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616U -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 Google Patents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616U
KR20100003616U KR2020080012936U KR20080012936U KR20100003616U KR 20100003616 U KR20100003616 U KR 20100003616U KR 2020080012936 U KR2020080012936 U KR 2020080012936U KR 20080012936 U KR20080012936 U KR 20080012936U KR 20100003616 U KR20100003616 U KR 201000036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ming
unit
portable terminal
auxiliary battery
outgo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호
Original Assignee
박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호 filed Critical 박상호
Priority to KR2020080012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616U/ko
Publication of KR20100003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61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충전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충전커넥팅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결되기 위한 입출력(I/O)커넥팅부와, 상기 충전커넥팅부를 통해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입출력 커넥팅부를 통해 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충방전용 전지를 구비하는 충방전부를 구비하는 보조밧데리부와; 휴대단말기의 착발신 주파수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출력신호를 통해 착발신 여부를 감지하는 착발신 감지부와, 상기 착발신 감지부의 착발신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엘이디들의 발광을 컨트롤하는 엘이디 컨트롤러와,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어 발광되는 복수개의 엘이디들로 구성되는 엘이디 발광부를 구비하는 착발신감지발광부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착발신 감지기능, 보조밧데리 기능, 젠더, 휴대폰 액세서리, 키홀더, 메모리스틱 등으로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휴대폰, 보조밧데리, 착발신, 감지, 젠더, 발광

Description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DEVICE FOR MOBILE PHONE AUXILIARY POWER CONNECTOR HAVING RECEIVING AND SENDING SIGNAL SENSING FUNCTION}
본 고안은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단말기의 착발신감지 뿐아니라, 비상시의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로 사용할 수 있는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이제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아니되는 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보통 크게 본체와 이러한 본체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본체에 결합된 밧데리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폰 사용자는 보통 이러한 밧데리를 1~2개 정도 구비하고, 보통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는 밧데리 충전장치에 충전을하여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밧데리를 장착한 휴대폰과는 별도로 충전된 예비 밧데리를 가지고 다니다가, 휴대폰에 장착된 밧데리가 방전된 경우, 방전된 밧데리를 예비 밧데리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예비 밧데리를 가지고 있지 않고, 충전장치 역시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휴대폰에 장착된 밧데리가 방전되어 휴대폰이 꺼지게 되는 일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특히, 급하게 연락을 취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일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곤란하게 된다. 최근, 거리에 많이 있는 편의점 등에서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휴대폰 밧데리의 충전서비스를 받을 수는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는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여야 할 뿐 아니라, 충전에 필요한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은 휴대폰을 꺼 놓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
과거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밧데리의 지속시간이 반나절을 넘길 수가 없어서 예비 밧데리를 휴대폰과 함께 소지하고 다니는 것이 필수였으나, 최근밧데리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 저장 용량도 늘어났기 때문에, 이러한 예비 밧데리를 가지고 다니는 사용자가 줄어들게 되어, 휴대폰에 장착된 밧데리가 방전되어 곤란한 상황이 생기는 일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폰의 밧데리가 방전된 경우, 보조적으로 간편하게 사용 가능하고, 충전도 가능한 보조 밧데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휴대단말기의 경우, 착신감지기능, 젠더 등 다양한 편의 장치들이 부가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모두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있어 이들 각각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 휴대하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착발신 감지기능 및 보조밧데리 기능을 구비한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젠더, 휴대폰 액세서리, 키홀더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메모리 저장기능을 구비한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한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충전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충전커넥팅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결되기 위한 입출력(I/O)커넥팅부와, 상기 충전커넥팅부를 통해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입출력 커넥팅부를 통해 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충방전용 전지를 구비하는 충방전부를 구비하는 보조밧데리부와; 휴대단말기의 착발신 주파수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출력신호 를 통해 착발신 여부를 감지하는 착발신 감지부와, 상기 착발신 감지부의 착발신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엘이디들의 발광을 컨트롤하는 엘이디 컨트롤러와,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어 발광되는 복수개의 엘이디들로 구성되는 엘이디 발광부를 구비하는 착발신감지발광부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상기 보조밧데리부와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의 사이에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의 기능을 온 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칭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착발신 감지부는 상기 안테나의 출력신호가 휴대단말기 착발신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인 경우에 이에 응답하여 미세한 전압차를 발생시키는 쇼트키 다이오드와,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앰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는, 상기 보조밧데리부의 전원 또는 외부전원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는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레귤레이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밧데리부는,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상기 입출력커넥팅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에 발광하는 파워 엘이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엘이디 발광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엘이디들은 복수의 엘이디들이 원형, 다각형의 형태를 포함하는 일정 형상을 가지도록 배열되며,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엘이디들을 순차적, 동시다발적, 및 선택적인 발광방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엘이디들의 착발신 감지시의 발광횟수는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상기 충전커넥팅부와 상기 입출력커넥팅부의 핀타입(pin type)구조 변경을 통해 젠더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상기 충전커넥팅부 또는 상기 입출력커넥팅부를 컴퓨터에 연결함에 의해 컴퓨터를 통한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상기 휴대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내장메모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는 상기 안테나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특정한 소리 또는 음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디오 신호 발생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휴대단말기 악세사리 또는 키홀더로 이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양한 기능 즉, 착발신 감지기능, 보조밧데리 기능, 젠더, 휴대폰 액세서리, 키홀더, 메모리스틱 등으로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장치로써 휴대단말기에 부가적으로 필요한 대부분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휴대단말기는 휴대폰, PDA 등 휴대가 가능하며, 전화통화가 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밧데리 장치는, 보조밧데리부(100)와 착발신감지발광부(200)를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보조밧데리부(100)와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200)의 사이에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200)의 기능을 온 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칭부(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저항들(R3,R4,R5,R6,R7,R8,R9,R10), 커패시터(C1,C2) 등의 결선구조나 기능에 대하여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당연히 알 수 있는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보조밧데리부(100)는 충전커넥팅부(110), 입출력커넥팅부(120), 및 충방전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충전커넥팅부(110)는 휴대단말기 충전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충전커넥팅부(110)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휴대단말기 충전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충전커넥팅부(110)는 휴대단말기 충전기기의 연결부의 구조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충전커넥팅 부(110)의 구조 및 동작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입출력 커넥팅부(120)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결되어 전원공급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돌출된 플러그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입출력커넥터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커넥팅부(12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구비되는 입출력커넥터의 구조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출력 커넥팅부(120)는 휴대단말기의 사양에 맞도록 다양하게 변경되는데, 삼성전자 제조 휴대폰의 경우에는 20핀타입, 엘지전자 제조 휴대폰의 경우에는 5핀타입, 모토롤라 제조 휴대폰의 경우에는 14핀타입, 그리고 국내통합규격인 24핀타입 등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변경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커넥팅부(120)의 구조 및 동작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충방전부(130)는 상기 충전커넥팅부(110)를 통해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입출력 커넥팅부(120)를 통해 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충방전용 전지(BAT)를 구비한다. 상기 충방전부(130)에서 출력되는 전압레벨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채용된 밧데리에서 출력되는 전압레벨과 동일하도록 설정되게 된다.
상기 보조밧데리부(100)는,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입출력커넥팅부(1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에 발광하여 접속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파워 엘이디(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200)는 안테나(260), 착발신감지부(250), 엘이디 컨 트롤러(220), 엘이디 발광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안테나(26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착발신 주파수를 감지수신하여 상기 착발신 감지부(300)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안테나(26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착발신시 내부에서 발생되는 주파수를 캡쳐하게 된다.
상기 착발신 감지부(250)는 상기 안테나의 출력신호를 통해 착발신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착발신 감지부(250)의 구현예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발신 감지부(250)는, 상기 안테나(260)의 출력신호가 휴대단말기 착발신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인 경우, 즉 휴대단말기의 착발신이 감지된 경우에, 이에 응답하여 미세한 전압차를 발생시키는 쇼트키 다이오드(Q1)와,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Q1)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앰프(U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앰프(U3)의 출력은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220)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앰프(U3)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칭소자(Q3)를 더 구비하여 상기 스위칭소자(Q3)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220)가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Q1) 및 상기 스위칭소자(Q3)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MOS 트랜지스터나 기타 다른 등가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220)는 상기 착발신 감지부(250)의 착발신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엘이디들의 발광을 컨트롤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220)는 상기 복수의 엘이디들이 순차적, 동시다발적, 또는 선택적으로 발 광하도록 컨트롤 한다. 또한, 한번의 착신 또는 발신 감지시 상기 복수의 엘이디들 각각의 발광횟수를 컨트롤 하게 된다.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220)는 일반적으로 본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엘이디 컨트롤러가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 발광부(230)는 복수개의 엘이디들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들을 하나의 색깔을 가질 수 있으나, 시각적인 효과를 위해 다양한 색깔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8개의 엘이디들(LED 1~8)이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개수 및 색깔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엘이디들(LED 1~8)은 복수의 엘이디들이 원형, 다각형의 형태를 포함하는 일정 형상을 가지도록 배열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밧데리 장치의 앞면과 뒷면을 나누어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면에 4개 뒷면에 4개가 배열될 수 있으며, 앞뒤 1개씩은 병렬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열된 복수의 엘이디들은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220)에 의해 순차적, 동시다발적, 및 선택적인 발광방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발광되도록 제어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200)는 상기 보조밧데리부(100)의 전원 즉 충방전부(130)의 전원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외부전원에 의해 동작되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필요하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200) 내에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레귤레이터(2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200)에 상기 안테나(260)의 착발신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특정한 소리 또는 음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디오 신호 발생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착발신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보조밧데리 장치의 동작을 도 2를 참고로 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적으로 상기 보조밧데리부(100)는 평상시에는 상기 충전커넥팅부(110)를 통해 상기 충방전부(130)에 구비된 전지셀(BAT)을 충전한다. 그리고 비상시에는 상기 입출력커넥팅부(120)와 휴대단말기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워엘이디(14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입출력커넥팅부(1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에 발광하여 접속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그리고 착발신감지발광부(200)는 휴대 단말기의 착발신시 이를 감지하여 엘이디를 발광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안테나(260)는 휴대단말기의 착신 또는 발신시 휴대단말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착발신 주파수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안테나(260)가 착발신주파수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Q1)의 1번핀과 2번핀 사이에는 미세한 전압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미세한 전압차는 상기 앰프(U3)(예를들면, OP 앰프)에 전달되고, 상기 앰프(U3)에서는 1번핀과 3번핀으로 입력되는 전압차에 응답하여 4번핀으로 로우(Low) 또는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앰프(U3)의 출력신호는 상기 스위칭소자(Q3)를 스위칭하게 되고, 스위칭여부에 따라서,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220)를 동작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앰프(U3)가 하이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스위칭소자(Q3)가 클로즈(close)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220)가 동작되게 되고, 상기 앰프(U3)가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스위칭소자(Q3)가 오픈(open)상태로 되어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220)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물론 이와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상기 앰프(U3)가 하이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스위칭소자(Q3)가 오픈(open) 이에 따라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220)가 동작하지 않으며, 상기 앰프(U3)가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스위칭소자(Q3)가 클로즈(close)상태로 되어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220)는 동작하게 된다.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220)는 이미 설명한 바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엘이디 발광부(2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엘이디들(LED1~8)의 발광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들어, 한번의 동작에 의해 복수의 엘이디들(LED1~8)을 24회 반복 온오프 시키는 제어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이외에도 상기 착발신 감지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상기 충전커넥팅부(110)와 상기 입출력커넥팅부(120)의 핀타입(pin type)구조 변경을 통해 젠더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제조사별로 다른 핀타입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와 표준형 충전기의 핀타입이 서로 다름에 따라 이들을 서로 연결해 주기 위해 필수적 또는 선택적으로 구비 되어야 하는 젠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컴퓨터를 통한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충전커넥팅부(110) 또는 입출력커넥팅부(120)의 구조를 USB 포트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상기 휴대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메모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휴대용 메모리 스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충전커넥팅부(110) 또는 입출력커넥팅부(120)의 구조는 USB 포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휴대단말기 악세사리 또는 키홀더로 이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다양한 기능 즉, 착발신 감지기능, 보조밧데리 기능, 젠더, 휴대폰 액세서리, 키홀더, 메모리스틱 등으로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장치로써 휴대단말기에 필요한 대부분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고안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현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조밧데리부 200 : 착발신감지발광부
300 : 스위칭부 110 : 충전커넥팅부
120 : 입출력커넥팅부 130 : 충방전부
220 : 엘이디 컨트롤러 230 : 엘이디 발광부
250 : 착발신 감지부 260 : 안테나

Claims (12)

  1.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에 있어서:
    충전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충전커넥팅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결되기 위한 입출력(I/O)커넥팅부와, 상기 충전커넥팅부를 통해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입출력 커넥팅부를 통해 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충방전용 전지를 구비하는 충방전부를 구비하는 보조밧데리부와 ;
    휴대단말기의 착발신 주파수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출력신호를 통해 착발신 여부를 감지하는 착발신 감지부와, 상기 착발신 감지부의 착발신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엘이디들의 발광을 컨트롤하는 엘이디 컨트롤러와,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어 발광되는 복수개의 엘이디들로 구성되는 엘이디 발광부를 구비하는 착발신감지발광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상기 보조밧데리부와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의 사이에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의 기능을 온 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칭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발신 감지부는 상기 안테나의 출력신호가 휴대단말기 착발신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인 경우에 이에 응답하여 미세한 전압차를 발생시키는 쇼트키 다이오드와,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앰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는, 상기 보조밧데리부의 전원 또는 외부전원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는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레귤레이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조밧데리부는,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상기 입출력커넥팅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에 발광하는 파워 엘이디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발광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엘이디들은 복수의 엘이디들이 원형, 다각형의 형태를 포함하는 일정 형상을 가지도록 배열되며,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엘이디들을 순차적, 동시다발적, 및 선택적인 발광방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발광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엘이디들의 착발신 감지시의 발광횟수는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상기 충전커넥팅부와 상기 입출력커넥팅부의 핀타입(pin type)구조 변경을 통해 젠더로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상기 충전커넥팅부 또는 상기 입출력커넥팅부를 컴퓨터에 연결함에 의해 컴퓨터를 통한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상기 휴대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내장메모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발신감지발광부는 상기 안테나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특정한 소리 또는 음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디오 신호 발생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는, 휴대단말기 악세사리 또는 키홀더로 이 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KR2020080012936U 2008-09-26 2008-09-26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KR201000036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936U KR20100003616U (ko) 2008-09-26 2008-09-26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936U KR20100003616U (ko) 2008-09-26 2008-09-26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616U true KR20100003616U (ko) 2010-04-05

Family

ID=4929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936U KR20100003616U (ko) 2008-09-26 2008-09-26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61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832A (ko) * 2012-06-25 2014-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단말기 보조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832A (ko) * 2012-06-25 2014-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단말기 보조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92368B (zh) 一种微处理器处理汽车多功能充电器数据的方法和装置
KR101216145B1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
KR20060121975A (ko) 단일 라인상에 비휘발성 메모리 및 서미스터를 갖는 배터리회로
CN103682491A (zh) 电子设备间的充电方法、充电电路以及电子设备
CN212278437U (zh) 耳机盒以及耳机套件
CN109413532A (zh) 一种蓝牙耳机充电电路及蓝牙耳机
US7623352B2 (en) Power supply and speakerphone for handheld devices
KR20100003616U (ko) 착발신감지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조밧데리 장치
KR20090112968A (ko)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한 젠더
US20220190612A1 (en) Multi-Port Charger and Battery Pack Multi-Port Charger Set
KR20090001494U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장치
KR20060080652A (ko) 휴대용 충전장치
KR100623625B1 (ko) 휴대형 범용 전력 공급장치
EP1814235B1 (en) Audio/Charging module and electronic syste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reof
CN212969124U (zh) 一种基于外置电池的双电池电子设备
CN211152198U (zh) 麦克风主机控制电路
KR200422217Y1 (ko) 이동기기용 예비 2차 전지장치
KR20190091959A (ko)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
KR101002480B1 (ko) 휴대 단말용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KR200244283Y1 (ko) 1.5볼트 건전지를 이용한 휴대폰 충전기
US202200822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ll phone cases with charging port illumination
CN208903241U (zh) 一种烧写头及芯片数据烧写系统
JP2012075273A (ja) 充電器
TWI250765B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galvanic function
KR200188842Y1 (ko) 셀룰러 폰용 휴대 전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