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809A -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809A
KR20100005809A KR1020080065860A KR20080065860A KR20100005809A KR 20100005809 A KR20100005809 A KR 20100005809A KR 1020080065860 A KR1020080065860 A KR 1020080065860A KR 20080065860 A KR20080065860 A KR 20080065860A KR 20100005809 A KR20100005809 A KR 20100005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ignal
pumping means
pathogen
ster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형석
Original Assignee
강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형석 filed Critical 강형석
Priority to KR102008006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809A/ko
Priority to PCT/KR2009/003186 priority patent/WO2010005176A2/ko
Publication of KR20100005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는, 변기에 설치되는 병원균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기의 외면 또는 상기 변기 주변의 벽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수용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살균제가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내부의 살균제를 펌핑하는 펌핑수단; 및 상기 펌핑수단의 출구측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변기의 수용조측에 위치되어 상기 펌핑수단의 작동시에 살균제를 상기 수용조에 체류된 용수에 공급하는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의 병원균을 살균함으로써 화장실 환경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할 있는 효과가 발휘됨과 동시에 병원균살균장치가 변기의 외면 또는 인접한 벽면에 설치되므로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용기내의 살균액 소모 정도(레벨)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살균액의 충진과 유지보수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병원균살균장치가 저수조의 용수내에 침지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오작동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로 하여금 시각적 또는 심리적으로 살균에 대한 신뢰감을 심어줄 수 있으므로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65860
변기, 병원균살균장치, 펌핑수단, 공급라인

Description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STERILIZER FOR TOILET STOOL}
본 발명은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를 살균하여 병원균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병원균에 의한 질병의 발생을 방지하는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생활하는 모든 생활공간에는 생존의 기본적인 대사를 수행하기 위한 화장실이 마련되어 있다.
화장실은 주로 배설물을 처리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공간이므로 예전에는 인간의 주거시설과 격리된 위치에 시설하여 사용되다가 사회의 현대화로 도시인구가 증가되고 주거문화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으로 변화되면서 오늘날에는 대부분 인간의 주거공간 내에 시설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실에 시설되는 변기는 위생성의 확보를 위해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하지만, 화장실은 배설물의 처리과정에서 여전히 심한 악취가 발생되고 수많은 병원균이 잔존할 뿐만 아니라 화장실의 내부공간은 통풍이 원활하지 않고 실내와 비교하여 습도가 높으므로 잔존된 병원균이 빠르게 증식된다.
이에 따라 화장실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방향제나 세척 재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고, 또한, 변기의 사용시에 둔부가 안착되는 변기커버의 위생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회용 커버나 소독을 위한 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장실의 위생장치들은 대부분의 화장실 병원균이 배설물을 통해 존재하게 된다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기 못한 임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여전히 변기로 배설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병원균을 포함하는 용수가 미세한 방울 형태로 화장실의 내부공간으로 비산된 후 잔류하거나 증식되면서 화장실을 오염시키게 된다.
그리고, 병원균은 개방된 화장실 출입구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확산되어 2차 오염을 유발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화장실 병원균에 의해 해마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변기에 앉아서 용변을 보게 되면 비산되는 병원균이 직접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므로, 병원균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고, 특히 신체 구조상 항상 변기에 착석하여 용변을 보는 여성의 경우에는, 화장실 병원균에 대한 감염정도가 높고 다양한 부인병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7-0105407호로 개시되어 있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제안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용수내의 병원균을 살균시키는 살균액이 수용되는 몸체의 하부에 배출부 가 형성된 용기(110)와, 이 용기의 배출부를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성된 살균액배출장치(100)와, 상기 살균액배출장치(100)가 저수조에 내부에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용기와 저수조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장치(1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계폐수단은 용기(100)의 하단 배출부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상에 용기(110)내의 살균액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개폐부재(120)와, 상기 개폐부재(120)의 양측에 일단이 접속되는 접속부재(130)와, 상기 접속부재(130)의 타단이 접속되어 저수조내에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체(1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변기의 저수조에 장착하게 되면, 변기의 사용중에 저수조내의 용수가 자동적으로 살균기능을 갖는 용수로 바뀌게 되므로,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에 살균기능이 부여되어 배설물에 포함된 병원균이 살균되고, 좌대에 잔류되는 용수의 살균작용에 의해 병원균의 번식이 차단된다. 또한, 낙하되는 배설물에 의해 미세한 물방울 형태로 용수가 좌대 외부로 비산되더라도 비산되는 물방울이 병원균을 살균하는 살균수이므로 화장실의 내부공간으로 병원균이 확산되지 않아 2차 오염을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는 변기의 저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이므로, 설치작업이 어렵고 불편할 뿐만 용기내의 살균액 소모 정도(레벨)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살균액의 충진과 유지보수작업이 매우 어려웠다.
또한, 살균액배출장치(100)가 저수조의 용수내에 항상 침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개폐부재(120)에 형성된 수용홈의 막힘 현상 등 잦은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는 변기의 저수조 내부에 내장됨에 따라 소비자로 하여금 시각적 또는 심리적으로 살균에 대한 신뢰감을 심어줄 수 없으므로 상품성이 결여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한 것으로, 변기의 외면 또는 인접한 벽면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의 병원균을 살균함으로써 화장실 환경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는, 변기에 설치되는 병원균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기의 외면 또는 상기 변기 주변의 벽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수용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살균제가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내부의 살균제를 펌핑하는 펌핑수단; 및 상기 펌핑수단의 출구측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변기의 수용조측에 위치되어 상기 펌핑수단의 작동시에 살균제를 상기 수용조에 체류된 용수에 공급하는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는, 변기에 설치되는 병원균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기의 외면 또는 상기 변기 주변의 벽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 살균제가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살균제를 펌핑하는 펌핑수단; 상기 펌핑수단의 출구측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변기의 수용조에 위치되어 상기 펌핑수단의 작동시에 살균제를 상기 수용조에 체류된 용수에 공급하는 공급라인; 상기 펌핑수단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펌핑수단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펌핑수단, 제어부, 및 입력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수단은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되어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변기의 저수조에 수용된 용수의 배출을 위해 설치된 작동레버에 근접,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고 설정된 시간의 경과후에 상기 펌핑수단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 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수단을 포함하는 고정몸체와 상기 감지부는 서로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도록 상기 감지부측에 구성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의 송신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감지부측에 구성 되는 보조 제어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받기 위해 상기 고정몸체측에 구성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변조하여 피드백 응답신호를 생성하고 이 피드백 응답신호를 상기 수신부측에 송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송신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부는 송신되는 피드백 응답신호를 복조하여 복원하고 피드백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수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수단은 둔부의 안착을 위해 상기 변기에 마련된 변기커버에 구성되되, 상기 변기커버에 사용자의 둔부 안착상태를 감지하는 1차 감지신호와, 상기 변기커버로부터 사용자의 둔부 이탈상태를 감지하는 2차 감지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1차 감지신호와 2차 감지신호가 순차적으로 인가되면 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펌핑수단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 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수단은 광센서, 근접센서, 무게센서, 및 열감지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라인의 배출 단부에 설치되고 살균제를 스프레이 형태로 배출하기 위한 스프레이 분사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라인은 둔부의 안착을 위해 상기 변기에 마련된 변기커버의 내부 공간을 통해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공급라인의 배출 단부에 살균제를 스프레이 형태로 배출하기 위한 스프레이 분사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에 의하면,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의 병원균을 살균함으로써 화장실 환경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할 있는 효과가 발휘됨과 동시에 병원균살균장치가 변기의 외면 또는 인접한 벽면에 설치되므로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용기내의 살균액 소모 정도(레벨)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살균액의 충진과 유지보수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병원균살균장치가 저수조의 용수내에 침지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오작동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로 하여금 시각적 또는 심리적으로 살균에 대한 신뢰감을 심어줄 수 있으므로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1 내지 도8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첨부도면,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에 적용되는 펌핑수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는 변기(20)의 표면 또는 변기 주변의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몸체(210), 이 고정몸체(210)에 설치되고 살균제가 수용되는 용기(220), 살균제를 펌핑하는 펌핑수단(230), 펌핑된 살균제를 정해진 경로를 통해 공급하는 공급라인(240)을 구비한다.
고정몸체(210)는 내부에 용기(220)의 수용을 위한 수용공간(용기의 외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의 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임)이 마련된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몸체(210)의 일측에는 변기(20) 벽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미도시)을 구비한다. 부착수단은 접착식 또는 스크류 체결식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변기 및 화장실 내부 공간은 대부분 도기와 같이 딱딱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접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용기(220)는 변기(20)의 좌대(22)의 수용조(23,통상의 좌변기에서 용수가 체류되고 배설물이 낙하되는 공간)에 공급되는 살균제가 수용되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용기(220)의 형태는 고정몸체(210)의 수용공간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용량은 화장실의 1일 사용인원, 사용횟수, 및 사용기간과 1회당 살균제의 분사량을 고려하여 계산된 살균제의 용량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회당 살균제의 분사량을 0.4ml로 설정하고, 이 분사량에 의해서도 통상의 수세식 변기 1회 사용량에 해당되는 용수 전체를 충분히 살균할 수 있도록 살균제에 포함되는 살균성분의 농도를 조절하였다.
펌핑수단(230)은, 용기(22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내 부의 살균제를 펌핑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가압력에 대응하여 용기(220)내의 살균제를 흡인하여 배출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펌핑수단(230)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20)에 체결되는 캡(231), 캡(231)의 관통공(231a)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상부몸체(232), 상부몸체(232)에 삽입 결합되는 파이프형상의 하부몸체(233), 하부몸체(233)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몸체(232)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파이프형상의 이송부재(234), 이송부재(234)의 상단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결합되고 일측으로 배출노즐(235a)이 돌출 형성된 누름부재(235) 및, 이송부재(234)의 하측 외주연에 삽설되는 밀착패드(236), 밀착패드(236)의 하측 내부 및 이송부재(234)의 내부 구멍에 삽입되는 밀착패드고정부재(237), 밀착패드고정부재(237)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압축스프링(238), 압축스프링(238)의 하단에 위치되고 하부몸체(233)의 하단 구멍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볼(239)로 구성된다.
공급라인(240)은 펌핑수단(230)의 출구측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변기의 수용조(23)에 위치되어 펌핑수단(230)의 작동시에 살균제를 용수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소구경의 호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배출노즐(235a)에 접속되고 타단이 변기의 좌대(22) 후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공급라인(240)의 배출 단부에는 살균제를 스프레이 형태로 배출하기 위해 결합되는 스프레이 분사구(241)를 더 구비한다. 이 스프레이 분사구(241)는 공급라인(240)의 내경에 비해 현저히 미세한 다수의 토출공이 천공된 구조로서, 사용자의 누름동작시에 공급라인(240)에 작용되는 압력에 의해 살균제를 스프레이 형 태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스프레이 분사구(241)는 접착방식 또는 별도의 고정구에 의해 변기측에 고정되도록 하여 살균제의 분사방향이 변기내에 수용된 용수측을 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급라인(2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직접 변기측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지만, 둔부의 안착을 위해 변기에 마련된 변기커버(24)의 저부로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변기커버(24)의 저부에는 공급라인(240)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미도시)이나 삽입공(미도시)을 형성하고, 공급라인(240)의 배출 단부에 설치되는 스프레이 분사구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미도시)을 형성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세식 변기(20)의 저수조(21)의 측면에 용기(220)를 포함하는 고정몸체(210)를 부착수단에 의해 결합하고, 공급라인(240)을 저수조의 측면 및 수용조의 상면을 따라 배치하여 그 단부를 커버부재의 후방측에 위치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분사구(241)가 수용조의 용수측을 향하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펌핑수단(230)의 누름부재(235)를 가압하게 되면 용기(220) 내부의 살균제가 흡인되어 배출노즐(235a)로 토출되는데, 이러한 누름부재(235)의 가압동작을 수 회 반복하여 공급라인(240)에 살균제가 채워지도록 하여 사용준비를 완료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변기의 사용자가 용변 후 조작레버(25)를 조작하게 되면 저수조(21)에 수용되어 있던 용수가 좌대(22)의 수용조(23)측으로 배출되므로 수용 조에 기 체류하고 있던 배설물을 포함하는 용수는 배출되고, 좌대의 수용조(23)에는 다시 깨끗한 용수가 채워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펌핑수단(230)의 누름부재(235)를 가압하게 되면 용기(220) 내부의 살균제가 흡인되어 배출노즐(235a)로 토출되고, 살균제로 채워져 있던 공급라인(240)에 압력이 작용되므로 분사구(241)를 통해 살균제가 수용조로 분무된다.
그리고, 수용조(23)로 분무되는 살균제는 용수와 혼합되면서 용수 속에 등분포 되게 확산되고 이와 같이 확산된 살균제는 용수내에 포함된 병원균을 살균하여 용수를 청정한 상태로 만들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용변을 보게 되어 배설물이 용수상으로 낙하되면, 배설물에 포함된 병원균들이 살균된다. 또한, 배설물의 낙하과정에서 수용조(23)의 용수가 좌대(22)의 외부로 비산되더라도 이미 병원균이 살균된 살균수가 비산되므로, 화장실의 내부공간으로 병원균이 확산되지 않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공급라인의 설치구조나 작용에 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는 변기에서 이용되는 용수를 살균하되, 사용자에 의한 간편한 조작동작 또는 별도의 조작동작을 시행하지 않더라도 화장실의 사용시 자동적으로 살균제가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예컨대, 제2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의 외면 또는 변기 주변의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몸체(310), 고정몸체(310)에 설치되고 내부에 살균제가 수용되는 용기(320), 용기(32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용기(320) 내부의 살균제를 펌핑하는 펌핑수단(330;도3에서는 고정몸체(310)의 내부에 매입된 구조로서 외부로 나타나지 않음), 및 펌핑수단의 배출측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변기의 수용조(23)에 위치되어 펌핑수단(330)의 작동시에 살균제를 용수에 공급하는 공급라인(34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펌핑수단(330)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로서, 펌핑수단(330)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350),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펌핑수단(330)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60), 펌핑수단(330), 제어부(360), 및 입력수단(3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370)를 구비한다.
고정몸체(310)는 내부에 용기(320)의 수용을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변기 또는 벽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미도시)을 구비한다. 그리고, 용기(320)는 변기의 수용조(23)에 공급되는 일정량의 살균제가 수용되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펌핑수단(33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용기(320)내의 살균제를 공급라인(340)측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320)의 출구측에 흡입측이 접속되고 배출측이 공급라인(340)측에 접촉되는 소형 펌프와, 이 소형 펌프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통상의 유체펌프장치로 이루어진다.
입력수단(350)은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되어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펌핑수단(330)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버튼(351)을 구비한다. 그 외에 입력수단으로서, 펌핑수단(330)의 작동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시간설정버튼,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온/오프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전원부(370)는 외부 상용전원의 공급받을 수 있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나 이차전지를 이용한 충전방식의 전원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는 고정몸체(310), 용기(320), 펌핑수단(330), 공급라인(340), 펌핑수단(330), 입력수단(350), 제어부(360), 및 전원부(370)를 구비하되, 변기(20)의 사용 후에 용수의 배출동작을 수행하도록 변기에 설치된 작동레버(25)을 조작하게 되면 입력수단(350)이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살균제를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즉, 입력수단(350)은 변기의 저수조(21)측에 설치된 작동레버(25)에 근접, 설치되어, 작동레버의 조작을 위해 진입되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는 감지부(352)로 구성된다. 이때, 감지부(352)는 외부 물체의 진입을 감지하는 광센서, 근접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60)는 감지부(입력수단;350)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고 설정된 시간의 경과후에 펌핑수단(33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이때, 설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레버(25)의 작동으로 변기의 수용조(23)내에 체류하고 있던 배설물을 포함하는 용수가 완전히 배출되고 저수조의 깨끗한 용수가 다시 수용조에 채워지는 시간을 말한다. 이러한, 설정 시간이 없을 경우 새롭게 분사되는 살균제가 배출되는 용수와 함께 배출, 제거되므로 수용조(23)에 재공급되는 용수에 대한 살균작용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는 고정몸체(310), 용기(320), 펌핑수단(330), 공급라인(340), 제어부, 펌핑수단(330), 입력수단(350), 전원부(370)를 구비하되, 상기 펌핑수단(330)을 포함하는 고정몸체(310)와, 상기 감지부(352)는 서로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몸체(310)와 감지부(352)가 서로 이격된 구조이므로 상기 감지부(352)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펌핑수단(330)에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한다. 즉, 상기 감지부(352)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360)에 송신하도록 감지부(352)측에 구성되는 송신부(353)와, 이 송신부의 송신을 제어하기 위해 감지부(352)측에 구성되는 보조 제어부(354), 및 송신부(354)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받기 위해 고정몸체(310)측에 구성되는 수신부(355)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353), 보조 제어부(354), 및 감지부(35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전원부(356)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부(352)는 조작레버(25)를 작동시키기 위해 진입되는 사용자의 손 을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 근접센서, 열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광센서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353)는 광센서의 감지신호를 변조하여 피드백 응답신호를 생성하고 이 피드백 응답신호를 수신부(355)측에 송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한 통상의 무선송신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수신부(355)는 송신되는 피드백 응답신호를 복조하여 복원하고 피드백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한 통상의 무선수신모듈로 구성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는 고정몸체(310), 용기(320), 펌핑수단(330), 공급라인(340), 제어부(360), 펌핑수단(330), 입력수단, 전원부를 구비하되, 상기 입력수단(350)을 둔부의 안착을 위해 변기에 마련된 변기커버(24)에 구성한다.
그리고, 입력수단(350)은 변기커버(24)에 사용자의 둔부 안착상태를 감지하는 1차 감지신호와, 변기커버(24)로부터 사용자의 둔부 이탈상태를 감지하는 2차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한다.
그리고, 입력수단(350)은 용변을 보기위한 둔부 안착시에 1차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용변을 완료하여 사용자의 둔부 이탈시에 2차 감지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나 센서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커버(24)의 둔부 안착 부위에 광센서, 근접센서, 무게센서, 및 열감지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360)는 입력수단(350)으로부터 1차 감지신호와 2차 감지신호가 순차적으로 인가되면 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펌핑수단(33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종래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에 적용되는 펌핑수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변기 22:좌대
23:수용조 24:변기커버
25:조작레버 210,310:고정몸체
220,320:용기 230,330:펌핑수단
240,340:공급라인 241,341:분사구
350:입력수단 351:스위치버튼
352:감지부 353:송신부
354:보조 제어부 355:수신부
360:제어부 370:전원부

Claims (10)

  1. 변기에 설치되는 병원균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기의 외면 또는 상기 변기 주변의 벽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수용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살균제가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내부의 살균제를 펌핑하는 펌핑수단; 및
    상기 펌핑수단의 출구측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변기의 수용조측에 위치되어 상기 펌핑수단의 작동시에 살균제를 상기 수용조에 체류된 용수에 공급하는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2. 변기에 설치되는 병원균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기의 외면 또는 상기 변기 주변의 벽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 살균제가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살균제를 펌핑하는 펌핑수단;
    상기 펌핑수단의 출구측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변기의 수용조에 위 치되어 상기 펌핑수단의 작동시에 살균제를 상기 수용조에 체류된 용수에 공급하는 공급라인;
    상기 펌핑수단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펌핑수단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펌핑수단, 제어부, 및 입력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되어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변기의 저수조에 수용된 용수의 배출을 위해 설치된 작동레버에 근접,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고 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펌핑수단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을 포함하는 고정몸체와 상기 감지부는 서로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도록 상기 감지부측에 구성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의 송신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감지부측에 구성되는 보조 제어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받기 위해 상기 고정몸체측에 구성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변조하여 피드백 응답신호를 생성하고 이 피드백 응답신호를 상기 수신부측에 송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송신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부는 송신되는 피드백 응답신호를 복조하여 복원하고 피드백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수신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둔부의 안착을 위해 상기 변기에 마련된 변기커버에 구성되 되, 상기 변기커버에 사용자의 둔부 안착상태를 감지하는 1차 감지신호와, 상기 변기커버로부터 사용자의 둔부 이탈상태를 감지하는 2차 감지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1차 감지신호와 2차 감지신호가 순차적으로 인가되면 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펌핑수단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광센서, 근접센서, 무게센서, 및 열감지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의 배출 단부에 설치되고 살균제를 스프레이 형태로 배출하기 위한 스프레이 분사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은 둔부의 안착을 위해 상기 변기에 마련된 변기커버의 내부공간을 통해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공급라인의 배출 단부에 살균제를 스프레이 형태로 배출하기 위한 스프레이 분사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KR1020080065860A 2008-07-08 2008-07-08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KR20100005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860A KR20100005809A (ko) 2008-07-08 2008-07-08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PCT/KR2009/003186 WO2010005176A2 (ko) 2008-07-08 2009-06-15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860A KR20100005809A (ko) 2008-07-08 2008-07-08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809A true KR20100005809A (ko) 2010-01-18

Family

ID=4181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860A KR20100005809A (ko) 2008-07-08 2008-07-08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8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2315B2 (en) 2015-07-31 2021-08-17 Valeo Iluminacion Device for closing a vehicle optical housing opening, optical housing equipped with such a device and cord for th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2315B2 (en) 2015-07-31 2021-08-17 Valeo Iluminacion Device for closing a vehicle optical housing opening, optical housing equipped with such a device and cord for th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3311B2 (en) Toilet bowl water steriliza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EP3148389B1 (en) Sanitaryware cleaning system
JP2013527890A (ja) ドアハンドル
KR101934633B1 (ko) 스마트 살균 수저통
US20100314272A1 (en) Cleaning container
KR100970888B1 (ko) 손 소독기
KR102212662B1 (ko) 다기능 변기세정장치
JP3140599U (ja) 壁面埋込型自動式手指消毒器
KR200436837Y1 (ko) 발 살균탈취기
KR20090004559U (ko) 전해식 손소독기
US20120126045A1 (en) Plumbing pipe and garbage disposal sanitizer and deodorizer
JP2007285070A (ja) バキューム式トイレ装置
KR20100005809A (ko)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US20230211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infecting plumbing fixtures and rooms with plumbing fixtures
KR102570448B1 (ko) 바이브레이터를 갖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
KR20100005243U (ko) 자가 세정형 노즐 소독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KR20110045504A (ko) 위생 좌변기 및 이를 이용한 좌변기 위생관리방법
US20220381022A1 (en) Fluid dispensing system
KR101039492B1 (ko) 변기의 병원균살균장치
KR101194058B1 (ko) 좌변기 항균수 공급장치
TR2021011430A2 (tr) Tuvalet dezenfeksi̇yon si̇stemi̇
JP4427319B2 (ja) 肛門の殺菌洗浄装置
CN218757806U (zh) 小便器
KR102486676B1 (ko)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
KR102401267B1 (ko) 소독전환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체안착유닛의 소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