電極蛍光ランプ用ソケットアセンブリ、外部電極蛍光ランプ用給電ユニット、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840261B1 (ko) * 2002-09-11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7434957B2 (en) * 2003-12-30 2008-10-14 L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US7278754B2 (en) * 2004-11-04 2007-10-09 Lg.Philips Lcd Co., Ltd. Back light unit
KR20060054826A (ko) * 2004-11-16 200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 시트, 이를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JP2006170266A (ja) * 2004-12-14 2006-06-29 Funai Electric Co Ltd ビス脱落防止用スペーサ及びビス脱落防止構造
WO2006073033A1 (ja) * 2005-01-06 2006-07-13 Sharp Kabushiki Kaisha 光源保持具、表示装置用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1263498B1 (ko) * 2005-10-31 2013-05-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CN100445840C (zh) * 2005-11-26 2008-1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灯箱及背光模组
JP4654920B2 (ja) * 2006-01-19 2011-03-23 三菱電機株式会社 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800822B2 (ja) * 2006-04-04 2011-10-2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KR101254807B1 (ko) * 2006-06-09 2013-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백라이트 유닛
EP1912094A1 (en) * 2006-10-09 2008-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080093B2 (ja) * 2007-01-30 2012-11-21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090752B2 (ja) * 2007-02-22 2012-12-05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275966B1 (ko) * 2007-05-11 2013-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8064005B2 (en) * 2008-07-31 2011-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supplying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07813A1 (en) 2010-01-14
GB0822844D0 (en) 2009-01-21
CN101625479B (zh) 2011-09-07
DE102008062481A1 (de) 2010-01-14
GB2461737B (en) 2010-10-06
DE102008062481B4 (de) 2021-06-10
GB2461737A (en) 2010-01-13
KR101236892B1 (ko) 2013-02-28
CN101625479A (zh) 2010-01-13
US7944519B2 (en)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689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50072557A (ko) 샤시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7889286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same
US7826005B2 (en) Light source supporting member,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20130038759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0805537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1950831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60098912A (ko) 광효율이 우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236892B1 (ko) 스크류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69966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9258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0391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84194A (ko) 광학 시트의 고정 구조를 개선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KR10167799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124913A (ko) 표시 장치
KR10198158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32894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060095144A (ko) 엘이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68159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58577A (ko) 액정표시장치
KR100793541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1788871B1 (ko) 액정표시장치
US972691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230099915A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054589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