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430A -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 Google Patents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430A
KR20100003430A KR1020080063321A KR20080063321A KR20100003430A KR 20100003430 A KR20100003430 A KR 20100003430A KR 1020080063321 A KR1020080063321 A KR 1020080063321A KR 20080063321 A KR20080063321 A KR 20080063321A KR 20100003430 A KR20100003430 A KR 20100003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ardrobe
coupled
door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3888B1 (ko
Inventor
백윤수
조은별
조형철
정인균
도남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8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2Wardrobes with extensible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Landscapes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은, 옷이 수납되는 옷장에 있어서, 옷걸이를 걸 수 있는 복수의 레일이 조합되어 순환구조를 이루는 레일부재; 각 레일의 일 측에 각각 결합되어 각 레일이 일체가 되게 하는 경첩부재; 일 단은 레일부재의 일 측에 결합되고, 타 단은 옷장 내면 일 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레일부재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옷걸이를 순환이동시키는 롤링부재; 및 도어의 일 측과 레일부재의 일 측에 각각 결합된 지지대가 구비되어 옷장 앞면에 배치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도어가 닫히면 지지대가 레일부재를 밀면서 경첩부재가 접혀 레일부재가 절첩된 상태로 옷장 내부에 수납되며, 도어가 열리면 지지대가 레일부재를 끌어당기면서 경첩부재가 펼쳐져 레일부재가 펼쳐진 상태로 옷장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은 사용자가 옷을 직접 착용하지 않고도 옷을 입은 모습을 용이하게 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일이 옷장에 수납되어 있다가 옷장 도어를 열면 레일이 배출되는 구조가 구비되어, 옷장 하나로 옷의 진열, 수납 뿐 아니라 소비자가 옷을 대어보는 구조가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레일부재, 경첩부재, 롤링부재, 절첩, 상의걸이부, 옷장, 거울

Description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WARDROBE COMPRISING FOLDING RAIL MEMBER}
본 발명은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옷장에 배치된 옷을 사용자가 직접 착용하지 않고도 거울을 통해 옷이 자신에게 적합한 지를 살펴볼 수 있는 레일이 구비된 옷장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옷을 선택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마음에 드는 옷을 고르기 위해 상의 또는 하의를 집어들어 자기의 신체 상부 또는 하부에 대어서 거울을 보고 적합한 옷을 고른 후에 드레스 룸으로 가서 직접 착용해 보는 방식으로 옷을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여러 옷을 비교하는 경우에는 옷을 옷걸이에서 일일이 탈부착해야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를 가진다.
첫째, 상의 및 하의 등의 옷을 옷걸이에서 일일이 탈부착하지 않고도 소비자가 자신의 몸에 해당 옷을 입은 모습을 볼 수 있게 한다.
둘째, 사용자의 신장 차이에 불구하고 용이하게 옷을 입은 모습을 볼 수 있게 한다.
셋째, 옷장 도어를 열면, 옷걸이가 장착된 레일이 외부로 배출되고, 이러한 레일을 통해 옷이 옷장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어 옷장 도어에 부착된 거울을 통해 옷을 입은 모습을 볼 수 있게 한다.
넷째, 옷장 도어를 닫으면 배출된 레일이 옷장 속으로 수납되게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은, 옷이 수납되는 옷장에 있어서, 옷걸이를 걸 수 있는 복수의 레일이 조합되어 순환구조를 이루는 레일부재; 각 레일의 일 측에 각각 결합되어 각 레일이 일체가 되게 하는 경첩부재; 일 단은 레일부재의 일 측에 결합되고, 타 단은 옷장 내면 일 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레일부재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옷걸이를 순환이동시키는 롤링부재; 및 도어의 일 측과 레일부재의 일 측에 각각 결합된 지지대가 구비되어 옷장 앞면에 배치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은 도어가 닫히면 지지대가 레일부재를 밀면서 경첩부재가 접혀 레일부재가 절첩된 상태로 옷장 내부에 수납되며, 도어가 열리면 지지대가 레일부재를 끌어당기면서 경첩부재가 펼쳐져 레일부재가 펼쳐진 상태로 옷장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레일부재의 상부에는 롤링부재가 삽입되는 상부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레일부재의 하부에는 경첩부재가 결합되는 하부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레일부재는, 절첩되지 않은 상태로 옷장 최내측에 배치되는 제1 레일과 절첩가능한 나머지 레일로서 구성되며, 나머지 레일은 제1 레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제2 레일, 제3 레일, 제4 레일 및 제5 레일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경첩부재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의 안쪽에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제2 레일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1 경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경첩부재는 제2 레일과 제3 레일의 바깥쪽에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양 레일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2 경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경첩부재는 제3 레일과 제4 레일의 바깥쪽에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양 레일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3 경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경첩부재는 제4 레일과 제5 레일의 바깥쪽에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양 레일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4 경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경첩부재는 제5 레일과 제6 레일의 안쪽에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제5 레일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5 경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상부신축부와 하부신축부가 상하 신축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상부신축부와 하부신축부는 나사결합부로 상호 결합되어 각 신축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신축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상부신축부 및 하부신축부는, 일 신축부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타 신축부에는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각 돌기가 대응되는 각 홈에 삽입안착되면서 상하 신축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상부신축부의 상측은 절곡연장 형성되어 옷장 일 면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롤링부재는 레일부재의 상부가이드홈에 롤링가능하게 삽입되는 롤러와, 롤러에서 연장형성되어 옷걸이를 걸 수 있는 걸이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걸이부는 갈고리형상 또는 구멍형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도어의 지지대는 도어가 닫힐 때는 절첩되고, 도어가 열릴 때는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도어에는 거울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도어에는 막대형상의 거치봉, 거치봉의 양 단에 배치되어 거치봉이 도어에 결합되게 하는 고정대 및 거치봉에 돌출형성되어 소품을 걸 수 있는 복수의 걸이부를 포함하는 소품걸이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있어서, 도어에는 고정대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형성되어 소품걸이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은 사용자가 옷을 직접 착용하지 않고도 옷을 입은 모습을 용이하게 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일이 옷장에 수납되어 있다가 옷장 도어를 열면 레일이 배출되는 구조가 구비되어, 옷장 하나로 옷의 진열, 수납 뿐 아니라 소비자가 옷을 대어보는 구조가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은 옷장(10) 내에 옷걸이(40)에 의해 수납되어 있는 의복이 옷걸이(40)에 걸린 상태 그대로 옷장(10)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의복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10)을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재(110)에 경첩부재(120)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은 레일부재(110)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의걸의부(100) 또는 하의걸이부(200)가 1개만 구비될 수도 있고, 도 1과 같이 상의걸이부(100) 및 하의걸이부(200)가 2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3 피스(three piece)의 의복인 경우 3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은, 옷이 수납되는 옷장(10)으로서, 옷걸이(40)를 걸 수 있는 복수의 레일이 조합되어 순환구조를 이루는 레일부재(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은 상기 각 레일의 일 측에 각각 결합되어 각 레일이 일체가 되게 하는 경첩부재(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은, 일 단은 상기 레일부재(110)의 일 측에 결합되고, 타 단은 옷장 내면 일 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은, 상기 레일부재(1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옷걸이(40)를 순환이동시키는 롤링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은 상기 도어(20)의 일 측과 상기 레일부재(110)의 일 측에 각각 결합된 지지대(21)가 구비되어 옷장 앞면에 배치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은 도어(20)가 닫히면 상기 지지대(21)가 상기 레일부재(110)를 밀면서 상기 경첩부재(120)가 접혀 상기 레일부재(110)가 절첩된 상태로 옷장(10) 내부에 수납되며, 도어(20)가 열리면 상기 지지대(21)가 상기 레일부재(110)를 끌어당기면서 상기 경첩부재(120)가 펼쳐져 상기 레일부재(110)가 펼쳐진 상태로 옷장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재(110)의 상부에는 롤링부재(300)가 삽입되는 상부가이드홈(111)이 형성되고, 레일부재(110)의 하부에는 경첩부재(120)가 결합되는 하부결합홈(1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및 도 6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되지 않은 상태로 옷장 최내측에 배치되는 제1 레일(110a)과 절첩가능한 나머지 레일로서 구성되며, 상기 나머지 레일은 제1 레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제2 레일(110b), 제3 레일(110c), 제4 레일(110d) 및 제5 레일(110e)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첩부재(120)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양 레일을 결합하여 절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첩부재(120)와 각 레일의 상호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첩부재(120)는 제1 레일(110a)과 제2 레일(110b)의 안쪽에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제2 레일(110b)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1 경첩(12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첩부재(120)는 제2 레일(110b)과 제3 레일(110c)의 바깥쪽에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양 레일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2 경첩(12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첩부재(120)는 제3 레일(110c)과 제4 레일(110d)의 바깥쪽에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양 레일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3 경첩(12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첩부재(120)는 제4 레일(110d)과 제5 레일(110e)의 바깥쪽에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양 레일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4 경첩(12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첩부재(120)는 제5 레일(110e)과 제6 레일(110f)의 안쪽에 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제5 레일(110e)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5 경첩(12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 경첩부재(121,122,123,124,125) 및 각 레일(110a,110b,110c,110d,110e)가 절첩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어(20)가 열렸을 때,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재(110)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어(20)의 일 측과 레일부재(110)의 일 측, 구체적으로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레일(110c)의 일측에 각각 결합된 지지대(21)가 구비되어 있는데, 도어(20)를 열면 지지대(21)가 복수의 각 레일을 펼쳐내면서 레일부재(110)가 옷장(10) 외부로 인출되게 한다.
도 4는 도어(20)가 닫혔을 때,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재(120)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어(20)를 닫으면, 지지대(21)가 레일(110c)를 밀면서 그 힘이 다른 레일에도 전달된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0a)와 결합된 레일(110b)의 일 측이 제1 경첩(121)에 의해 안쪽으로 절첩되며, 레일(110b) 및 레일(110c)는 제2 경첩(122)에 의해 안쪽으로 절첩되며, 레일(110c) 및 레일(110d)은 제3 경첩(123)에 의해 안쪽으로 절첩되며, 레일(110d) 및 레일(110e)은 제4 경첩(124)에 의해 안쪽으로 절첩되며, 레일(110a)과 결합된 레일(110e)도 안쪽으로 절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21)는 도어가 닫힐 때는 절첩되고, 도어가 열릴 때는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21)는 도 어(20)가 닫힐 때 절첩되지 않는 실시예도 가능하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되는 실시예가 옷장 공간을 과도하게 크게 하지 않는 측면과 동작의 용이함의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롤링부재(300)는 레일부재(110)의 상부가이드홈(111)에 롤링가능하게 삽입되는 롤러(310)와, 상기 롤러(310)에서 연장형성되어 옷걸이(40)를 걸 수 있는 걸이부(3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롤러(310)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레일부재(110)의 상부가이드홈(110)의 양쪽 모두에서 슬라이딩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110)의 상부가이드홈(111)의 일 측에서만 슬라이딩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3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310)는 사용자가 레일부재(110)에 걸린 옷을 거울(31)에 비추어보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측면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이드홈(111)의 일 측에서만 슬라이딩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며, 상부가이드홈(111)의 외측에서만 슬라이딩되는 구조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롤링부재(300)의 걸이부(320)는 옷걸이(40)를 걸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므로, 옷걸이(40)를 걸 수 있는 형상이면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갈고리형상(미도시) 또는 구멍형상(도 6 및 도 7 참조)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130)는 고정된 길이를 갖는 구조도 가능하나, 사용자의 신장차이를 고려하여 상하 신축가능한 상부신축부(131)와 하부신축부(132)가 결합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13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로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신축부(131)와 하부신축부(132)가 나사결합부(1311)로 상호 결합되어 각 신축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신축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신축부(131) 및 하부신축부(132)는, 일 신축부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131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타 신축부에는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홈(1313)이 형성되어, 각 돌기가 대응되는 각 홈에 삽입안착되면서 상하 신축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130)는 옷장(10)의 어느 곳에 결합되느냐에 따라 다른 실시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옷장(10) 내면 중 상면에 결합되는 경우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신축부(131)와 하부신축부(132)가 결합된 상태 그대로, 결합부재(130)의 하측은 레일부재(110)에 고정되고, 결합부재(130)의 상측은 옷장 내면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주로 상의걸이부(100)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옷장(10) 내면 중 측면에 결합되는 경우라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130)의 상부신축부(131)의 상측으로부터 절곡연장형성된 고정부(133)가 추가로 구비되어 옷장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의걸이부(100) 및 하의걸이부(200)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특히 상의를 선택하는 경우, 넥타이나 스카프 등의 소품도 의복과 잘 어울리는 지를 판단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상의 거치봉(410), 거치봉(420)의 양 단에 배치되어 거치봉(420)이 도어(20)에 결합되게 하는 고정대(420) 및 거치봉(410)에 돌출형성되어 소품을 걸 수 있는 복수의 걸이부(430)를 포함하는 소품걸이부(40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품걸이부(400)는 상의걸이부(100)가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것과 같이 높낮이조절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어(20)에는 고정대(420)가 결합되는 체결공(22)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형성되어 소품걸이부(4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도 11 참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의 실시예이다. 상의걸이부(100)는 옷장의 상면에 결합된 결합부재(130)에 의해 옷장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의걸이부(200)는 고정부(133)가 구비된 결합부재(130)에 의해 옷장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의걸이부(100) 및 하의걸이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레일부재(110)에서 순환되는 롤링부재(300)에 걸린 복수의 옷걸이(40)에 옷이 걸린 상태 그대로, 거울(30)을 통해 옷을 입은 듯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옷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 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을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재에 경첩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재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재에 롤링부재의 일 실시예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재에 롤링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가 신축되는 여러 실시예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형상을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레일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품걸이부(4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옷장 20 : 도어
21 : 지지대 22 : 체결공
30 : 거울 40 : 옷걸이
100 : 상의걸이부 110 : 레일부재
110 : 상부가이드홈 112 : 하부결합홈
120 : 경첩부재 121 : 제1 경첩
122 : 제2 경첩 123 : 제3 경첩
124 : 제4 경첩 125 : 제5 경첩
130 : 결합부재 131 : 상부신축부
132 : 하부신축부 1311 : 나사결합부
1312 : 돌기 1313 : 홈
133 : 고정부 200 : 하의걸이부
300 : 롤링부재 310 : 롤러부
320 : 걸이부 400 : 소품걸이부
410 : 거치봉 420 : 고정대
430 : 걸이부 10 : 옷장

Claims (18)

  1. 옷이 수납되는 옷장에 있어서,
    옷걸이를 걸 수 있는 복수의 레일이 조합되어 순환구조를 이루는 레일부재; 상기 각 레일의 일 측에 각각 결합되어 각 레일이 일체가 되게 하는 경첩부재; 일 단은 상기 레일부재의 일 측에 결합되고, 타 단은 옷장 내면 일 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레일부재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옷걸이를 순환이동시키는 롤링부재; 및 상기 도어의 일 측과 상기 레일부재의 일 측에 각각 결합된 지지대가 구비되어 옷장 앞면에 배치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지지대가 상기 레일부재를 밀면서 상기 경첩부재가 접혀 상기 레일부재가 절첩된 상태로 옷장 내부에 수납되며, 도어가 열리면 상기 지지대가 상기 레일부재를 끌어당기면서 상기 경첩부재가 펼쳐져 상기 레일부재가 펼쳐진 상태로 옷장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롤링부재가 삽입되는 상부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경첩부재가 결합되는 하부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는, 절첩되지 않은 상태로 옷장 최내측에 배치되는 제1 레일과 절첩가능한 나머지 레일로서 구성되며, 상기 나머지 레일은 제1 레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제2 레일, 제3 레일, 제4 레일 및 제5 레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재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의 안쪽에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제2 레일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1 경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재는 제2 레일과 제3 레일의 바깥쪽에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양 레일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2 경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재는 제3 레일과 제4 레일의 바깥쪽에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양 레일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3 경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재는 제4 레일과 제5 레일의 바깥쪽에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양 레일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4 경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재는 제5 레일과 제6 레일의 안쪽에서 양 레일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제5 레일을 절첩가능하게 하는 제5 경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부신축부와 하부신축부가 상하 신축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신축부와 하부신축부는 나사결합부로 상호 결합되어 각 신축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신축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신축부 및 하부신축부는, 일 신축부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타 신축부에는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각 돌기가 대응되는 각 홈에 삽입안착되면서 상하 신축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신축부의 상측은 절곡연장 형성되어 옷장 일 면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의 상부가이드홈에 롤링가능하게 삽입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서 연장형성되어 옷걸이를 걸 수 있는 걸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갈고리형상 또는 구멍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지지대는 도어가 닫힐 때는 절첩되고, 도어가 열릴 때는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거울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막대형상의 거치봉, 상기 거치봉의 양 단에 배치되어 거치봉이 도어에 결합되게 하는 고정대 및 상기 거치봉에 돌출형성되어 소품을 걸 수 있는 복수의 걸이부를 포함하는 소품걸이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고정대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형성되어 상기 소품걸이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KR1020080063321A 2008-07-01 2008-07-01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KR101023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321A KR101023888B1 (ko) 2008-07-01 2008-07-01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321A KR101023888B1 (ko) 2008-07-01 2008-07-01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30A true KR20100003430A (ko) 2010-01-11
KR101023888B1 KR101023888B1 (ko) 2011-03-22

Family

ID=4181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321A KR101023888B1 (ko) 2008-07-01 2008-07-01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8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3136A (zh) * 2017-05-25 2017-07-21 应凯 可延展的衣柜
CN107019346A (zh) * 2017-05-25 2017-08-08 应凯 兼具试衣柜和化妆柜功能的内柜体
KR102619358B1 (ko) * 2023-09-01 2023-12-29 주식회사 대유시스템 거울 후면 부착용 수납도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9728U (ko) * 1975-05-02 1976-11-11
JPS53108430U (ko) * 1977-02-04 1978-08-31
JPS5420926U (ko) * 1977-07-13 1979-02-10
JP3485951B2 (ja) * 1993-10-12 2004-01-13 久生 山口 洋服ダン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3136A (zh) * 2017-05-25 2017-07-21 应凯 可延展的衣柜
CN107019346A (zh) * 2017-05-25 2017-08-08 应凯 兼具试衣柜和化妆柜功能的内柜体
KR102619358B1 (ko) * 2023-09-01 2023-12-29 주식회사 대유시스템 거울 후면 부착용 수납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888B1 (ko)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5757B2 (ja) 二重懸架クロゼットが適合可能な収容アッセンブリ
KR101023888B1 (ko)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KR20090000074U (ko) 건조대 겸용 행거 구조
KR20080005164U (ko) 수납공간을 가지는 스텐드타입 옷걸이
KR200448546Y1 (ko) 다기능 옷걸이
KR20090096103A (ko) 접이형 옷걸이
KR200487425Y1 (ko) 다기능 옷걸이
JP4577647B2 (ja) 洗面化粧台
CN209186295U (zh) 一种多功能组合衣架
KR200222652Y1 (ko) 다방향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0799173B1 (ko)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20110093209A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옷걸이
EP3476993A1 (en) Clotheshorse with rods attached to both ends with opening for the insertion and the support of the laundry to be dried
KR20080002291U (ko) 옷장용 바지 걸이대
KR102241928B1 (ko) 인출식 빨래 건조대
KR970004171Y1 (ko) 의장
CN220045525U (zh) 一种多功能挂架
KR200219485Y1 (ko) 슬라이드 출몰식 바지걸이
CN214244992U (zh) 晾衣架、落地晾晒架以及电动晾衣架
KR200321909Y1 (ko) 일측에 행거가 구비된 장롱
KR200301729Y1 (ko) 접철가능한 수납형 옷장
CN210989561U (zh) 一种可折叠式晾衣架
KR102091545B1 (ko) 빨래 건조대
KR20090123250A (ko) 일체형 상하의 옷걸이
KR200236732Y1 (ko) 가구용 인출식 바지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