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678A - 신발 회전 정리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회전 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678A
KR20100003678A KR1020080063680A KR20080063680A KR20100003678A KR 20100003678 A KR20100003678 A KR 20100003678A KR 1020080063680 A KR1020080063680 A KR 1020080063680A KR 20080063680 A KR20080063680 A KR 20080063680A KR 20100003678 A KR20100003678 A KR 20100003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hoes
main body
hole
cam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규
Original Assignee
정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규 filed Critical 정순규
Priority to KR1020080063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678A/ko
Publication of KR2010000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4Elastic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80Devices for putting-on or removing boots or shoes, e.g. boot-hooks, boot-jac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와 외부를 출입하기 위하여 신발을 벗거나 신는 현관에 비치하여 발판을 밟고 신발을 벗으면 발판이 회전하여 신발을 180도 돌려놓도록 함으로써 신발을 신고 외부활동을 하다가 실내로 들어가기 위하여 신발을 벗어놓을 때 신발을 발판 위에서 벗으면 신발에 손을 대지 않고도 신발을 나갈 때 신기 편하도록 돌려놓을 수 있음은 물론 현관의 신발에 손을 대지 않고도 신발을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신발정리를 위하여 허리를 굽히는 불편을 방지하고 위생상의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 회전 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마개를 열고 물을 담아 고정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어 캠홈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캠통과, 상기 캠통에 고정핀이 구비되는 회전축을 삽입하여 회전축과 함께 상하로 이동할 때마다 180도씩 회전하는 발판으로 신발 회전 정리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발명이다.
신발, 회전, 정리

Description

신발 회전 정리장치{FOOTWEAR TURN ARRAN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건물 외부에서 신발을 신고 활동하다가 신발을 벗고 실내로 들어가면 신발을 나갈 때 신기 편하도록 회전시키는 신발 회전 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을 신고 외부활동을 하다가 실내로 들어가기 위하여 신발을 벗어놓으면 신발이 자동적으로 180도 회전하여 나갈 때 편리하게 신고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신발 회전 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 구두, 샌들, 슬리퍼 등과 같이 발에 신고 다닐 수 있는 것을 신발이라 한다면 그 신발은 실외와 실내를 오갈 때마다 신고 벗기를 반복하여야 한다. 즉, 신발을 신지 않고 생활하는 실내에서 실외로 나갈 때나 신발을 신고 활동하는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갈 때는 신발을 벗거나 신어야 한다.
위와 같이 실내와 실외를 오갈 때마다 신발을 신고 벗는 경우 중,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가기 위하여 신발을 벗으면 신발의 앞부분은 실내 쪽을 향한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신발의 앞부분이 실내를 향하도록 벗어 놓은 신발을 실외 로 나가기 위하여 다시 신으려면 사람이 돌아서 돌아선 상태로 신발을 신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내로 들어온 사람이 자신의 신발을 나갈 때 편리하게 신을 수 있도록 신발 앞부분이 실외를 행하게 돌려놓거나 다른 사람이 신발을 벗어놓은 사람이 나갈 때 쉽고 편하게 신발을 신을 수 있도록 신발을 돌려놓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람이 손으로 신발을 잡고 돌려놓을 경우에는 신발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를 맡아야 할 뿐만 아니라, 신발을 손으로 돌려놓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음식점 등의 업소에서 손님이 벗어놓은 신발을 손님이 나갈 때 편하게 신을 수 있도록 신발을 돌려서 정리해놓는 서비스를 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와 같이 영업장 손님들의 많은 신발을 돌려놓기 위하여 손으로 신발을 잡으면 신발 안쪽의 각종 유해균이 손에 감염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음식점의 위생관리도 부실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위와 같은 영업장에서의 문제점은 손님 개인이 직접 자신의 신발을 신발장에 넣도록 하는 방법으로 개선되었으나, 이와 같은 방법 역시 손으로 신발 내부를 만지게 되는 것이므로 문제의 해소방안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내부와 외부를 출입하기 위하여 신발을 벗거나 신는 현관에 비치하여 발판을 밟고 신발을 벗으면 발판이 회전하여 신발을 180도 돌려놓도록 함으로써 신발을 신고 외부활동을 하다가 실내로 들어가기 위하여 신발을 벗어놓을 때 신발을 발판 위에서 벗으면 신발에 손을 대지 않고도 신발을 나갈 때 신기 편하도록 돌려놓을 수 있음은 물론 현관의 신발에 손을 대지 않고도 신발을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신발정리를 위하여 허리를 굽히는 불편을 방지하고 위생상의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신발 회전 정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를 열고 물을 담아 고정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어 캠홈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캠통과, 상기 캠통에 고정핀이 구비되는 회전축을 삽입하여 회전축과 함께 상하로 이동할 때마다 180도씩 회전하는 발판으로 신발 회전 정리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가면서 발판위에 올라서 신 발을 벗으면 발판과 회전축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을 압축하고, 신발을 벗고 실내로 들어가면 발판 위에는 사람의 체중에 의한 하중이 사라지게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과 발판이 상승되면서 경사진 캠홈을 따라 발판이 180도 회전되므로 그 위에 있는 신발이 실내에서 실외로 나갈 때 신기 편하도록 회전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신발에 손을 대지 않고도 신발을 돌려서 정리해 놓을 수 있게 되어 신발정리를 위하여 허리를 굽히는 불편을 방지하고 위생상의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 회전 정리장치(100)는 마개(240)를 열고 물을 담아 고정시켜 놓을 수 있도록 본체(200)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20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30)에 삽입 고정되어 캠홈(330)을 구성할 수 있도록 캠통(300)을 형성하며, 상기 캠통(300)에 고정핀(420)이 구비되는 회전축(410)을 삽입하여 회전축(410)과 함께 상하로 이동할 때마다 180도씩 회전할 수 있도록 신발을 벗어놓는 발판(400)으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본체(200)는 상부본체(210)와 하부본체(220)로 분리 구성한 후, 상부본체(210)와 하부본체(220)를 열 또는 초음파 등으로 고정 접착하여 구성하되, 상기 상부본체(210)와 하부본체(220)의 내부에는 다수의 기둥(213)(223)을 서로 지 지되도록 형성하여 외력에 의해 본체(200)가 변형 및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상부본체(210)의 상부 일측에는 물을 넣고 뺄 수 있는 마개(240)를 구비하여 마개(240)를 열고 물을 담아 고정시켜 놓을 수 있도록 본체(20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200)의 관통홀(230)에 삽입되는 캠통(300)은 상부캠통(310)과 하부캠통(320)으로 분리 구성한 후, 상부캠통(310)은 관통홀(230)의 상측으로, 하부캠통(320)은 관통홀(230)의 하측으로 각각 삽입하여 상부캠통(310)과 하부캠통(320)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돌기(311)(321)가 관통홀(230)의 고정홀(211)(221)에 삽입되도록 하고, 그 상하측 상부본체(210)와 하부본체(220)에는 캠통커버(212)(222)를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캠통(300)이 본체(2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캠통(310)은 관통홀(230)에 삽입하기 전에 발판(400)의 회전축(410)에 먼저 삽입한 후 그 하측의 회전축(410)에 부시(421)가 구비된 고정핀(420)을 결합하여 관통홀(230)에 고정하며, 상기 하부캠통(320)은 하측으로 스프링(340)을 삽입하여 탄성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바닥면(322)이 막힌 상태로 형성하여 관통홀(230)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캠통(310)과 하부캠통(320)을 관통홀(230)에 상하측에서 결합하면 상부캠통(310)과 하부캠통(320)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캠홈(330)이 형성되고 그 캠홈(330)을 180도씩 동일한 가이드형상으로 형성하여 부시(421)가 구비된 고정핀(420)이 캠홈(330)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축(410)과 발판(400)을 180도씩 회전시키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물을 담아놓는 본체(100)와 캠통(300) 및 발 판(400)으로 이루어진 회전 정리장치(100)를 실내와 실외로 이동하기 위하여 실발을 벗거나 신는 현관 등에 놓아두고, 그 회전 정리장치(100)의 발판(400) 위에서 신발을 벗으면 신발이 발판(400)과 함께 자동으로 180도를 회전하여 위생적으로 신발을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 회전 정리장치(100)의 발판(400) 위에 아무것도 놓여있지 않으면 발판(400)의 회전축(410)은 캠통(300) 내부의 스프링(340) 탄성력을 받아서 위로 이동된 상태가 되므로 그 회전축(410)에 구비되면서 캠통(300)의 캠홈(330)에 삽입된 고정핀(420)과 부시(421)는 도 4와 같이 캠홈(330)에 형성되는 2개의 수직부분 중 하나의 수직부분 상단에 실선으로 도시된 고정핀(420)위치에 정지하여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상시 대기 상태에서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가려는 사람이 발판(400) 위에 올라서면 발판(400)과 회전축(410)은 사람의 체중에 의해 스프링(340)을 누르면서 도 5와 같이 하강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하강한 상태는 회전축(410)에 구비된 고정핀(420)이 도 4에서 화살표의 이동경로를 따라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이동되므로 고정핀(4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분의 하단으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사람이 올라서서 내려간 발판(400) 위에서 신발을 벗고 사람이 실내로 들어가면 발판(400) 위에는 사람의 체중에 의한 하중이 사라지고 신발만 남게 되므로 신발의 무게를 들어올릴 수 있는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발판(400)과 회전축(410)이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회전축(410)의 고정핀(4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홈(33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향 이동되므로 회전축(410)과 발판(400)은 회전을 하면서 상향 이동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캠홈(330)은 2개의 수직부분을 180도 대향된 위치에 형성하면서 그 수직부분의 캠홈을 경사진 캠홈(330)으로 연결한 것이므로 경사진 부분의 캠홈(330)을 따라 상향 이동하는 회전축(410)과 발판(400)은 180도 회전하면서 수직부분 상단까지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가면서 발판(400) 위에 신발의 앞부분이 실내를 향하도록 벗어놓은 신발은 발판(400)과 함께 180도 회전하여 신발의 앞부분이 실외를 향하는 상태가 되므로 신발에 손을 대지 않고도 신발을 돌려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실내에서 다시 실외로 나갈 때 편안하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발판(400)과 회전축(410)을 180도씩 회전시키는 캠홈(330)은 수직부분의 하단부분을 경사면쪽으로 약간 라운드를 형성함으로써 고정핀(420)이 상향 이동할 때 수직부분으로 되돌아가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캠홈(330)에 접촉되면서 이동되어야 하는 고정핀(420)에는 부시(421)를 회전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마찰과 소음을 최소화하면서 발판(400)과 신발을 180도씩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발판(400)과 함께 180도 회전되어 있는 신발을 신고 실외로 나가면 이때도 발판(400)과 회전축(410)은 캠통(300)의 캠홈(330) 형상에 따라 하측으로 수직 이동했다가 180도 회전되면서 상향 이동되어 다시 실내로 들어오는 사람이 발판(400) 위에서 신발을 벗을 수 있도록 대기하는 상태가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캠홈(330)을 구성하는 컴통(300)은 고정돌기(311)(321)가 고정홈(211)(312)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발판(400)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갈 때 벗어놓는 신발을 180도 회전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회전 정리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발판(400)만이 구비되도록 본체(200)를 구성할 수도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본체(200')에 다수의 발판(400)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본체(200")에 하나의 발판(400)이 구비되도록 하면서 그 본체(200")의 사방 측면에 요철부(250)를 형성하여 필요한 수만큼 본체(2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신발 회전 정리장치는 가정, 음식점, 사무실 등은 물론 신발을 벗고 출입해야 하는 모든 곳에 즉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 정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장치 위에 사람이 올라서지 않은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도 3에서의 캠홈과 고정핀의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치 위에 사람이 올라선 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도 5에서의 캠홈과 고정핀의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회전 정리장치 200 : 본체
210 : 상부본체 220 : 하부본체
230 : 관통홀 250 : 요철부
300 : 캠통 310 : 상부캠통
320 : 하부캠통 330 : 캠홈
340 : 스프링 400 : 발판
410 : 회전출 420 : 고정핀

Claims (6)

  1. 마개를 열고 물을 담아 고정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어 캠홈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캠통과,
    상기 캠통에 고정핀이 구비되는 회전축을 삽입하여 회전축과 함께 상하로 이동할 때마다 180도씩 회전하는 발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신발 회전 정리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로 분리 구성한 후,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고정 접착하여 구성하되, 상기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한쪽에는 다수의 기둥을 형성하여 외력에 의해 본체가 변형 및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상부본체의 상부 일측에는 물을 넣고 뺄 수 있는 마개를 구비하여 마개를 열고 물을 담아 고정시켜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신발 회전 정리장치.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캠통은 상부캠통과 하부캠통으로 분리 구성 한 후, 상부캠통은 관통홀의 상측으로, 하부캠통은 관통홀의 하측으로 각각 삽입하여 상부캠통과 하부캠통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돌기가 관통홀의 고정홀에 삽입되도록 하고, 그 상하측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에는 캠통커버를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캠통이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캠통은 관통홀에 삽입하기 전에 발판의 회전축에 먼저 삽입한 후 그 하측의 회전축에 부시가 구비된 고정핀을 결합하여 관통홀에 고정하고, 상기 하부캠통은 하측으로 스프링을 삽입한 후 스프링커버를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관통홀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신발 회전 정리장치.
  4.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상측에서 각각 결합된 상부캠통과 하부캠통은 그 상부캠통과 하부캠통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의 캠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캠홈을 180도씩 동일한 가이드형상으로 형성하여 부시가 구비된 고정핀이 캠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축과 발판을 180도씩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신발 회전 정리장치.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발판은 하나의 본체에 여러 개의 발판이 구비되도록 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신발 회전 정리장치.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필요한 발판의 수만큼 본체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의 사방 측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신발 회전 정리장치.
KR1020080063680A 2008-07-01 2008-07-01 신발 회전 정리장치 KR20100003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680A KR20100003678A (ko) 2008-07-01 2008-07-01 신발 회전 정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680A KR20100003678A (ko) 2008-07-01 2008-07-01 신발 회전 정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678A true KR20100003678A (ko) 2010-01-11

Family

ID=4181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680A KR20100003678A (ko) 2008-07-01 2008-07-01 신발 회전 정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67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18B1 (ko) * 2011-03-23 2013-04-02 김남숙 신발 방향을 전환하는 신발집게
KR101505523B1 (ko) * 2013-06-26 2015-03-27 김성윤 신발 방향 전환장치
CN107456048A (zh) * 2017-08-09 2017-12-12 宁波诗宏千禧贸易有限公司 一种转盘机构
CN107518739A (zh) * 2017-08-25 2017-12-29 丁水琴 方便使用的拖鞋自动换向装置
KR20180087975A (ko) 2017-01-26 2018-08-03 류동원 자성을 이용한 신발 방향 자동 회전형 정리기
KR20230109993A (ko) 2022-01-14 2023-07-21 이종국 회전형 신발정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18B1 (ko) * 2011-03-23 2013-04-02 김남숙 신발 방향을 전환하는 신발집게
KR101505523B1 (ko) * 2013-06-26 2015-03-27 김성윤 신발 방향 전환장치
KR20180087975A (ko) 2017-01-26 2018-08-03 류동원 자성을 이용한 신발 방향 자동 회전형 정리기
CN107456048A (zh) * 2017-08-09 2017-12-12 宁波诗宏千禧贸易有限公司 一种转盘机构
CN107518739A (zh) * 2017-08-25 2017-12-29 丁水琴 方便使用的拖鞋自动换向装置
KR20230109993A (ko) 2022-01-14 2023-07-21 이종국 회전형 신발정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3678A (ko) 신발 회전 정리장치
KR20180072064A (ko) 세족용 슬리퍼
Warner The complete guide to Alzheimer's-proofing your home
JP2017025614A (ja) 住宅
JP3148203U (ja) 転倒事故予防教育用住宅模型
Grayson Technology and home adaptations
WO2022062475A1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多功能桌
KR101810095B1 (ko) 세족용 슬리퍼
US20060168743A1 (en) Motorized hand washing device
CN2407647Y (zh) 一种抽屉式鞋柜
Alam Occupational therapy in respiratory medicine: Global challenge in the 21st century
JP6803556B2 (ja) 洗面化粧ユニット
CN105369896A (zh) 室内多功能拼接式起居屋模块组合体
CN206025665U (zh) 一种多功能鞋柜
WO2002055817A1 (en) Push plate
Kuboshima et al. Bathroom Design for Assisted Showering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KR102156067B1 (ko) 공동주택의 현관문에 설치되는 세정장치
Charytonowicz et al. Ergonomic Formation of Hygienic-Sanitary Spaces in Consideration of Health, Safety and Well-Being of Children
US9114439B2 (en) Shoe sanitation device
Gilmore Andes et al. Development and use of the supportive bathroom features checklist in homes designed for retired persons
Tosi et al. 10.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usable home environments for people with Parkinson’s disease
KR20180077642A (ko) 흡착판 비누케이스
Krueger et al. Knack Universal Design: A Step-by-step Guide to Modifying Your Home for Comfortable, Accessible Living
Aliyari ARCHITECTURAL DESIGNING THE NURSING HOMES IN TEHRAN CITY (AS A SAMPLE).
Tiezheng Research and Analysis of Urban Housing Remodeling for the Elderly under the Endowment Model of Ja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