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041A -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041A
KR20100004041A KR1020090015204A KR20090015204A KR20100004041A KR 20100004041 A KR20100004041 A KR 20100004041A KR 1020090015204 A KR1020090015204 A KR 1020090015204A KR 20090015204 A KR20090015204 A KR 20090015204A KR 20100004041 A KR20100004041 A KR 20100004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ideo content
user terminal
providing system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미숙
Original Assignee
(주)헤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헤리트 filed Critical (주)헤리트
Priority to KR102009001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041A/ko
Publication of KR20100004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전화 연결이 되면, 통신망 부가 장비로부터 안내 방송을 독출하여 독출된 안내 방송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킷망을 통해 전송된 동영상을 상기 통신망 부가 장비에 제공하고, 전송된 동영상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동영상 콘텐츠를 소정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음성 통화 비용 정도의 적은 비용으로도 이들 웹 사이트 등에 동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content service}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로 촬영된 동영상을 웹 사이트, IP TV 또는 디지털 TV 등에 업로드시키는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기존의 홈 페이지 기능에 타인과의 관계 설정 기능을 부가하고, 꾸미기, 멀티미디어 기능 및 관리 기능을 대폭 강화한 블로그 서비스가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주요 포털 사업자들을 포함하여 현재 다수의 블로그 사업자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블로그는 현재 인터넷 기반 서비스들 증 가장 보편적인 서비스로서 하나의 트랜드가 되고 있다.
또한, 초기 유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블로그 서비스는 무선 인터넷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여 무선 인터넷 상에서 블로그에 접속하여 게시물을 검색하거나 글을 업로드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카메라폰 등으로 촬영한 사진을 자신의 블로그에 업로드 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도 등장하였다.
즉, 현재 블로그 서비스 사용자는 PC 기반의 유선 인터넷을 통해 블로그에 접속하여 텍스트, 사진, 이미지 및 동영상을 업로드하거나 타인의 블로그를 방문하여 글을 남기거나 게시물을 자신의 블로그에 포스팅(posting)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통해 블로그에 접속하여 사진을 업로드하거나 타인의 블로그에 방문할 수도 있다. 이때, 무선 인터넷을 통한 블로그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서는 자신이 가입한 블로그 서비스에서 자신의 휴대전화 번호를 등록 및 사용자 인증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고, 블록그 사업자가 통신 사업자로부터 할당받은 특정 번호를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서킷망을 통해 동영상을 웹 사이트나 IP TV, 디지털 TV 등에 업로드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전화 연결이 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통신망 부가 장비로부터 안내 방송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안내 방송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킷망을 통해 동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동영상을 상기 통신망 부가 장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통신망 부가 장비가 상기 제공된 동영상을 녹화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따른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가 상기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에 따른 셋톱 박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을 녹화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동영상 콘텐 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는 통신망 부가 장비, 상기 통신망 부가 장비로부터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를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상기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에 따른 셋톱 박스에 전송하는 방송 사업자용 연동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전화 연결이 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통신망 부가 장비로부터 안내 방송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안내 방송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안내 방송 제어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킷망을 통해 동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동영상을 상기 통신망 부가 장비에 제공하고, 상기 통신망 부가 장비로부터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따른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에 전송하는 동영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서킷망을 통해 동영상을 웹 사이트나 IP TV, 디지털 TV 등에 업로드함으로써 음성 통화 비용 정도의 적은 비용으로도 이들 웹 사이트 등에 동영상을 업로드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통신 사업자와 인터넷, IP TV 및 디지털 TV 사업자가 표준화된 API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통신 사업자는 외부 사업자가 자신의 망 자원을 쉽게 사용하도록 개방함으로써 전화번호 판매 등을 통한 통화량 매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으며, 외부 사업자는 본 시스템을 자체 구축할 경우 소요 되는 장비 구매 비용 즉, 안내 방송 장치나 녹화 장치 등의 구매 비용, 서비스 구축 및 유지 보수 등에 소비되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서킷망을 통해 동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게 하므로, 유선 인터넷을 사용하여 업로드하는 경우에 이동성과 즉시성이 결여되는 단점과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여 업로드하는 경우에 데이터 통화료가 많이 드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 통신망 부가 장비(130), 인터넷 사업자용 웹서버(140),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150) 및 셋톱 박스(160)로 구성되며, 통신망 부가 장비(130)는 안내 방송 장치(132) 및 녹화 장치(134)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영상 통화가 가능한 3G 휴대 단말로서, 사용자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가 통신 사업자로부터 할당받은 특정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통화 버튼이 조작되면, 이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라 서비스 제 공 시스템(120)과 전화 연결을 실행한다. 이때,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는 본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를 웹 사이트 등에 포스팅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또는 그 사업자의 서버를 말하며, 특히 인터넷 사업자용 웹서버(140)나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150)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을 통해 안내 방송이 수신되면, 수신된 안내 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현재 촬영되고 있는 동영상을 서킷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에 전송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은 사용자 단말(110)과 전화 연결이 되면, 서비스 로직을 구동하여 통신망 부가 장비(130)의 안내 방송 장치(132)로부터 필요한 안내 방송을 읽어들이고, 읽어드린 안내 방송을 사용자 단말(110)에 전송한다. 이때, 안내 방송은 사용자가 동영상을 촬영하고 전송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송이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서킷망을 통해 전송된 동영상을 통신망 부가 장비(130)의 녹화 장치(134)에 제공함으로써 이 녹화 장치(134)가 녹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녹화 장치(134)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로부터 제공된 동영상을 녹화하고, 녹화가 종료되면 이 녹화된 동영상을 블로그, UCC 사이트, 개인 홈페이지 및 게시판 등의 웹 사이트, IP TV 또는 디지털 TV 상에서 재생이 가능하도록 변환함으로써 동영상 콘텐츠(video content)를 생성한다. 그리고 녹화 장치(134)는 이 동영상 콘텐츠를 저장하고, 저장된 동영상 콘텐츠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에 제공한 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은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 정보 및 녹화 장치(134)로부터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를 인터넷 사업자용 웹서버(140)나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150)에 전송한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은 표준화된 팔레이(Parlay)와 같은 API를 사용하여 통신망 부가 장비(130), 인터넷 사업자용 웹서버(140),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150) 등에게 자원을 요청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도 이러한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넷 사업자용 웹서버(140)는 수신된 전화번호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웹 사이트 즉, 블록그, UCC 사이트, 개인 홈페이지 및 게시판 등에 수신된 동영상 콘텐츠를 업로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업로드된 동영상 콘텐츠에 따른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다른 방문자들도 이 웹 사이트에 방문하여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150)는 수신된 전화번호 정보에 따른 셋톱 박스(160)에 수신된 동영상 콘텐츠를 전송한다. 그리고 셋톱 박스(160)는 해당하는 IP TV 나 디지털 TV 에 동영상 콘텐츠를 송출함으로써, 해당 IP TV 나 디지털 TV 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이 이 동영상 콘텐츠에 따른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을 그 기능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시스 템(120)은 호 제어 관문 장치(200) 및 호 제어 장치(210)로 구성되며, 호 제어 장치(210)는 안내 방송 제어부(212) 및 동영상 제어부(214)로 구성된다.
호 제어 관문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 및 통신망 부가 장비(130)를 호 제어 장치(230)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호 제어 관문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호 제어 장치(230)에 전달하며, 호 제어 장치(230)로부터의 자원 요청을 통신망 부가 장비(13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내 방송 제어부(212)는 사용자 단말(110)과 전화 연결이 되면, 서비스 로직을 구동하여 통신망 부가 장비(130)의 안내 방송 장치(132)로부터 필요한 안내 방송을 읽어들이고, 읽어드린 안내 방송을 사용자 단말(11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동영상 제어부(214)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서킷망을 통해 동영상이 전송되면, 서비스 로직을 구동하여 전송된 동영상을 통신망 부가 장비(130)의 녹화 장치(134)에 제공함으로써 동영상이 녹화 장치(134)에 녹화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영상 제어부(214)는 녹화 장치(134)로부터 녹화된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동영상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 정보에 함께 인터넷 사업자용 웹서버(140)나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150)에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가입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10 단계에서 사용자는 호스트 단말을 이용하여 웹 사이트 를 통해 웹 사이트를 통해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업자용 웹서버 또는 IP TV나 디지털 TV를 통해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에 접속한다.
320 단계에서 사용자는 310 단계에서 접속된 인터넷 사업자용 웹서버나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에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3G 휴대 단말 등의 전화 번호를 등록한다. 이때, 필요한 경우 인증 절차를 거쳐 등록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동영상 콘텐츠가 업로드될 폴더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업자용 웹서버나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에는 사용자가 등록한 전화번호 정보나 기타 설정된 정보들이 저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40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가 통신 사업자로부터 할당받은 특정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통화 버튼이 조작되면, 이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연결을 실행한다.
410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400 단계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면, 서비스 로직(service logic)을 구동하여 통신망 부가 장비의 안내 방송 장치로 부터 필요한 안내 방송을 읽어들이고, 읽어드린 안내 방송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이때, 안내 방송은 사용자가 동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송이다.
42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410 단계에서 전송된 안내 방송을 수신하면, 수신된 안내 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안내 방송에 따라 쉽게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동영상을 서킷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전송한다.
430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420 단계를 통해 동영상이 수신되면, 서비스 로직을 구동하여 전송된 동영상을 통신망 부가 장비의 녹화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동영상이 녹화될 수 있도록 한다.
440 단계에서 녹화 장치는 430 단계에서 제공된 동영상을 녹화하고, 녹화가 종료되면 이 녹화된 동영상을 블로그, UCC 사이트, 개인 홈페이지 및 게시판 등의 웹 사이트, IP TV 또는 디지털 TV 상에서 재생이 가능하도록 변환함으로써 동영상 콘텐츠(video content)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영상 콘텐츠를 저장한다.
450 단계에서 녹화 장치는 440 단계에서 생성된 동영상 콘텐츠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제공한다.
460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450 단계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제공되면, 이 동영상 콘텐츠와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를 인터넷 사업자용 웹서버나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에 전송한다.
470 단계에서 인터넷 사업자용 웹서버는 수신된 전화번호 정보에 따른 사용 자의 웹 사이트 즉, 블록그, UCC 사이트, 개인 홈페이지 및 게시판 등에 수신된 동영상 콘텐츠를 업로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업로드된 동영상 콘텐츠에 따른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다른 방문자들도 이 웹 사이트에 방문하여 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480 단계에서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는 수신된 전화번호 정보에 따른 셋톱 박스에 수신된 동영상 콘텐츠를 전송한다. 그리고 셋톱 박스는 해당하는 IP TV 나 디지털 TV 에 이 동영상 콘텐츠를 송출함으로써, 해당 IP TV 나 디지털 TV 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이 이 동영상 콘텐츠에 따른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을 더욱 상세하게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가입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Claims (2)

  1. 사용자 단말과 전화 연결이 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통신망 부가 장비로부터 안내 방송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안내 방송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킷망을 통해 동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동영상을 상기 통신망 부가 장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통신망 부가 장비가 상기 제공된 동영상을 녹화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따른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가 상기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에 따른 셋톱 박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2. 동영상을 녹화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는 통신망 부가 장비;
    상기 통신망 부가 장비로부터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를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상기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에 따른 셋톱 박스에 전송하는 방송 사업자용 연동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전화 연결이 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통신망 부가 장비로부터 안내 방송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안내 방송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안내 방송 제어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킷망을 통해 동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동영상을 상기 통신망 부가 장비에 제공하고, 상기 통신망 부가 장비로부터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따른 방송 사업자용 연동서버에 전송하는 동영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90015204A 2009-02-24 2009-02-24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04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204A KR20100004041A (ko) 2009-02-24 2009-02-24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204A KR20100004041A (ko) 2009-02-24 2009-02-24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802 Division 2008-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041A true KR20100004041A (ko) 2010-01-12

Family

ID=4181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204A KR20100004041A (ko) 2009-02-24 2009-02-24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0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219B1 (ko) 코드들을 사용한 개인화 양방향성
EP3123437B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instantly sharing video content on social media
KR101411739B1 (ko) 세컨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tv 스크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캡쳐하고 이를 소셜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59548B1 (ko) 컨텐츠 배송 방법 및 중계 장치
US201302862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ve capture image-live streaming camera utilizing personal portable device
US201201671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to multiple screen devices
US201001281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user communication from a location
US20100122283A1 (en) Targeted advertising via mobile enhanced reality
US20200213682A1 (en) Content exposure attribution based on renderings of related content across multiple devices
CN110740386B (zh) 直播切换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40366055A1 (en) Terminal, a set information inputting method of an electronic apparatus, a computer readable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an electronic apparatus
WO2010007612A1 (en) Sharing multimedia content
JP2006244060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提示用端末及びリクエスト用端末並びにコンテンツ同期配信プログラム
CN102316084A (zh) 一种通过网络电视实现数据共享的方法、系统及终端
KR101202095B1 (ko)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48979B1 (ko) 캡쳐된 컨텐츠를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00004041A (ko)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6314A (ko) Iptv용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102051323B1 (ko) 사용자 상황에 따른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805618B1 (ko) 컨텐트에 대한 코멘트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TW201125345A (en) Multi-media portal website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individual telephone number.
CN103369366A (zh) 多媒体内容传播服务器及相关的多媒体播放方法
KR100670020B1 (ko) 인터넷과 통신망을 연동하여 유선 전화, 휴대 전화 또는 인터넷 전화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고 자신의 블로그에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53416B1 (ko) 쿡티비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13315B1 (ko) Iptv 커뮤니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