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728B1 - 통신 대상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 설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대상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 설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728B1
KR102252728B1 KR1020140074534A KR20140074534A KR102252728B1 KR 102252728 B1 KR102252728 B1 KR 102252728B1 KR 1020140074534 A KR1020140074534 A KR 1020140074534A KR 20140074534 A KR20140074534 A KR 20140074534A KR 102252728 B1 KR102252728 B1 KR 102252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lative angle
target
communication link
respon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116A (ko
Inventor
김영훈
김선애
김수창
곽병재
방승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7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728B1/ko
Priority to US14/805,092 priority patent/US9781559B2/en
Publication of KR2015014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링크 설정 장치가 대상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주체 단말은 타겟 대상이 소지한 단말을 포함하여 인접한 단말들로 주체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대각 측정 대상을 설정하는 문턱값 정보를 전송하고, 타겟 대상의 단말 및 인접한 단말로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타겟 대상의 단말 및 인접한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응답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토대로 판정한 통신 대상이 소지한 단말과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

Description

통신 대상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 설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
본 발명은 통신 대상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 WiFi P2P 및 셀룰라 통신 시스템과 같은 무선통신 시스템은, 통신을 하기 위해 두 통신 디바이스간에 통신링크를 먼저 설정해야 한다. 통신링크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상대 디바이스의 통신 식별자(예를 들어, 전화번호, SSID(Service Set Identifier), MAC Address 등)를 사전에 알아서 통신링크를 설정할 때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사전에 통신링크를 설정하고 싶은 대상이 소지한 통신 디바이스의 통신 식별자를 모르는 경우에는, 해당 디바이스와 통신링크를 설정할 방법이 없다.
셀룰라 통신시스템에서는 랜덤 액서스를 통해 기지국에 관리대상으로 등록된 후에, 전체 시스템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화를 건 후 통신링크를 설정한다. 반면 블루투스나 WiFi P2P의 경우는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 후에 SSID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리스트를 만든 다음, 사용자가 연결을 원하는 통신 디바이스의 SSID를 선택해서 최종 통신링크를 설정한다.
이러한 검색 과정은 많은 시간이 소모된다. 즉, 검색을 원하는 주 디바이스의 주변에 많은 대상 디바이스가 존재할 경우에는 검색 시간이 길어진다. 그리고 검색된 대상 디바이스가 많을 경우, 리스트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할 때 선택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응용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는 통신을 원하는 디바이스의 이름을 몰라서 어떤 디바이스를 선택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에, 시간을 더 소모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과 직접통신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의 활성화에 장애가 된다.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등의 기술들을 통해, 블루투스나 WiFi P2P의 통신 식별자를 획득하여 간편하고 빠르게 통신링크를 설정 후에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다.
IrDA는 대상의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IrDA 수신기를 향해 포인팅하여 해당 디바이스만 수신된다고 가정하고, 수신된 대상만 반응하여 송신측에 통신 식별자를 알려줘서 서로 통신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반면 NFC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을 서로 터치하여 통신 식별자(NFC 또는 WiFi P2P의 식별자)를 획득하여 NFC나 WiFi P2P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
이러한 기존의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연결하고자 하는 해당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미리 알아야 하고, 사용자가 식별자를 검색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식별자를 모르는 통신 대상에 연결할 방법이 전혀 없기 때문에 NFC와 블루투스와의 결합, IrDA와 블루투스와의 결합, 또는 NFC와 WiFi P2P와의 결합을 통해서 단점을 해결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거리가 매우 짧아 통신대상의 디바이스까지 접근(10cm나 1m이내 사용거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신 식별자를 모르는 상태에서 통신 대상의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통신 링크 설정 장치가 대상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통신 링크 설정 장치는 주체 단말, 타겟 대상이 소지한 단말에 각각 포함되며, 상기 통신 링크 설정 장치가 삽입된 주체 단말이, 타겟 대상이 소지한 단말을 포함하여 인접한 단말들로 주체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대각 측정 대상을 설정하는 문턱값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체 단말이 상기 타겟 대상의 단말 및 인접한 단말로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겟 대상의 단말 및 인접한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상기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토대로 통신 대상을 판정하고, 판정한 통신 대상이 소지한 단말과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문턱값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통신 대상 인식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타겟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체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문턱값 정보를 전송하고, 미리 설정한 제1 시간 동안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링크 설정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카운터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를 실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타겟 대상이 소지한 단말 및 상기 인접 단말들 각각은, 상기 주체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주체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문턱값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대상이 소지한 단말 및 상기 인접 단말들은 상기 주체 단말과의 상대각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한 상대각과 상기 주체 단말로부터 수신한 문턱값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각이 상기 문턱값 정보에 따른 문턱값 보다 작으면, 상기 주체 단말로 상기 측정한 상대각, 상기 상대각을 측정한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 또는 사물에 대하여 미리 저장된 이미지 특성 값 및 상기 상대각을 측정한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하여 상기 주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체 단말은 미리 설정한 제2 시간 동안 상기 타겟 대상이 소지한 단말 또는 상기 인접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가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가 전송되었다면,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이 측정한 상대각,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 또는 사물에 대한 이미지 특성 값을 토대로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통신 대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대상으로 설정한 단말과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대상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각 및 상기 매칭 결과 값에 각각 미리 설정한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상대각 및 매칭 결과 값을 더해 비용 함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한 모든 단말에 대한 비용 함수를 큰 순서로 정렬하고, 가장 큰 값의 비용 함수가 계산된 단말을 통신 대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대상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장치는,
인접한 단말로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인접한 단말은 주체 단말로 통신 대상 인식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신호 처리부; 상기 인접한 단말로부터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인접한 단말과의 상대각을 측정하고, 상기 주체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를 토대로 상대각 측정을 수행하는 수신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와 연동하며, 통신 대상 인식 신호가 입력되면 타겟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수집하여 특성을 추출하고, 주체 단말로부터 전송된 임계값과 주체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인접한 단말들로부터 상대각, 식별 정보 및 이미지 특성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정보들을 토대로 통신 링크를 설정할 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는, 주체 단말에 인접해 있는 인접한 단말로 상대각의 측정을 요청하는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DoA(Direction Of Attention)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는, 상기 주체 단말로부터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주체 단말과의 상대각을 측정하고, 측정한 상대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 전달하는 DoA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의 많은 디바이스 중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 싶은 통신 대상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사전에 모르거나 알더라도, 손쉽게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한된 사용 거리를 확장 시켜줄 뿐만 아니라 식별자를 알아내기 위해 부가되는 통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근접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변의 다양한 형태의 대상(사람, 간판, 장비 등)과의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근접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화된 페어링 상황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설정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설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식별자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통신 대상 디바이스와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통신 링크 설정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화된 페어링 상황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주체 단말’이라 지칭함)(100)을 이용하여 셀룰러, 블루투스, WiFi P2P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고자 하는 타겟 대상(예를 들어 사람, 간판, 프린터 등)이 소지한 단말(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상 단말’이라 지칭함)(200)과 통신을 수행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단말(100)을 가시 거리에 있는 대상 단말(200)에 포인팅하여, 대상 단말(200)의 식별자를 간편하고 빠르게 획득한다.
주체 단말(100)은 가시 거리에 있는 복수의 단말(200, 300, 400) 중에서 대상 단말(200)의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주체 단말(100)이 대상 단말(200)을 바라보는 시선(10)으로부터의 상대각(단말(300)인 경우 30)을 각 단말에서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상대각을 이용하여, 여러 단말(200, 300, 400)로부터 일정한 각도 내(20)에 위치한 단말(200, 400)들을 선별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주체 단말(100) 및 대상 단말(200)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 링크 설정 장치의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설정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설정 장치(500)는 수신 신호 처리부(510), 송신 신호 처리부(520) 및 어플리케이션 처리부(5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신 신호 처리부(510)는 DoA(Direction Of Attention) 측정부(511)를 포함하고, 송신 신호 처리부(520)는 DoA 요청부(5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oA를 ‘상대각’이라 지칭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신 신호 처리부(510)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능(예를 들어, MAC, 모뎀, RF 기능 등)들을 통해 기지국 또는 인접한 다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수신 신호의 종류나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수신 신호 처리부(510)는 주체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DoA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DoA 측정부(511)로 이를 전달하여 상대각을 측정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수신 신호 처리부(510)에는 DoA 측정부(511)가 포함되어 있다. DoA 측정부(511)는 상대각을 측정하는 방법은 전파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음파를 이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520)는 인접 단말로 전송할 신호를 처리한다. 즉, 송신 신호 처리부(520)는 주체 단말(100)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인접한 다른 단말들로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520)는 인접한 단말들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DoA 측정부(511)가 상대각을 측정하면, 송신 신호 처리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특성 값과 함께 상대각 측정을 요청한 주체 단말(100)로 전달한다. 송신 신호의 종류나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송신 신호 처리부(520)에는 DoA 요청부(521)가 포함되어 있다. DoA 요청부(521)는 인접한 단말들로 상대각 측정을 요청한다. DoA 요청부(521)는 단말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단말들로만 빔포밍 등을 통해 상대각 측정을 요청하며, 이에 대한 사항은 이미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대각 측정을 요청할 때, 주체 단말(100)의 식별 정보와 주체 단말(100)을 기준으로 상대각 측정 후 응답을 알리는 범위를 나타내는 문턱 값(도 1의 20에 해당함) 정보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530)는 수신 신호 처리부(510) 및 송신 신호 처리부(520)와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 대상 인식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대상 단말(200)에 대한 사진을 찍어 대상 단말(200)의 이미지를 수집한 후 특성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미지를 수집한 후 특성을 추출함과 동시에, 어플리케이션 처리부(530)에 삽입되어 있는 카운터(도면 미도시)를 실행한다.
또한, 대상 단말(200)을 포함한 복수의 단말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처리부(530)는 주체 단말(100)로부터 임계값과 주체 단말의 식별 정보를 임시 저장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처리부(530)는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전송되는 상대각 및 이미지 특성 값으로부터 매칭된 매칭 결과 값을 토대로, 복수의 단말 중 대상 단말(200)을 선택하고, 대상 단말(200)과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530)가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통신 링크 설정 장치(500)를 통해 주체 단말(100)과 대상 단말(200)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단말 중 하나의 대상 단말(200)만을 도면에 나타내었으나, 대상 단말(200)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설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체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는 단말간 통신을 위한 대상인 타겟 대상을 향해 주체 단말(100)을 포인팅한다. 여기서 타겟 대상은 대상 통신을 위한 주체인 사람이 될 수도 있고 사물(예를 들어 간판)이 될 수도 있다. 사람인 경우에는 사람이 소유한 단말을 통해 대상 통신을 수행하고, 사물인 경우에는 사물 내에 삽입된 단말을 통해 대상 통신을 수행한다.
주체 단말(100)을 포인팅하기 위해서는, 주체 단말(100)의 소유자인 사용자는 타겟 대상을 주체 단말(10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놓고, 통신 대상 인식을 위한 시작 버튼을 누른다. 여기서 시작 버튼은 주체 단말(100)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 중 미리 설정된 버튼이거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의 경우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버튼을 이용하도록 하며,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면 주체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0)에서 타겟 대상의 사진을 찍은 후에. 타겟 대상에 대한 이미지 특성을 추출한다. 여기서 타겟 대상은 사물 또는 단말을 소유한 사용자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이미지 특성이나 사물의 이미지 특성을 추출한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0)에 연동해 있는 송신 처리부(520)를 통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문턱값에 대한 정보를 주체 단말(100)의 식별 정보와 함께 주변의 단말들로 전송한다(S101).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10)는 삽입되어 있는 카운터를 미리 설정한 시간동안 실행한다. 여기서 문턱값이라 함은, 주체 단말(100)을 기준으로 문턱값에 해당하는 각도 내에 위치한 대상들이 소지한 단말들만이 상대각을 측정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설정한 값이다.
주변의 단말들은 각각 단말 내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 링크 설정 장치의 수신 신호 처리부(510)를 통해 S101 단계에서 주체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문턱값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 신호 처리부(510)가 연결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530)는 수신한 문턱값 정보와 주체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임시 보관한다(S102).
한편, 주체 단말(100)은 주체 단말(100) 내부의 통신 링크 설정 장치(500)의 DoA 요청부(521)로, 미리 설정한 신호를 전달한다(S103). 이때 미리 설정한 신호는 주체 단말(100)이 단말의 다중 안테나 또는 다중 스피커 등을 통해 타겟 대상을 포함하는 주변의 단말로 DoA 즉, 상대각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10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문턱값과 주체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먼저 전송하고, 그 뒤에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두 정보와 신호가 동시에 전송될 수도 있다.
타겟 대상이 소지한 대상 단말(200)을 포함하는 주변의 단말들의 수신 신호 처리부(510)의 DoA 측정부(511)는 주체 단말(100)과 각 단말들이 떨어져 있는 상대각을 측정한다. 여기서 상대각은 주체 단말(100)이 대상 단말(200)을 바라보는 시선(도 1의 10에 해당함)을 기준으로 어느 정도의 각도로 떨어져 있는지(도 1의 30에 해당함)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DoA 측정부(511)가 측정한 상대각을 어플리케이션 처리부(530)로 전달한다(S104).
어플리케이션 처리부(530)는 DoA 측정부(511)가 측정한 상대각을 S101 단계에서 수신한 문턱값과 비교한다(S105). 만약 상대각이 문턱값보다 크면, 도 1의 단말(300)의 경우에 해당하므로, 통신 대상 인식 요청에 대해 응답하지 않고 통신 링크 연결 절차를 종료한다.
그러나 S104 단계에서 대상 단말(200) 내 DoA 측정부(511)가 측정한 상대각이 주체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통신 대상 인식 요청에 대해 응답한다(S106). 이때,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단말을 소지한 대상의 이미지 특성 값과 S104 단계에서 DoS 측정부(511)가 측정한 상대각 및 해당 단말의 식별 정보를 주체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S101 단계에서 주체 단말(100)이 전송한 주체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주체 단말(100)로 응답 신호를 보내면서 해당 정보들을 포함하여 전송한다.
주체 단말(100)은 각 단말들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미리 설정한 제1 시간동안 수집한다. 이때 미리 설정한 제2 시간 동안 어느 단말에서도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면, 주체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고 통신 링크 연결 절차를 종료한다. 이는 주체 단말(100)의 일직선상을 기준으로 문턱값 각도 내에 어떠한 단말도 위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제2 시간 내에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정보를 전송되면, 제1 시간동안 모든 단말에서 정보를 수집할 때까지 대기한다. 여기서 제1 시간은 제2 시간보다 길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들로부터 정보가 전송되면, 어플리케이션 처리부(530)는 S100 단계에서 추출한 타겟 대상에 대한 이미지 특성과 S106 단계에서 각 단말들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특성 값을 비교하여 매칭 결과 값을 저장한다. 이미지 특성과 이미지 특성 값을 매칭하는 방법은 여러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그리고 각 단말에서 보내온 상대각을 이용하여 타겟 대상이 소지한 대상 단말(200)인지 아닌지 여부를 최종 판정한다(S108).
최종 판정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처리부(530)는 정보를 송신한 단말 수만큼의 비용 함수(cost function) 값을 계산한다. 비용 함수 값을 계산하는 수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4057052075-pat00001
여기서, ωI과 ωD는 가중치로, ωI과 ωD의 합(ωID)은 1을 넘지 않는 형태의 값으로 설정된다. FI는 단말에서 보내온 이미지 특성 매칭 결과 값이고, FD는 단말이 측정한 상대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특성 매칭 결과 값과 상대각을 각각 '1'로 정규화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판정을 위한 계산 값인 비용 함수 CT는 각 최대 1로 정규화 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 연동부(530)는 대상 단말(200)로 통신 대상을 판정하기 위하여 모든 단말들로부터 전송된 값을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그리고, 계산한 결과를 큰 값 순서대로 정렬한 후에, 주체 단말(100)의 화면에 순서대로 표시한다. 그리고 주체 단말(100)의 사용자가 단말이 제공하는 순서 중에 최대 값을 가지는 단말을 선택하면, 해당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링크를 설정한다(S109).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주체 단말 내의 통신 링크 설정 장치가 대상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상대각 측정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대상 단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에게 주체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문턱값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에게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로부터, 상기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 내에 포함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대상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대상 단말과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에 의해 측정된, 상기 주체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 사이의 상대각이 상기 문턱값 정보보다 작을 때 전송되는, 통신 링크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값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외부로부터 통신 대상 인식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의 사용자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이미지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문턱값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 링크 설정 장치에 포함된 카운터를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링크 설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를 실행한 이후에, 상기 주체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주체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문턱값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에 의해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통신 링크 설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상대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 내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의 사용자의 미리 저장된 이미지 특성 값,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링크 설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각이 상기 문턱값 정보보다 클 때, 상기 상대각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로부터 폐기되는, 통신 링크 설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다른 응답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상기 다른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기 상대각 및 상기 미리 저장된 이미지 특성 값을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 하나의 단말을 상기 대상 단말로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단말과 상기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링크 설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기 상대각 및 상기 미리 저장된 이미지 특성 값을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 한 단말을 상기 대상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저장된 이미지 특성 값을 상기 추출된 이미지 특성과 매칭하고, 매칭의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링크 설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기 상대각 및 상기 미리 저장된 이미지 특성 값을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 한 단말을 상기 대상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각 및 상기 매칭의 결과에 각각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상대각 및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매칭의 결과를 더함으로써 비용 함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 중에서 가장 큰 비용 함수를 갖는 인접 단말을 상기 대상 단말로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링크 설정 방법.
  9. 대상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장치로서,
    상대각 측정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대상 단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에게 주체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문턱값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에게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신호 처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로부터, 상기 상대각 측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와 연동하며, 상기 응답 신호 내에 포함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대상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대상 단말과 상기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에 의해 측정된, 상기 주체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 사이의 상대각이 상기 문턱값 정보보다 작을 때 전송되는, 통신 링크 설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는 또한, 외부로부터 통신 대상 인식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의 사용자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이미지 특성을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카운터를 실행하는, 통신 링크 설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체 단말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주체 단말의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문턱값 정보는 상기 카운터가 실행된 이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에 의해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통신 링크 설정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상대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 내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의 사용자의 미리 저장된 이미지 특성 값,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링크 설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각이 상기 문턱값 정보보다 클 때, 상기 상대각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로부터 폐기되는, 통신 링크 설정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는 또한, 다른 응답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수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는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상기 다른 응답 신호 내에 포함된 상기 상대각 및 상기 미리 저장된 이미지 특성 값을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 하나의 단말을 제2 대상 단말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2 대상 단말과 상기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통신 링크 설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는 또한, 상기 미리 저장된 이미지 특성 값을 상기 추출된 이미지 특성과 매칭하고, 매칭의 결과를 저장하는, 통신 링크 설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는 또한, 상기 상대각 및 상기 매칭의 결과에 각각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상대각 및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매칭의 결과를 더함으로써 비용 함수를 계산하고,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 중에서 가장 큰 비용 함수를 갖는 인접 단말을 상기 대상 단말로서 선택하는, 통신 링크 설정 장치.
KR1020140074534A 2014-06-18 2014-06-18 통신 대상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2252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534A KR102252728B1 (ko) 2014-06-18 2014-06-18 통신 대상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 설정 장치 및 방법
US14/805,092 US9781559B2 (en) 2014-06-18 2015-07-21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534A KR102252728B1 (ko) 2014-06-18 2014-06-18 통신 대상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 설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116A KR20150145116A (ko) 2015-12-29
KR102252728B1 true KR102252728B1 (ko) 2021-05-17

Family

ID=5608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534A KR102252728B1 (ko) 2014-06-18 2014-06-18 통신 대상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 설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81559B2 (ko)
KR (1) KR102252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728B1 (ko) * 2014-06-18 2021-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대상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 설정 장치 및 방법
EP3214863B1 (en) * 2014-11-25 2020-04-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Orient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10382929B2 (en) 2016-04-17 2019-08-13 Sonular Ltd. Communic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ng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nother device
US10659476B2 (en) 2016-09-12 2020-05-19 Architecture Technology Corporation Transparent bridge for monitoring crypto-partitioned wide-area network
EP3834064B1 (en) * 2018-09-28 2023-05-10 Apple Inc. Ranging between mobile devices
WO2020174736A1 (ja) * 2019-02-25 2020-09-03 株式会社Nttドコモ デバイス管理システム
US11304044B2 (en) 2019-08-19 2022-04-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luetooth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estimation of relative angle
US11463366B1 (en) 2020-09-22 2022-10-04 Architecture Technology Corporation Autonomous network optimization using network templat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6959A1 (en) * 2004-02-28 2006-11-16 Hymes Charles M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proximal targets identified visually, aurally, or positionally
US7529572B2 (en) 2005-06-01 2009-05-05 Asustek Computer Inc. Mobile electric device
US20110289147A1 (en) 2010-05-24 2011-11-24 Styles Andrew G Direction-Conscious Information Shar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8203B2 (en) * 2006-09-15 2009-06-16 Nokia Corporation Performance and power management in direction of arrival determination by utilizing sensor information
KR100946673B1 (ko) 2007-12-11 2010-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기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8516125B2 (en) 2008-06-08 2013-08-2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data transfer
US20110169947A1 (en) * 2010-01-12 2011-07-14 Qualcomm Incorporated Image identification using trajectory-based location determination
US8432261B2 (en) 2010-02-26 2013-04-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implified device pairing employ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s
KR20110117906A (ko) 2010-04-22 201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 방법 및 시스템
JP2012159967A (ja) * 2011-01-31 2012-08-23 Nec Corp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1644608B1 (ko) * 2012-02-06 2016-08-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시 범위 내 통신대상 인식을 위한 단말 및 그 방법
WO2013143100A1 (en) * 2012-03-29 2013-10-03 Yuefeng Peng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pico-cell attachment and attachment inhibiting
KR20150130845A (ko) * 2014-05-14 2015-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252728B1 (ko) * 2014-06-18 2021-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대상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 설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6959A1 (en) * 2004-02-28 2006-11-16 Hymes Charles M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proximal targets identified visually, aurally, or positionally
US7529572B2 (en) 2005-06-01 2009-05-05 Asustek Computer Inc. Mobile electric device
US20110289147A1 (en) 2010-05-24 2011-11-24 Styles Andrew G Direction-Conscious Information Sh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57284A1 (en) 2016-06-02
US9781559B2 (en) 2017-10-03
KR20150145116A (ko)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728B1 (ko) 통신 대상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 설정 장치 및 방법
JP2016535523A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363586B1 (ko) 근거리 유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246371B (zh) 一种获取设备方位的方法及设备
US20100254358A1 (en) Wireless network connecting and setting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US20140293809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mac-layer protoco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without id
KR101973934B1 (ko)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
US20160127856A1 (en) Automatic implementation of preferences based on detection of a mobile device
US11995170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RF signals
US2023013402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OSITIONING BETWEEN UE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14143562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CN10490243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2671971A (zh) 通话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14096868A (zh) 位置确定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Opoku An indoor tracking system based on bluetooth technology
US11902868B2 (en) Device provisioning for association with a user or a user account
JP571350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16582924A (zh) 位置确定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EP2866470B1 (en) Private audio streaming at point of sale
JP2016197776A (ja) 逸失物発見システム
JP2014120944A (ja) 交換制御プログラム、交換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WO2018072575A1 (zh) 一种无线热点设备及其定位无线终端的方法
CN114342335B (zh) 信息传输方法、装置及通信设备
US20080287159A1 (en) Communicating with visible person
US10477327B2 (en) Private audio streaming at point of s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