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567A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567A
KR20100005567A KR1020080065656A KR20080065656A KR20100005567A KR 20100005567 A KR20100005567 A KR 20100005567A KR 1020080065656 A KR1020080065656 A KR 1020080065656A KR 20080065656 A KR20080065656 A KR 20080065656A KR 20100005567 A KR20100005567 A KR 20100005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element
planetary gear
brake
clutch
gear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9214B1 (ko
Inventor
정근수
장욱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2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16H3/66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 F16H3/666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with compound planetary gear units, e.g. two intermeshing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6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eight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 F16H2200/201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with three sets of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F16H2200/2046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with six enga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3개의 단순유성기어셋트를 3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조합하여 적어도 전진 8속 이상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 변속기의 구성을 간단히 하고, 동력 전달 성능을 향상시키며, 연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Figure P1020080065656
유성기어셋트, 선기어, 유성 캐리어, 링기어, 클러치, 브레이크

Description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GEAR TRAIN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S}
본 발명은 3개의 단순 유성기어셋트를 3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조합하여 적어도 전진 8속 이상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 변속기의 다단 변속 메커니즘은, 복수의 유성기어세트를 조합하여 구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유성기어세트가 조합된 기어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로부터 회전 동력을 입력받아 이를 변속하여 출력축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는 구현 가능한 변속단이 많을수록 보다 적절한 변속비의 설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력성능 및 연비 면에서 우수한 차량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변속단을 구현하는 자동변속기는 꾸준한 연구의 관심이 되고 있다.
그리고 동일 변속단을 구현한다고 하더라도 유성기어세트의 조합 방법에 따라 기어 트레인의 내구성, 동력전달효율, 크기 등이 달라지게 되어, 보다 견고하 고, 동력손실이 없으며 보다 컴팩트한 기어 트레인 구성을 발명하기 위한 노력이 항시 진행되고 있다.
특히, 변속단이 많을수록 운전자가 변속을 자주 해주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는 수동 변속기와는 달리 자동 변속기는 운전 상태에 따라 제어유닛이 기어 트레인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변속을 수행하게 되므로, 보다 많은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기어 트레인의 구성을 찾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동 변속기는 4속 및 5속 자동 변속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에는 6속 자동 변속기가 실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이상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기어 트레인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자동 변속기의 개발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3개의 단순유성기어셋트를 3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조합하여 적어도 전진 8속 이상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 변속기의 구성을 간단히 하고, 동력 전달 성능을 향상시키며, 연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에서와 같이, 각 각 3개의 회전요소(S1)(PC1)(R1),(S2)(PC2)(R2)를 갖는 2개의 단순유성기어셋트를 조합하여 5개의 회전요소(N1)(N2)(N3)(N4)(N5)를 보유하면서 복합유성기어셋트로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5개의 회전요소는 항시 입력요소로 작동하는 제1 회전요소(N1)와, 선택적인 고정요소로 작동하는 제2 회전요소(N2)와, 공전요소로 작동함과 동시에 선택적인 고정요소로 작동하는 제3 회전요소(N3)와, 선택적인 입력요소로 작동함과 동시에 선택적인 고정요소로 작동하는 제4 회전요소(N4)와, 출력기어(OG)와 직접 연결되어 항시 출력요소로 작동하는 제5 회전요소(N5)로 이루어지는 제1, 2 유성기어셋트(PG1)(PG2)와;
3개의 회전요소(S3)(PC3)(R3)를 갖는 단순유성기어셋트로서, 상기 제5 회전요소(N5)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제6 회전요소(N6)와, 상기 제2 회전요소(N2)와 직접 연결되어 선택적인 고정요소로 작동하는 제7 회전요소(N7)와, 입력축(IS)과 선택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선택적인 고정요소로 작동하는 제8 회전요소(N8)를 보유하는 제3 유성기어셋트(PG3)와;
상기 회전요소(N1 ~ N8)들을 상호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입력축(IS)과 변속기 하우징(H)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마찰부재(C1)(C2)(C3), (B1)(B2)(B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2,3 유성기어셋트(PG1)(PG2)(PG3)를 배치하되, 청구범위 제2항에서와 같이, 제1 유성기어셋트(PG1)를 중앙에 두고 엔진측에 제2 유성기어셋트(PG2)를 배치하고, 제3 유성기어셋트(PG3)를 엔진 반대측에 배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청구범위 제3항에서와 같이, 제1 유성기어셋트(PG1)는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제2 유성기어셋트(PG2)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로서, 제1 유성 캐리어(PC1)와 제2 선기어(S2)를 직접 연결하여 제1 회전요소(N1)가 제1 선기어(S1), 제2 회전요소(N4)가 제1 링기어(R1), 제3 회전요소(N3)가 제1 유성 캐리어(PC1)와 제2 선기어(S2), 제4 회전요소(N4)가 제2 유성 캐리어(PC3), 제5 회전요소(N5)가 제2 링기어(R2)로 이루어지며,
제3 유성기어셋트(PG3)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서, 제6 회전요소(N6)가 제3 링기어(R3), 제7 회전요소(N7)가 제3 유성 캐리어(PC3), 제8 회전요소(N8)가 제3 선기어(S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마찰부재는 청구범위 제4항에서와 같이, 입력축(IS)과 제8 회전요소(N8)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클러치(C1)와, 입력축(IS)과 제4 회전요소(N4)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클러치(C2)와, 제3 회전요소(N3)와 제8 회전요소(N8)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 클러치(C3)와, 제8 회전요소(N8)와 변속기 하우징(H)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브레이크(B1)와, 제7 회전요소(N7)와 변속기 하우징(H)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브레이크(B2)와, 제4 회전요소(N4)와 변속기 하우징(H)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 브레이크(B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클러치(C2)와 제3 브레이크(B3)는 청구범위 제5항에서와 같이, 제2 유성기어셋트(PG2)의 전측에 배치되고, 제1,3 클러치(C1)(C3)와 제1,2 브 레이크(B1)(B2)는 제3 유성기어셋트(PG3)의 후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출력기어(OG)는 청구범위 제6항에서와 같이, 제2 유성기어셋트(PG2)와 제2 클러치(C2)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에서 제1,3 클러치(C1)(C3)는 청구범위 제7항에서와 같이, 제1, 2 브레이크(B1)(B2)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찰부재들은 청구범위 제8항에서와 같이, 전진 1속에서 제1,3 브레이크(B1)(B3)가 작동하고, 전진 2속에서 제2, 3 브레이크(B2)(B3)가 작동하며, 전진 3속에서 제3 클러치(C3)와 제3 브레이크(B3)가 작동하고, 전진 4속에서 제3 클러치(C3)와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며, 전진 5속에서 제3 클러치(C3)와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하고, 전진 6속에서 제2,3 클러치(C2)(C3)가 작동하며, 전진 7속에서 제2 클러치(C2)와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하고, 전진 8속에서 제2 클러치(C2)와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며, 후진 변속단에서 제1 클러치(C1)와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진 6속에서는 청구범위 제9항에서와 같이 제2, 3 클러치(C2)(C3) 대신에 제1, 2 클러치(C1)(C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3개의 단순유성기어세트를 3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조합하여 적어도 전진 8속 이상의 변속단을 구현하여 동력 전달 성능을 향상시키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찰요소를 분산 배치함으로써, 유로의 구성이 용이하게 하고, 각 변속단에서 2개의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오일펌프의 용량 축소와 유압 제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파워 트레인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기어 트레인은 동일축선상에 배치되는 제1, 2, 3 유성기어세트(PG1)(PG2)(PG3)를 3개의 클러치(C1)(C2)(C3)와 3개의 브레이크(B1)(B2)(B3)로 이루어지는 마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2,3 유성기어셋트(PG1)(PG2)(PG3)를 배치함에 있어서는 제1 유성기어셋트(PG1)를 중앙에 두고 엔진측에 제2 유성기어셋트(PG2)가 배치되고, 후측에 제3 유성기어셋트(PG3)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PG1)는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서, 제1 선기어(S1), 제1 유성 캐리어(PC3), 제1 링기어(R1)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한다.
상기 제2 유성기어셋트(PG2)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서, 제2 선기어(S2), 제2 유성 캐리어(PC2), 제2 링기어(R2)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한다.
상기 제3 유성기어셋트(PG3)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서, 제3 선기어(S3), 제3 유성 캐리어(PC3), 제3 링기어(R3)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 유한다.
상기 제1 유성기어셋트(PG1)와 제2 유성기어셋트(PG2)는 제1 유성 캐리어(PC1)와 제2 선기어(S2)가 상호 직접 연결되면서 하나의 복합 유성기어셋트로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선기어(S1)가 제1 회전요소(N1), 제1 링기어(R1)가 제2 회전요소(N2), 상호 직접 연결되는 제1 유성 캐리어(PC1)와 제2 선기어(S2)가 제3 회전요소(N3), 제2 유성 캐리어(PC2)가 제4 회전요소(N4), 제2 링기어(R2)가 제5 회전요소(N5)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3 유성기어셋트(PG3)는 3개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는 제2 유성기어셋트(PG2)의 하나의 회전요소와 직접 연결되고, 또 다른 하나의 회전요소는 제1 유성기어셋트(PG1)의 하나의 회전요소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1,2 유성기어셋트(PG1)(PG2)에서 변속이 이루어질 때 상호 보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 링기어(R3)가 제5 회전요소(N5)인 제2 링기어(R2)와 직접 연결되는 제6 회전요소(N6), 제3 유성 캐리어(PC3)가 제2 회전요소(N2)인 제1 링기어(R1)와 직접 연결되는 제7 회전요소(N7), 제3 선기어(S3)가 제3 회전요소(N3)인 제1 유성 캐리어(PC1)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8 회전요소(N8)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입력축(IS)은 입력부재로서 토크 컨버터의 터빈축을 의미하며, 이는 엔진의 크랭크 축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토크 컨버터를 통해 토크 변환이 이루어지면서 입력되고, 출력기어(OG)는 출력부재로서 미도시한 공지의 차동장치를 통 해 구동륜을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기어(OG)는 제2 유성기어셋트(PG2)의 전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각 회전요소를 상호 조합함에 있어서는 6개의 마찰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복수개의 마찰부재는 회전요소와 회전요소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와, 회전요소를 고정체인 변속기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복수의 클러치는 입력축(IS)과 제8 회전요소(N3)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클러치(C1)와, 입력축(IS)과 제4 회전요소(N4)를 연결하는 제2 클러치(C2)와, 제1 회전요소(N1)와 제8 회전요소(N8)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 클러치(C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클러치(C1)는 입력축(IS)과 제3 선기어(S3)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제2 클러치(C2)는 입력축(IS)과 제2 유성 캐리어(PC2)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제3 클러치(C3)는 제1 유성 캐리어(PC1)와 제3 선기어(S3)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브레이크는 제8 회전요소(N8)를 변속기 하우징(H)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브레이크(B1)와, 제7 회전요소(N7)를 변속기 하우징(H)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브레이크(B2)와, 제4 회전요소(N4)를 변속기 하우징(H)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 브레이크(B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브레이크(B1)는 제3 선기어(S3)를 변속기 하우징(H)과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제2 브레이크(B2)는 제3 유성 캐리어(PC3)를 변속기 하우징(H)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제3 브레이크(B3)는 제2 유성 캐리어(PC3)를 변속기 하우징(H)과 선택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제1 클러치(C1)가 작동되면 입력축(IS)과 제3 선기어(S3)가 일체가 되며, 제2 클러치(C2)가 작동하면 입력축(IS)과 제2 유성 캐리어(PC2)가 일체가 되고, 제3 클러치(C3)가 작동하면 제1 유성 캐리어(PC1)와 제2 선기어(S2)와 제3 선기어(S3)가 일체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브레이크(B1)만 작동되면, 제3 선기어(S3)만 고정요소로 작동하지만 제3 클러치(C3)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제1 브레이크(B1)이 작동되면, 제1 유성 캐리어(PC1)와 제2 선기어(S2)도 고정요소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면, 제1 링기어(R1)와 제3 유성 캐리어(PC3)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고, 제3 브레이크(B3)가 작동하면 제2 유성 캐리어(PC2)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1,2,3 클러치(C1)(C2)(C3)와 제1,2,3 브레이크(B1)(B2)(B3)는 유압에 의하여 마찰 결합되는 다판식 유압 마찰 결합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마찰부재를 배치함에 있어서는 제2 클러치(C2)와 제3 브레이크(B3)는 제2 유성기어셋트(PG2)의 전측에 배치하였으며, 제1,2 브레이크(B1)(B2) 및 제1, 3 클러치(C1)(C3)는 상기 제1,2 브레이크(B1)(B2) 사이에 배치 하였다.
상기와 같이 마찰부재를 분산 배치하면 안정된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들 마찰부재에 유압을 공급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데에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찰부재 즉, 클러치와 브레이크가 각 변속단에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작동표로서, 본 발명의 기어 트레인은 각 변속단에서 2개의 마찰부재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즉, 전진 1속에서는 제1,3 브레이크(B1)(B3)가 작동하고,
전진 2속에서는 상기 전진 1속에서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이 해제되면서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여 제2, 3 브레이크(B2)(B3)가 작동하며,
전진 3속에서는 상기 전진 2속에서 제2 브레이크(B2)의 작동이 해제되면서 제3 클러치(C3)가 작동하여 제3 클러치(C3)와 제3 브레이크(B3)가 작동하고,
전진 4속에서는 상기 전진 3속에서 제3 브레이크(B3)의 작동이 해제되면서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여 제3 클러치(C3)와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며,
전진 5속에서는 상기 전진 4속에서 제2 브레이크(B2)의 작동이 해제되면서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하여 제3 클러치(C3)와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하고,
전진 6속에서는 상기 전진 5속에서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이 해제되면서 제2 클러치(C2)가 작동하여 제2,3 클러치(C2)(C3)가 작동하며,
전진 7속에서는 상기 전진 6속에서 제3 클러치(C3)의 작동이 해제되면서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하여 제2 클러치(C2)와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하고,
전진 8속에서는 상기 전진 7속에서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이 해제되면서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여 제2 클러치(C2)와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며,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1 클러치(C1)와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진 6속에서는 제2, 3 클러치(C2)(C3)가 작동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3 클러치(C3) 대신에 제1 클러치(C1)를 작동시켜도 전진 6속을 실현할 수 있다(도 2의 전진 6속에서 제1 클러치(C1)에 "○"의 표시).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기어 트레인의 변속과정에서 각 회전요소의 회전상태를 가시적으로 나타낸 변속선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측의 가로선이 회전속도 "0"을 나타내고, 상측의 가로선이 회전속도"1.0" 즉, 입력축(IS)과 동일 회전속도를 나타낸다.
복합 유성기어셋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2 유성기어셋트(PG1)(PG2)의 5개의 세로선은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회전요소{N1; 제1 선기어(S1)}, 제2 회전요소{N2; 제1 링기어(R1)}, 제3 회전요소{N3; 제1 유성 캐리어(PC1)와 제2 선기어(S2)}, 제4 회전요소{N4; 제2 유성 캐리어(PC2)}, 제5 회전요소{N5; 제2 링기어(R2)}로 설정되며, 이들 간격은 제1, 2 유성기어셋트(PG1)(PG2)의 기어비(선기어의 잇수/링기어의 잇수)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제3 유성기어셋트(PG3)의 3개의 세로선은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제6 회전요소{N6; 제3 링기어(R3)}, 제7 회전요소{N7; 제3 유성 캐리어(PC3)}, 제8 회전요소{N8; 제3 선기어(S3)}로 설정되며, 이들 간격은 제3 유성기어셋트(PG3)의 기 어비(선기어의 잇수/링기어의 잇수)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와 같은 회전요소의 설정은 기어 트레인의 당업자라면 공지의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기어 트레인의 변속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진 1속]
전진 1속에서는 제1 브레이크(B1)와 제3 브레이크(B3)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제4 회전요소(N4)와 제8 회전요소(N8)가 고정요소로 작동하는 상태에서 제1 회전요소(N1)로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제5 회전요소(N5)와 제6 회전요소(N6)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제2 회전요소(N2)와 제7 회전요소(N7)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제1,2,3 유성기어셋트(PG1)(PG2)(PG3)는 상호 보완작동에 의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속도선(SP1-1)(SP2-1)(SP3-1)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통해 D1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최대 변속비(입력축(IS)의 회전속도/출력기어(OG)의 회전속도)로서, 「4.993」 정도의 전진 1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2속]
전진 2속에서는 상기 전진 1속의 상태에서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제4 회전요소(N4)와 제7 회전요소(N7)가 고정요소로 작동하는 상태에서 제1 회전요소(N1)로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제5 회전요소(N5)와 제6 회전요소(N6)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제2 회전요소(N2)와 제7 회전요소(N7)가 직 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제1,2,3 유성기어셋트(PG1)(PG2)(PG3)는 상호 보완작동에 의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속도선(SP1-2)(SP2-2)(SP3-2)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통해 D2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전진 1속보다도 변속비가 작은 「3.480」 정도의 전진 2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3속]
전진 3속에서는 상기 전진 2속에서 작동하던 마찰부재 중 제2 브레이크(B2)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3 클러치(C3)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제4 회전요소(N4)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회전요소(N1)로 입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5 회전요소(N5)와 제6 회전요소(N6)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제2 회전요소(N2)와 제7 회전요소(N7)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3 클러치(C3)의 작동으로 제3 회전요소(N3)와 제8 회전요소(N8)가 연결되는 바, 제1,2,3 유성기어셋트(PG1)(PG2)(PG3)는 상호 보완작동에 의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속도선(SP1-3)(SP2-3)(SP3-3)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통해 D3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전진 2속보다도 변속비가 작은 「2.999」 정도의 전진 3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4속]
전진 4속에서는 상기 전진 3속에서 작동하던 마찰부재 중 제3 브레이크(B3)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제7 회전요소(N7)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회전요 소(N1)로 입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5 회전요소(N5)와 제6 회전요소(N6)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제2 회전요소(N2)와 제7 회전요소(N7)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3 클러치(C3)의 작동으로 제3 회전요소(N3)와 제8 회전요소(N8)가 연결되는 바, 제1,2,3 유성기어셋트(PG1)(PG2)(PG3)는 상호 보완작동에 의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속도선(SP1-4)(SP2-4)(SP3-4)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통해 D4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전진 3속보다도 변속비가 작은 「2.640」 정도의 전진 4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5속]
전진 5속에서는 상기 전진 4속에서 작동하던 마찰부재 중 제2 브레이크(B2)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제3 회전요소(N3)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회전요소(N1)로 입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5 회전요소(N5)와 제6 회전요소(N6)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제2 회전요소(N2)와 제7 회전요소(N7)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3 클러치(C3)의 작동으로 제3 회전요소(N3)와 제8 회전요소(N8)가 연결되는 바, 제1,2,3 유성기어셋트(PG1)(PG2)(PG3)는 상호 보완작동에 의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속도선(SP1-4)(SP2-4)(SP3-4)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통해 D5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전진 4속보다도 변속비가 작은 「1.513」 정도의 전진 5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6속]
전진 6속에서는 상기 전진 5속에서 작동하던 마찰부재 중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2 클러치(C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제1 회전요소(N1)로 입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제2 클러치(C2)의 작동으로 제4 회전요소(N4)로 동시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제1,2,3 유성기어셋트(PG1)(PG2)(PG3) 모두가 직결의 상태가 되어 도 8에서와 같이 속도선(SP1-6)(SP2-6)(SP3-6)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통해 D6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입력과 출력이 동일한 「1.000」의 변속비로 전진 6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7속]
전진 7속에서는 상기 전진 6속에서 작동하던 마찰부재 중 제3 클러치(C3)의 작동은 해제되고,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제8 회전요소(N8)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회전요소(N1)로 입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5 회전요소(N5)와 제6 회전요소(N6)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제2 회전요소(N2)와 제7 회전요소(N7)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제1,2,3 유성기어셋트(PG1)(PG2)(PG3)는 상호 보완작동에 의하여 도 9에서와 같이 속도선(SP1-7)(SP2-7)(SP3-7)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통해 D7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오버 드라이브 상태인 「0.879」 정도의 전진 7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8속]
전진 8속에서는 상기 전진 7속에서 작동하던 마찰부재 중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제7 회전요소(N7)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회전요소(N1)로 입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5 회전요소(N5)와 제6 회전요소(N6)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제2 회전요소(N2)와 제7 회전요소(N7)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제1,2,3 유성기어셋트(PG1)(PG2)(PG3)는 상호 보완작동에 의하여 도 10에서와 같이 속도선(SP1-8)(SP2-8)(SP3-8)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통해 D8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오버 드라이브 상태인 「0.613」 정도의 최고 변속단인 전진 8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후진]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1 클러치(C1)와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제7 회전요소(N7)가 고정요소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회전요소(N1)로 입력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1 클러치(C1)의 작동으로 제8 회전요소(N8)로 동시 입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5 회전요소(N5)와 제6 회전요소(N6)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제2 회전요소(N2)와 제7 회전요소(N7)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제1,2,3 유성기어셋트(PG1)(PG2)(PG3)는 상호 보완작동에 의하여 도 11에서와 같이 속도선(SR1-1)(SR2-1)(SR3-1)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5 회전요소(N5)를 통해 REV 만큼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변속비 「-2.200」 정도의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각 변속단에서의 변속비는 제1 유성기어셋트(PG1)의 제1 선기어(S1)와 제1 링기어(R1)의 잇수가 10, 22이고, 제2 유성기어셋트(PG2)의 제2 선기어(S2)와 제2 링기어(R2)의 잇수가 10, 29이며, 제3 유성기어셋트(PG3)의 제3 선기어(S3)와 제3 링기어(R3)의 잇수가 10, 22일 때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기어 트레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하여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어 트레인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어 트레인에 적용되는 마찰부재의 변속단별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어 트레인의 전진 1속에서 각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를 도시한 속도선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기어 트레인의 전진 2속에서 각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를 도시한 속도선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기어 트레인의 전진 3속에서 각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를 도시한 속도선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기어 트레인의 전진 4속에서 각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를 도시한 속도선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기어 트레인의 전진 5속에서 각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를 도시한 속도선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기어 트레인의 전진 6속에서 각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를 도시한 속도선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기어 트레인의 전진 7속에서 각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를 도시한 속도선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기어 트레인의 전진 8속에서 각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를 도시한 속도선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기어 트레인의 후진 변속단에서 각 회전부재의 회전 속도를 도시한 속도선도이다.

Claims (9)

  1. 각각 3개의 회전요소(S1)(PC1)(R1),(S2)(PC2)(R2)를 갖는 2개의 단순유성기어셋트를 조합하여 5개의 회전요소(N1)(N2)(N3)(N4)(N5)를 보유하면서 복합유성기어셋트로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5개의 회전요소는 항시 입력요소로 작동하는 제1 회전요소(N1)와, 선택적인 고정요소로 작동하는 제2 회전요소(N2)와, 공전요소로 작동함과 동시에 선택적인 고정요소로 작동하는 제3 회전요소(N3)와, 선택적인 입력요소로 작동함과 동시에 선택적인 고정요소로 작동하는 제4 회전요소(N4)와, 출력기어(OG)와 직접 연결되어 항시 출력요소로 작동하는 제5 회전요소(N5)로 이루어지는 제1, 2 유성기어셋트(PG1)(PG2)와;
    3개의 회전요소(S3)(PC3)(R3)를 갖는 단순유성기어셋트로서, 상기 제5 회전요소(N5)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제6 회전요소(N6)와, 상기 제2 회전요소(N2)와 직접 연결되어 선택적인 고정요소로 작동하는 제7 회전요소(N7)와, 입력축(IS)과 선택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선택적인 고정요소로 작동하는 제8 회전요소(N8)를 보유하는 제3 유성기어셋트(PG3)와;
    상기 회전요소(N1 ~ N8)들을 상호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입력축(IS)과 변속기 하우징(H)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마찰부재(C1)(C2)(C3), (B1)(B2)(B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제1,2,3 유성기어셋트(PG1)(PG2)(PG3)를 배치하되, 제1 유성기어셋트(PG1)를 중앙에 두고 엔진측에 제2 유성기어셋트(PG2)를 배치하고, 제3 유성기어셋트(PG3)를 엔진 반대측에 배치함을 특징으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유성기어셋트(PG1)는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제2 유성기어셋트(PG2)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로서, 제1 유성 캐리어(PC1)와 제2 선기어(S2)를 직접 연결하여 제1 회전요소(N1)가 제1 선기어(S1), 제2 회전요소(N4)가 제1 링기어(R1), 제3 회전요소(N3)가 제1 유성 캐리어(PC1)와 제2 선기어(S2), 제4 회전요소(N4)가 제2 유성 캐리어(PC3), 제5 회전요소(N5)가 제2 링기어(R2)로 이루어지며,
    제3 유성기어셋트(PG3)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로서, 제6 회전요소(N6)가 제3 링기어(R3), 제7 회전요소(N7)가 제3 유성 캐리어(PC3), 제8 회전요소(N8)가 제3 선기어(S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마찰부재는 입력축(IS)과 제8 회전요소(N8)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클러치(C1)와,
    입력축(IS)과 제4 회전요소(N4)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클러치(C2)와,
    제3 회전요소(N3)와 제8 회전요소(N8)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 클러 치(C3)와,
    제8 회전요소(N8)와 변속기 하우징(H)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브레이크(B1)와,
    제7 회전요소(N7)와 변속기 하우징(H)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브레이크(B2)와,
    제4 회전요소(N4)와 변속기 하우징(H)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 브레이크(B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5. 제4항에 있어서, 제2 클러치(C2)와 제3 브레이크(B3)는 제2 유성기어셋트(PG2)의 전측에 배치되고, 제1,3 클러치(C1)(C3)와 제1,2 브레이크(B1)(B2)는 제3 유성기어셋트(PG3)의 후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출력기어(OG)는 제2 유성기어셋트(PG2)와 제2 클러치(C2)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7. 제5항에 있어서, 제1,3 클러치(C1)(C3)는 제1, 2 브레이크(B1)(B2)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8. 제5항에 있어서, 마찰부재들은
    전진 1속에서 제1,3 브레이크(B1)(B3)가 작동하고,
    전진 2속에서 제2, 3 브레이크(B2)(B3)가 작동하며,
    전진 3속에서 제3 클러치(C3)와 제3 브레이크(B3)가 작동하고,
    전진 4속에서 제3 클러치(C3)와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며,
    전진 5속에서 제3 클러치(C3)와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하고,
    전진 6속에서 제2,3 클러치(C2)(C3)가 작동하며,
    전진 7속에서 제2 클러치(C2)와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하고,
    전진 8속에서 제2 클러치(C2)와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며,
    후진 변속단에서 제1 클러치(C1)와 제2 브레이크(B2)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9. 제8항에 있어서, 전진 6속에서 제1, 2 클러치(C1)(C2)가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20080065656A 2008-07-07 2008-07-07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339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656A KR101339214B1 (ko) 2008-07-07 2008-07-07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656A KR101339214B1 (ko) 2008-07-07 2008-07-07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67A true KR20100005567A (ko) 2010-01-15
KR101339214B1 KR101339214B1 (ko) 2014-01-03

Family

ID=4181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656A KR101339214B1 (ko) 2008-07-07 2008-07-07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2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2567A (zh) * 2010-05-28 2012-12-12 宝马股份公司 行星齿轮自动变速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1462B2 (ja) * 1988-12-07 1997-10-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歯車変速装置
JP2003130152A (ja) 2001-10-30 2003-05-08 Toyota Motor Corp 自動変速機
JP2004340318A (ja) 2003-05-19 2004-12-02 Kyowa Metal Work Co Ltd 多段変速遊星歯車列
US7090610B2 (en) 2004-02-10 2006-08-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Wide ratio transmissions with three interconnected planetary gear se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2567A (zh) * 2010-05-28 2012-12-12 宝马股份公司 行星齿轮自动变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214B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50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028544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90334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07231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931050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903340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14563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23464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916784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93104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37144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91679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02855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339214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371443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20110027072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33842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20110001521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20100006077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08079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145634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20110027071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06350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916782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916783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