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340A -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340A
KR20100004340A KR1020080064454A KR20080064454A KR20100004340A KR 20100004340 A KR20100004340 A KR 20100004340A KR 1020080064454 A KR1020080064454 A KR 1020080064454A KR 20080064454 A KR20080064454 A KR 20080064454A KR 20100004340 A KR20100004340 A KR 20100004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wireless
unit
short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0176B1 (ko
Inventor
전용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4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1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B5/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6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impulse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3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passwords or one-time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0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 H04L9/3066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involving algebraic varieties, e.g. elliptic or hyper-elliptic curves
    • H04L9/3073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involving algebraic varieties, e.g. elliptic or hyper-elliptic curves involving pairings, e.g. identity based encryption [IBE], bilinear mappings or bilinear pairings, e.g. Weil or Tate pairing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만을 검색하고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페어링(pairing) 관계를 맺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이격거리를 각각 측정하는 헤드 유닛 및 보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헤드 유닛이 측정한 이격거리와 상기 보조 유닛이 측정한 이격거리가 모두 기 설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인증을 통해 상호 페어링 관계를 맺는다.
블투투스, UWB, 인증, 검색, 산출, 거리, 근거리, 무선, 단말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A ACCESS CONTROL SYSTEM FOR WIRELESS LOCAL LOOP TERMINAL}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등은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 있는 컴퓨터, 프린터, 휴대폰 등의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각종 디지털 가전제품을 물리적인 케이블 접속 없이 무선으로 연결해 주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이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에서는 통신하려는 장치 사이에서 페어링(pairing)이라는 절차를 통해서 상호간에 접속된다.
도 1은 종래의 페어링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페어링을 시도하는 장치가 상대방 장치를 조회(inquiry)하는 과정을 시작하여 장치 검색을 시작한다(S11).
상기 S11에서의 검색시간은 일반적으로 수십 초 정도 소요된다. 검색은 어떤 정해진 장치를 찾는 것이 아니라 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장치를 찾는 절차이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 동안 검색요청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게 된다.
그러면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주변의 장치들은 그 요청에 응답하여 자신의 주소를 상기 페어링을 시도하는 장치에게 전달해 주게 되고 페어링을 시도하는 장치는 이 절차를 통해 주변 장치들의 주소를 획득하게 된다(S12). 이 때, 상기 페어링을 시도하는 장치는 검색을 통해서 주변 장치들의 주소 값을 얻어오게 되지만, 이 주소는 16진수 값으로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힘들다. 따라서 상기 16진수 값으로 이루어진 주소를 사용자가 알아보기 쉬운 이름으로 표시해 주기 위해 장치의 식별명칭(장치의 모델명)을 얻어오게 된다.
즉, 상기 페어링을 시도하는 장치는 단계 S12에서 얻어 온 주변의 장치들의 주소를 이용하여 검색된 장치 각각에 대해 장치의 식별명칭 요청신호를 전달하게 되고(S13), 각각의 주변 장치는 이 요청에 응답하여 자신의 식별명칭 전송신호를 상기 페어링을 시도하는 장치에게 전달해 주게 된다(S14).
그러면, 페어링을 시도한 장치는 검색된 각 장치의 식별명칭 목록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S15), 사용자는 표시된 목록 중에서 페어링을 하고자 하는 특정 장치를 선택한다(S16).
이어서 페어링을 시도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장치를 선택받으면, 사용자에게 임의의 인증번호에 대한 입력을 요구하고,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인증번호를 입력받게 된다(S17).
이어서 상기 페어링을 시도한 장치는 상기 선택받은 장치로 상기 페어링을 시도한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임의의 인증번호와 동일한 인증번호의 전송을 요청하게 된다(S18).
이에 상기 특정 장치는 사용자에게 상기 인증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며(S19), 사용자가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이를 페어링을 시도한 장치로 다시 전달한다(S20).
이에 상기 페어링을 시도한 장치는 상기 S17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임의의 인증번호와 상기 S20에서 상기 특정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인증번호를 비교하고(S21), 서로 일치하면 상기 특정 장치와 페어링 관계를 맺게 되며(S22), 이후 상기 특정 장치와 무선으로 음성, 영상 등의 데이터를 통신한다.
여기서 상기 페어링을 시도한 장치는 S11에서 주변의 모든 장치를 검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변에 동일한 식별명칭 즉, 동일한 모델명을 갖는 장치가 많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동일한 식별명칭을 갖는 장치들 중 자신이 소유한 특정 장치를 식별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주변의 모든 장치 중 설정 거리 이내 위치하는 장치만을 검색하고 검색된 장치와의 인증을 통해서 페어링 관계를 맺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이격거리를 각각 측정하는 헤드 유닛 및 보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헤드 유닛이 측정한 이격거리와 상기 보조 유닛이 측정한 이격거리가 모두 기 설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인증을 통해 상호 페어링 관계를 맺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보조 유닛은 주변으로 기기탐색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기기탐색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가 송출한 응답신호를 전달받는 송수신부; 및 상기 보조 유닛과 근거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이격거리를 헤드 유닛으로 전달하는 거리측정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헤드 유닛은 주변으로 기기탐색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기기탐색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가 송출한 응답신호를 전달받는 송수신부; 상기 헤드 유닛과 무선통신 단말기 간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및 상기 헤드 유닛이 측정한 이격거리와 상기 보조 유닛이 측정한 이격거 리가 모두 기 설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 임의의 인증번호를 이용한 인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송수신부는 UWB(Ultra Wide Band) 송수신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헤드 유닛과 근거기 무선통신 단말기 간의 인증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 임의의 인증번호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번호의 전송요청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인증번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입력받은 인증번호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인증번호를 비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임의의 인증번호는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청하여 직접 입력받은 인증번호 이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인증번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는 헤드 유닛 또는 보조 유닛으로 응답신호를 전달할 때 상기 기기탐색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응답시간이 경과되면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이격거리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된다.
수학식
Figure 112008048198136-PAT00001
(D: 헤드 유닛 또는 보조 유닛과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 간의 이격거리, TPD: 헤드 유닛 또는 보조 유닛의 기기탐색신호의 송출시각, TDP: 상기 헤드 유닛 또는 보조 유닛이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를 전달받은 시각, TREPLY: 기 설정된 응답시간, C: 전파의 이동속도)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은 페어링 과정에서 설정 거리 이내 즉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만을 선별하여 바로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검색된 주변의 모든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들 중 자신의 단말기를 식별하고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들 간의 모델명 중복에 따른 단말기 식별의 어려움을 방지하고, 페어링 절차를 간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100)은 페어링을 시도하는 장치이다 한편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100)에 의해 검색되고 인증되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100)과 페어링 관계를 맺게 되는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100)의 블록 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100)은 헤드 유닛(10) 및 보조 유닛(20) 등을 포함한다.
헤드 유닛(10)은 송수신부(11), 거리측정부(12), 제어부(13), 표시부(14) 및 키입력부(15) 등을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11)는 주변으로 기기탐색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기기탐색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송출한 응답신호를 전달받는다. 이를 위해 상기 송수신부(11)는 바람직하게는 UWB(Ultra Wide Band) 송수신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UWB 송수신기는 주로 3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단거리에서 초고속의 데이터 전송특성을 가지며, 전송에 이용되는 펄스의 폭이 아주 짧아 고정밀의 위치 또는 거리를 판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기기탐색신호에는 주변에 위치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를 검색하기 위한 인쿼리(Inquiry) 패킷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기탐색신호를 수신한 주변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기기탐색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자신의 장치주소가 포함된 응답신호를 상기 헤드 유닛(10)의 송수신부(11)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기기탐색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응답시간이 경과되면 응답신호를 헤드 유닛(10)의 송수신부(11)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응답시간은 임의의 시간으로 기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기기탐색신호를 받은 시각을 기준으로, 응답신호를 헤 드 유닛(10)으로 송출하기까지의 시간을 지칭한다. 상기 응답시간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기기탐색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할 수 있다. 즉 상기 응답시간을 두지 않으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기기탐색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시간을 상기 거리측정부(12)가 정확히 인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들 간에도 상기 응답신호의 생성시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특정 하는 것도 곤란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응답신호의 생성시간이 예컨대 1초라면 상기 응답시각은 예컨대 3초 정도로 설정되어 상기 응답시간동안 여유 있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기기탐색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 유닛(10)에는 별도의 타이머(미도시)가 더 설치되어 상기 헤드 유닛(10)의 송수신부(11)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로 기기탐색신호를 송출한 시각과, 상기 헤드 유닛(10)이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응답신호를 전달받은 시각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록한다.
한편 거리측정부(12)는 상기 헤드 유닛(10)의 송수신부(11)와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 간의 이격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거리측정부(12)가 측정하는 이격거리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된다.
수학식
Figure 112008048198136-PAT00002
(D: 헤드 유닛(10) 또는 보조 유닛(20)과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 간의 이격거리, TPD: 헤드 유닛(10) 또는 보조 유닛(20)의 기기탐색신호의 송출시각, TDP: 상기 헤드 유닛(10) 또는 보조 유닛(20)이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응답신호를 전달받은 시각, TREPLY: 기 설정된 응답시간, C: 전파의 이동속도)
한편 제어부(13)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와 임의의 인증번호에 따른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페어링 관계를 맺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헤드 유닛(10)이 측정한 이격거리와 후술하는 상기 보조 유닛(20)이 측정한 이격거리가 모두 기 설정 거리 이내 예컨대 3m 이내 이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 유닛(10)은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 유닛(20)은 차량의 운전석 및 보조석의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 설정 거리는 차량의 내부 크기 또는 헤드 유닛(10)과 보조 유닛(20)과의 거리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된다.
이에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로 별도의 식별명칭(예컨대 모델명) 요청신호를 전달하고 식별명칭 전송신호를 전달받는 과정을 거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모델명을 표시부(14)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출한다.
한편 표시부(14)는 상기 제어부(13)가 식별명칭 전송신호를 전달받은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모델명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한편 상기 표시부(14)는 후술하는 제어부(13)의 제어하에 사용자에게 인증번호의 입력 요청화면을 제공한다.
한편 키입력부(15)는 키버튼, 터치스크린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인증번호를 입력받는다.
한편 보조 유닛(20)은 송수신부(21) 및 거리측정부(22)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상기 헤드 유닛(10)의 송수신부(11) 및 거리측정부(12)의 구성과 상호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보조 유닛(20)은 상기 거리측정부(22)가 측정한 보조 유닛(20)과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 간의 이격거리를 헤드 유닛(10)의 송수신부(11)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유닛(20)은 한 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복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는 표시부(14)를 통해서 임의의 인증번호 입력 요청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출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송수신부(11)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에게 임의의 인증번호의 입력을 요청하여 직접 임의의 인증번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임의의 인증번호 예컨대 1234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인증번호의 전송요청을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송수신부(201)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인증번호의 전송요청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인증번호 예컨대 1234를 전달받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은 임의의 인증번호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임의의 인증번호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받은 인증번호를 서로 비교한다.
이는 사용자가 헤드 유닛(10)에 입력한 임의의 인증번호와 동일한 인증번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에 입력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상기 헤드 유닛(10)의 사용자와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서로 동일하며 상기 사용자가 헤드 유닛(10) 및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를 모두 제어하고 있음을 인증하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입력받은 인증번호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임의의 인증번호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받은 인증번호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인증번호들이 서로 일치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와 페어링(pairing) 관계를 맺게 되고 이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는 바람직하게는 무선 헤드셋, 이동통신단말기, PMP, PDA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 등으로 이루어지되, 송수신부(201), 제어부(203), 표시부(204) 및 키입력부(205) 등을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201)는 UWB(Ultra Wide Band) 송수신기 등으로 이루어져 헤드 유닛(10) 및 보조 유닛(20)의 송수신부(11,21)와 무선으로 통신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3)는 상기 헤드 유닛(10) 또는 보조 유닛(20)으로부터 전달받은 응답신호 즉 기기탐색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응답신호를 기기탐색신호를 전달받은 시각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응답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헤드 유닛(10) 또는 보조 유닛(20)으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3)는 상기 헤드 유닛(10)으로부터 전달받은 식별명칭 전송신호를 전달한다.
한편 표시부(204)는 사용자에게 임의의 인증번호의 입력 요청화면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키입력부(205)는 키버튼, 터치스크린 등으로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인증번호를 입력받는다.
이하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헤드 유닛(10)의 제어부(13)는 송수신부(11)를 통해서 주변으로 기기탐색신호를 송출한다(S100).
이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기기탐색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기탐색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응답신호를 기기탐색신호를 전달받은 시각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응답시간이 경과되면 헤드 유닛(10)의 제어부(13)로 전달한 다(S102).
이어서 상기 헤드 유닛(10)의 거리측정부(12)는 상기 기기탐색신호와 응답신호의 시간차와 기 설정된 응답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헤드 유닛(10)과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 간의 이격거리를 측정한다(S104).
이어서 보조 유닛(20)의 제어부(13)는 송수신부를 통해서 주변으로 기기탐색신호를 송출한다(S106).
이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203)는 상기 기기탐색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기탐색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응답신호를 보조 유닛(20)의 제어부(13)로 전달한다(S108).
이어서 상기 보조 유닛(20)의 거리측정부(22)는 상기 기기탐색신호와 응답신호의 시간차와 기 설정된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 유닛(20)과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 간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고(S110), 상기 보조 유닛(20)과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 간의 이격거리를 상기 헤드 유닛(10)으로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헤드 유닛(10)의 제어부(13)는 상기 S104에서 측정한 헤드 유닛(10)과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 간의 이격거리와 상기 S110에서 측정한 상기 보조 유닛(20)과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 간의 이격거리를 기 설정 거리와 서로 비교한다(S112).
이어서 상기 헤드 유닛(10)의 제어부(13)는 비교 결과 상기 헤드 유닛(10)이 측정한 이격거리와 상기 보조 유닛(20)이 측정한 이격거리가 모두 기 설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에게 식별명칭 요청신호를 전달한다(S114).
이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203)는 송수신부(201)를 통해서 상기 식별명칭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기기의 식별명칭 전송신호를 상기 헤드 유닛(10)의 송수신부(11)에 전달한다(S116).
이어서 상기 헤드 유닛(10)의 제어부(13)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식별명칭을 표시부(14)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출한다(S118).
이어서 상기 헤드 유닛(10)의 제어부(13)는 사용자에게 임의의 인증번호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인증번호를 입력받는다(S120). 상기 S120에서 임의의 인증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대신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임의의 인증번호를 이용한다면 상기 S120은 생략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헤드 유닛(10)의 제어부(13)는 송수신부를 통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로 상기 임의의 인증번호와 동일한 인증번호의 전송을 요청한다(S122).
이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203)는 사용자에게 상기 임의의 인증번호와 동일한 인증번호의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인증번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인증번호를 송수신부(201)를 통해서 상기 헤드 유닛(10)의 송수신부(11)로 전달한다(S124).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는 하나 일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즉 차량 내에 위치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복수인 경우 복수 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 중 사용자는 S124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에 대해서 인증번호를 입력하고 입력받은 인증번호를 상기 헤드 유닛(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내부에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모두 임의의 인증번호에 대한 입력을 요청받더라도 사용자는 이 중 취사선택한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에만 임의의 인증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취사선택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헤드 유닛(10)의 제어부(13)는 상기 S12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임의의 인증번호와 상기 S124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번호를 서로 비교한다(S126).
이어서 상기 헤드 유닛(10)의 제어부(13)는 상기 S12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임의의 인증번호와 상기 S124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번호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인증을 성공으로 판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와 페어링 관계를 맺은 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200)와 이후에 무선으로 음성, 영상 등의 각종 데이터를 통신한다(S128).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페어링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Claims (8)

  1.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이격거리를 각각 측정하는 헤드 유닛 및 보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헤드 유닛이 측정한 이격거리와 상기 보조 유닛이 측정한 이격거리가 모두 기 설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인증을 통해 상호 페어링 관계를 맺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유닛은
    주변으로 기기탐색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기기탐색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가 송출한 응답신호를 전달받는 송수신부; 및
    상기 보조 유닛과 근거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이격거리를 헤드 유닛으로 전달하는 거리측정부를 포함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주변으로 기기탐색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기기탐색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가 송출한 응답신호를 전달받는 송수신부;
    상기 헤드 유닛과 무선통신 단말기 간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및
    상기 헤드 유닛이 측정한 이격거리와 상기 보조 유닛이 측정한 이격거리가 모두 기 설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 임의의 인증번호를 이용한 인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UWB(Ultra Wide Band) 송수신기로 이루어진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과 근거기 무선통신 단말기 간의 인증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 임의의 인증번호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번호의 전송요청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인증번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입력받은 인증번호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인증번호를 비교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인증번호는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청하여 직접 입력받은 인증번호 이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인증번호인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는 헤드 유닛 또는 보조 유닛으로 응답신호를 전달할 때 상기 기기탐색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응답시간이 경과되면 전달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격거리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수학식
    Figure 112008048198136-PAT00003
    (D: 헤드 유닛 또는 보조 유닛과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 간의 이격거리, TPD: 헤드 유닛 또는 보조 유닛의 기기탐색신호의 송출시각, TDP: 상기 헤드 유닛 또는 보조 유닛이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를 전달받은 시각, TREPLY: 기 설정된 응답시간, C: 전파의 이동속도)
KR1020080064454A 2008-07-03 2008-07-03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KR101000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454A KR101000176B1 (ko) 2008-07-03 2008-07-03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454A KR101000176B1 (ko) 2008-07-03 2008-07-03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40A true KR20100004340A (ko) 2010-01-13
KR101000176B1 KR101000176B1 (ko) 2010-12-10

Family

ID=4181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454A KR101000176B1 (ko) 2008-07-03 2008-07-03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1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629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서버
WO2015133819A1 (ko) * 2014-03-04 2015-09-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스위칭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70B1 (ko) * 2013-12-27 2014-12-3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시간정보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9288A1 (en) 2006-04-14 2007-10-25 Kamran Moallemi Distance-based security
KR100817594B1 (ko) 2006-09-05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장치들 간의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629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서버
WO2015133819A1 (ko) * 2014-03-04 2015-09-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스위칭 방법 및 장치
CN106068208A (zh) * 2014-03-04 2016-11-02 三星电子株式会社 自动切换方法和装置
US10206233B2 (en) 2014-03-04 201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witching between devices
CN106068208B (zh) * 2014-03-04 2019-03-29 三星电子株式会社 自动切换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176B1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08581B (zh) 用于供应无线联网连接的系统和方法
US8886118B2 (en) Information exchange via bluetooth service discovery protocol service records
US88679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uman body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601500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Vehicle Bluetooth Pairing
JP2011182407A (ja) Bluetoothのペアリング方法及びデバイス
US201200392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vehicle wireless connectivity
US20100190440A1 (en) Method for searching and connecting bluetooth device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5343870B2 (ja) 無線通信装置
CN107182035B (zh) 使用基于位置的服务的无线车辆充电通信系统和方法
US20080039136A1 (en) Networking of bluetooth system
CN107979829A (zh) 消费者移动设备用作便携遥控器的被动进入被动启动系统
EP3142400B1 (en) Pairing upon acoustic selection
KR20100138382A (ko) 전기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00042048A (ko)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252728B1 (ko) 통신 대상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 설정 장치 및 방법
JP2007089159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その接続方法、ホスト及び媒介装置
JP201621115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解錠制御方法
US20170295466A1 (en) Proximity detection
US11640274B2 (en) Smartphone that communicates with an earpiece and a vehicle
KR101000176B1 (ko)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속 제어 시스템
JP5160598B2 (ja) 車載端末及びその車載端末でのペアリング方法
WO2013186445A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to a public network
CN109661844B (zh) 用于定位移动终端的方法和装置
WO2021022453A1 (zh) 天线面板选择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20184217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Detection of a Bluetoot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