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776A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776A
KR20100002776A KR1020080062800A KR20080062800A KR20100002776A KR 20100002776 A KR20100002776 A KR 20100002776A KR 1020080062800 A KR1020080062800 A KR 1020080062800A KR 20080062800 A KR20080062800 A KR 20080062800A KR 20100002776 A KR20100002776 A KR 20100002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oximity
vibration
touch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341B1 (ko
Inventor
구자훈
김종환
조선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341B1/ko
Priority to EP09002184.1A priority patent/EP2141580B1/en
Priority to CN200910004284.0A priority patent/CN101621566B/zh
Priority to US12/430,876 priority patent/US8531319B2/en
Publication of KR20100002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4Force feedback applied to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근접센서를 통해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근접신호가 검출된 제1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제1 위치를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진동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입력 신호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햅틱, 진동 신호, 진동 합성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터치신호 또는 근접신호를 분석하여, 각 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을 확인하여, 각각의 진동신호을 조합하여 진동을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측면이나 사운드 측면의 기능 뿐 아니라 다양한 진동도 출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동은 휴대 단말기에 입력되는 터치신호 또는 근접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며, 진동신호도 몇 가지로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 입력되는 터치 신호 또는 근접신호 자체에 대한 하나의 반응으로서 진동이 출력되므로, 출력되는 진동의 다양성이 떨어지며, 사용자에게 터치신호 또는 근접신호의 입력유무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 입력되는 터치신호 또는 근접신호를 분석하여, 터치신호의 입력 면적, 입력 압력 또는 근접신호의 입력 거리, 입력 속도, 입력 면적, 멀티 터치 등에 따른 진동신호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진동을 통해 신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로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신호 및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을 조합하여 진동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입력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으로서,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근접신호가 검출된 제1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를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으로서,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가 검출된 후,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제2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제2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으로서,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으로서,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및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에서 둘 이상의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근접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둘 이상의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터치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근접센서에서 하나 이상의 근접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하나 이상의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제1진동신호 및,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제2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로서, 근접신호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하나 이상의 진동신호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햅틱 모듈,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근접신호가 검출된 제1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위치를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로서, 근접신호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하나 이상의 진동신호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햅틱 모듈,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가 검출된 후, 상기 제2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제2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로서, 터치스크린,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로서, 터치스크린,근접신호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하나 이상의 진동신호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햅틱 모듈, 상기 근접센서에서 둘 이상의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근접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상기 햅틱모듈을 통해 출력하고,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둘 이상의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터치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상기 햅틱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근접센서에서 하나 이상의 근접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하 나 이상의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근접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1진동신호 및, 상기 터치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상기 햅틱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다양한 진동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입력 신호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 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 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141)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 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 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 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 마이크(123),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는 휴대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충전 등을 위하여 제2 바디(10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휠 타입의 제5 사용자 입력부(130e)와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00B)의 측면에는 제6 사용자 입력부(130f)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 모듈(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와 거울(126)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6)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제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근접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는 경우, 제1 바디 등에 설치된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D3 위치에 있는 경우와 D2 혹은 D1 위치에 있는 경우, 서로 다른 근접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근접센서에 검출물체가 접근하여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Sn)라고 하는데, 이러한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하여,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근접물체가 어느 정도 근접하였는지 알 수 있다.
또한, 검출영역이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배치하여 이들 근접센서 중에서 어느 근접센서로부터 근접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파악하여, 검출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으로 접근하는지 여부와, 검출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여 이동하는지 여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한 정도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 는 근접센서가 근접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영역과 촉각 효과를 발생하는 햅틱영역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a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아이콘이나 메뉴 항목 등과 같은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경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중앙의 제1 영역(A)과 경계에 인접한 제2 영역(B)으로 구분하고,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에서 서로 다른 세기나 패턴을 갖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역(B)를 터치한 경 우에 비해 제1 영역(A)을 터치한 경우 더 큰 진동이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만일, 근접신호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촉각 효과가 발생하는 햅틱영역과 근접신호가 검출되는 근접영역이 서로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즉, 햅틱영역을 근접영역보다 좁게 설정하거나 혹은 햅틱영역을 근접영역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a의 (a)에서,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을 포함하는 영역을 근접영역으로 하고, 제1 영역(A)을 햅틱영역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a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3개의 영역(A, B, C)으로 구분하거나, 혹은 도 5a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n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분된 각 영역마다 서로 다른 세기나 패턴을 갖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역을 구분하는 경우에도, 근접영역과 햅틱영역은 서로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는 정도에 따라 근접영역이 크기가 달라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5b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는 정도에 따라 근접영역이 'C', 'B', 'A'로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이와 반대로 점차 커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도 5b의 (b)에 도시한 'H'영역과 같이, 촉각 효과가 발생하는 햅틱영역은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 정도와 무관하게 일정한 크기의 영역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입력될 수 있는 터치신호 및 근접 신호에 대한 진동신호를 각각 설정한다(S400). 상기 진동신호는 제어부(180)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진동신호로 설정될 수 있다. 진동신호은 입력되는 터치신호 및 근접신호의 특징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터치신호가 일정한 면적을 갖고 입력되는 경우, 터치신호가 일정한 압력을 갖고 입력되는 경우, 터치신호가 멀티터치로 입력되는 경우에 따라 진동신호가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근접신호가 일정한 근접면적을 갖고 입력되는 경우, 근접신호가 일정한 근접거리를 갖고 입력되는 경우, 근접신호가 일정한 근접속도를 갖고 입력되는 경우, 근접신호가 멀티터치로 입력되는 경우도 각각 진동신호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하게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근접신호가 입력된 경우 2개의 진동신호만 설정될 수도 있다.
다음, 제어부(180)는 터치신호 및 근접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405). 근접신호 및 터치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터치신호만 입력되거나 복수의 근접신호만 입력될 수도 있다. 터치신호는 터치스크린에서 검출된 값을 기초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근접신호는 근접센서(141)로부터 검출된 값을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S405 단계 판단결과, 터치신호 또는 근접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진동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S405 단계 판단결과, 터치신호 또는 근접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고,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진동신호를 확인한다(S410). 다음, 제어부(180)는 확인된 진동신호를 조합한다(S415). 제어 부(180)는 하나 이상의 진동신호를 가산하거나 감산하여 조합할 수 있다. 진동신호의 조합방법은 분석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180)가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조합방법이 선택될 수 있다.
다음, 제어부(180)는 조합된 진동신호를 햅틱 모듈(157)을 통해 출력한다(S420).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하나 이상의 메뉴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500). 상기 메뉴아이콘이란 하위메뉴로 진입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는 메뉴아이콘일 수 있으며,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 또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일 수 있다.
다음, 제어부(180)는 근접센서(141)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아이콘 중 특정 메뉴아이콘의 위치에서 근접신호가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505). S505 판단 결과, 특정 메뉴아이콘의 위치에서 근접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진동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S505 판단 결과, 특정 메뉴아이콘의 위치에서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제어부(180)는 검출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햅틱 모듈(157)을 통해 출력한다(S510). 여기서 검출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단일한 진동신호가 진동으로서 출력된다. 다음, 제어부는 S505 단계에서 근접신호가 검출된 위치의 특정 메뉴아이콘으로 터치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515). 여기서 터치신호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S515 판단 결과, 상기 특정 메뉴아이콘으로 터치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메뉴아이콘과 다른 메뉴아이콘으로 터치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525). S525 판단 결과, 다른 메뉴아이콘으로도 터치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진동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S525 판단 결과, 다른 메뉴아이콘으로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입력된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햅틱 모듈(157)을 통해 출력한다(S530). 다음, 제어부(180)는 터치신호가 입력된 메뉴아이콘에 해당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535).
한편, S515 판단 결과, 상기 특정 메뉴아이콘으로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S505 단계에서 검출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 및 S515 단계에서 입력된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햅틱 모듈(157)을 통해 출력한다(S520). 각각의 진동 신호는 합산되거나 감산되어 진동으로 출력될 수 있다. 다음, 제어부(180)는 터치신호가 입력된 메뉴아이콘에 해당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535).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하나 이상의 메뉴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600).
다음, 제어부(180)는 근접센서(141)를 통해, 근접센서(141)와의 거리가 제1 근접거리인 근접신호가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605). S605 판단 결과, 제1 근접거리인 근접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진동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S605 판단 결과, 제1 근접거리인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제어부(180)는 검출된 제1 근접거리의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햅틱 모듈(157)을 통해 출력한다(S610). 다음, 제어부(180)는 근접센서(141)와의 거리가 제2 근접거리인 근접신호가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615). S615 판단 결과, 제2 근접거리인 근접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진동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S615 판단 결과, 제2 근접거리인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S605 단계에서 검출되는 제1 근접거리의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S615 단계에서 검출되는 제2 근접거리의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햅틱 모듈(157)을 통해 출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700). 상기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각 영역은 이미지, 문서, 키패드, 또는 메뉴아이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화면을 일정하게 분할하여 각 영역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영역을 통해 터치신호 또는 근접신호가 입력됨으로써, 멀티터치에 의한 진동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 제1 영역에서 터치신호가 입력된다(S705). 여기서, 제1영역 및 제2영 역에서 입력된 신호는 터치신호 뿐 아니라, 근접센서(141)를 통해 검출된 근접신호일 수 있다.
다음, 제어부(180)는 제2 영역에서 터치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710). S710 판단 결과, 제2 영역에서 터치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제1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햅틱 모듈(157)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제1 영역에서 터치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터치신호는 동시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S710 판단 결과, 제2 영역에서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1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제2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햅틱 모듈(157)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조합한 진동 신호는 상기 제1 영역에서 터치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방법에 따라 다르게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인 경우는 각각의 진동신호를 감산하여 진동을 출력할 수 있고, 일정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의 진동신호를 합산한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영역 사이의 거리가 실시간으로 변하는 경우, 변화하는 거리에 따라 진동을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후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영역과 제3 영역은 동일한 손가락으로 입력되고, 제2 영역과 제4 영역은 동일한 손가락으로 입력된다고 가정한다. 즉,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거리를 갖는 멀티터치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이 다.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멀티터치가 입력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이때,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의 거리보다 제3 영역 및 제4 영역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는 경우, 제1 영역에서 터치신호에 대한 진동신호 및 제2 영역에서 터치신호에 대한 진동신호를 조합한 제1진동과, 제3 영역에서 터치신호에 대한 진동신호 및 제4 영역에서 터치신호에 대한 진동신호를 조합한 제2진동을 합한 최종 진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의 거리보다 제3 영역 및 제4 영역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상기 제2진동으로부터 상기 제1진동을 감산한 최종 진동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각각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영역 사이의 거리가 변하는 속도에 따라 진동을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후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영역과 제3 영역은 동일한 손가락으로 입력되고, 제2 영역과 제4 영역은 동일한 손가락으로 입력된다고 가정한다. 즉,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속도를 갖는 멀티터치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때,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터치신호 입력 후 제3 영역 및 제4 영역에서 터치신호가 입력된 시간 및 거리를 고려하여 속도를 계산하여, 상기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 제1 영역에서 터치신호에 대한 진동신호 및 제2 영역에서 터치신호에 대한 진동신호를 조합한 제1진동과, 제3 영역에서 터치신호에 대한 진동신호 및 제4 영역에서 터치신호에 대한 진동신호를 조합한 제2진동을 합한 최종 진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속도가 일정 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2진동으로부터 상기 제1진동을 감산한 최종 진동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될 수 있는 각각의 터치신호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알릴 필요가 있다. 여기서 각각의 터치신호의 최대거리는 터치스크린에서 터치신호가 입력될 수 있는 최대 직선거리보다 같거나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각각의 터치신호에 의해 이미지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는 최대 사이즈로 표시된 경우, 더 이상 이미지를 확대하기 어렵다는 정보를 알릴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각 영역에서 터치신호에 대한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 이외의 제1알림진동을 별도로 출력할 수 있으며, 각 영역에서 터치신호에 대한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지 않고, 제1알림진동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될 수 있는 각각의 터치신호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알릴 필요가 있다. 여기서 각각의 터치신호의 최소거리는 터치스크린에서 터치신호가 입력될 수 있는 최소 직선거리보다 같거나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각각의 터치신호에 의해 이미지가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는 최소 사이즈로 표시된 경우, 더 이상 이미지를 축소하기 어렵다는 정보를 알릴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각 영역에서 터치신호에 대한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 이외의 제2알림진동을 별도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멀티터치에서 이용되는 터치신호는 근접센서에 의해 검출된 근접신호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즉, 근접신호가 검출된 영역의 거리차이, 영역의 거리변화, 및 속도 변화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다양한 진동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1 영역에서 입력되는 터치신호에 따라 제1 영역에 표시된 메뉴아이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영역에서 입력되는 터치신호에 따라 제2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의 확대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따른 진동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선택가능한, 진동종류1에 대한 진동신호를 표시한 화면(505) 및 진동종류3에 대한 진동신호를 표시한 화면(510)이 나타난다. 즉, 진동종류의 분류(500)에 따라 진동종류1 내지 진동종류n 에 대한 진동신호 중 1개의 진동신호가 입력되는 터치신호에 대한 진동신호로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되는 터치신호의 압력, 면적, 멀티터치 여부는 고려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진동신호가 선택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선택가능한 근접A의 경우 진동신호를 표시한 화면(520) 및 근접B의 경우 진동신호를 표시한 화면(525)이 나타난다. 즉, 근접신호의 진동종류 분류(515)에 따라 근접A 내지 근접N 에 대한 진동신호 중 1개의 진동신호가 입력되는 근접신호에 대한 진동신호로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되는 근접신호의 근접속도, 근접면적, 근접거리, 멀티터치 여부는 고려되지 않는다.
근접신호의 근접거리를 고려하는 경우,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거리 D1에 대한 진동신호를 표시한 화면(605) 및 근접거리 D2에 대한 진동신호를 표시한 화면(610)이 나타난다. 즉, 근접거리의 분류(600)에 따라 근접거리 D1 내지 D4에 대한 진동신호가 각각의 근접거리에 따른 진동신호로 설정된다. 여기서, D1 내지 D4에 대한 분류(600)는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1은 0에서 10미터, D2는 10에서 20미터로 설정될 수 있으며, D1이 0에서 20미터, D2가 20에서 40미터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근접신호의 멀티터치를 고려하는 경우,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근접신호가 입력되는 영역, 즉, 멀티터치 영역을 복수개로 나누어 표시한 화면(620)이 나타난다. 근접신호가 입력되는 영역을 복수개로 나누는 것이므로, 디스플레이부(151)에서 근접신호가 입력될 수 있는 영역을 복수개로 나누면 된다. 즉, 멀티터치의 분류(615)에 따라 멀티터치 영역 P1 내지 P9에 대한 진동신호가 각각의 멀티터치 영역에 대한 진동신호로 설정된다. 여기서, P1 내지 P9에 대한 분류(615)는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1 내지 P9은 근접신호가 입력되는 영역을 균등하게 9등분하여 설정할 수 있고, 랜덤하게 영역을 분할하여 P1 내지 P9를 설정할 수 있다.
근접신호의 근접속도를 고려하는 경우,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속도 V1에 대한 진동신호를 표시한 화면(630), 근접속도 V2에 대한 진동신호를 표시한 화면(635) 및 근접속도 V3에 대한 진동신호를 표시한 화면(640)이 나타난다. 즉, 근접속도의 분류(625)에 따라 근접속도 V1 내지 V9에 대한 진동신호가 각각의 근접속도에 따른 진동신호로 설정된다. 여기서, V1 내지 V9에 대한 분류(600)는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V1은 0에서 10cm/s, V2는 10에서 20cm/s로 설정될 수 있으며, V1이 0에서 20cm/s, V2가 20에서 40cm/s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따른 진동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선택을 위한 복수의 메뉴아이콘이 표시된 화면(700)이 표시된다.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입력된 신호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입력신호는 근접신호 및 터치신호를 포함하며, 근접신호가 검출된 후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형태이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신호에 대해 설정된 진동신호는 진동종류3 에 대한 진동신호(705)이고,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신호에 대해 설정된 진동신호는 근접B 에 대한 진동신호(710)이다. 따라서 근접신호가 일정시간동안 유지된 후 메뉴아이콘이 터치되는 경우,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종류3 에 대한 진동신호(705) 및 근접B 에 대한 진동신호(710)를 더한 진동(715)이 출력된다. 각 진동신호를 감산하여 진동을 출력할 수도 있으며, 조합 방식은 자동적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메뉴가 표시된 화면(800)이 표시된다. 밝기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입력된 신호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입력신호는 근접신호 및 터치신호를 포함하며, 근접신호가 검출된 후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형태이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신호에 대해 설정된 진동신호는 진동 종류1 에 대한 진동신호(805)이고,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신호에 대해 설정된 진동신호는 근접A 에 대한 진동신호(810)이다. 따라서 근접신호가 일정시간동안 유지된 후 메뉴아이콘이 터치되는 경우, 도 1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A 에 대한 진동신호(810)로부터 진동종류1 에 대한 진동신호(805)를 감산한 진동(815)이 출력된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따른 진동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 귀 또는 얼굴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화면(900)과 점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경우, 근접센서(141)는 근접신호를 검출하고, 제어부(180)는 검출된 근접신호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입력신호는 근접거리 D1에서 입력되는 근접신호 및 근접거리 D3에서 입력되는 근접신호를 포함한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거리 D1에 대한 진동신호(905) 및 근접거리 D3에 대한 진동신호(910)가 설정된다. 화면(900)과의 거리가 D3에서 D1로 변화하는 경우,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거리 D3에 대한 진동신호(910)로부터 근접거리 D1에 대한 진동신호(905)를 감산한 진동(910)이 출력된다. 한편, 화면(900)과의 거리가 D1에서 D3로 변화하는 경우, 도 1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거리 D3에 대한 진동신호(910) 및 근접거리 D1에 대한 진동신호(905)를 합산한 진동(920)이 출력된다. 진동신호을 감산하거나 합산하는 조합방법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제1 근접거리에서 입력되는 근접신호 및 제2 근접거리에서 입력되는 근접신 호를 포함하는 신호가 입력되어, 각 근접거리에 대한 진동신호을 조합하여 진동을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은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재생시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동작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적용 가능하다. 음악 재생에 의한 사운드 출력과 별개의 진동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음악 재생에 방해받지 않고, 동작 버튼이 정확히 입력되었다는 사실을 진동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재생시 동작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에도,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는 동영상 재생에 방해받지 않고, 동작 버튼이 정확히 입력되었다는 사실을 출력되는 진동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따른 진동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1100)에 터치신호가 여러영역을 통해 멀티터치 신호로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가 입력된 터치신호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입력신호는 멀티터치 영역의 P1 영역으로 입력되는 터치신호 및 멀티터치 영역의 P9 영역으로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포함한다.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터치 영역 P1에 대한 진동신호(1105) 및 멀티터치 영역 P9에 대한 진동신호(1110)가 설정된다. 따라서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터치 영역 P9에 대한 진동신호(1110)로부터 멀티터치 영역 P1에 대한 진동신호(1105)를 감산한 진동(1115)이 출력된다.
터치신호가 멀티터치 영역의 여러영역을 통해 멀티터치 신호로 입력되는 경우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7 내지 도 18에서 설명된다.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 수신시, 12개의 동작 버튼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을 9개의 멀티터치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9개의 영역 중 P1영역 및 P9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멀티터치 영역 P9에 대한 진동신호(1209)로부터 멀티터치 영역 P1에 대한 진동신호(1201)를 감산한 진동(1210)이 출력된다. 숫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가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을 9개의 멀티터치 영역으로 설정하여, P2영역 및 P6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터치 영역 P2에 대한 진동신호(1202) 및 멀티터치 영역 P6에 대한 진동신호(1206)를 합산한 진동(1220)이 출력된다. 숫자 및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가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을 9개의 멀티터치 영역으로 설정하여, P2영역 및 P8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터치 영역 P2에 대한 진동신호(1202) 및 멀티터치 영역 P8에 대한 진동신호(1206)를 합산한 진동(1230)이 출력된다.
한편, 도 17의 (b)와 같은 터치신호가 입력된 후 바로 도 17의 (c)와 같은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터치신호가 입력된 영역사이의 거리가 변경된 경우이므로, 도 17의 (b)의 진동(1220) 및 도 17의 (c)의 진동(1230)을 조합한 진동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b)와 같은 터치신호가 입력된 후 도 17의 (c)와 같은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터치신호 입력의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진동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썸네일로 표시된 이미지 목록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을 9개의 멀티터치 영역으로 설정하여, P1영역 및 P9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멀티터치 영역 P9에 대한 진동신호(1209)로부터 멀티터치 영역 P1에 대한 진동신호(1201)를 감산한 진동(1240)이 출력된다. 복수의 메뉴가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을 9개의 멀티터치 영역으로 설정하여, P1영역 및 P9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터치 영역 P9에 대한 진동신호(1209) 및 멀티터치 영역 P1에 대한 진동신호(1201)를 합산한 진동(1250)이 출력된다. 적어도 30개의 날짜메뉴가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을 9개의 멀티터치 영역으로 설정하여, P2영역 및 P8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터치 영역 P2에 대한 진동신호(1202) 및 멀티터치 영역 P8에 대한 진동신호(1208)를 합산한 진동(1260)이 출력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정영역에 복수의 메뉴아이콘이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정영역에 멀티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멀티터치 영역의 개수는 복수의 메뉴아이콘의 개수와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메뉴아이콘을 멀티터치한 경우라도, 동일한 진동신호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다양한 일실시예와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고되는 도면이다.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 귀 또는 얼굴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1400)과 서로 다른 속도로 점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경우, 근접센서(141)는 근접신호를 검출하고, 제어부(180)는 검출된 근접신호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입력신호는 근접속도 V1으로 입력되는 근접신호 및 근접속도 V9로 입력되 는 근접신호를 포함한다.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속도 V1에 대한 진동신호(1405) 및 근접속도 V9에 대한 진동신호(1410)가 설정된다. 따라서 근접신호의 근접속도가 V9에서 V1로 변화하는 경우,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속도 V9에 대한 진동신호(1410)로부터 근접속도 V1에 대한 진동신호(1405)를 감산한 진동(1415)이 출력된다.
서로 다른 속도의 근접신호가 검출되는 경우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20에서 설명된다.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태스킹을 위한 메뉴 버튼에 대한 근접신호의 근접속도가 V9에서 V1으로 변화하는 경우, 근접속도 V9에 대한 진동신호(1509)로부터 근접속도 V1에 대한 진동신호(1501)를 감산한 진동(1510)이 출력된다. 이미지 확대를 위한 메뉴 버튼에 대한 근접신호의 근접속도가 V1에서 V9로 변화하는 경우,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속도 V9에 대한 진동신호(1509) 및 근접속도 V1에 대한 진동신호(1501)를 합산한 진동(1520)이 출력된다.디스플레이부(151)의 환경설정를 위한 메뉴 버튼에 대한 근접신호의 근접속도가 V2에서 V8로 변화하는 경우, 도 2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속도 V8에 대한 진동신호(1508) 및 근접속도 V2에 대한 진동신호(1502)를 합산한 진동(1530)이 출력된다.
한편,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버튼이 표시된 화면(1600)에 선택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가 입력된 신호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입력신호는 근접면적 M9로 입력되는 근접신호 및 근접면적 M1으로 입력되는 근접신호를 포함한다.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면적 M9에 대한 진동 신호(1610) 및 근접면적 M1에 대한 진동신호(1605)가 설정된다. 입력되는 근접신호의 근접면적이 M9에서 M1로 변화하는 경우, 도 2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면적 M9에 대한 진동신호(1610)로부터 근접면적 M1에 대한 진동신호(1605)를 감산한 진동(1615)이 출력된다.
서로 다른 근접면적의 근접신호가 검출되는 경우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22에서 설명된다.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재생을 위한 메뉴 버튼에서 근접신호의 근접면적이 M9에서 M1로 변화하는 경우, 근접면적 M9에 대한 진동신호(1709)로부터 근접면적 M1에 대한 진동신호(1701)를 감산한 진동(1710)이 출력된다. 이미지 확대를 위한 메뉴 버튼에 대한 근접신호의 근접면적이 M1에서 M9로 변화하는 경우,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면적 M9에 대한 진동신호(1709) 및 근접면적 M1에 대한 진동신호(1701)를 합산한 진동(1720)이 출력된다. 세계시간의 메뉴 버튼에 대한 근접신호의 근접면적이 M2에서 M8로 변화하는 경우, 도 2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면적 M2에 대한 진동신호(1702) 및 근접면적 M8에 대한 진동신호(1708)를 합산한 진동(1730)이 출력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 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근접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근접영역과 햅틱 영역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따른 진동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따른 진동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따른 진동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따른 진동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다양한 일실시예와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고되는 도면이다.

Claims (47)

  1.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근접신호가 검출된 제1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를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위치를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를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한 진동은, 상기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각각 합산하거나 감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진동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7.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가 검출된 후,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제2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제2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제1 근접거리에서 근 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한 진동은, 상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제2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각각 합산하거나 감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진동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11.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한 진동은, 상기 제1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 기 제2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각각 합산하거나 감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3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제1,제2,제3 및 제4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제2 영역을 통해 입력된 터치신호 및 상기 제3,제4 영역을 통해 입력된 터치신호의 속도 차이에 따라, 상기 제1,제2,제3 및 제4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통해 입력된 터치신호에 의해, 이미지가 확대되어 터치스크린에서 표시될 수 있는 최대 크기로 표시된 경우, 제1알림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통해 입력된 터치신호에 의해, 이미지가 축소되어 터치스크린에서 표시될 수 있는 최소 크기로 표시된 경우, 제2알림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진동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19. 터치스크린 및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에서 둘 이상의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근접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둘 이상의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터치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근접센서에서 하나 이상의 근접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하나 이상의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제1진동신호 및,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제2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근접신호는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서로 다른 근접속도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근접신호는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서로 다른 근접면적으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근접신호는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터치신호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서로 다른 면적을 통해 입력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터치신호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서로 다른 압력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동신호는 일정한 근접속도, 근접면적, 근접거리 중 어느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동신호는 일정한 압력 및 면적 `중 어느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진동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28. 근접신호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하나 이상의 진동신호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햅틱 모듈; 및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근접신호가 검출된 제1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위치를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위치를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한 진동은, 상기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각각 합산하거나 감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진동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3. 근접신호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하나 이상의 진동신호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햅틱 모듈; 및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가 검출된 후, 상기 제2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제2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한 진동은, 상기 제1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제2 근접거리에서 근접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각각 합산하거나 감산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진동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7.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한 진동은, 상기 제1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각각 합산하거나 감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및 상기 제2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3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제1,제2,제3 및 제4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통해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제2 영역을 통해 입력된 터치신호 및 상기 제3,제4 영역을 통해 입력된 터치신호 사이의 속도 차이에 따라, 상기 제1,제2,제3 및 제4 영역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2. 터치스크린;
    근접신호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하나 이상의 진동신호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햅틱 모듈; 및
    상기 근접센서에서 둘 이상의 근접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근접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상기 햅틱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둘 이상의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터치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상기 햅틱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근접센서에서 하나 이상의 근접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하나 이상의 터치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근접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1진동신호 및, 상기 터치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진동신호를 조합한 진동을 상기 햅틱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근접신호는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서로 다른 근접속도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근접신호는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서로 다른 근접면적으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근접신호는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터치신호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서로 다른 면적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터치신호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서로 다른 압력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62800A 2008-06-30 2008-06-30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101443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00A KR101443341B1 (ko) 2008-06-30 2008-06-30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EP09002184.1A EP2141580B1 (en) 2008-06-30 2009-02-17 Distinguishing input signals detected by a mobile terminal
CN200910004284.0A CN101621566B (zh) 2008-06-30 2009-02-24 分辨由移动终端检测到的输入信号
US12/430,876 US8531319B2 (en) 2008-06-30 2009-04-27 Distinguishing input signals detected by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00A KR101443341B1 (ko) 2008-06-30 2008-06-30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776A true KR20100002776A (ko) 2010-01-07
KR101443341B1 KR101443341B1 (ko) 2014-11-03

Family

ID=4046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800A KR101443341B1 (ko) 2008-06-30 2008-06-30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31319B2 (ko)
EP (1) EP2141580B1 (ko)
KR (1) KR101443341B1 (ko)
CN (1) CN10162156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34B1 (ko) * 2014-03-28 2014-11-04 모젼스랩(주) 터치 속도 인식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9747018B2 (en) 2010-11-30 2017-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US10908686B2 (en) 2010-03-16 2021-02-02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e-touch and true touch
US11175738B2 (en) 2016-12-13 2021-11-16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ximity-based haptic feedb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0681B2 (en) * 2010-06-03 2013-12-17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2972020B (zh) * 2010-06-30 2016-08-03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和驱动相机模块的方法
EP2405332B1 (en) 2010-07-09 2013-05-29 Elo Touch Solutions, Inc. Method for determining a touch event and touch sensitive device
KR101651135B1 (ko) * 2010-07-12 2016-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797284B2 (en) * 2011-01-05 2014-08-05 Motorola Mobility Ll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locating an interactive element associated with a touch sensitive interface
US8792231B2 (en) 2011-04-06 2014-07-29 Nokia Corporation Extended user input
US8199126B1 (en) 2011-07-18 2012-06-12 Google Inc. Use of potential-touch detection to improve responsiveness of devices
US8872794B2 (en) 2011-10-28 2014-10-2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5679606B2 (ja) * 2012-04-17 2015-03-0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携帯電子機器
WO2013170341A1 (en) * 2012-05-18 2013-11-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to manage zooming
CN104995588A (zh) * 2013-02-13 2015-10-21 日本电气株式会社 输入设备、用于该输入设备的控制方法以及程序
US9800429B2 (en) * 2013-03-15 2017-10-24 Smartbotics Inc. Adaptive home and commercial autom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based on the proximity of controlling elements
US20160077654A1 (en) * 2013-04-15 2016-03-17 Hitachi, Ltd. Touch Panel-Type Operation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50077345A1 (en) * 2013-09-16 2015-03-19 Microsoft Corporation Simultaneous Hover and Touch Interface
JP6381240B2 (ja) * 2014-03-14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触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81989B2 (ja) * 2014-06-26 2018-08-2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97720B1 (ko) 2014-09-02 2023-02-10 애플 인크. 가변 햅틱 출력을 위한 시맨틱 프레임워크
JP2017111462A (ja) * 2015-11-27 2017-06-22 京セラ株式会社 触感呈示装置及び触感呈示方法
US10976819B2 (en) 2015-12-28 2021-04-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aptic feedback for non-touch surface interaction
DK201670737A1 (en) 2016-06-12 2018-01-2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DK179823B1 (en) 2016-06-12 2019-07-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DK201670720A1 (en) 2016-09-06 2018-03-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Generating Tactile Outputs
DK179278B1 (en) 2016-09-06 2018-03-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haptic mixing
EP3531250B1 (en) * 2016-09-06 2021-02-24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haptic mixing
DK201770372A1 (en) 2017-05-16 2019-01-08 Apple Inc. TACTILE FEEDBACK FOR LOCKED DEVICE USER INTERFACES
US11354030B2 (en) * 2018-02-22 2022-06-07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8769397A (zh) * 2018-05-17 2018-11-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触控信息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0802667B1 (en) 2019-06-03 2020-10-1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Tactile response for user interaction with a three dimensional rendering
US10825245B1 (en) 2019-06-03 2020-11-0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rendering for a mobile device
CN112394817B (zh) * 2020-11-26 2022-04-26 瑞声新能源发展(常州)有限公司科教城分公司 响应振动事件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4529A (en) * 1995-05-03 1997-08-05 Hewlett-Packard Company Stylus-input computing system with erasure
US6963762B2 (en) * 2001-05-23 2005-11-08 Nokia Corporation Mobile phone using tactile icons
US6833846B2 (en) * 2001-10-24 2004-12-21 Immersion Corporation Control methods for the reduction of limit cycle oscillations for haptic devices with displacement quantization
JP4149926B2 (ja) * 2001-11-01 2008-09-17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 触知感覚を与える方法及び装置
US7746325B2 (en) * 2002-05-06 2010-06-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improving positioned accuracy for a determined touch input
EP2254025A3 (en) * 2002-05-16 2016-03-30 Sony Corporation Input method and input apparatus
US7365530B2 (en) * 2004-04-08 2008-04-29 Allegro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ibration detection
EP1774427A2 (en) * 2004-07-30 2007-04-18 Apple Computer, Inc. Mode-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JP2006048302A (ja) * 2004-08-03 2006-02-16 Sony Corp 圧電複合装置、その製造方法、その取扱方法、その制御方法、入出力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00143B1 (ko) * 2005-12-02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키패드의 키선택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080018604A1 (en) * 2006-07-19 2008-01-24 Tyco Electronics Canada, Ltd. Touch detection method and system for a touch sensor
JP2008033739A (ja) * 2006-07-31 2008-02-14 Sony Corp 力覚フィードバックおよび圧力測定に基づくタッチスクリーンインターラクション方法および装置
US7890863B2 (en) * 2006-10-04 2011-02-15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effects with proximity sensing
US8942764B2 (en) * 2007-10-01 2015-01-27 Apple Inc. Personal media device controlled via user initiated movements utilizing movement based interfaces
US7944343B2 (en) * 2007-10-07 2011-05-17 Audi A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a vehicle
US8373549B2 (en) * 2007-12-31 2013-02-12 Apple Inc. Tactile feedback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498622B1 (ko) * 2008-06-25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306576B2 (en) * 2008-06-27 2012-11-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haptic eff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8686B2 (en) 2010-03-16 2021-02-02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e-touch and true touch
US9747018B2 (en) 2010-11-30 2017-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KR101456834B1 (ko) * 2014-03-28 2014-11-04 모젼스랩(주) 터치 속도 인식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11175738B2 (en) 2016-12-13 2021-11-16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ximity-based haptic feed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22497A1 (en) 2009-12-31
US8531319B2 (en) 2013-09-10
CN101621566B (zh) 2014-03-26
EP2141580A2 (en) 2010-01-06
KR101443341B1 (ko) 2014-11-03
EP2141580B1 (en) 2018-05-16
EP2141580A3 (en) 2013-12-18
CN101621566A (zh)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277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2010002081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5754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0464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16034A (ko) 멀티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3255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9045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76650A (ko) 한글 입력을 위한 휴대 단말기
KR2009007664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4568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홀로그램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9011244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9388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09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9525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979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신저 제공방법
KR20100093740A (ko) 단말기 및 그의 외부 장치 제어 방법
KR2011001376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2423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101590364B1 (ko)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13585B1 (ko) 북마킹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KR20100020819A (ko) 문자 예측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2201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201865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16275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0358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