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133U -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 - Google Patents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133U
KR20100004133U KR2020080013600U KR20080013600U KR20100004133U KR 20100004133 U KR20100004133 U KR 20100004133U KR 2020080013600 U KR2020080013600 U KR 2020080013600U KR 20080013600 U KR20080013600 U KR 20080013600U KR 20100004133 U KR20100004133 U KR 201000041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oilet
connecting pipe
flange
fl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상
Original Assignee
유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상 filed Critical 유선상
Priority to KR2020080013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133U/ko
Publication of KR201000041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1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6Bowls with downwardly-extending flanges for the sake of fl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 슬라브면에 놓여질 수 있는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에 결합되며 내부에 세척수가 담길 수 있는 수조, 상기 변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좌판 조립체, 그리고 한쪽 끝부분은 상기 변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에 삽입될 수 있고, 다른 쪽 끝부분은 상기 바닥 슬라브면에 설치된 오수관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 배관을 포함한다.
이렇게 하면, 벽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설치된 오수관의 위치와 상관없이 수세식 변기를 설치할 수 있다.
변기, 수세식, 설치, 간격, 연결 배관, 오수 배관,

Description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The toilet stool having connecting pipe}
본 고안은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수세식 변기는 욕실 혹은 화장실의 바닥 슬라브면에 놓여지고,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수세식 변기의 배수관은, 바닥 슬라브면에 설치되며 정화조에 연결되어 있는 오수관에 삽입된다. 용변을 마친 후 변기의 수조 내부에 담겨진 세척수를 배출하면, 도기로 제작된 세척수 통로를 지나 배수관을 통하여 오수관으로 배출되어, 정화조에서 최종적으로 처리된다.
수세식 변기의 배수관은 욕실 혹은 화장실의 벽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바닥 슬라브면에 설치된 오수관에 삽입되며, 변기 뒷면으로부터 배수관까지의 간격이 벽면으로부터 오수관까지의 간격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만 수세식 변기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오수관의 위치에 따라서 수세식 변기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수관의 설치 위치와 상관없이 바닥 슬 라브면의 어느 곳에도 설치할 수 있는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는, 바닥 슬라브면에 놓여질 수 있는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에 결합되며 내부에 세척수가 담길 수 있는 수조, 상기 변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좌판 조립체, 그리고 한쪽 끝부분은 상기 변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에 삽입될 수 있고 다른 쪽 끝부분은 상기 바닥 슬라브면에 설치된 오수관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 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배관은,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배수관에 삽입될 수 있는 제1 플랜지, 그리고 상기 연결관의 다른 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오수관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은 길이방향을 따라가며 막히는 부분이 없이 구부러질 수있다.
상기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의 바깥 둘레는 연결관에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가며 적어도 둘 이상의 외경을 가지며 단차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가 가지는 단차는, 연결관에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가며 외경이 더 작아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기 뒷면으로부터 배수관까지의 간격과 벽면으로부터 오수관까지의 간격 및 오수관의 설치 위치와 상관없이 수세식 변기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2에서 연결 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6은 도 3에서 각 실시예에 따른 연결 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는 바닥 슬라브면(6)에 놓여지는 변기 본체(1), 변기 본체(1)에 결합되며 내부에 세척수가 담기는 수조(2), 변기 본체(1)에 결합되어 있는 좌판 조립체(3), 그리고 한쪽 끝부분은 변기 본체(1)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8)에 삽입되고 다른 쪽 끝부분은 바닥 슬라브면(6)에 설치된 오수관(7)에 삽입되는 연결 배관(20)을 포함한다.
좌판 조립체(3)는 좌판(3b), 그리고 좌판(3b)에 힌지(4)로써 연결되는 좌판덮개(3a)를 가진다.
연결 배관(20)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연질의 호스 등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며 막히는 부분이 없이 쉽게 구부러지고, 오수관(7)의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양쪽 끝부분이 수세식 변기(10)와 오수관(7)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수세식 변기(10)의 설치가 용이하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변기(10)의 연결 배관(20)은 연결관(21), 연결관(21)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오수관(7)에 삽입되는 제2 플랜지(23), 그리고 연결관(21)의 다른 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배수관(8)에 삽입되는 제1 플랜지(22)를 가진다.
도 4 내지 6을 참고하면, 연결관(21)은 바깥 둘레를 따라 어떠한 요철이나 주름을 가지지 모양(도 4의 21a), 바깥 둘레를 따라 나선형의 주름을 가지는 주름관(도 5의 21b) 또는 바깥 둘레를 따라 직조된 부재를 가지는 형태(도 6의 21c)일 수 있다.
제1 플랜지(22) 및 제2 플랜지(23)의 바깥 둘레는 연결관(21)에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가며 적어도 둘 이상의 외경을 가지며 단차를 이루므로, 규격 제품인 오수관(7) 및 배수관(8)의 내경에 상관없이 제1 플랜지(22) 및 제2 플랜지(23)가 삽입될 수 있어, 하나의 연결 배관(20)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오수관(7) 및 배수관(8)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2에서 연결 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6은 도 3에서 각 실시예에 따른 연결 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기 본체 2 : 수조
3 : 좌판 조립체 4 : 힌지
5 : 벽면 6 : 바닥 슬라브면
7 : 오수관 8 : 배수관
10 : 수세식 변기 20 : 연결 배관
21 : 연결관 22 : 제1 플랜지
23 : 제2 플랜지

Claims (5)

  1. 바닥 슬라브면에 놓여질 수 있는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에 결합되며 내부에 세척수가 담길 수 있는 수조,
    상기 변기 본체에 결합된 좌판 조립체, 그리고
    한쪽 끝부분은 상기 변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에 삽입될 수 있고, 다른 쪽 끝부분은 상기 바닥 슬라브면에 설치된 오수관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 배관
    을 포함하는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 배관은,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배수관에 삽입될 수 있는 제1 플랜지, 그리고
    상기 연결관의 다른 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오수관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플랜지
    를 포함하는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
  3. 제2항에서,
    상기 연결관은 길이방향을 따라가며 막히는 부분이 없이 구부러질 수 있는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
  4. 제2항에서,
    상기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의 바깥 둘레는 상기 연결관에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가며 적어도 둘 이상의 외경을 가지며 단차를 이루는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
  5. 제4항에서,
    상기 단차는, 상기 연결관에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가며 외경이 더 작아지는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
KR2020080013600U 2008-10-13 2008-10-13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 KR201000041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600U KR20100004133U (ko) 2008-10-13 2008-10-13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600U KR20100004133U (ko) 2008-10-13 2008-10-13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33U true KR20100004133U (ko) 2010-04-22

Family

ID=4445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600U KR20100004133U (ko) 2008-10-13 2008-10-13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13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661B1 (ko) * 2019-11-13 2020-05-15 백성화 막힘 제거장치를 갖는 양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661B1 (ko) * 2019-11-13 2020-05-15 백성화 막힘 제거장치를 갖는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8376B2 (en) Flexible sleeve for connection to a plumbing fixture
CN103628546B (zh) 用于连接导管的挠性法兰装置以及连接所述导管的方法
TWI220909B (en) Flexible bathtub waste pipe assembly for bathtubs and the like
MXPA05011976A (es) Ensamble de banera de perfil bajo.
AU2008243269B1 (en) Plumbing Fitting
US10760250B2 (en) Method of retrofitting a bathtub drainage pipe
KR100806547B1 (ko) 가변연결부를 구비한 오수받이
KR20100004133U (ko) 연결 배관을 가지는 수세식 변기
JP2003113990A (ja) 排水管路およびこの排水管路に用いる配管材
KR20090091637A (ko) 배관 구조
WO1997036064A1 (en) Overflow
JP2011111780A (ja) 排水構造
KR200446534Y1 (ko) 화장실 변기용 배수장치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200375988Y1 (ko)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CN214530964U (zh) 一种双马桶一体式装置
KR20120071052A (ko)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US4323270A (en) Pipe fitting device for plumbing systems
KR100671173B1 (ko) 소형 맨홀의 연결구조
JP5369397B2 (ja) 排水ソケット
JP7107686B2 (ja) 排水ヘッダーおよび配管構造
KR101177490B1 (ko)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JP2003096856A (ja) 住宅用排水システム
KR100338417B1 (ko) 세면욕조실 배수관 장치의 배수트랩 및 배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