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751A -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751A
KR20100003751A KR1020080063732A KR20080063732A KR20100003751A KR 20100003751 A KR20100003751 A KR 20100003751A KR 1020080063732 A KR1020080063732 A KR 1020080063732A KR 20080063732 A KR20080063732 A KR 20080063732A KR 20100003751 A KR20100003751 A KR 20100003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ser terminal
input
profile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정
원종호
배창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63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751A/ko
Publication of KR20100003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8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emi-structured data, e.g. markup language structured data such as SGML, XML or HTM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06F9/4451User profiles; Roa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서비스 요청 시, 사용자 단말기의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요청된 서비스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재구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 시 사용자의 단말기의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에 따라 재구성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서비스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서비스 프로파일,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 XML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별로 재구성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용프로그램은 C/C++, JAVA 등의 언어로 작성된다.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은 C/C++, JAVA 등의 언어로 작성된 텍스트를 컴파일(compile)하여 실행파일로 만들어 로컬에 저장해두었다가 필요할 때마다 메모리에 가져와 실행하게 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가 운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려면 항상 컴파일 과정을 거쳐야 변경된 사항이 해당 응용프로그램에 반영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의 유지 및 관리가 어려우며, 그에 따라 개발자의 업무에 로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어 컴퓨터 행위를 하는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의 경우, 사용자 혹은 환경에 따라 입출력 장치가 변경될 수 있다. 만일, 입출력 장치가 변경되면,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라 할지라도 소프트웨어의 코딩(coding)을 다르게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며, 서로 다른 입출력장치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의 연구 개발이 강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의 입출력 디바이스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재구성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요청 시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입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검출하여,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재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소정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프로파일이 저장된 DB,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DB에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재구성하는 프로파일 작성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프로파일 작성기로 제공하고, 상기 재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의 입출력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서버로 서비스 요청 시, 상기 복수의 입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상기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재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제공받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 시 사용자의 단말기의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에 따라 재구성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서비스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XML 형식의 문서로 작성함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개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서비스가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0) 및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이때, 서버(100)는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해당 서비스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이때,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 및 서비스 프로파일은 다양한 포맷으로 작성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포맷 형태로 작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다양한 입출력 디바이스를 적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서버(100)는 웹 서버(web server), FTP 서버(File Transfer Protocol server),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는 이동통신 단말기, PC, 노트북, MP3 플레이어, PMP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착용 가능한 것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서버(100)에 접속하여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내부 또는 외부의 입출력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200)는 다수의 입출력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에,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통신부(110), DB(DataBase)(120), 제어부(130), 및 프로파일 작성기(14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외부 단말기와의 접속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200)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DB(120)는 소정의 서비스가 저장되며, 저장된 각각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프로파일이 저장된다. 또한, DB(120)는 소정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환경을 구축하도록 하는 컴포넌트(component)가 저장된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DB(120)에 저장된 서비스를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도록 한다. 물론,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서비스 개시 요청이 있는 경우 사전에 DB(120)에 저장된 서비스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 사용자 단말기(200)의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요청한다. 이때, 프로파일 작성기(140)는 제어부(13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의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를 적용하여 요청 서비스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재구성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프로파일 작성기(140)를 통해 작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메모리(220), 데이터 처리부(230), 입출력 인터페이스(240) 및 복수의 입출력 디바이스(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웹 접속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서버(1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메모리(2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입출력 디바이스(250)에 대한 프로파일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220)는 서버(100)를 통해 접속 가능한 서비스 목록이 저장되며, 이때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서비스의 서비스 프로파일이 저장된다.
여기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은 사용자 단말기(200)에 연결된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하며, 각각의 입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 정보 등을 모두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30)는 서버(100)로 소정의 서비스를 요청하고, 서버(100)로부터 입출력 디바이스(250)에 대한 프로파일 요청이 있는 경우 메모리(220)에 저장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검출하여 통신부(210)를 통해 서버(100)로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30)는 서버(100)로부터 요청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프로파일이 수신되면, 수신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메모리(220)에 저장하도록 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230)는 요청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컴포넌트가 메모리(220) 상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해당 컴포넌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230)는 서버(100)로부터 해당 서비스에 대한 컴포넌트를 제공받아 실행함으로써 서비스 실행환경을 구축하도록 한다. 한편, 해당 컴포넌트가 존재하긴 하나, 그 버전이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서버(100)로부터 해당 서비스에 대한 최신 버전의 컴포넌트를 제공받아 실행함으로써 서비스 실행 환경을 구축하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 단말기(200)에 이미 해당 서비스에 대한 컴포넌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 저장된 컴포넌트를 실행하도록 한다.
데이터 처리부(230)는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실행하여 해당 서비스 이용 시 각각의 입출력 디바이스(250)를 연결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통해 각각의 입출력 디바이스(250)를 제어하는 미들웨어(middle-ware)를 지원하도록 한다. 여기서, 미들웨어는 웹브라우저(web-browser)를 포함하며, 웹브라우저를 확장한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에, 도 4a 및 도 4b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XML 포맷 형태로 작성하는 것으로 하나, 이는 일 실시예를 구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서버(100)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의 개시를 요청한다(S300).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 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검출하여 생성된 서비스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한다(S310). 사용자 단말기(20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목록 중 일부 서비스를 선택함으로써, 서버(100)로 선택된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S320).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소정의 서비스 요청 시, 사용자 단말기(200)의 입출력 디바이스(250)에 대한 프로파일을 요청하고(S330),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는 내부 또는 외부에 연결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검출하여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한다(S340). 여기서, 'S340' 과정은 'S320' 과정 수행 시 함께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S330' 과정은 생략된다.
서버(100)는 DB(120)에 저장된 다수의 서비스 프로파일 중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요청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검출한다(S350). 한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파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입출력 가능한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를 감지한다(S360). 이때, 감지된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한 XML 문서를 작성하도록 한다(S370).
또한, 서버(100)는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XML 기반의 서비스 프로파일이 작성되면, 작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한다(S380).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실행함으로써(S390),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입출력 디바이스(250)를 제어하며 요청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S395).
한편, 도 4b는 도 4a의 실시예에 일부 과정이 추가된 것으로, 도 4b의 'S400' 내지 'S480' 과정은 도 4a의 'S300' 내지 'S380' 과정과 동일하게 구현되는 것으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서버(100)로부터 XML 기반의 서비스 프로파일이 수신되면, 수신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실행하기 전, 요청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실행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컴포넌트를 실행하도록 한다(S520). 만일, 사용자 단말기(200)에 해당 서비스의 컴포넌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S490),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버(100)로 해당 서비스의 컴포넌트를 요청함으로써(S500), 서버(100)로부터 해당 서비스의 컴포넌트를 제공받아(S510), 실행하도록 한다(S520).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에 해당 서비스의 컴포넌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S500' 및 'S510'의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S520'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단, 사용자 단말기(200)에 해당 서비스의 컴포넌트가 존재하나 그 버전이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서버(100)로 해당 서비스의 컴포넌트를 요청함으로써(S500), 서버(100)로부터 해당 서비스의 컴포넌트를 제공받아(S510), 실행하도록 한다(S520).
따라서, 컴포넌트를 실행함에 따라 해당 서비스의 실행환경이 구축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실행함으로써(S530),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입출력 디바이스(250)를 제어하며 요청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S540).
도 5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한 XML 문서 작성에 따 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여기서, 서비스 프로파일을 XML 문서로 작성하는 것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외의 다른 포맷 형태로 작성하는 것 또한 가능한 일이다.
먼저, 도 5a 및 도 5b는 XML 문서 작성을 위한 문서 타입 정의(Document Type Definition, DTD)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5a는 서비스 프로파일의 XML 문서 타입을 정의한 소스(source)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의 XML 문서 타입을 정의한 소스(source)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즉, 서비스 프로파일은 도 5a의 문서 타입 정의(Document Type Definition, DTD)에 기초하여 XML 문서가 작성되며,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은 도 5b의 문서 타입 정의(DTD)에 기초하여 XML 문서가 작성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및 도 5b를 토대로 하여 작성된 XML 형식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mp3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한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mp3 서비스 프로파일은 별도의 입력 디바이스를 지정하지 않고, 출력 디바이스를 '스피커(speaker)'로 지정한 상태에서 입력 타입을 '버튼(button)'으로 지정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는 도 6a의 mp3 서비스 프로파일에 의해 "재생", "멈춤", "이전", "다음" 등의 실행 버튼이 조작되면, 이를 인식하여 'play', 'stop', 'prev', 'next'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mp3 서비스 출력은 스피커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실행 버튼이라 함은, 일반적인 키 버튼이 적용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 화면에 구현된 버튼 또한 적용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도 6b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가 연결되지 않고, 마이크와 스피커만 연결된 상태의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토대로 하여 작성된 mp3 서비스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6b는 도 6a와 달리 mp3 서비스 프로파일의 입력 디바이스를 '마이크(mike)'로 지정하고, 이때 입력 타입(input type)을 '음성(voice)'으로 지정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도 6b의 mp3 서비스 프로파일에 의해 "재생", "멈춤", "이전", "다음" 등의 음성을 입력 신호로 인식하고, 입력된 음성에 의해 'play', 'stop', 'prev', 'next'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출력은 스피커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해당 서비스의 출력 타입을 지정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7a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출력 타입을 'display'와 'voice'로 지정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200)는 'Hello World!'라는 텍스트(text)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텍스트로 출력하거나, 혹은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7b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출력 타입을 'display'로 지정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200)는 'Hello World!'라는 텍스트(text)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텍스트로 출력하는 것만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 도 7c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출력 타입을 'voice'로 지정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200)는 'Hello World!'라는 텍스 트(text)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만이 가능하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의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형태로 작성 가능하며, 사용자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와 스피커가 모두 연결된 경우는 '도 7a', 사용자 단말기(200)에 스피커는 연결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만 연결된 경우에는 '도 7b', 사용자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는 연결되지 않고 스피커만 연결된 경우에는 '도 7c'의 소스를 적용하여 서비스 프로파일을 작성하게 된다.
물론, 도 7a의 소스를 적용하여 서비스 프로파일이 작성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200)의 출력 디바이스가 변경된 경우에는, 이미 작성된 서비스 프로파일 중 도 7a의 소스만을 다른 출력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소스로 변경함으로써 서비스 프로파일을 재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00)의 입출력 디바이스 환경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도 5a 내지 도 7c에 적용되는 소스는 일부만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확장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그리고
도 5a 내지 도 7c 는 본 발명의 XML 기반의 서비스 프로파일 작성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Claims (12)

  1.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포맷 형태로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개시 요청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을 재구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의 입출력 디바이스 속성을 변경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재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6. 서버로부터 제공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요청 시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입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검출하여,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재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서비스 이용 시, 상기 재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입출력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을 실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요청 서비스의 실행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컴포넌트(component)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9.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프로파일이 저장된 DB: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DB에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재구성하는 프로파일 작성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프로파일 작성기로 제공하고, 상기 재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포맷 형태로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11. 서버로부터 제공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입출력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서버로 서비스 요청 시, 상기 복수의 입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입출력 디바이스 프로파일을 상기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재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제공받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서비스 이용 시, 상기 재구성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080063732A 2008-07-02 2008-07-02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03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732A KR20100003751A (ko) 2008-07-02 2008-07-02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732A KR20100003751A (ko) 2008-07-02 2008-07-02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751A true KR20100003751A (ko) 2010-01-12

Family

ID=4181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732A KR20100003751A (ko) 2008-07-02 2008-07-02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7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841A1 (ko) * 2016-03-04 2017-09-08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75713B1 (ko) 2021-11-11 2022-03-17 정병운 매트 겸용 사우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841A1 (ko) * 2016-03-04 2017-09-08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75713B1 (ko) 2021-11-11 2022-03-17 정병운 매트 겸용 사우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32564B (zh) 业务调用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567750B2 (en) Web component dynamically deployed in an application and displayed in a workspace product
US72163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multi-modal interactions
TWI471802B (zh) 行動裝置應用程式之轉換方法及可轉換行動裝置應用程式之行動裝置和系統
US11749276B2 (en) Voice assistant-enabled web application or web page
JP6567727B2 (ja) 受信した音声入力の入力音量に基づいて出力される音の出力音量を調節するユーザ命令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5149484A (ja) 逐次的なマルチモーダル入力
CN111178012A (zh) 一种表单渲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5149485A (ja) 逐次的なマルチモーダル入力
KR20080022697A (ko) 동적 ui 프레임워크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TW201947890A (zh) 遠距藍牙連線系統
US8607251B1 (en) Dynamic accessibility behavior
KR20100003751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10727423A (zh) 跨平台开发行动应用程序的方法及其系统
TW201504818A (zh) 網頁內容瀏覽方法、裝置及終端設備
CN110399040B (zh) 多模态交互方法、用户端设备、服务器及系统
Czauski et al. NERD—middleware for IoT human machine interfaces
Swiech et al. Making javascript better by making it even slower
CN110309454B (zh) 一种界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015874B (zh) 数据传输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06775900B (zh) 应用浏览器的调用方法和系统
CN115904514B (zh) 基于三维场景中云渲染像素流实现方法及终端设备
KR2022011694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성 인식 처리 방법
CN115344261A (zh) 应用程序的集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048919A (zh) 文档的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