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893U -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 - Google Patents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893U
KR20100002893U KR2020080012001U KR20080012001U KR20100002893U KR 20100002893 U KR20100002893 U KR 20100002893U KR 2020080012001 U KR2020080012001 U KR 2020080012001U KR 20080012001 U KR20080012001 U KR 20080012001U KR 20100002893 U KR20100002893 U KR 201000028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haped
main shaft
jig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0828Y1 (ko
Inventor
송진용
김완식
Original Assignee
송진용
김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용, 김완식 filed Critical 송진용
Priority to KR2020080012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82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8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8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1Faceting ge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5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otatably or pivotably arrange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숙련공에 의해 장시간에 걸쳐 링형 장신구의 외측곡면에 무늬를 세공함으로 안전사고 및 인건비상승 문제와 최고의 숙련공이라도 외측곡면에 일정하게 가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다양한 세공이 불가하며 잦은 실수로 불량 발생률이 높아 손실이 커 이러한 장신구 표면 무늬 수공방법의 대안으로 주물가공 방법을 선택하고 있으나 조직내 기포로 인해 경도가 낮고 광이 잘 나지 않아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와 귀금속 재질의 특성에 따라 제조방법이 달라 동시 가공이 불가한 문제 등을 개선하여, 재질에 무관하게 동일한 표면 무늬세공이 가능하고 조직이 단단하고 광이 잘나 호환성이 좋고 외측곡면 뿐만 아니라 측면과 소정각도의 면도 다양한 무늬를 일정하게 세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고품질의 링형 장신구를 제조할 수 있고 숙련공이 아닌 초보자라도 빠르고 안전한 세공이 가능하여 안전사고 예방 및 인건비 절감을 할 수 있는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단부에 링형 장신구를 밀착고정하고 구동모터(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축(10)과; 상기 주축(10)의 단부와 대향하도록 위치되되 소정간격내에서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단부를 후퇴시키는 탈착레버(22)와 전진시키는 복원용스프링(23)을 이용하여 상기 주축(10)에 링형 장신구를 삽입후 그 타측을 밀착고정한 뒤 주축(10)과 함께 회전되며 타단에는 수동핸 들(24)이 형성되는 종동축(20)과; 상기 주축(10)과 종동축(20)에 의해 양측이 밀착고정된 링형 장신구의 외주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에서 양각 무늬가 외주면에 형성된 원반모양의 로레트볼(34)이 회전하면서 가압하여 무늬를 세공하도록 형성된 세공부(30)와; 상기 구동모터(5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50)의 동작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버튼부(41)와 구동모터(50)의 속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42)가 전면패널에 형성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 로레트볼, 로레트볼고정용 지그

Description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MACHINE ENGRAVING PATTERNS ON THE CURVED SURFACE OF RING TYPED ACCESSORIES}
본 고안은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숙련공에 의해 장시간에 걸쳐 링형 장신구의 외측곡면에 무늬를 세공함으로 안전사고 및 인건비상승 문제와 최고의 숙련공이라도 외측곡면에 일정하게 가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다양한 세공이 불가하며 잦은 실수로 불량 발생률이 높아 손실이 커 이러한 장신구 표면 무늬 수공방법의 대안으로 주물가공 방법을 선택하고 있으나 조직내 기포로 인해 경도가 낮고 광이 잘 나지 않아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와 귀금속 재질의 특성에 따라 제조방법이 달라 동시 가공이 불가한 문제 등을 개선하여, 재질에 무관하게 동일한 표면 무늬세공이 가능하고 조직이 단단하고 광이 잘나 호환성이 좋고 외측곡면 뿐만 아니라 측면과 소정각도의 면도 다양한 무늬를 일정하게 세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고품질의 링형 장신구를 제조할 수 있고 숙련공이 아닌 초보자라도 빠르고 안전한 세공이 가능하여 안전사고 예방 및 인건비 절감을 할 수 있는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금속재 장신구는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새기거나 각종 천연보 석, 합성보석 및 인조보석과 모조보석 등을 다수 개 박아 갖가지 색상의 빛을 난반사시킴으로써 심미감을 더하고 있다.
장신구의 표면에 무늬를 새기는 작업은, 평면(FLAT SURFACE)인 경우에는 숙련공에 의해 다양하게 작업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무늬를 반복해서 일정하게 작업하는 것은 숙련공이라 해도 매우 어려운 일이며 세공면이 평면이 아닌 곡면(CURVED SURFACE)인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이렇듯 반지, 귀걸이, 팔찌, 팬던트 중 링형의 장신구(RING TYPED ACCESSORIES)의 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링형 장신구의 외주면에 동일한 무늬를 회전시켜가며 다수번 반복하여 세공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또한, 세공용 공구를 이용하여 링형 장신구를 회전시켜가며 가공하다보면 힘이 많이 들어간 부분과 힘이 덜 들어간 부분의 세공깊이가 달라지는 등 균일한 세공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또한, 능숙한 숙련공이라 하더라고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링형 장신구의 외주면을 세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더불어 측면이 곡면인 경우 드릴이 미끄러지는 관계로 일정한 세공자체가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였다.
또한, 능숙한 숙련공이라도 한 손으로 링형 장신구를 잡고 다른 손으로 날카롭고 빠르게 회전하는 세공용 공구를 잡아 가공함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다.
더구나, 링형 장신구의 경우 등간격으로 회전시키면서 가공하거나 소정각도로 기울이는 작업의 경우 섬세한 작업을 요구하기에 링형 장신구를 손으로 잡고 하 는 경우가 많아 더욱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생산할 경우, 능숙한 숙련공이라 할지라도 동일한 품질의 링형 장신구를 계속 생산해 낼 수 없어 품질을 보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링형 장신구의 재질에 따라 특성이 매우 달라 동일한 세공작업을 재질별로 다르게 작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숙련공이 작업시 링형 장신구의 재질에 따라 누르는 힘의 정도 및 속도 등을 달리하여 매우 조심스럽게 작업해야 한다. 만일 재질의 특성을 잘못 판단하면 작업시 장신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상기 나열된 문제점들로 인하여 링형 장신구의 원본(고무가다)을 만든 후 금형을 떠서 주물작업을 선택하기도 한다.
그러나, 주물작업으로 생산된 링형 장신구 등의 귀금속 제품은 주물작업후 조직 내부에 기포가 많아 조직이 단단하지 못하며 마무리 가공시 광을 내는 작업을 해도 광이 잘 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종래의 숙련공에 의해 장시간에 걸쳐 링형 장신구의 외측곡면에 무늬를 세공함으로 안전사고 및 인건비상승 문제와 최고의 숙련공이라도 외측곡면에 일정하게 가공하 는 것은 매우 어렵고 다양한 세공이 불가하며 잦은 실수로 불량 발생률이 높아 손실이 커 이러한 장신구 표면 무늬 수공방법의 대안으로 주물가공 방법을 선택하고 있으나 조직내 기포로 인해 경도가 낮고 광이 잘 나지 않아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와 귀금속 재질의 특성에 따라 제조방법이 달라 동시 가공이 불가한 문제 등을 개선하여, 재질에 무관하게 동일한 표면 무늬세공이 가능하고 조직이 단단하고 광이 잘나 호환성이 좋고 외측곡면 뿐만 아니라 측면과 소정각도의 면도 다양한 무늬를 일정하게 세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고품질의 링형 장신구를 제조할 수 있고 숙련공이 아닌 초보자라도 빠르고 안전한 세공이 가능하여 안전사고 예방 및 인건비 절감을 할 수 있는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단부에 링형 장신구를 밀착고정하고 구동모터(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축(10)과; 상기 주축(10)의 단부와 대향하도록 위치되되 소정간격내에서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단부를 후퇴시키는 탈착레버(22)와 전진시키는 복원용스프링(23)을 이용하여 상기 주축(10)에 링형 장신구를 삽입후 그 타측을 밀착고정한 뒤 주축(10)과 함께 회전되며 타단에는 수동핸들(24)이 형성되는 종동축(20)과; 상기 주축(10)과 종동축(20)에 의해 양측이 밀착고정된 링형 장신구의 외주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에서 양각 무늬가 외주면에 형성된 원반모양의 로레트볼(34)이 회전하면서 가압하여 무늬를 세공하도록 형성된 세공부(30)와; 상기 구동모터(5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50)의 동작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버튼부(41)와 구동모터(50)의 속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42)가 전면패널에 형성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공부(30)는, 상기 주축(10)을 둘러싸는 주축하우징(11)의 배면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부경사면(11a)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좌우이송바(311)를 결합하고 그 우측단부에 연결된 좌우이송다이얼(312)을 돌리면 좌우이송바(3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숫나사부(311a)가 회전됨에 따라 좌우이동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제1 암나사부(31a)가 형성된 직육면체 모양의 주몸체(31)와; 상기 주몸체(31)의 좌측면에 상기 상부경사면(11a)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하이송바(321)를 결합하고 그 상단에 연결된 상하이송다이얼(322)을 돌리면 상하이송바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숫나사부(321a)가 회전됨에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제2 암나사부(32a)가 형성된 직육면체 모양의 부몸체(32)와; 상기 부몸체(32)의 일측에 형성된 사각통공(323)에 탈부착되되 로레트볼(34)이 회전가능케 결합되는 사각단면의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는, 상기 부몸체(32)의 사각통공(323)에 삽입되도록 소정길이 하향하여 신장된 후 하부는 전면에서 볼 때 제1 원형홈(331a)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제1 원형통공(331b)이 형성되며 하단은 제1 원형홈(331a)을 따라 반원형으로 라운딩되는 상 부 지그(331)와; 상부는 상부 지그(331)의 제1 원형홈(331a)과 제1 원형통공(331b)에 대응되는 제2 원형홈(332a)과 제2 원형통공(332b)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반원형으로 라운딩되며 하부는 소정길이 하향하여 신장되되 중앙에 로레트볼(34)이 결합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는 절개부(332c)가 형성되고 로레트볼(34)의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341)이 결합되도록 좌우측으로 관통공(332d)이 형성되는 하부 지그(332)와; 상기 상부 지그(331)의 제1 원형통공(331b)과 상기 하부 지그(332)의 제2 원형통공(332b)을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볼트(333)와; 상기 하부 지그(332)의 상단 중앙에 중심선(332e)을 표시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지그(331)의 제1 원형홈(331a)과 접하는 전면에 방사상으로 각도가 표기된 각도표시부(331c);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축(10)의 단부는 소정기울기로 축경되는 제1 테이퍼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축(20)의 단부는 제1 테이퍼부(10a)와 동일한 기울기로 축경되는 제2 테이퍼부(20a)가 형성되며; 외경이 확경됨으로 링형 장신구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양측 개구가 내향하여 상기 제1 테이퍼부(10a)와 동일한 기울기로 축경되는 제3 및 제4 테이퍼부(35a)(35b)가 형성되는 장신구고정용 지그(3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종래의 숙련공에 의해 장시간에 걸쳐 링형 장신구의 외측곡면에 무늬를 세공함으로 안전사고 및 인건비상승 문제와 최고의 숙련공이라도 외측곡면에 일정하게 가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다양한 세공이 불가하며 잦은 실수로 불량 발생률이 높아 손실이 커 이러한 장신구 표면 무늬 수공방법의 대안으로 주물가공 방법을 선택하고 있으나 조직내 기포로 인해 경도가 낮고 광이 잘 나지 않아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와 귀금속 재질의 특성에 따라 제조방법이 달라 동시 가공이 불가한 문제 등을 개선하여, 재질에 무관하게 동일한 표면 무늬세공이 가능하고 조직이 단단하고 광이 잘나 호환성이 좋고 외측곡면 뿐만 아니라 측면과 소정각도의 면도 다양한 무늬를 일정하게 세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고품질의 링형 장신구를 제조할 수 있고 숙련공이 아닌 초보자라도 빠르고 안전한 세공이 가능하여 안전사고 예방 및 인건비 절감을 할 수 있는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은 본 고안을 적용한 일실시예를 보이는 전체사시도 및 요부확대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을 적용한 로레트볼고정용 지그를 보이는 사시 및 정면도와 각도가 변경된 상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을 적용한 세공부의 부몸체가 상하이송다이얼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을 적용한 세공부의 주몸체가 좌우이송다이얼에 의해 좌우이동하는 모습과 탈착레버에 의해 종동축이 좌우이동되는 모습을 보이는 평면 및 정면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을 적용한 일실시예의 우측면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을 적용한 로레트볼고정용 지그에 다양한 로레트를 적용하는 모습을 보이는 개략도이며, 도 7 은 본 고안을 적용한 일실시예를 통하여 세공된 반지를 보이는 사시 및 평면도이고, 도 8 은 본 고안을 적용한 장신구고정용 지그를 이용하여 주축과 종동축 사이에 링형 장신구를 용이하게 고정하는 모습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인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축(10)과 종동축(20)과 세공부(30)와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주축(10)은 단부에 반지, 귀걸이, 팔찌, 팬던트 중 링형으로 형성된 링형 장신구를 고정하고 구동모터(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동 회전축이다.
또한, 상기 종동축(20)은 상기 주축(10)의 단부와 대향하도록 위치되되 소정간격내에서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단부를 후퇴시키는 탈착레버(22)와 전진시키는 복원용스프링(23)을 이용하여 상기 주축(10)에 링형 장신구를 삽입후 그 타측을 밀착고정한 뒤 주축(10)과 함께 회전하며 타단에는 수동핸들(24)이 형성되어 구동모터(50)로 회전시키기 곤란한 정도의 회전의 경우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는 종동 회전축이다.
또한, 상기 세공부(30)는 상기 주축(10)과 종동축(20)에 의해 양측이 밀착고정된 링형 장신구의 외주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에서 양각 무늬가 외주면에 형성된 원반모양의 로레트볼(34)이 회전하면서 가압하여 무늬를 세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로레트볼(34)은 일반적으로 너링(knurling) 작업시에 사용되는 링형의 공구와 유사한 것으로, 귀금속 가공시에 동일한 문양을 반복하여 세공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귀금속 가공용으로 제작된 것이다.
종래에도 로레트볼(34)은 있었으나, 너링 공구와 같은 형태로 수동으로 사용하도록 제작된 것이 전부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구동모터(5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50)의 동작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버튼부(41)와 구동모터(50)의 속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42)가 전면패널에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1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세공부(30)는 좌우이동을 위한 주몸체(31)와 상하이동을 위한 부몸체(32)와 로레트볼고정을 위한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몸체(31)는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되, 상기 주축(10)을 둘러싸는 주축하우징(11)의 배면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부경사면(11a)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좌우이송바(311)를 결합하고 그 우측단부에 연결된 좌우이송다이얼(312)을 돌리면 좌우이송바(3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숫나사부(311a)가 회전됨에 따라 좌우이동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제1 암나사부(31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몸체(32)는 직육면체 모양이되, 상기 주몸체(31)의 좌측면에 상기 상부경사면(11a)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하이송바(321)를 결합하고 그 상단에 연결된 상하이송다이얼(322)을 돌리면 상하이송바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숫나사부(321a)가 회전됨에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제2 암나사부(3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는 사각단면을 갖고, 상기 부몸체(32)의 일측에 형성된 사각통공(323)에 탈부착되되 로레트볼(34)이 회전가능케 결합되며, 상부 지그(331)와 하부 지그(332)와 볼트(333)와 각도표시부(331c)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의 상부 지그(331)는 상기 부몸체(32)의 사각통공(323)에 삽입되도록 소정길이 하향하여 신장된 후 하부는 전면에서 볼 때 제1 원형홈(331a)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제1 원형통공(331b)이 형성되며 하단은 제1 원형홈(331a)을 따라 반원형으로 라운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지그(332)는 상부가 상부 지그(331)의 제1 원형홈(331a)과 제1 원형통공(331b)에 대응되는 제2 원형홈(332a)과 제2 원형통공(332b)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반원형으로 라운딩되며 하부는 소정길이 하향하여 신장되되 중앙에 로레트볼(34)이 결합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는 절개부(332c)가 형성되고 로레트볼(34)의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341)이 결합되도록 좌우측으로 관통공(332d)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의 볼트(333)는 상기 상부 지그(331)의 제1 원형통공(331b)과 상기 하부 지그(332)의 제2 원형통공(332b)을 관통하여 결합시킨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볼트(333)를 느슨하게 한 뒤 하부 지그(332)를 회전시키고 볼트(333)를 조여 고정하면, 소정각도에서 로레트볼(34)이 기울어진 채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도표시부(331c)는 로레트볼(34)이 기울어진 정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 지그(332)의 상단 중앙에 중심선(332e)을 표시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지그(331)의 제1 원형홈(331a)과 접하는 전면에 방사상으로 각도가 표기함으로써, 하부 지그(332)를 소정각도 회전시켜 볼트(333)를 고정할 경우, 어느 정도 기울기로 기울어졌는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반복 작업시 동일한 각도로 기울여 동일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주축(10)의 단부는 소정기울기로 축경되는 제1 테이퍼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축(20)의 단부는 제1 테이퍼부(10a)와 동일한 기울기로 축경되는 제2 테이퍼부(20a)가 형성되며; 외경이 확경됨으로 링형 장신구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양측 개구가 내향하여 상기 제1 테이퍼부(10a)와 동일한 기울기로 축경되는 제3 및 제4 테이퍼부(35a)(35b)가 형성되는 장신구고정용 지그(35);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링형 장신구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1)
먼저,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1)는 주축(10)과 종동축(20)과 세공부(30)와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주축(10)은 단부에 링형 장신구를 밀착고정하도록 소정기울기로 축경되는 제1 테이퍼부(10a)가 형성되고 저부에 내설된 구동모터(50)로부터 체인(51)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동 회전축으로, 본체의 우측에 주축하우징(11) 내에 내설된다.
또한, 상기 종동축(20)은 상기 주축(10)의 단부와 대향하도록 위치되되 소정간격내에서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단부를 후퇴시키는 탈착레버(22)와 전진시키는 복원용스프링(23)을 이용하여, 상기 탈착레버(22)를 이용하여 종동축(20)을 후퇴시킨뒤 링형 장신구를 삽입하고 탈착레버(22)를 놓으면 복원용스프링(23)에 의해 종동축(20)의 단부가 전진하면서 주축(10)과 함께 링형 장신구를 밀착고정한 뒤 주축(10)과 함께 회전되는 종동 회전축으로, 본체의 좌측에 종동축하우징(21) 내에 내설된다. 또한, 상기 종동축(20)의 타단에는 수동핸들(24)이 구비되어 구동모터(50)의 회전으로 제어하기 곤란한 정밀한 회전 또는 느린 회전을 요하는 경우 수동으로 수동핸들(24)을 돌려가면서 세공할 수도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종동축(20)의 단부도 주축(10) 단부의 제1 테이퍼부(10a)와 동일한 기울기로 축경되는 제2 테이퍼부(20a)가 형성하고, 외경이 확경됨으로 링형 장신구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원통형으로 형성되 고 양측 개구가 내향하여 상기 제1 테이퍼부(10a)와 동일한 기울기로 축경되는 제3 및 제4 테이퍼부(35a)(35b)가 형성되는 장신구고정용 지그(35)를 구비하여, 링형 장신구의 내경에 삽입한 뒤 주축(10)과 종동축(20)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고정하고 종동축(20)을 탈착레버(22)를 이용하여 후퇴시킴으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세공부(30)는 상기 주축(10)과 종동축(20)에 의해 양측이 밀착고정된 링형 장신구의 외주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에서 양각 무늬가 외주면에 형성된 원반모양의 로레트볼(34)이 회전하면서 가압하여 무늬를 세공하도록 형성되되, 좌우이동하는 주몸체(31)와 상하이동하는 부몸체(32)와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로 구성된다.
상기 로레트볼(34)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무늬를 양각으로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물론 로레트볼(34)의 무늬를 음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주몸체(31)는 주축(10)을 둘러싸는 주축하우징(11)의 배면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부경사면(11a)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좌우이송바(311)를 결합하고 그 우측단부에 연결된 좌우이송다이얼(312)을 돌리면 좌우이송바(3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숫나사부(311a)가 회전됨에 따라 좌우이동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제1 암나사부(31a)가 형성된다.
상기 부몸체(32)는 주몸체(31)의 좌측면에 상기 상부경사면(11a)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하이송바(321)를 결합하고 그 상단에 연결된 상하이송다이얼(322)을 돌리면 상하이송바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숫나사부(321a)가 회전됨에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제2 암나사부(32a)가 형성된다. 좌우 및 상하로 미세하게 이동가능한 주몸체(31) 및 부몸체(32)에 의해서 섬세한 위치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는 회절가능한 힌지부를 갖는 사각기둥형상으로, 상기 부몸체(32)의 일측에 형성된 사각통공(323)에 탈부착되되 로레트볼(34)이 회전가능케 결합된다.
상기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는 상기 부몸체(32)의 사각통공(323)에 삽입되도록 소정길이 하향하여 신장된 후 하부는 전면에서 볼 때 제1 원형홈(331a)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제1 원형통공(331b)이 형성되며 하단은 제1 원형홈(331a)을 따라 반원형으로 라운딩되는 상부 지그(331)와; 상부는 상부 지그(331)의 제1 원형홈(331a)과 제1 원형통공(331b)에 대응되는 제2 원형홈(332a)과 제2 원형통공(332b)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반원형으로 라운딩되며 하부는 소정길이 하향하여 신장되되 중앙에 로레트볼(34)이 결합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는 절개부(332c)가 형성되고 로레트볼(34)의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341)이 결합되도록 좌우측으로 관통공(332d)이 형성되는 하부 지그(332)와; 상기 상부 지그(331)의 제1 원형통공(331b)과 상기 하부 지그(332)의 제2 원형통공(332b)을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볼트(333)와; 상기 하부 지그(332)의 상단 중앙에 중심선(332e)을 표시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지그(331)의 제1 원형홈(331a)과 접하는 전면에 방사상으로 각도가 표기된 각도표시부(331c);로 형성되어, 상부 지그(331)와 하부 지그(332)가 볼트(333)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각도표시부(331c)를 참조하여 원하는 소 정각도로 조절한 뒤 볼트(333)를 조여 위치고정시키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상기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에 의해 로레트볼(34)을 소정각도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링형 장신구의 곡선부분 및 측면부분 등을 일정하게 세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는 구동모터(5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50)의 동작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버튼부(41)와 구동모터(50)의 속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42)로 구성되며 전면패널에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41)는 3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되 전방회전(Forward)버튼, 후방회전(Reverse)버튼, 및 정지(Stop)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반지를 세공하면 그 공정이 다음과 같다.
먼저, 링형상의 반지 원재료를 준비한다.
다음, 반지 원재료의 내경에 맞는 외경을 갖는 장신구고정용 지그(35)를 찾는다.
다음, 찾은 장신구고정용 지그(35)에 반지 원재료를 삽입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1)의 탈착레버(22)를 회전시켜 종동축(20)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반지 원재료와 결합된 장신구고정용 지그(35)를 주축(10)의 단부에 끼운다.
다음, 상기 탈착레버(22)를 놓으면 복원용스프링(23)에 의해 종동축(20)이 전진하면서 장신구고정용 지그(35)의 양측을 밀착시켜 제1 및 제2 테이퍼부(10a)(20a)가 제3 및 제4 테이퍼부(35a)(35b)를 밀면서 가압하게 된다. 제3 및 제4 테이퍼부(35a)(35b)가 가압된 장신구고정용 지그(35)는 절개된 부분이 벌어지면서 확경되어 반지의 내경과 밀착고정된다.
다음, 반지 원재료에 세공하고 싶은 로레트볼(34)을 선택하여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의 하부 지그(332)의 절개부(332c)에 위치시키고 관통공(332d)에 회전축(341)을 삽입하여 로레트볼(34)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결합시킨다.
다음, 상기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의 상부 지그(331)를 상기 부몸체(32)의 일측에 형성된 사각통공(323)에 삽입하고 고정시킨다.
다음, 상기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의 하부 지그(332)를 회전시켜 희망하는 기울기로 조절하고 볼트(333)를 조여 고정한다.
다음, 상기 좌우이송다이얼(312)을 이용하여 좌우위치를 조절하고, 상하이송다이얼(322)을 이용하여 상하위치를 조절하여, 반지 원재료 외주면의 세공을 희망하는 위치에 로레트볼(34)이 위치되도록 조절한다.
다음, 인버터(42)를 조절하여 원하는 속도로 설정하고 버튼부(41)의 전방회전 또는 후방회전 버튼을 눌러 반지 원재료를 회전시키면서 세공하게 된다.
다음, 다른 각도로 세공을 하고자 하면, 정지버튼을 누르고 상기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의 볼트(333)를 풀어 하부 지그(332)를 회전시켜 조절하고 볼트(333)를 조여 고정한다.
다음, 모든 세공이 종료되면, 정지버튼을 눌러 회전을 정지시키고 탈착레 버(22)를 이용하여 종동축(20)을 후퇴시킨 뒤 장신구고정용 지그(35)를 빼낸다.
다음, 장신구고정용 지그(35)로부터 반지 원재료를 분리시키면 세공이 종료된 반지를 얻게 된다.
상기 세공과정을 설명하면서 반지를 예로 들었으나, 링형 귀걸이, 링형 팔찌, 링형 팬던트 등은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세공이 가능하다.
미설명부호 36은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를 부몸체(32)의 사각통공(323) 내에 고정 및 이탈을 위한 볼트형 고정구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종래의 숙련공에 의해 장시간에 걸쳐 링형 장신구의 외측곡면에 무늬를 세공함으로 안전사고 및 인건비상승 문제와 최고의 숙련공이라도 외측곡면에 일정하게 가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다양한 세공이 불가하며 잦은 실수로 불량 발생률이 높아 손실이 커 이러한 장신구 표면 무늬 수공방법의 대안으로 주물가공 방법을 선택하고 있으나 조직내 기포로 인해 경도가 낮고 광이 잘 나지 않아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와 귀금속 재질의 특성에 따라 제조방법이 달라 동시 가공이 불가한 문제 등을 개선하여, 재질에 무관하게 동일한 표면 무늬세공이 가능하고 조직이 단단하고 광이 잘나 호환성이 좋고 외측곡면 뿐만 아니라 측면과 소정각도의 면도 다양한 무늬를 일정하게 세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고품질의 링형 장신구를 제조할 수 있고 숙련공이 아닌 초보자라도 빠르고 안전한 세공이 가능하여 안전사고 예방 및 인건비 절감을 할 수 있는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을 적용한 일실시예를 보이는 전체사시도 및 요부확대도
도 2 는 본 고안을 적용한 로레트볼고정용 지그를 보이는 사시 및 정면도와 각도가 변경된 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을 적용한 세공부의 부몸체가 상하이송다이얼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을 적용한 세공부의 주몸체가 좌우이송다이얼에 의해 좌우이동하는 모습과 탈착레버에 의해 종동축이 좌우이동되는 모습을 보이는 평면 및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을 적용한 일실시예의 우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을 적용한 로레트볼고정용 지그에 다양한 로레트를 적용하는 모습을 보이는 개략도
도 7 은 본 고안을 적용한 일실시예를 통하여 세공된 반지를 보이는 사시 및 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을 적용한 장신구고정용 지그를 이용하여 주축과 종동축 사이에 링형 장신구를 용이하게 고정하는 모습을 보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 A: 링형 장신구
10: 주축 10a: 제1 테이퍼부
11: 주축하우징 11a: 상부경사면
20: 종동축 20a: 제2 테이퍼부
21: 종동축하우징 22: 탈착레버
23: 복원용스프링 24: 수동핸들
30: 세공부 31: 주몸체
31a: 제1 암나사부 311: 좌우이송바
311a: 제1 숫나사부 312: 좌우이송다이얼
32: 부몸체 32a: 제2 암나사부
321: 상하이송바 321a: 제2 숫나사부
322: 상하이송다이얼 323: 사각통공
33: 로레트볼고정용 지그 331: 상부 지그
331a: 제1 원형홈 331b: 제1 원형통공
331c: 각도표시부 332: 하부 지그
332a: 제2 원형홈 332b: 제2 원형통공
332c: 절개부 332d: 관통공
332e: 중심선 333: 볼트
34: 로레트볼 341: 회전축
35: 장신구고정용 지그 35a,35b: 제3 및 제4 테이퍼부
40: 제어부 41: 버튼부
42: 인버터 50: 구동모터
51: 체인

Claims (4)

  1. 단부에 링형 장신구를 밀착고정하고 구동모터(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축(10)과;
    상기 주축(10)의 단부와 대향하도록 위치되되 소정간격내에서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단부를 후퇴시키는 탈착레버(22)와 전진시키는 복원용스프링(23)을 이용하여 상기 주축(10)에 링형 장신구를 삽입후 그 타측을 밀착고정한 뒤 주축(10)과 함께 회전되며 타단에는 수동핸들(24)이 형성되는 종동축(20)과;
    상기 주축(10)과 종동축(20)에 의해 양측이 밀착고정된 링형 장신구의 외주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에서 양각 무늬가 외주면에 형성된 원반모양의 로레트볼(34)이 회전하면서 가압하여 무늬를 세공하도록 형성된 세공부(30)와;
    상기 구동모터(5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50)의 동작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버튼부(41)와 구동모터(50)의 속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42)가 전면패널에 형성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공부(30)는,
    상기 주축(10)을 둘러싸는 주축하우징(11)의 배면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부경사면(11a)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좌우이송바(311)를 결합하고 그 우측단부에 연결된 좌우이송다이얼(312)을 돌리면 좌우이송바(3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숫나사부(311a)가 회전됨에 따라 좌우이동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제1 암나사부(31a)가 형성된 직육면체 모양의 주몸체(31)와;
    상기 주몸체(31)의 좌측면에 상기 상부경사면(11a)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하이송바(321)를 결합하고 그 상단에 연결된 상하이송다이얼(322)을 돌리면 상하이송바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숫나사부(321a)가 회전됨에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제2 암나사부(32a)가 형성된 직육면체 모양의 부몸체(32)와;
    상기 부몸체(32)의 일측에 형성된 사각통공(323)에 탈부착되되 로레트볼(34)이 회전가능케 결합되는 사각단면의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레트볼고정용 지그(33)는,
    상기 부몸체(32)의 사각통공(323)에 삽입되도록 소정길이 하향하여 신장된 후 하부는 전면에서 볼 때 제1 원형홈(331a)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제1 원형통공(331b)이 형성되며 하단은 제1 원형홈(331a)을 따라 반원형으로 라운딩되는 상부 지그(331)와;
    상부는 상부 지그(331)의 제1 원형홈(331a)과 제1 원형통공(331b)에 대응되는 제2 원형홈(332a)과 제2 원형통공(332b)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반원형으로 라운딩되며 하부는 소정길이 하향하여 신장되되 중앙에 로레트볼(34)이 결합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는 절개부(332c)가 형성되고 로레트볼(34)의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341)이 결합되도록 좌우측으로 관통공(332d)이 형성되는 하부 지그(332)와;
    상기 상부 지그(331)의 제1 원형통공(331b)과 상기 하부 지그(332)의 제2 원형통공(332b)을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볼트(333)와;
    상기 하부 지그(332)의 상단 중앙에 중심선(332e)을 표시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지그(331)의 제1 원형홈(331a)과 접하는 전면에 방사상으로 각도가 표기된 각도표시부(33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10)의 단부는 소정기울기로 축경되는 제1 테이퍼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축(20)의 단부는 제1 테이퍼부(10a)와 동일한 기울기로 축경되는 제2 테이퍼부(20a)가 형성되며;
    외경이 확경됨으로 링형 장신구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양측 개구가 내향하여 상기 제1 테이퍼부(10a)와 동일한 기울기로 축경되는 제3 및 제4 테이퍼부(35a)(35b)가 형성되는 장신구고정용 지그(3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
KR2020080012001U 2008-09-03 2008-09-03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 KR200450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001U KR200450828Y1 (ko) 2008-09-03 2008-09-03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001U KR200450828Y1 (ko) 2008-09-03 2008-09-03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93U true KR20100002893U (ko) 2010-03-11
KR200450828Y1 KR200450828Y1 (ko) 2010-11-04

Family

ID=4419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001U KR200450828Y1 (ko) 2008-09-03 2008-09-03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8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902B1 (ko) * 2016-02-11 2016-06-09 남경우 Cnc를 이용한 다축 귀금속 가공장치
KR102194534B1 (ko) 2019-08-01 2020-12-23 최윤호 슬릿 끼움 고정식 장식구를 갖는 귀금속용 장신구
KR102162229B1 (ko) * 2020-06-19 2020-10-06 주식회사 골드앤 피어싱 및 반지 가공용 복합 자동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828Y1 (ko)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828Y1 (ko) 링형 장신구 표면 무늬세공장치
WO2004071735A1 (ja) ダイアモンドのカッティング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たダイアモンド
HUP0000436A2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belső üreggel és kiömlőnyílással rendelkező darabáru alakítható anyagból történő gyártására
US5003678A (en) Method of making a channel set ring
DE1557601B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tallfassung fuer edelsteine
KR200400493Y1 (ko) 보석연마가공기
CN103878487B (zh) 首饰产品的激光雕花方法和用于环状首饰的激光雕花治具
Wilson Silverwork and jewellery
US20190014873A1 (en) Geode style pearl and method of production
KR101011281B1 (ko) 큐빅 알자리 가공기계
US20020023348A1 (en) Metal ornamentation technique
KR20010105936A (ko) 장신구용 금속볼의 표면가공 방법 및 장치
KR100922774B1 (ko) 전자기기용 장식시트의 프레스 가공을 위한 정위치 설정방법 및 그 장치
CN213647805U (zh) 四孔纽扣开孔装置
CN220442091U (zh) 一种吊坠
KR960009813Y1 (ko) 악세사리용 장식구의 핀 식모용 타정기
CN115156574A (zh) 一种饰品蜡模加工用微型手持车床
US4457056A (en) Carrying out said process and the resulting jewels
KR960009811Y1 (ko) 목걸이용 볼의 종횡방향다각(多角) 성형기
KR101836796B1 (ko) 귀금속 액세서리용 텍스쳐 가공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241816Y1 (ko) 전자동 상사칼
Driggs The Jewelry Maker's Field Guide: Tools and Essential Techniques
DE208008C (ko)
KR870003097Y1 (ko) 장식용 구슬의 제조장치
DE104322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