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670A - 수면 모드 관리 방법, 단말 및 수면 모드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수면 모드 관리 방법, 단말 및 수면 모드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670A
KR20100005670A KR1020090059921A KR20090059921A KR20100005670A KR 20100005670 A KR20100005670 A KR 20100005670A KR 1020090059921 A KR1020090059921 A KR 1020090059921A KR 20090059921 A KR20090059921 A KR 20090059921A KR 20100005670 A KR20100005670 A KR 20100005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leep mode
group
data
sl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8928B1 (ko
Inventor
김은경
이남석
김경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CN200980126334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113387A/zh
Priority to EP09794625.5A priority patent/EP2304993B1/en
Priority to US13/003,229 priority patent/US8606337B2/en
Priority to PCT/KR2009/003689 priority patent/WO2010005219A2/en
Publication of KR2010000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수면 기간 이후의 청취 기간 동안,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단말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수면 기간으로 진입한다.
수면 모드, 단말, 전력 절약

Description

수면 모드 관리 방법, 단말 및 수면 모드 관리 장치{Method to control Sleep Mod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수면 모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수면 모드(sleep mode)를 지원하고, 수면 모드에서 단말은 수면 기간(sleep window)과 청취 기간(listening window)을 반복한다.
수면 기간 동안, 단말은 데이터 수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전력을 절약한다. 이후 청취 기간에 단말은 수면 기간 동안 자신에게 전송되기 위한 하향 트래픽이 발생했는지에 관한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하향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수면 모드를 종료하고 기상 모드(awake Mode)로 전환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트래픽을 수신한다.
수면 모드는 기지국과 각 단말 별로 수행된다. 즉, 기지국은 수면 모드로 동작하는 각 단말 별로 해당 단말에 하향 트래픽이 발생했는지에 관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수면 기간과 청취 기간의 지속 시간이 유사한 단말들로 각 각 하향 트래픽이 발생했는지에 관한 메시지를 전송하여, 시스템의 오버헤드가 증가하고 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면 기간과 청취 기간의 지속 시간이 유사한 단말들을 그룹으로 관리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단말 및 수면 모드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 모드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수면 모드를 관리하는 방법은, 수면 기간으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수면 기간 이후의 청취 기간 동안 상기 단말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수면 모드 관리 장치가 단말의 수면 모드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과 상기 수면 모드의 파라미터를 협상하는 단계; 및 상기 수면 모드의 단말로 상기 단말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 모드를 관리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수면 모드를 관리하는 단말은, 수면 기간으로 동작하는 수면 기간 동작부; 및 상기 수면 기간 이후의 청취 기간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단 말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수면 기간으로 진입하는 청취 기간 동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의 수면 모드를 관리하는 수면 모드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수면 모드 관리 장치는, 상기 단말의 수면 모드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면 기간과 청취 기간의 지속 시간이 유사한 단말들을 그룹으로 관리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단말 및 수면 모드 관리 장치를 제공하여, 시스템의 오버헤드를 줄이고,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면 모드 관리 방법, 단말 및 수면 모드 관리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수면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이 속하는 "그룹 ID" 및 단말이 수퍼 프레임 내에서 청취할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후 수면 기간(sleep window)이 끝나고 청취 기간(listening window)에 진입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퍼 프레임을 수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퍼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수퍼 프레임(superframe)(100)은, 복수의 프레임(frame1, frame2, frame3, frame4)(110, 120, 130, 140), 예를 들면, 4개의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수퍼 프레임(100)은 수퍼 프레임 헤더(superframe header, 10)를 포함하며, 수퍼 프레임 헤더(10)는 수퍼 프레임(100)의 시작 위치, 즉, 첫 번째 프레임(frame1)(110)의 시작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퍼 프레임(100)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제어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해당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에 대한 긍정(positive) 또는 부정(negative)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신호는 복수의 그룹 ID(Identification)를 지칭할 수 있는 비트맵(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영역 내의 복수의 단말이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각 그룹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포함되고, 각 그룹에는 해당하는 그룹 ID가 할당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비트맵(11)의 복수의 비트 중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이 속한 그룹 ID에 대응하는 비트를 긍정('1')의 값으로, 다른 비트를 부정('0')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트맵(11)이 n 비트인 경우, "100…00"의 값을 가지는 비트맵(11)은 첫 번째 그룹 ID에 해당하는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1010…00"의 값을 가지는 비트맵(11)은 첫 번째 및 세 번째 그룹 ID에 해당하는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0100…01"의 값을 가지는 비트맵(11)은 두 번째 및 n 번째 그룹 ID에 해당하는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수퍼 프레임은 이러한 제어 신호를 가지는 제어 신호 필드를 포함하며, 제어 신호 필드는 수퍼 프레임 헤더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또는 수퍼 프레임 내의 수정의 위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은 송수신부(210), 수면 기간 동작부(220), 청취 기간 동작부(230), 정보저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10)는 수면 모드 요청 메시지(SLP_REQ)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수면 모드 응답 메시지(SLP_RSP)를 수신한다. 또한, 송수신부(210)는 청취 기간에 기지국으로부터 수퍼 프레임을 수신한다.
수면 기간 동작부(220)는 정보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기초로, 수면 모드 시작 프레임부터 수면 기간 동안 단말(200)이 데이터 수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청취 기간 동작부(230)는 비트맵 판단부(231), 프레임 판단부(232) 및 동작 결정부(233)를 포함하며, 청취 기간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퍼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초로, 청취 기간 이후의 동작을 결정한다.
비트맵 판단부(231)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수퍼 프레임(100)의 비트맵(11)에서 단말(200)이 속한 그룹 ID에 해당되는 비트가 긍정('1')의 값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200)이 속한 그룹 ID에 해당되는 비트가 긍정('1')의 값을 가진다는 것은, 수신한 수퍼 프레임(100)에 단말(200)이 속한 그룹 ID에 해당하는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레임 판단부(232)는 비트맵 판단부(231)에서 단말(200)이 속한 그룹 ID에 해당되는 비트가 긍정('1')로 판단된 경우, 수퍼 프레임(100) 내에서 단말(200)이 청취할 프레임에 단말(200)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비트맵(11)은 수퍼 프레임(10)에 단말(200)이 속한 "그룹 ID"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므로, 실제로 "단말(200)"에 대한 데이터가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동작 결정부(233)는 수면 기간(sleep window)으로 진입할지 아니면 수면 모드(sleep mode)를 종료하고 기상 모드(awake mode)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비트맵 판단부(231)에서 단말(200)이 속한 그룹 ID에 해당되는 비트가 부정('0')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 동작 결정부(233)는 "수면 기간으로의 진입"을 결정한다.
또한, 비트맵 판단부(231)에서 단말(200)이 속한 그룹 ID에 해당되는 비트가 긍정('1')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도, 프레임 판단부(232)에서 단말(200)이 청취할 프레임에 단말(200)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동작 결정부(233)는 "수면 기간으로의 진입"을 결정한다.
그러나, 비트맵 판단부(231)에서 비트맵 판단부(231)에서 단말(200)이 속한 그룹 ID에 해당되는 비트가 긍정('1')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고, 프레임 판단부(232)에서도 단말(200)이 청취할 프레임에 단말(200)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동작 결정부(233)는 실제로 단말(200)이 청취할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의 내용을 기초로 청취 기간 이후에 수면 기간으로 진입할지 기상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정보저장부(240)에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면 모드 응답 메시지(SLP_RSP)에 포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저장부(240)에는 수면 모드 시작 프레임, 최소 수면 기간, 최대 수면 기간, 청취 기간, 단말(200)이 속한 그룹 ID 및 단말(200)이 청취할 프레임이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250)는 송수신부(210), 수면 기간 동작부(220) 및 청취 기간 동작부(2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수면 모드 관리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면 모드 관리 장치(300)는 송수신부(310), 결정부(320), 생성부(330), 정보저장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310)는 단말(200)로부터 수면 모드 요청 메시지(SLP_REQ)를 수신하고, 수면 모드 응답 메시지(SLP_RSP)를 단말(200)로 전송한다.
결정부(320)는 수면 모드 요청 메시지(SLP_REQ)에 포함된 내용을 기초로, 단말(200)이 속할 그룹 ID 및 단말(200)이 수퍼 프레임 내에서 청취할 프레임 등을 결정한다. 이때, 결정부(320)는 수면 기간과 청취 기간의 지속 시간이 유사한 단말들을 동일한 그룹 ID에 할당할 수 있다.
생성부(330)는 기지국 영역 내에서 수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의 수면 기간 동안 하향 트래픽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기초로, 수퍼 프레임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단말(200)의 수면 기간 동안 하향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단말(200)에 대한 데이터를 단말(200)이 청취할 프레임에 저장하고, 단말(200)이 속한 그룹 ID에 해당하는 비트를 긍정('1')의 값으로 설정한 비트맵(11)을 생성하고, 생성된 비트맵(11)을 포함하는 수퍼 프레임을 생성한다.
이때, 단말(200)이 청취할 프레임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기지국(300)으로부터 단말(200)로 전송될 하향 트래픽이 존재하므로 "기상 모드(awake Mode)로 전환하여 하향 트래픽을 수신하라"는 내용일 수도 있고, 청취 기간 동안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할 "하향 트래픽"일 수도 있다.
정보저장부(340)에는 기지국(300)에 속하며, 수면 모드로 동작하는 각 단말 이 속한 그룹 ID, 청취할 프레임, 수면 모드 시작 프레임, 최소 수면 기간, 최대 수면 기간, 청취 기간 등이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350)는 송수신부(310), 결정부(320) 및 생성부(3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면 모드 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면 모드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먼저 기지국(300)과 단말(200)은 수면 모드를 위한 파라미터를 협상한다(S401, S402, S403).
구체적으로, 수면 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단말(200)은 수면 모드 요청 메시지(SLP-REQ)를 기지국(300)으로 전송한다(S401). 이때, 수면 모드 요청 메시지(SLP_REQ)는 최소 수면 기간(Min-sleep-window = N1), 최대 수면 기간(Max-sleep-window = N2) 및 청취 기간(listening window = L1)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수면 모드 요청 메시지(SLP_REQ)를 수신한 기지국(300)은 수면 모드 요청 메시지(SLP_REQ)에 포함된 내용을 기초로, 단말(200)이 속하는 그룹 ID 및 단말(200)이 수퍼 프레임 내에서 청취할 프레임 등을 결정한다(S402).
이후, 기지국(300)은 수면 모드 응답 메시지(SLP_RSP)를 단말(200)로 전송한다(S403). 이때, 수면 모드 응답 메시지(SLP_RSP)는 수퍼 프레임 내에서의 수면 모드 시작 프레임(Start frame = M), 최소 수면 기간(Min-sleep-window = N1), 최 대 수면 기간(Max-sleep-window= N2), 청취 기간(listening window = L1)뿐만 아니라, 단말(200)이 속하는 그룹 ID(Group ID = ID2) 및 단말(200)이 청취할 프레임(listening Frame = F3)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수면 모드 응답 메시지(SLP_RSP)를 수신한 단말(200)은, 수면 모드 시작 프레임(M)부터 최소 수면 기간(N1) 동안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수면 기간(sleep window)에 들어간다(S404).
수면 기간(sleep window)이 지나고 청취 기간(listening window)에 진입하면(S405), 단말(200)은 기지국(300)으로부터 수퍼 프레임을 수신한다(S406). 수퍼 프레임을 수신한 단말(200)은 수퍼 프레임의 제어신호 필드에서 단말(200)로 전송될 데이터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단말(200)은 제어 신호 필드에 자신에게 긍정적인(positive) 제어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단말(200)은 제어 신호의 비트맵(11)에 단말(200)이 속한 그룹 ID에 해당하는 값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7). 예를 들면, 단말이 두 번째 그룹(ID2)에 속한 경우, 비트맵(11)의 두 번째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단말(200)은 수퍼 프레임(100)에 자신이 속한 그룹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한 수퍼 프레임에 단말(200)이 속한 그룹 ID에 해당하는 비트맵(11)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200)은 청취 기간이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08), 청취 기간이 종료한 경우 수면 기간(sleep window)으 로 진입한다(S409). 이때, 진입하는 수면 기간은 설정된 방식에 따라, 최대 수면 기간(N2)보다 작은 한도 내에서, 이전 수면 기간(N1)와 같거나 더 길어질 수 있다.
반면,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한 수퍼 프레임에 단말(200)이 속한 그룹 ID에 해당하는 비트맵(1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수퍼 프레임 내에서 단말(200)이 청취할 프레임(F3)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깨어나서 프레임(F3)에 단말(200)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410).
프레임(F3)에 단말(200)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청취 기간이 종료하면(S408), 단말은 수면 기간(sleep window)으로 진입한다(S409).
반면, 프레임(F3)에 단말(200)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프레임(F3)에 포함된 내용을 기초로 이후 수면 기간(sleep window)으로 진입할지 수면 모드(sleep mode)를 종료하고 기상 모드(awake mode)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한다(S411, S412). 이후, 단말(200)은 결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300)이 수면 기간과 청취 기간의 지속 시간이 유사한 단말들을 동일한 그룹 ID으로 관리함으로써, 시스템의 오버헤드를 줄이고,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청취 기간에 단말(200)은 단말(200)이 속한 그룹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수퍼 프레임에 포함된 경우에만, 단말(200)이 청취할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를 파악한다.
따라서, 단말(200)이 속한 그룹에 대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수퍼 프레임의 내용을 파악할 필요가 없으며, 단말(200)이 속한 그룹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에도 수퍼 프레임이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단말(200)이 청취할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 만을 파악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퍼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수면 모드 관리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면 모드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24)

  1. 단말이 수면 모드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면 기간으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수면 기간 이후의 청취 기간 동안 상기 단말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단말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은 수면 기간으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청취 기간이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청취 기간이 종료한 경우, 상기 수면 기간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단말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상기 수면 모드의 파라미터를 협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이 속하는 그룹 ID 및 데이터를 청취할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비트맵을 포함하며,
    상기 비트맵에서 상기 그룹 ID에 대응하는 비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그룹 ID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서, 상기 그룹 ID에 대응하는 비트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ID에 대응하는 비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속한 그룹 ID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청취할 프레임 번호에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할 프레임 번호에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수면 기간으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할 프레임 번호에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청취할 프레임 번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수면 기간으로 진입할지 또는 수면 모드를 종료하고 기상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11. 기지국의 수면 모드 관리 장치가 단말의 수면 모드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 서,
    상기 단말과 상기 수면 모드의 파라미터를 협상하는 단계; 및
    상기 수면 모드의 단말로 상기 단말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이 속하는 그룹 ID 및 데이터를 청취할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비트맵을 포함하며,
    상기 비트맵에서 상기 그룹 ID에 대응하는 비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그룹 ID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수면 모드 관리 방법.
  14. 수면 모드를 관리하는 단말에 있어서,
    수면 기간으로 동작하는 수면 기간 동작부; 및
    상기 수면 기간 이후의 청취 기간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해당하 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단말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수면 기간으로 진입하는 청취 기간 동작부를 포함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기간 동작부는,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단말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이 속하는 그룹 ID 및 데이터를 청취할 프레임 번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비트맵을 포함하며,
    상기 비트맵에서 상기 그룹 ID에 대응하는 비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그룹 ID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기간 동작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서, 상기 그룹 ID에 대응하는 비트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트맵 판단부; 및
    상기 그룹 ID에 대응하는 비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청취할 프레임 번호에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레임 판단부를 포함하는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기간 동작부는,
    상기 비트맵 판단부 및 상기 프레임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수면 기간으로 진입할지 또는 수면 모드를 종료하고 기상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결정부는,
    상기 비트맵 판단부에서 상기 그룹 ID에 대응하는 비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및 상기 프레임 판단부에서 상기 청취할 프레임에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수면 기간으로 진입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결정부는,
    상기 프레임 판단부에서 상기 청취할 프레임에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해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의 내용을 기초로 수면 기간으로 진입할지 또는 수면 모드를 종료하고 기상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단말의 수면 모드를 관리하는 수면 모드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수면 모드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수면 모드 관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이 속하는 그룹 ID 및 데이터를 청취할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비트맵을 포함하며, 상기 비트맵에서 상기 그룹 ID에 대응하는 비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그룹 ID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수면 모드 관리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수퍼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성부는,
    상기 단말의 수면 기간 동안 하향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청취할 프레임에 저장하고, 상기 비트맵에서 상기 그룹 ID에 대응하는 비트를 설정하여 상기 수퍼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모드 관리 장치.
KR1020090059921A 2008-07-07 2009-07-01 수면 모드 관리 방법, 단말 및 수면 모드 관리 장치 KR10157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263340A CN102113387A (zh) 2008-07-07 2009-07-07 用于控制休眠模式的方法及其终端和设备
EP09794625.5A EP2304993B1 (en) 2008-07-07 2009-07-07 Method to control sleep mode, and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US13/003,229 US8606337B2 (en) 2008-07-07 2009-07-07 Method to control sleep mode, and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PCT/KR2009/003689 WO2010005219A2 (en) 2008-07-07 2009-07-07 Method to control sleep mode, and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589 2008-07-07
KR20080065589 2008-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670A true KR20100005670A (ko) 2010-01-15
KR101578928B1 KR101578928B1 (ko) 2015-12-18

Family

ID=4181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921A KR101578928B1 (ko) 2008-07-07 2009-07-01 수면 모드 관리 방법, 단말 및 수면 모드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06337B2 (ko)
EP (1) EP2304993B1 (ko)
KR (1) KR101578928B1 (ko)
CN (1) CN102113387A (ko)
WO (1) WO20100052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8929B (zh) * 2012-11-23 2015-04-08 西安电子科技大学 无线局域网中考虑节能的调度方法
US20210195527A1 (en) * 2017-08-25 2021-06-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3890208A1 (en) * 2020-03-20 2021-10-06 Nokia Technologies Oy Group timing adjustment for uplink transmission and command activation in non-terrestrial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5860A (en) 1994-12-16 1998-04-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system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mobile station with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system
CA2199661C (en) * 1996-03-12 2001-08-14 Takehiro Nakamura Scheme for intermittent reception of paging signa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622251B1 (en) * 1999-04-07 2003-09-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to put a mobile terminal into sleep when a frame control channel containing a location of slow broadcast channel does not include wakeup information
US7769414B2 (en) * 2003-07-18 2010-08-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mode in wireless portable network system
US7430421B2 (en) * 2003-09-01 2008-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TE385361T1 (de) 2003-12-15 2008-02-15 Alcatel Lucent Verfahren zum reaktivieren einer mehrzahl deaktivierter geräte, ein entsprechendes netzwerkelement und eine entsprechende aktivierungseinrichtung
KR100657507B1 (ko) 2003-12-16 2006-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전력절약모드 제어 방법 및장치
KR20050116076A (ko) 2004-06-04 200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스케줄링을 할당하는 방법
KR100617731B1 (ko) * 2004-06-19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통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56248B1 (ko) 2004-08-17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피 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 서비스에서 상향링크스케줄링 방법
EP1810536B1 (en) * 2004-09-30 2015-05-06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supporting operation of sleep mode in a wideband radio access system
KR101100167B1 (ko) 2004-11-04 2011-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수면모드 동작 지원 방법
KR101084129B1 (ko) * 2005-03-24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슬립모드 지원 방법
CN1317920C (zh) * 2005-06-15 2007-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睡眠模式下业务指示消息发送方法
CN101166357B (zh) * 2006-10-20 2012-02-01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跨越异质网络寻呼终端设备的方法、装置及系统
KR100812328B1 (ko) * 2006-10-24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 천이 방법 및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38209A1 (en) 2011-06-09
CN102113387A (zh) 2011-06-29
EP2304993B1 (en) 2017-10-25
US8606337B2 (en) 2013-12-10
WO2010005219A3 (en) 2011-02-17
EP2304993A4 (en) 2015-01-14
KR101578928B1 (ko) 2015-12-18
EP2304993A2 (en) 2011-04-06
WO2010005219A2 (en)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394B1 (ko)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343766B2 (en) Method for indicating downlink service data and device
TWI466470B (zh) 經由共用通道發送及接收測量報告的方法及裝置
KR101102349B1 (ko) 무선 통신망에서 수면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61962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5080287A (ja) 広帯域無線接続通信システムのスリープモード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546658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間欠送信方法
CN110235487A (zh) 用于无线设备的功率节省
WO2018071095A1 (en) Access point discovery using a wakeup receiver
JP2010068111A (ja) 無線通信基地局、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4862418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3660701A (zh) 信息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15035674A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CN105009623A (zh) 一种非连续接收的控制方法及装置
CN113940124A (zh) 寻呼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20100005670A (ko) 수면 모드 관리 방법, 단말 및 수면 모드 관리 장치
EP2840838B1 (en) Network discovery method, access point, and terminal device
US10841875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09756956B (zh) 通信方法及通信装置、接入点设备和站点设备
CN114765837B (zh) 省电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14760679B (zh) 非连续接收drx配置切换的方法、装置及终端
KR102389543B1 (ko) 통신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KR20120071927A (ko) 통신 장치 및 방법
CN108076503B (zh) 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通信装置、接入点和站点
CN113748634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